좡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좡어는 중국 남부, 특히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고유의 문자 체계인 고장자를 사용했으나, 1957년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도입되었고, 1982년에는 라틴 문자만을 사용하는 새로운 표기법이 제정되었다. 좡어는 북방 방언과 남방 방언으로 나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좡어는 태국어와 어휘, 음운 측면에서 밀접한 관련을 보이며, 6개의 성조를 가진 성조 언어이다. 하지만 중국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서 좡어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좡어 교육과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좡어의 미래는 불확실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좡족 문화 - 마교
마교는 하늘, 땅, 물의 세 요소를 중시하며 만물에 정령이 깃든 애니미즘적 신앙 체계로, 부 루오투오와 화모를 주요 신으로 숭배하고 다양한 신과 조상을 섬기며 중국 유래 축제와 독특한 의례를 행한다. - 타이어파 - 라오어
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 타이어족에 속하는 라오스의 공식 언어이며, 푸타이어, 타이 요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갖고 태국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차별성이 강조되고, 크메르어, 산스크리트어, 팔리어의 영향을 받아 철자 개혁을 거쳐 다양한 방언과 함께 비엔티안 방언을 기준으로 한 표준 라오어가 사용된다. - 타이어파 - 샨어
샨어는 타이계 언어이자 샨족의 언어로서 미얀마, 태국, 라오스 등에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주변 언어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방언과 고립어적인 문법 체계를 갖는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좡어 | |
---|---|
지도 정보 | |
언어 정보 | |
이름 | 좡어 |
고유어 | Vahcuengh |
다른 표기 | Vaƅcueŋƅ |
다른 이름 | 壮语, 話僮, 僮語, Zhuàngyǔ |
사용 지역 |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귀주성 운남성 광동성 베트남 북부 |
사용자 수 | 1800만 명 (2007년 기준) |
어족 | 크라다이어족 |
어파 | 캄-타이어파 타이-치완어파 |
문자 | 라틴 문자 |
국가 | 광시 좡족 자치구 |
기관 | 광시 좡족 자치구 소수민족 언어 표준화 사업 위원회 |
ISO 639-1 | za |
ISO 639-2 | zha |
ISO 639-3 | zha |
Glottolog | daic1237 |
Glottolog 이름 | Daic; 좡어는 유효한 그룹이 아님 |
Glottolog 참조 이름 | Daic |
언어 계통 | 타이어족 북부 타이어파 및 중앙 타이어파 |
방언 정보 | |
중홍수하 좡어 | zch |
동홍수하 좡어 | zeh |
계북 좡어 | zgb |
민장 좡어 | zgm |
계변 좡어 | zgn |
문마 좡어 | zhd |
연구앙 좡어 | zhn |
류장 좡어 | zlj |
연산 좡어 | zln |
류첸 좡어 | zlq |
구베이 좡어 | zqe |
옹북 좡어 | zyb |
덕정 좡어 | zyg |
우장 좡어 | zyj |
옹남 좡어 | zyn |
좌장 좡어 | zzj |
2. 역사
좡어는 오랫동안 방괴장자(方塊壯字)라는 표의 문자로 표기되었다. 방괴장자는 베트남의 쯔놈, 거란 문자 등과 같이 한자의 요소를 빌려와 좡어를 적은 한자계 파생 문자로서, 글자 수도 수천 자에 이른다.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좡어의 로마자화를 시도했는데, 이때의 로마자는 특수 자음이나 성조 표시와 더불어 키릴 문자와 국제 음성 기호 등의 특수 문자가 섞인 독특한 것이었다. 과거 발행된 런민비에는 1957년에 제정된 정서법에 따른 좡어 표기가 보인다. 그러나 1982년 중국 정부는 좡어 표기법을 로마자만을 사용한 정서법으로 바꾸었다. 바뀐 정서법은 좡어의 성조를 나타낼 때 별도의 성조 부호 대신 자모로 쓰지 않는 남는 글자(z, j, x, q, h 등)를 성조 부호로 사용하고 있다.
1957년과 1982년에 제정된 정서법에 따른 좡어의 자음, 모음, 성조 표기는 다음 표와 같다.
