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라흐미계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흐미계 문자는 기원전 3세기경 아소카왕의 비문에 사용된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된 문자 체계이다. 북부 브라흐미 문자는 굽타 문자를 거쳐 나가리, 싯담, 샤라다 문자 등으로 발전했고, 싯담 문자는 불교 경전에 사용되어 일본 가나 시스템에 영향을 주었다. 남부 브라흐미 문자는 카담바, 팔라바, 바텔루투 문자를 거쳐 남인도와 동남아시아 여러 문자로 분화되었으며, 동남아시아에서는 산스크리트어 비문 표기에 사용되다가 현지 언어 표기에 사용되었다. 현재 데바나가리 문자가 가장 널리 사용되며, 구자라트, 구르무키, 벵골 문자 등 다양한 문자들이 각 지역의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브라흐미계 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이며, 모음과 자음의 결합, 콧소리나 기음 표기를 위한 부호 사용 등의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흐미계 문자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 브라흐미계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한 아부기다 문자로 남아시아 지역에서 여러 언어를 표기하며, 상단의 가로획이 특징이고 유니코드를 통해 컴퓨터 입력이 가능하다.
  • 아부기다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부기다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브라흐미계 문자
개요
유형아부기다
사용 언어인도아리아어군
드라비다어족
티베트-버마어족
몬크메르어족
타이어족
기타
기원브라흐미 문자
사용 지역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일부
주요 특징자음과 모음 결합
고유한 모음 기호 및 자음 연자 형태
방향왼쪽에서 오른쪽
계통브라흐미 문자
북부 브라흐미 문자
남부 브라흐미 문자
북부 브라흐미 문자
굽타 문자샤라다 문자
란다 문자
구르무키 문자
호키 문자
후다바디 문자
물타니 문자
마하자니 문자
타크리 문자
도그리어 문자
싯담 문자
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구자라트 문자
모디 문자
나디나가리 문자
카이티 문자
실레티 문자
가우디 문자
벵골-아삼 문자
벵골 문자
아삼 문자
티르후타 문자
오리야 문자
네팔 문자
부지몰 문자
란자나 문자
소욤보 문자
프라찰릿 문자
티베트 문자
메이테이 마옉 문자
레프차 문자
림부 문자
파스파 문자
자나바자르 문자
마르첸 문자
칼링가 문자
바이크수키 문자
토카리아 문자(불확실)
남부 브라흐미 문자
바트티프로루 문자(기원 문자)
타밀-브라흐미 문자팔라바 문자
타밀 문자
그란타 문자
말라얄람 문자
티갈라리 문자
디베히 아쿠루 문자
사우라슈트라 문자
싱할라 문자
크메르 문자
코옴 타이 문자
프로토 타이 문자
수코타이 문자
타이 문자
파캄 문자
타이 노이 문자
라오 문자
타이 비엣 문자
다이돈 문자
라이타이 문자
라이파오 문자
참 문자
카위 문자
발리 문자
바탁 문자
부다 문자
자와 문자
순다 문자
순다 문자
론타라 문자
마카사르 문자
울루 문자
인충 문자
람풍 문자
렘박 문자
오간 문자
파세마 문자
르장 문자
세라와이 문자
바비인 문자
부히드 문자
하누노 문자
타그반와 문자
쿨리탄 문자
몬-버마 문자
버마 문자
차크마 문자
스거우 카렌 문자
샨 문자
탄창야 문자
릭 타이 문자
아홈 문자
캄티 문자
타이레 문자
몬 문자
타이탐 문자
신타이 루에 문자
피유 문자
바텔루투 문자콜레주투 문자
말라얀마 문자
카담바 문자텔루구-칸나다 문자
칸나다 문자
고이카나디 문자
텔루구 문자

2. 역사

브라흐미계 문자는 고대 인도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기원전 3세기경 가장 오래된 비문이 나타나는 시점에 이미 지역적 변종으로 나뉘어 있었다. 브라흐미 문자의 필기체는 5세기경부터 더욱 다양해지기 시작하여 중세 내내 새로운 문자들을 낳았다. 고대의 주요 분류는 북부 브라흐미와 남부 브라흐미로 나뉜다. 북부 그룹에서는 구프타 문자가 매우 영향력이 컸고, 남부 그룹에서는 바텔루투와 카담바/팔라바 문자가 주요 문자였다. 불교의 전파와 함께 브라흐미 문자는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우르두어, 카슈미르어, 및 신드어는 모두 기본적으로 브라흐미계가 아닌 페르시아-아랍계 문자를 사용하지만, 인도의 일부에서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이기도 한다.

