맨위로가기

타이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이어파는 '따이(Tai/Tay)' 및 그 동근어를 사용하는 언어 집단으로, 좡어와 눙어를 포함한다. 이 언어들은 중국, 베트남 등지에서 사용되며,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의 제럴드 에드먼슨과 피타야왓 피타야폰 등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분화 시기가 추정되었다.

타이어파는 Haudricourt, Li, Gedney, Luo, Pittayaporn, Edmondson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분류 체계로 연구되었으며, 북따이어군, 중앙따이어군, 남서따이어군으로 나뉜다. 타이어파 언어들은 어휘 면에서 유사성을 보이며, 타이 문자, 라오 문자, 방괴장자 등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어파 - 좡어
    좡어는 중국 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하며 태국어와 관련이 있고 6개의 성조를 가진 성조 언어이나, 중국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타이어파 - 라오어
    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 타이어족에 속하는 라오스의 공식 언어이며, 푸타이어, 타이 요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갖고 태국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차별성이 강조되고, 크메르어, 산스크리트어, 팔리어의 영향을 받아 철자 개혁을 거쳐 다양한 방언과 함께 비엔티안 방언을 기준으로 한 표준 라오어가 사용된다.
타이어파
개요
이름타이어파
다른 이름좡타이어파
사용 지역중국 남부 (광시, 구이저우, 윈난, 광둥 포함), 동남아시아
계통 분류
어족크라다이어족
어파베타이어파?
하위 분류
하위 어군 1북타이어군 (NT)
하위 어군 2중앙타이어군 (CT)
하위 어군 3남서타이어군 (SWT)
하위 어군 4(좡어군 참조)
언어 코드
ISO 639-2tai
Glottologdaic1237

2. 명칭

'따이(Tai/Tay)' 및 그 동근어('타이(Thai/Thay)', '다이(Dai)' 등)는 많은 따이어파 언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민족명이다. 중앙따이어군 언어들을 중국에서는 '좡어'라고 부르고, 베트남에서는 '눙어'라고 부른다.

3. 역사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의 제럴드 에드먼슨은 좡족과 타이인이 베트남인에 대해 같은 명칭 *kɛɛuA1[2]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근거로, 좡어(중앙따이어군 언어)와 남서따이어군 언어들이 기원전 112년 교지군이 설립된 때부터 기원후 5~6세기 사이에 갈라졌다고 주장한다.[3] 피타야왓 피타야폰은 남서따이조어에서 중국어 차용어의 층위와 여타 역사적인 증거에 기반해, 2014년 남서따이어군이 8~10세기 사이에 분화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4]

4. 분류

따이어파는 학자마다 분류에 이견이 있으나, 크게 북따이어군, 중앙따이어군, 남서따이어군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중앙따이어군의 측계통성이 제기되면서 더 세분화된 분류 체계가 제시되고 있다.

4. 1. Haudricourt (1956)

'''앙드레조르주 오드리쿠르'''[5]는 디오이(좡)어군의 특이성을 강조하며 따이어파를 따이어군과 디오이어군으로 나누었다. Haudricourt (1956) 원문에 쓰인 언어명 뒤에 현재 널리 쓰이는 민족명을 병기했다.

오드리쿠르는 디오이어군의 특징으로 다음을 꼽았다.

  • 첫째, 따이어군의 설측음 l-이 r-로 대응한다.
  • 둘째, 모음 체계가 특징적이다. 예를 들어 '꼬리'는 따이어군에서 /a/ 모음이 들어가지만 보아이어에서는 /ə̄/, 톈저우어에서는 /iə/, 톈저우어와 우밍어에서는 /ɯə/이다.
  • 셋째, 따이어군에는 있는 유기 파열음 및 파찰음 계열이 없다.


오드리쿠르의 분류는 리팡구이의 분류에서 남따이어군과 중앙따이어군을 하나로 묶고 남서따이어군과 자매 분기군으로 둔 것과 같다. 오드리쿠르가 열거하는 '따이어군' 언어들 중 마지막 세 개인 토어 (따이어), 룽저우 좡어, 눙어는 리팡구이가 '중앙따이어군'으로 분류한 언어들이다.

4. 2. Li (1977)

리팡구이는 타이어파를 북따이어군, 중앙따이어군, 남서따이어군으로 나눈다. 그러나 중앙따이어군은 유효한 분기군으로 보이지 않는다.[1]

Li (1977)에서는 따이어군을 세 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이 분류 체계는 따이어파 비교언어학 분야에서 표준적인 분류로 오랫동안 인정받아 왔다.[1]

4. 3. Gedney (1989)

Gedney (1989)는 중앙따이어군과 남서따이어군을 하나로 묶고 북따이어군과 자매 분기군으로 설정하여 Haudricourt (1956)와 같은 분류를 제시했다.

4. 4. Luo (1997)

뤄 융셴은 1997년[6] 따이어파를 분류하면서 아홈어, 샨어, 데홍다이어, 캄띠어를 북서따이어군이라는 네 번째 분기군으로 추가했다. 모든 어군은 위계상 서로 동등하다고 보았다.