구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
자음 | B b | B b | Ƃ ƃ | Mb mb | M m | M m | F f | F f | V | V |
D d | D d | Ƌ ƌ | Nd nd | N n | N n | S s | S s | L l | L l | |
G g | G g | Gv gv | Gv gv | Ŋ ŋ | Ng ng | H h | H h | R r | R r | |
C c | C c | Y y | Y y | Nv ny | Ny ny | Ŋv ŋv | Ngv ngv | |||
By by | By by | Gy gy | Gy gy | My my | My my | |||||
모음 | A a[18] | A a[18] | E e | E e | Ə ə[19] | AE ae[19] | U u | U u | ||
I i | I i | O o[20] | O o[20] | Ɯ ɯ | W w | Ɵ ɵ[21] | OE oe[21] | |||
성조 | 1 | 표시되지 않음 | ||||||||
2 | Ƨ ƨ | Z z | ||||||||
3 | З з | J j | ||||||||
4 | Ч ч | X x | ||||||||
5 | Ƽ ƽ | Q q | ||||||||
6 | Ƅ ƅ | H h |
하지만 새로운 문자 체계는 방언 표기가 어렵고, 많은 사람들이 중국어를 이해하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광서장족자치구 내 관공서와 역 간판에는 한자와 로마자화된 좡어가 함께 표기되어 있으며, 중국 위안화 지폐에도 좡어가 표기되어 있다.
2. 1. 고대 문자 사용 시기
좡어는 1000년 이상 고대 사운딥(sawndip) 문자로 기록되어 왔으며, 그 이전에는 사우고크(sawgoek) 문자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사운딥 문자는 베트남의 쯔놈(chữ Nôm)과 유사하게 한자를 기반으로 한다. 일부 사운딥 표의 문자는 한자에서 직접 차용한 반면, 다른 문자들은 한자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현지에서 만들어졌다.[17] 이 문자는 노래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공식적인 가족계획 정책을 따르도록 장려하는 공공 커뮤니케이션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상형 문자와 같은 원시 문자를 포함한 다른 여러 문자가 간헐적으로 사용되었다.
제사의식 주관자들은 경전이나 제사 방법 등을 기록하기 위해 고장자를 고안하여 사용했다. 고장자는 한자를 그대로 차용하여 음차나 훈독에 사용하거나, 한자의 구성법을 이용하여 만들어낸 한자풍의 문자로, 1300년 이상 전부터 사용되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자종도 1만 종 이상이 확인되고 있다.
2. 2. 문자 개혁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좡어의 로마자화를 시도했는데, 이때의 로마자는 특수 자음이나 성조 표시와 더불어 키릴 문자와 국제 음성 기호 등의 특수 문자가 섞인 독특한 것이었다. 과거 발행된 런민비에는 1957년에 제정된 정서법에 따른 좡어 표기가 보인다.[17] 그러나 중국 정부는 1982년에 좡어의 표기법을 로마자만을 쓴 정서법으로 바꾸었다. 바뀐 정서법은 좡어의 성조를 나타낼 때 별도의 성조 부호 대신 자모로 쓰지 않는 남는 글자(z, j, x, q, h 등)를 성조 부호로 갈음하고 있다.[17] 이들은 각각 '옛' 좡어와 '새' 좡어로 불린다.구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
자음 | B b | B b | Ƃ ƃ | Mb mb | M m | M m | F f | F f | V | V |
D d | D d | Ƌ ƌ | Nd nd | N n | N n | S s | S s | L l | L l | |
G g | G g | Gv gv | Gv gv | Ŋ ŋ | Ng ng | H h | H h | R r | R r | |
C c | C c | Y y | Y y | Nv ny | Ny ny | Ŋv ŋv | Ngv ngv | |||
By by | By by | Gy gy | Gy gy | My my | My my | |||||
모음 | A a[18] | A a[18] | E e | E e | Ə ə[19] | AE ae[19] | U u | U u | ||
I i | I i | O o[20] | O o[20] | Ɯ ɯ | W w | Ɵ ɵ[21] | OE oe[21] | |||
성조 | 1 | 표시되지 않음 | ||||||||
2 | Ƨ ƨ | Z z | ||||||||
3 | З з | J j | ||||||||
4 | Ч ч | X x | ||||||||
5 | Ƽ ƽ | Q q | ||||||||
6 | Ƅ ƅ | H h |
좡어는 크게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각 방언은 다시 여러 하위 방언으로 구성된다.[6] 좡어 방언 연구는 1950년대에 수행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장쥔루(張均如)의 『좡어방언연구』(壯語方言研究)가 가장 상세한 연구로 알려져 있다.[5] 이 연구에서는 36개의 좡어 방언을 다루고 있으며, 1465단어 목록을 포함하고 있다.