Gari Ledyard 교수는 한국어 표기에 사용되는 한글이 티베트 문자를 거쳐 브라흐미계 문자에서 파생된 몽골의 파스파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가설을 세웠다.

2. 1. 기원

모든 브라흐미계 문자의 시조가 되는 브라흐미 문자는 기원전 3세기 무렵 인도 아쇼카왕의 비문에 쓰였다.

브라흐미 문자는 기원전 3세기 아소카 왕의 통치 시대에 사용된 황제의 칙령에서 분명하게 확인된다.[1] 북부 브라흐미 문자는 굽타 시대에 굽타 문자로 발전하였고, 이는 다시 중세 시대에 여러 필기체로 다양화되었다. 7세기 또는 8세기에 발전한 이러한 중세 문자의 주목할 만한 예로는 나가리 문자, 싯담 문자, 샤라다 문자가 있다.

싯담 문자는 많은 경전이 이 문자로 쓰여졌기 때문에 불교에서 특히 중요했다. 싯담 문자의 서예는 오늘날 일본에서도 남아 있다. 일본어 표기의 현대적인 ''가나'' 시스템의 표 형식과 사전적 순서는 인도 문자, 아마도 불교의 전파를 통해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1]

남부 브라흐미 문자는 카담바 문자, 팔라바 문자, 바텔루투 문자로 발전하였고, 이는 다시 남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다른 문자들로 다양화되었다. 브라흐미 문자는 평화로운 방식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인도화 또는 인도 학문의 전파였다. 이 문자들은 무역로의 항구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자연스럽게 전파되었다.[2] 이러한 무역항에서 인도에서 유래한 문자를 사용하여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고대 비문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인도 언어로 비문이 새겨졌지만, 나중에는 현지 동남아시아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 이후 현지 변종 문자가 개발되었다. 8세기까지 이 문자들은 지역 문자로 갈라져 분리되었다.[3]

브라흐미 문자 - 칸헤리 석굴


브라흐미계 문자는 고대 인도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브라흐미 문자는 유럽의 문자와 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지만, 일부 학자들은 (Rastogi 1980:88-98 참조) Vikramkhol[17][18] [19] 비문이 브라흐미 문자가 독자적인 (아마도 인더스 문자에서 온)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결정적인 증거라고 믿고 있다.

2. 2. 발전과 전파

모든 브라흐미계 문자의 시조가 되는 브라흐미 문자는 기원전 3세기 무렵에 인도 아쇼카왕의 비문에 쓰였다.[1]

현재 브라흐미계 문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문자는 산스크리트어, 힌디어네팔어, 콘칸어 등 표기에 사용되는 데바나가리 문자이다. 다른 북부 브라흐미계 문자에는 벵골 문자, 아삼 문자, 오리야 문자. 구자라트 문자, 구르무키 문자 등이 있다. 특히 범자(나가리 문자)는 많은 경전에서 사용된 관계로 불교에서 특히 중요하다.