4. 5. Pittayaporn (2009)

피타야폰(Pittayaporn, 2009)은 공통된 혁신 사항에 따라 타이어파 언어들을 분류하고, 중앙따이어군을 측계통군으로 보았다. 광시 남서부, 특히 쭤강 계곡의 좡어군 언어들이 가장 큰 다양성을 보인다고 밝혔다.[7]

4. 5. 1. 음운 변동

피타야폰(Pittayaporn) (2009)은 따이조어에서 각 어군으로 분화하면서 발생한 음운 변동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7]

따이조어의 대응형
따이조어Q어군[8]N어군[9]B어군C어군
*ɤj, *ɤw, *ɤɰ*aj, *aw, *aɰ*i:, *u:, *ɯ:*i:, *u:, *ɯ:
*ɯj, *ɯw*iː, *uː[10]*aj, *aw[11]*iː, *uː
*we, *wo*eː, *oː*iː, *uː*eː, *oː[12]*eː, *oː[13]
*ɟm̩.r-*br-*ɟr-*ɟr-
*k.t-*tr-*tr-
*ɤn, *ɤt, *ɤc*an, *at, *ac[14]



추가로, Q어군에서 분화된 여러 어군에서는 다음과 같은 음운 변동이 나타났다.


  • E: *p.t- > *p.r-; *ɯm > *ɤm
  • G: *k.r- > *qr-
  • K: *eː, *oː > *ɛː, *ɔː
  • O: *ɤn > *on
  • Q: *kr- > *ʰr-

4. 6. Edmondson (2013)

제럴드 에드먼슨이 2013년에 수행한 따이어군 언어들의 컴퓨터 계통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15] 따이어와 눙어는 모두 중앙따이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따이어군과 남서따이어군도 계통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 '''북따이어군''': 부이어, 야이어, 포아이어, 우밍 좡어, 마산 좡어
  • '''남서따이어군''': 아홈어, 샨어, 데홍어, 따이텡어, 따이담어, 백따이어, 빠지어, 라오어, 태국어
  • '''중앙따이어군'''
  • 핵심 중앙따이어군: 눙짜우어, 핑샹 좡어, 레이핑 좡어, 닝밍 좡어
  • 따이어: 따이바오락어, 따이칸쭝어, 까오란어
  • 눙어: 서부 눙어, 눙양어, 눙안어, 투라오어

5. 재구

따이조어는 리팡구이와 피타야왓 피타야폰이 재구한 바 있다.[1] 남서따이조어도 리팡구이와 난나 존슨이 재구한 바 있다.[17]

5. 1. 따이조어의 대명사

따이조어의 대명사 체계는 1, 2, 3인칭과 단수, 쌍수, 복수 구분을 보여준다.

따이조어의 대명사
인칭따이조어타이 문자
1인칭단수*kuกู
쌍수 (청자 제외)*pʰɯaเผือ
복수 (청자 제외)*tuตู
1+2인칭쌍수 (청자 포함)*raรา
복수 (청자 포함)*rauเรา
2인칭단수*mɯŋมึง
쌍수*kʰɯaเขือ
복수*suสู
3인칭단수*manมัน
쌍수*kʰaขา
복수*kʰauเขา

[16]

6. 비교

따이어파 언어들은 어휘 면에서 유사성을 보이며, 이는 이들이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음을 시사한다.[18]

한국어남서따이조어태국어라오어북부 타이어샨어따이르어표준 좡어
바람*lom/lōm//lóm//lōm//lóm//lôm//ɣum˧˩/
도시*mɯaŋ/mɯ̄aŋ//mɯ́aŋ//mɯ̄aŋ//mɤ́ŋ//mɤ̂ŋ//mɯŋ˧/
*ʔdin/dīn//dìn//dīn//lǐn//dín//dei˧/
*vai/aɯ/fāj//fáj//fāj//pʰáj/ 또는 /fáj//fâj//fei˧˩/
심장*čai/aɯ/hǔa tɕāj//hǔa tɕàj//hǔa tɕǎj//hǒ tsǎɰ//hó tɕáj//sim/
사랑하다*rak/rák//hāk//hák//hâk//hak//gyai˧˩/
*naam/náːm//nâm//nám//nâm//nà̄m//ɣaem˦˨/


7. 문자

'착한 코끼리 기수'라는 뜻의 어구를 따이어파의 여러 문자들로 표기한 것.


많은 남서따이어군 언어들은 브라흐미계 문자로 표기한다. 좡어는 전통적으로 방괴장자라는 한자계 문자로 표기해 왔고, 현재는 공식적으로 로마자를 쓰지만 전통 문자 체계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Tai–Kadai Languages 2008
[2] 문서
[3] 간행물 The power of language over the past: Tai settlement and Tai linguistics in southern China and northern Vietnam http://ling.uta.edu/[...] Ek Phim Thai Co. Ltd.
[4] 논문 Layers of Chinese Loanwords in Proto-Southwestern Tai as Evidence for the Dating of the Spread of Southwestern Tai http://www.manusya.j[...] 2014
[5] 논문 De la restitution des initiales dans les langues monosyllabiques : le problème du thai commun 1956
[6] 논문 The subgroup structure of the Tai Languages: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https://www.jstor.or[...] 1997
[7] 학위논문 The Phonology of Proto-Tai Cornell University 2009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기타 Tai subgrouping using phylogenetic estimation 2013
[16] 학위논문 Proto Southwestern Tai http://sealang.net/c[...] 1991
[1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language.psy.[...] 2019-05-11
[18] 웹사이트 Thai Lexicography Resources http://sealang.net/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