3. 방언
피타야폰(2009)의 분류에 따른 장(1999)의 36가지 좡어 방언 목록은 다음과 같다. (지역(현) - 마을 - 하위 그룹)지역 마을 하위 그룹 1 우밍 쌍교(雙橋) M 2 헝시안 낙욱(那旭) N 3 용닝(북부) 오탕(五塘) N 4 핑궈 신위(新圩) N 5 톈둥 허헝(合恒) N 6 톈린 리저우(利周) N 7 링위에 사청(泗城) N 8 광난(사족(沙族)) 저멍향(者孟鄉) N 9 취베이 격한향(戈寒鄉) N 10 류장 백붕(百朋) N 11 이산 낙동(洛東) N 12 환장 성관(城管) N 13 롱안 안치(安治) N 14 롱성 익신(日新) N 15 허치 삼구(三區) N 16 난단 마마(麼麻) N 17 둥란 성향(城廂) N 18 두안 륙리(六里) N 19 상린 대풍(大豐) N 20 라이빈 사각(寺腳) N 21 귀강 산북(山北) N 22 리안산 소삼강(小三江) N 23 친저우 낙하향(那河鄉) I 24 용닝(남부) 하방향(下枋鄉) M 25 롱안 소림향(小林鄉) M 26 푸쓰이(중앙) 대당향(大塘鄉) M 27 상쓰 교정향(叫丁鄉) C 28 충저우 복록향(福鹿鄉) C 29 닝밍 봉황향(鳳璜鄉) B 30 롱저우 빈교향(彬橋鄉) F 31 다쉰 후익향(後益鄉) H 32 더바오 원제이구(原第二區) L 33 징시 신하향(新和鄉) L 34 광난(농족(儂族)) 소광남향(小廣南鄉) L 35 연산(농족(儂族)) 과서향(誇西鄉) L 36 원마(토족(土族)) 흑말향대재(黑末鄉大寨), 대재 P
하계 언어학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위에 언급된 방언 중 일부는 서로 다른 언어 사용자 간에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여, 16개의 별도 ISO 639-3 코드가 생겨났다.[8][9]
좡어는 어휘와 음운 면에서 태국어와 깊은 관련을 가지며, 동계어로 여겨진다. 북부 방언의 경우, 표준으로 여겨지는 광시 좡족 자치구 난닝시 우밍구 발음은 6개의 성조를 가진다. 모음에는 장단의 대립이 있고, 유성 파열음 b, d에는 가벼운 흡착이 있어 mb, nd로 표기된다. ny처럼 구개화된 자음군이 있으며, 어형 변화나 성은 없고, 측정사가 풍부하다. 기본적으로 수식어는 수식받는 명사 뒤에 오며, 광둥어를 포함한 중국어에서 차용어를 많이 가져왔다.
3. 1. 북부 좡어
북방 좡어는 용강(鬱江) 북쪽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화자 수는 8,572,200명이다.[6][10] 좡어는 중국 언어학자들에 의해 북방 방언과 남방 방언으로 나뉘며, 북방 방언은 다시 여러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6] 우밍 현 방언은 "북방 좡어 방언"으로 분류되며, 좡어의 표준어 또는 표준 방언으로 간주된다. 남방 좡어 방언에는 유기음이 있지만, 북방 좡어 방언에는 없다.[7]
장(Zhang, 1999)은 13개의 좡어 방언을 확인했으며, 이후 연구에 따르면 이들 중 일부는 서로 다른 언어 사용자 간에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여, 16개의 별도 ISO 639-3 코드가 생겨났다.[8][9]
북방 좡어의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괄호 안은 화자 수):
광시 동중부에는 중산 현(14,200명), 핑러 현(2,100명), 자오핑 현(4,300명), 멍산 현(약 5,000명), 허 현(약 3,000명)에 북방 좡어를 사용하는 소규모 집단들이 흩어져 살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언들이 있다.[12]
북부 방언은 어휘와 음운 면에서 태국어와 깊은 관련을 가지며, 표준으로 여겨지는 광시 좡족 자치구 난닝 시우밍 구 발음은 6개의 성조를 가진다. 모음에는 장단 대립이 있고, 유성 파열음인 b와 d에 가벼운 흡착이 있으며, mb, nd로 표기된다. ny처럼 구개화된 자음군이 있으며, 어형 변화나 성은 없고, 측정사가 풍부하다. 기본적으로 수식어는 수식받는 명사 뒤에 오며, 광둥어를 포함한 중국어에서 차용어를 많이 가져왔다.
