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앙드레조르주 오드리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드레조르주 오드리쿠르는 프랑스의 언어학자이자 민족식물학자로, 역사음운론, 특히 성조 발생 이론 연구에 기여했다. 그는 범시대 음운론을 창시하고, 중국어, 베트남어 등 동아시아 언어의 성조 생성 과정을 밝혀냈다. 또한 상고 한어 음운 재구 분야에서 어말 자음과 양순 연구개음 가설을 제시하며, 민족식물학 연구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중국학자 - 르네 그루세
    르네 그루세는 프랑스의 역사학자로서 아시아와 동양 문명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십자군 전쟁, 유라시아 유목 제국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펼쳤다.
  • 프랑스의 중국학자 - 조아킴 부베
    조아킴 부베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 청나라에서 활동하며 강희제의 총애를 받은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수학과 천문학을 가르치고 외교 사절 역할을 수행하며 동서양 문화 교류에 기여했고, 라이프니츠에게 이진법 연구에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례 논쟁에 참여하고 『강희제전』을 저술했다.
  • 중국어학자 -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는 영국의 외교관이자 언어학자, 중국학 교수로, 아편 전쟁 참전 후 청나라와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국어 교육에 기여했고,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발전한 로마자 표기법을 개발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초대 중국어 교수를 역임했다.
  • 중국어학자 - 마건충
    마건충은 1845년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나 이홍장의 막료로 활동하며 프랑스 유학 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중국 최초의 문법서인 《문통》을 저술한 청나라 말기의 외교관이자 학자이다.
  • 프랑스의 언어학자 - 롤랑 바르트
    프랑스의 문학 비평가이자 기호학자, 사상가인 롤랑 바르트는 `글쓰기의 영도`와 `신화론`으로 이름을 알리고 구조주의와 기호학 연구를 거쳐 포스트구조주의적 시도를 보였으며, '작가의 죽음' 개념을 통해 텍스트 해석의 다의성과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언어학자 - 조르주 뒤메질
    프랑스의 비교종교학자이자 인도유럽학자인 조르주 뒤메질은 인도유럽 신화와 사회 구조 연구, 특히 사회를 사제, 전사, 생산자로 구분하는 삼기능 가설로 알려져 있으며, 학계에서 높은 명성을 얻었으나 정치적 성향에 대한 논쟁도 있다.
앙드레조르주 오드리쿠르
기본 정보
이름 (프랑스어)André-Georges Haudricourt
출생일1911년 1월 17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사망일1996년 8월 20일 (향년 85세)
국적프랑스
직업학자
관심 분야동아시아 언어
식물학
주요 관심사식물학
인류학
언어학 (동양 제어)
모교국립농学院
경력
직장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
프랑스 극동 학원
학문적 영향
영향성조 발생
기타

2. 생애

피카르디의 외딴 농장에서 자란 오드리쿠르는 어린 시절부터 기술, 식물, 언어에 대한 호기심이 많았다. 1928년 바칼로레아를 취득한 후, 아버지의 권유로 국립 농업 연구소 (Institut national agronomique프랑스어)에 입학했지만, 1931년 졸업 당시 최하위 점수를 받았다. 그는 현대적인 도구와 기술보다는 전통적인 기술, 사회, 언어를 이해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파리에서 지리학, 음성학, 민족학, 유전학 강의를 들었고, 마르셀 모스의 지원으로 레닌그라드에서 니콜라이 바빌로프와 함께 1년간 유전학을 공부했다.

1940년,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CNRS)의 식물학 부서에 자리를 얻었지만, 정적인 분류에 의존하는 연구에 실망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프랑스 국립 동양 언어 문화 연구소에서 아시아 언어를 공부했다. 1945년 CNRS의 식물학 부서에서 언어학 부서로 옮긴 후, 1947년에 로망스어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을 발표했지만(앙드레 마르티네 지도), 알베르 다우자와 마리오 로크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아 고등 연구 실습 학교에서 가르칠 수 없었다.[3] 1948년부터 1949년까지 하노이의 프랑스 극동 연구소에서 자원봉사하며 아시아 언어의 역사 음운론과 언어 변화 모델을 연구했다.

장 피에르 베르낭이 조직한 마르크스주의 싱크탱크에 참여했고, 이 그룹은 1964년 '고대 사회 비교 연구 센터'로 발전, 이후 루이 제르네 센터가 되었다.[4] 1976년, 오드리쿠르는 CNRS 내에 LACITO를 공동 설립했다.[5]