싯담 문자는 많은 경전이 이 문자로 쓰여졌기 때문에 불교에서 특히 중요했다. 싯담 문자의 서예는 오늘날 일본에서도 남아 있다. 일본어 표기의 현대적인 ''가나'' 시스템의 표 형식과 사전적 순서는 인도 문자, 아마도 불교의 전파를 통해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1]

남부 브라흐미 문자는 카담바 문자, 팔라바 문자, 바텔루투 문자로 발전하였고, 이는 다시 남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다른 문자들로 다양화되었다. 브라흐미 문자는 평화로운 방식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인도화 또는 인도 학문의 전파였다. 이 문자들은 무역로의 항구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자연스럽게 전파되었다.[2] 이러한 무역항에서 인도에서 유래한 문자를 사용하여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고대 비문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인도 언어로 비문이 새겨졌지만, 나중에는 현지 동남아시아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 이후 현지 변종 문자가 개발되었다. 8세기까지 이 문자들은 지역 문자로 갈라져 분리되었다.[3]

브라흐미 문자는 기원전 3세기경 가장 오래된 비문이 나타나는 시점에 이미 지역적 변종으로 나뉘어 있었다. 브라흐미 문자의 필기체는 5세기경부터 더욱 다양해지기 시작하여 중세 내내 새로운 문자들을 낳았다. 고대의 주요 분류는 북부 브라흐미와 남부 브라흐미로 나뉜다. 북부 그룹에서는 구프타 문자가 매우 영향력이 컸고, 남부 그룹에서는 바텔루투와 카담바/팔라바 문자가 주요 문자였다. 불교의 전파와 함께 브라흐미 문자는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동남아시아의 버마어, 크메르어, 라오어, 태국어, 자와어, 발리어티베트어도 브라흐미계 문자로 표기되지만, 그 언어의 음운에 맞추기 위해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우르두어, 카슈미르어신드어 모두 기본적으로 페르시아의 영향으로 브라흐미계 문자가 아닌 아랍 문자를 변형하여 표기하고 있지만,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작성될 수도 있다.

초기 브라흐미 문자
IAST아소카기르나르찬드라굽타 1세구자라트프라야그라지나르마다크리슈나
asa
āsa
isa
īsa
usa
ūsa
sa
esa
aisa
osa
ausa
ksa
khsa
gsa
ghsa
sa
csa
chsa
jsa
jhsa
ñsa
sa
ṭhsa
sa
ḍhsa
sa
tsa
thsa
dsa
dhsa
nsa
psa
phsa
bsa
bhsa
msa
ysa
rsa
lsa
vsa
śsa
sa
ssa
hsa


3. 특징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 글자 배열이 일정하다. (모음-자음 순이며, 모음의 배열과 자음의 배열도 규칙적이다)
  • 모든 기본 자음자는 단모음 a를 붙인 소리로 발음한다. (이때 이 모음을 딸림 모음이라고 한다)
  • 모음자는 두 가지 꼴로 나타나는데 홀로 쓰일 때는 완전한 글꼴을 갖춘 독체자로, 다른 자음 뒤에 붙을 때는 모음 부호를 덧붙임으로써 표시된다.
  • 기본자끼리 결합하여 새로운 결합자(結合字)를 만든다. 이 결합자는 기본 글자에 없는 글자로서 기본자의 일부 특징을 남긴 불규칙할 형태이지만, 전혀 새로운 꼴이 되기도 한다. 필기시의 편리 때문에 변형된 것이 많다.
  • 콧소리나 기음을 나타낼 때 별도의 부호를 덧붙인다.


대부분의 문자에는 존재하지만 모든 문자에 존재하는 것은 아닌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자음은 일반적으로 짧은 ‘ə’인 고유 모음을 가지고 있다. (벵골어, 아쌈어, 오디아어에서는 음운 변화로 인해 음소가 /ɔ/이다.) 다른 모음은 글자에 추가하여 쓴다. 산스크리트어에서 비라마/할란타/하산타로 알려진 구분 부호를 사용하여 고유 모음의 부재를 나타낼 수 있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각 모음은 자음에 붙지 않은 독립형과 자음에 붙은 종속형의 두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문자에 따라 종속형은 기본 자음의 왼쪽, 오른쪽, 위, 아래 또는 왼쪽과 오른쪽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 자음(데바나가리 문자에서는 최대 4개)은 합자로 결합될 수 있다. 'r'과 다른 자음의 조합을 나타내는 특수 부호가 추가된다.
  • 자음의 종속 모음의 비음화흡음도 별도의 기호로 표시된다.
  • 알파벳 순서는 모음, 연구개 자음, 경구개 자음, 역설 자음, 치경 자음, 양순 자음, 근사음, 파찰음, 그리고 다른 자음이다. 각 자음 그룹에는 네 가지 파열음(음성과 흡음의 네 가지 값 모두 포함)과 비음이 있다.