3. 2. 남부 좡어
용강(광시 좡족 자치구 용강) 남쪽에서 사용되는 좡어 방언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6][10]
베트남의 타이어(Tày)와 능어(Nùng) 언어군 또한 중앙 타이어의 변종 중 하나로 간주되며, 윈난성 원산 다이어 및 광서성의 다른 남쪽 좡어 방언과 높은 상호 이해도를 공유한다. 능안어(Nùng An language)는 북쪽과 중앙 타이어의 특징이 혼합되어 있다.
Johnson (2011)은 윈난 웬산 주에 네 가지의 구별되는 좡어를 구분하는데, 이는 농좡어, 예이좡어, 다이좡어, 민좡어이다. 예이좡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남방 좡어 방언이며, 예이좡어는 북방 좡어이다.[14] 민좡어는 Johnson (2011) 이전에는 기술된 적이 없는 최근에 발견된 남방 좡어 방언이다. (''웬산 주족묘족 자치주#민족 구성 참조'')
피앙좡어와 먕좡어는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더바오 현에서 사용되는 최근에 기술된 남방 좡어(중앙 타이어)이다.[15][16]
남부 좡어 방언에는 유기음이 있지만, 북부 좡어 방언에는 없다.[7]
4. 문자 체계
좡어는 방괴장자(方塊壯字)라는 표의 문자로 표기되었으며, 1957년에 로마자화를 거쳐 현재는 로마자 기반의 문자를 사용한다. 1957년 제정된 문자에는 키릴 문자와 국제 음성 기호 등이 섞여 있었으나, 1982년 개정된 문자는 로마자만을 사용한다.
자음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
B b | B b | Ƃ ƃ | Mb mb | M m | M m | F f | F f | V v | V v | |
D d | D d | Ƌ ƌ | Nd nd | N n | N n | S s | S s | L l | L l | |
G g | G g | Gv gv | Gv gv | Ŋ ŋ | Ng ng | H h | H h | R r | R r | |
C c | C c | Y y | Y y | Nv ny | Ny ny | Ŋv ŋv | Ngv ngv | |||
By by | By by | Gy gy | Gy gy | My my | My my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
A a[18] | A a[18] | E e | E e | Ə ə[19] | AE ae[19] | U u | U u |
I i | I i | O o[20] | O o[20] | Ɯ ɯ | W w | Ɵ ɵ[21] | OE oe[21] |
1957년 | 1982년 | |
---|---|---|
제1성 | 표시되지 않음 | |
제2성 | Ƨ ƨ | Z z |
제3성 | З з | J j |
제4성 | Ч ч | X x |
제5성 | Ƽ ƽ | Q q |
제6성 | Ƅ ƅ | H h |
4. 1. 고장자 (사운딥)
좡어는 오랫동안 방괴장자(方塊壯字)라는 표의 문자로 표기되었다. 방괴장자는 베트남의 쯔놈, 거란 문자 등과 같이 한자의 요소를 빌려와 좡어를 적은 한자계 파생 문자로서, 글자 수도 수천 자에 이른다.[17]사운딥(sawndip) 문자는 1000년 이상 좡어를 기록하는데 사용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사우고크(sawgoek) 문자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사운딥 문자는 베트남의 쯔놈(chữ Nôm)과 유사하게 한자를 기반으로 하며, 일부는 한자에서 직접 차용되었고, 다른 문자들은 한자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현지에서 만들어졌다. 이 문자는 노래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공식적인 가족계획 정책을 따르도록 장려하는 공공 커뮤니케이션에도 사용되고 있다.
표기법으로서 대중이 사용할 수 있는 문자가 없었지만, 제사의식 주관자들은 경전이나 제사 방법 등을 기록하기 위해 고장자를 고안하여 사용했다. 고장자는 한자를 그대로 차용하여 음차나 훈독에 사용하거나, 한자의 구성법을 이용하여 만들어낸 한자풍의 문자로, 1300년 이상 전부터 사용되었으며, 1만 종 이상이 확인되고 있다.