2. 1. 유년 시절과 교육

피카르디의 외딴 지역에 있는 농장에서 자랐다. 어린 시절부터 기술, 식물, 언어에 대한 호기심이 많았다. 1928년 바칼로레아를 취득한 후, 아버지의 권유로 국립 농업 연구소 (Institut national agronomique프랑스어)에 입학했다. 아버지의 바람과는 달리, 오드리쿠르는 행정 관료가 되는 것에는 관심이 없었고, 전통적인 기술, 사회, 언어를 이해하는 데 더 큰 흥미를 느꼈다. 1931년 졸업 당시, 오드리쿠르는 전체 학년 그룹에서 최악의 점수를 기록했다. 졸업 후, 파리에서 지리학, 음성학, 민족학, 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의 강의를 수강하며 학문적 관심을 넓혔다. 마르셀 모스의 재정 지원을 받아 레닌그라드로 유학, 니콜라이 바빌로프의 지도 하에 1년간 유전학을 공부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학문적 전환

1940년, 오드리쿠르는 신설된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CNRS)의 식물학 부서에 자리를 얻었지만, 그곳에서의 연구가 정적인 분류학에 그치고, 유전학의 새로운 발달과 결합된 진화론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것에 환멸을 느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오드리쿠르는 프랑스 국립 동양 언어 문화 연구소에서 언어학 서적을 읽고, 아시아의 여러 언어를 연구했다.

1940년 8월, 언어학자 마르셀 코헨은 독일 점령군이 그의 도서관을 압수할까 봐 두려워 레지스탕스에 합류하기 전에 오드리쿠르에게 언어학에 관한 자신의 책들을 맡겼다.[2] 이를 통해 오드리쿠르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언어학을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었다.

오드리쿠르는 1945년에 CNRS의 식물학 부서에서 언어학 부서로 옮겼다.[15]

2. 3. 언어학 연구와 활동

1945년, 오드리쿠르는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CNRS)의 식물학 부서에서 언어학 부서로 옮겼다.[3] 1947년, 앙드레 마르티네의 지도 하에 로망스어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했다.[3] 하지만 이 논문은 당시 학계의 주류적 관점과 맞지 않아 심사위원이었던 알베르 다우자와 마리오 로크에게 거부당했고, 고등 연구 실습 학교에서 가르칠 기회를 얻지 못했다.[3]

대신 1948년부터 1949년까지 하노이에 있는 프랑스 극동 연구소에서 자원봉사하며 아시아 언어의 역사 음운론 연구에 매진했다.[3] 그는 아시아 언어의 역사 음운론 문제를 명확히 하고, 언어 변화의 일반적인 모델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3]

오드리쿠르는 장 피에르 베르낭이 조직한 마르크스주의 싱크탱크에 참여하여 엘레나 카신, 막심 로딘슨, 모리스 고델리에 등 좌파 성향의 동료 학자들과 교류했다.[4] 이 그룹은 1964년 고대 사회 비교 연구 센터 설립으로 이어졌고, 이후 루이 제르네 센터로 발전하여 고대 그리스 연구에 집중했다.[4]

2. 4. LACITO 설립과 말년

1976년에 오드리쿠르는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CNRS) 내부에 문화적 환경에서 문서화가 잘 안 된 언어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 센터(LACITO)를 공동으로 설립했다. LACITO는 민족학과 언어학 연구를 통합하고, 문헌이 거의 없는 언어를 문화적 환경 속에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7]

3. 주요 업적

오드리쿠르는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방법론적 업적: 역사 음운론에서 범시대 프로그램의 창시자로 평가받는다.[6] Panchronic phonology|범시적 음운론영어의 창시자로도 알려져 있다.[18]
  • 성조 발생 이론: 중국어, 베트남어 등 동아시아 언어 연구를 통해 성조가 없는 언어가 어떻게 성조 언어가 될 수 있는지 명확히 밝혔다. 이를 통해 원시 시노티베트어와 원시 타이-카다이어와 같이 동남아시아 본토 언어의 비성조 조상 재구성에 기여했다.[7]
  • 상고 한어 재구: 상고 한어 음운 재구 분야에서 어말 자음 *-s와 순경음(labiovelar consonant)의 재구를 제안하는 등 중요한 기여를 했다.[9]
  • 민족식물학 연구: 민족식물학 분야에서 활동하였으며, 저서 『L'Homme et les plantes cultivées프랑스어』(1943)는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文名を支えた植物|문명을 지탱한 식물|고바야시 마키코일본어 역, 1993년, 야사카 서방 출판.)

3. 1. 방법론적 업적: 범시대 음운론

오드리쿠르는 역사 음운론에서 범시대 프로그램의 창시자로 평가받는다.[6] Panchronic phonology|범시적 음운론영어의 창시자로도 알려져 있다.[18]

3. 2. 성조 발생 이론 (Tonogenesis)

오드리쿠르는 중국어, 베트남어 및 기타 동아시아 언어의 역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성조가 없는 언어가 어떻게 성조 언어가 될 수 있는지 명확히 밝혔다. 1954년에 발표한 ''베트남어 성조의 기원(De l'origine des tons en vietnamien)''[7]은 베트남어와 수많은 다른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언어의 성조 생성 과정을 설명하며, 원시 시노티베트어와 원시 타이-카다이어와 같이 동남아시아 본토 언어의 비성조 조상의 재구성을 위한 길을 열었다. 1961년에는 성조 체계의 발달과 진화에 대한 더욱 포괄적인 설명을 발표했다.[8]