4. 2. 현대 문자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좡어의 로마자화를 시도했는데, 이때의 로마자는 특수 자음이나 성조 표시와 더불어 키릴 문자와 국제 음성 기호 등의 특수 문자가 섞인 독특한 것이었다. 과거 발행된 런민비에는 1957년에 제정된 정서법에 따른 좡어 표기가 보인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1982년에 좡어의 표기법을 로마자만을 쓴 정서법으로 바꾸었다. 바뀐 정서법은 좡어의 성조를 나타낼 때 별도의 성조 부호 대신 자모로 쓰지 않는 남는 글자(z, j, x, q, h 등)를 성조 부호로 갈음하고 있다.[17]자음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
B b | B b | Ƃ ƃ | Mb mb | M m | M m | F f | F f | V v | V v | |
D d | D d | Ƌ ƌ | Nd nd | N n | N n | S s | S s | L l | L l | |
G g | G g | Gv gv | Gv gv | Ŋ ŋ | Ng ng | H h | H h | R r | R r | |
C c | C c | Y y | Y y | Nv ny | Ny ny | Ŋv ŋv | Ngv ngv | |||
By by | By by | Gy gy | Gy gy | My my | My my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1957년 | 1982년 |
---|---|---|---|---|---|---|---|
A a[18] | A a[18] | E e | E e | Ə ə[19] | AE ae[19] | U u | U u |
I i | I i | O o[20] | O o[20] | Ɯ ɯ | W w | Ɵ ɵ[21] | OE oe[21] |
1957년 | 1982년 | |
---|---|---|
제1성 | 표시되지 않음 | |
제2성 | Ƨ ƨ | Z z |
제3성 | З з | J j |
제4성 | Ч ч | X x |
제5성 | Ƽ ƽ | Q q |
제6성 | Ƅ ƅ | H h |
1957년,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키릴 문자와 IPA에서 유래한 문자를 확장하여 표준 좡어를 표기하는 혼합 문자가 도입되었다. 1982년에는 라틴 문자만 사용하도록 개정되었다.[17] 이들은 각각 '옛' 좡어와 '새' 좡어로 불린다. 하지만 방언의 표기가 어렵고, 중국어를 이해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보급률은 낮다.
5. 음운 체계
표준 좡어는 광시 좡족 자치구 남녕시무명구 발음을 기준으로 하며, 태국어와 음운 체계가 유사하다. 좡어는 크게 자음, 모음, 성조 체계로 구성된다.
좡어의 모음에는 장단의 구분이 있다. 유성 파열음 'b', 'd'에는 가벼운 흡착음이 동반되며, 이는 'mb', 'nd'로 표기된다. 또한, 'n'에 대한 'ny'처럼 구개음화된 자음군이 존재한다. 좡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5. 1. 자음
colspan="2" rowspan="2" | | 순음 | 치음/치경음 | 치경구개음/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평음 | 구개음화 | 평음 | 구개음화 | 순음화 | |||||
파열음 | 평음 | p | pʲ | t | k | kʲ | kʷ | ʔ | |
내파음 | ɓ | ɗ | |||||||
마찰음 | f | θ | ɕ | ɣ | h | ||||
비음 | m | mʲ | n | ɲ | ŋ | ŋʷ | |||
유음/반모음 | 평음 | l | j | w | |||||
성문음화 | ˀj | ˀw | |||||||
위 표는 좡어의 자음 체계를 나타낸 것이다. 국제 음성 기호(IPA)로 표기되어 있으며, 각 자음은 발음되는 위치와 방법에 따라 분류되어 있다.
- 좡어에는 /s/ 음소가 없다.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와 비슷하다.
IPA | 1957년 | 1982년 | IPA | 1957년 | 1982년 | IPA | 1957년 | 1982년 | IPA | 1957년 | 1982년 | IPA | 1957년 | 1982년 |
---|---|---|---|---|---|---|---|---|---|---|---|---|---|---|
p | B b | B b | ɓ | Ƃ ƃ | Mb mb | m | M m | M m | f | F f | F f | p̚ | P p | P p |
t | D d | D d | ɗ | Ƌ ƌ | Nd nd | n | N n | N n | θ | S s | S s | t̚ | T t | T t |
k | G g | G g | ɣ | R r | R r | ŋ | Ŋ ŋ | Ng ng | h | H h | H h | k̚ | K k | K k |
ɕ | C c | C c | j | Y y | Y y | ɲ | Ny ny | Ny ny | l | L l | L l | v | V v | V v |
pʲ | By by | By by | kʲ | Gy gy | Gy gy | mʲ | My my | My my | kʷ | Gv gv | Gv gv | ŋʷ | Ŋv ŋv | Ngv ngv |
운미의 내파음 p, t, k는 제8성(중촉조)의 경우 b, d, g로 표기한다.
5. 2. 모음
IPA | 1957년 문자 | 1982년 문자 |
---|---|---|
A a | A a | |
E e | E e | |
Ə ə | AE ae | |
I i | I i | |
O o | O o | |
U u | U u | |
Ɯ ɯ | W w |
1982년에 개정된 문자 체계에서는 Ɵ에서 유래한 oe, Ɯ에서 유래한 w, Ə에서 유래한 ae가 있다.
5. 3. 성조
좡어는 성조 언어이며, 표준 남녕시무명구 발음 기준으로 6개의 성조를 가진다. 1957년 판과 1982년 판에서 성조 표기가 약간 다르다.성조 번호 | 조류 | 오도식 | 1957년 | 1982년 |
---|---|---|---|---|
1 | 중승조 | 24 | (표시 없음) | |
2 | 저강조 | 31 | Ƨ ƨ | Z z |
3 | 고평조 | 55 | З з | J j |
4 | 중강조 | 42 | Ч ч | X x |
5 | 고승조 | 35 | Ƽ ƽ | Q q |
6 | 중평조 | 33 | Ƅ ƅ | H h |
7 | 고촉조 | 55・35 | (운미가 p, t, k) | |
8 | 중촉조 | 33 | (운미가 b, d, g) |
제7성(고촉조)는 운모가 장모음일 경우 승촉조(35)가 된다. 운미의 내파음 p, t, k는 제8성(중촉조)에서 b, d, g로 표기한다.
6. 좡어의 사회언어학적 위상
좡어는 어휘와 음운 면에서 태국어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같은 계통의 언어로 여겨진다. 좡어는 크게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나뉘는데, 이 둘의 차이는 비교적 크다. 북부 방언은 광시 좡족 자치구 남녕시무명구(구·무명현)의 발음이 표준으로 여겨지며, 6개의 성조를 가진다.
좡어 모음에는 장단 구분이 있다. 유성 파열음인 'b'와 'd'에는 가벼운 흡착이 있어 'mb', 'nd'로 표기된다. 'n'에 대한 'ny'처럼, 구개화된 자음군도 존재한다. 좡어는 어형 변화나 성이 없고, 측정사가 발달했다. 기본적으로 수식어는 수식받는 명사 뒤에 온다. 광둥어를 포함한 중국어에서 빌려온 차용어가 많다.
6. 1. 좡어 사용 현황
좡어는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문자가 없었지만, 제사의식 주관자들은 경전이나 제사 방법 등을 기록하기 위해 고장자를 고안하여 사용했다. 고장자는 한자를 차용하여 음차나 훈독에 사용하거나, 한자의 구성법을 이용해 만든 한자풍 문자로, 1300년 이상 전부터 사용되었으며 1만 종 이상이 확인되고 있다.
1957년, 라틴 문자를 기본으로 하고 키릴 문자를 도입한 좡어 표기법이 정해졌으나, 인쇄 문제 등으로 1982년 라틴 문자만 사용하는 표기법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방언 표기가 어렵고, 중국어 이해 인구가 많아 보급률은 낮다. 광시 좡족 자치구 내 관공서와 역 간판에는 한자와 라틴 문자 좡어가 병기되어 있으며, 중국 위안화 지폐에도 좡어가 표기되어 있다.
7. 참고 문헌
- 壯漢詞彙|좡한어휘중국어, 광서민족출판사 (Guangxi minzu chubanshe), 난닝 (Nanning), 1984.
- 제럴드 A. 에드먼드슨 (Jerold A. Edmondson) 및 데이비드 B. 솔닛 (David B. Solnit) 편집, 비교 카다이어: 타이어파 (Comparative Kadai: The Tai Branch), 언어학 여름 연구소 및 텍사스대학교 아링턴캠퍼스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997.
- 에릭 C. 존슨 (Eric C. Johnson), 중국 운남성의 중앙 타이어 방언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소개 (A Sociolinguistic Introduction to the Central Taic Languages of Wenshan Prefecture, China), SIL 인터내셔널 (SIL International), 2010. SIL Electronic Survey Report 2010-027.