베트남어의 계통에 관해 종래 몬크메르어와 동계라는 설과, 이에 반대하는 설(앙리 마스페로 등)이 있었는데, 반대 설에서는 성조가 후천적으로 획득될 수 없다고 주장했지만, 비성조 언어가 성조를 획득하는 과정을 오드리쿠르가 밝혀냈기 때문에, 반대 설은 그 근거를 잃었다.[21]

3. 3. 상고 한어 재구에 대한 기여

앙드레조르주 오드리쿠르는 상고 한어 음운 재구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음고 발생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외에도, 어말 자음 *-s와 순경음(labiovelar consonant)의 재구를 제안했다.[9]

오드리쿠르는 ''시경''에서 발견되는 몇 가지 운율 패턴을 분석했다. 중고 한어에서 입성 글자가 거성과 압운되는 현상(예: "乍"(거성)와 "昨"(-k로 끝나는 입성), "敝"(거성)와 "瞥"(-t로 끝나는 입성))을 설명하기 위해, 그는 거성이 *-s에서 유래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즉, 어말 파열음과 운율을 이루는 거성 단어들은 어말 자음군 *-ks, *-ts 또는 *-ps를 사용하여 재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칼그렌은 이 현상을 바탕으로 유성 운미 *-d, *-g를 설정했고, 몇몇 경우에는 *-b도 설정했다.

더욱이, 형태론적 관점에서 오드리쿠르의 이론은 표준 티베트어와 유사한 여러 *-s 접미사(특히 명사화 접미사)의 재구로 이어진다.

오드리쿠르는 상고 한어에 순경음이 존재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학자들이 분석 사전에서 몇몇 운이 /k/, /kʰ/, /g/, /x/, /ŋ/으로 시작하는 연구(initial)에만 나타난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iʷei [중고 한어 *-wej] 齊, -ʷâng [*-wang] 唐, -iʷäng [*-jweng] 清, -ʷâk [*-wak] 鐸, -iʷet [*-wet] 屑 등이 있다."[10] (중고 한어 재구는 백스터(1992)에 의해 추가되었다.[11][22]).

이러한 오드리쿠르의 가설은 상고 한어 모음 체계 재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12][13] 최근 상고음 재구성에 일반적인 6모음 체계의 기초를 다졌다.[14][25]

3. 4. 민족식물학 연구

오드리쿠르는 민족식물학 분야에서 활동하였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L'Homme et les plantes cultivées프랑스어』(1943)가 있다. 이 책은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文名を支えた植物|문명을 지탱한 식물|고바야시 마키코일본어 역, 1993년, 야사카 서방 출판.

참조

[1] 서적 Les Pieds Sur Terre Métailié
[2] 서적 Les Pieds sur terre (Down to earth) A.M. Métailié
[3] 문서
[4] 웹사이트 Vernant Jean-Pierre https://www.ex-pcf.c[...] 2022-01-25
[5] 간행물 "L'ethnolinguistique - Haudricourt et nous, ses disciples" http://lacito.vjf.cn[...] SELAF
[6] 서적 Les conditions d'apparition et de disparition, c'est ça, à mon avis, le scientifique: Entretien Avec André-Georges Haudricourt Peeters
[7] 논문 De l'origine des tons en vietnamien https://halshs.archi[...]
[8] 논문 Bipartition et tripartition des systèmes de tons dans quelques langues d'Extrême-Orient
[9] 논문 Comment reconstruire le chinois archaïque https://halshs.archi[...]
[10] 논문 Comment reconstruire le chinois archaïque https://halshs.archi[...]
[11] 서적 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 Mouton de Gruyter
[12] 간행물 Consonantal combinations in Archaic Chinese Oriental Literature Publishing House
[13] 논문 The Consonantal System of Old Chinese
[14] 서적 上古音系 上海教育出版社
[15] 서적 Les pieds sur terre Métailié
[16] 문서
[17] 서적 L'ethnolinguistique - Haudricourt et nous, ses disciples SELAF
[18] 서적 Languages and Linguistics: Aims, Perspectives, and Duties of Linguists. Interviews with André-Georges Haudricourt, Henry M. Hoenigswald and Robert H. Robins Peeters
[19] 논문 De l’origine des tons en vietnamien
[20] 논문 Bipartition et tripartition des systèmes de tons dans quelques langues d’Extrême-Orient
[21] 문서 ヴェトナム語
[22] 서적 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 Mouton de Gruyter
[23] 서적 Papers presented by the USSR delegation at the 25th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ists, Moscow Oriental literature publishing house
[24] 논문 The Consonantal System of Old Chinese http://www2.ihp.sini[...]
[25] 서적 上古音系 上海教育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