- 壯漢英詞典|좡한영사전중국어, 좡중영어사전/껀껀잉스즈뎬/좡-중국어-영어 사전 (Zhuàng-Hàn-Yīng cídiǎn / Guengh Gun Yingh swzdenj / Zhuang–Chinese–English Dictionary), 민족출판사 (Minzu chubanshe), 베이징 (Beijing), 2004. ISBN 7-105-07001-3.
- 탄 샤오항 (Xiaohang 覃曉航), 現代壯語|현대 좡어중국어 (Xiàndài Zhuàngyǔ), 민족출판사 (Minzu chubanshe), 베이징 (Beijing), 1995.
- 탄 궈성 (Guosheng 覃國生), 壯語方言概論|좡어 방언 개론중국어 (Zhuàngyǔ fāngyán gàilùn), 광서민족출판사 (Guangxi minzu chubanshe), 난닝 (Nanning), 1996.
- 왕 밍푸 (Mingfu 王明富) 및 에릭 존슨 (Eric 江子楊), 壯族文化遺產及壯語研究|좡족 문화유산 및 좡어 연구중국어 (Zhuàngzú wénhuà yíchǎn jí zhuàngyǔ yánjiū / Zhuang Cultural and Linguistic Heritage), 운남민족출판사/운남성 소수민족출판사 (Yunnan minzu chubanshe / The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of Yunnan), 쿤밍 (Kunming), 2008. ISBN 978-7-5367-4255-0.
- 웨이 밍잉 (Mingying 韋名應), 귀동 좡어 음운 연구 (Guidong Zhuangyu yuyin yanjiu 桂東壯語語音研究), 민족출판사 (Minzu chubanshe) 民族出版社, 베이징 (Beijing), 2017. OCLC 1082879363.
- 웨이 칭원 (Qingwen 韋慶穩) 및 탄 궈성 (Guosheng 覃國生), 壯語簡志|좡어 간지중국어 (Zhuàngyǔ jiǎnzhì), 민족출판사 (Minzu chubanshe), 베이징 (Beijing), 1980.
- 장 쥔루 (Junru 張均如) 외, 壯語方言研究|좡어 방언 연구중국어 (Zhuàngyǔ fāngyán yánjiū), 사천민족출판사 (Sichuan minzu chubanshe), 청두 (Chengdu), 1999.
- 주 밍랑 (Minglang Zhou), 중국의 다언어주의: 소수민족 언어를 위한 문자 개혁의 정치, 1949-2002 (Multilingualism in China: The Politics of Writing Reforms for Minority Languages, 1949–2002), 무통 드 그뤼터 (Mouton de Gruyter), 베를린 (Berlin), 251–258쪽, 2003. ISBN 3-11-017896-6.
참조
[1]
사전
Guangxi Zhuang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Endangered Languages
Routledge
[3]
문서
A1 designates a tone.
[4]
학회발표논문
Studies in Southeast Asian languages and linguistics
https://web.archive.[...]
Ek Phim Thai Co
2011-06-19
[5]
논문
The Phonology of Proto-Tai
Cornell University
2009
[6]
서적
Comparative Kadai: The Tai branch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7]
서적
The Tai-Kadai Languages
Routledge
2008
[8]
웹사이트
ISO 639-3 Registration Authority, Change Request Number 2006-128
http://www.sil.org/i[...]
[9]
웹사이트
ISO 639-3 Registration Authority, Change Request Number 2007-027
http://www.sil.org/i[...]
[10]
참고문헌
[11]
웹사이트
Hongshui He Zhuang dialect intelligibility survey
http://www.sil.org/r[...]
[12]
서적
Guidong Zhuangyu yuyin yanjiu 桂东壮语语音研究
Minzu chubanshe 民族出版社
[13]
웹사이트
A Sociolinguistic Survey of the Dejing Zhuang Dialect Area
http://www.sil.org/r[...]
[14]
참고문헌
[15]
웹사이트
Language Name and Locationː Pyang Zhuang (Fuping), China [Not on Ethnologue]
https://web.archive.[...]
2014-02-09
[16]
논문
Tonal Development of Tai Languages
Payap University
2016
[17]
참고문헌
[18]
문서
/aː/ 발음을 표기하려고 쓰임
[19]
문서
/a/ 발음을 표기하려고 쓰임
[20]
문서
/oː/ 발음을 표기하려고 쓰임
[21]
문서
/o/ 발음을 표기하려고 쓰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