4. 분류

모든 브라흐미계 문자의 시조는 브라흐미 문자이며, 기원전 3세기 무렵 아소카왕의 비문에 쓰였다.[23]

브라흐미 문자는 기원전 3세기경 가장 오래된 비문이 나타나는 시점에 이미 지역적 변종으로 나뉘었다. 5세기경부터 필기체가 더욱 다양해지기 시작하여 중세 시대에 새로운 문자들을 낳았다. 고대의 주요 분류는 북부 브라흐미와 남부 브라흐미로 나뉜다.

싯담 문자는 많은 경전이 이 문자로 쓰여졌기 때문에 불교에서 특히 중요했다. 싯담 문자의 서예는 오늘날 일본에서도 남아 있다. 일본어 표기의 현대 ''가나'' 시스템의 표 형식과 사전적 순서는 인도 문자, 아마도 불교의 전파를 통해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1]

우르두어, 카슈미르어, 신드어는 모두 기본적으로 페르시아-아랍계 문자를 사용하지만, 인도의 일부에서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이기도 한다.

Gari Ledyard 교수는 한국어 표기에 사용되는 한글이 티베트 문자를 거쳐 브라흐미계 문자에서 파생된 몽골의 파스파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가설을 세웠다.

4. 1. 북부 브라흐미 계통

브라흐미 문자는 기원전 3세기경 가장 오래된 비문이 나타나는 시점에 이미 지역적 변종으로 나뉘어 있었다. 5세기경부터 필기체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중세 내내 새로운 문자들을 낳았다. 북부 브라흐미와 남부 브라흐미가 고대의 주요 분류이다. 북부에서는 굽타 문자가 큰 영향을 주었고, 남부에서는 바텔루투와 카담바/팔라바 문자가 주요 문자였다. 불교의 전파와 함께 브라흐미 문자는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북부 브라흐미 계통은 다음과 같다.

  • 굽타 문자 (4세기)
  • * 샤라다 문자
  • ** 란다 문자

구르무키 문자
코지키 문자
쿠다바디 문자
마하자니 문자
멀타니 문자

  • ** 타크리 문자

참바 문자
도그리 문자
시르마우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 모디 문자
* 구자라트 문자
* 난디나가리 문자
카이티 문자
* 실헤티 나가리 문자

  • ** 카마루피 문자

아삼 알파벳[4]

  • ** 가우디 문자

벵골-아삼 문자(동부 나가리)
* 아삼 알파벳[4]
* 벵골 알파벳
티르후타 문자(미틸락샤르)
오디아 문자

  • ** 네팔 문자

부지몰 문자
란자나 문자
* 소욤보 문자
프라칼리트 문자
림부 문자

  • ** 케마 문자
  • ** 파그파 문자

자나바자르 정방형 문자

  • ** 마르첸 문자

마르춘
푼스첸
푼스충
드루샤

  • * 디베스 아쿠루
  • * 칼링가 문자
  • * 바이크수키 문자
  • 토카리아 문자 (기울어진 브라흐미)


가장 유명한 북부 브라흐미계 문자 중 하나는 데바나가리 문자이다. 힌디어, 콘카니어, 마라티어, 네팔어, 네팔 바사어, 산스크리트어인도네팔의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 다른 북부 브라흐미계 문자에는 벵골 문자 (벵골어, 아쌈어( 아쌈 문자라고도 함), 비슈누프리야 마니푸리어 및 기타 동인도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됨), 오리야 문자, 구자라트 문자, 란자나 문자, 프라찰릿 문자, 부지몰 문자, 구르무키 문자가 있다.

4. 2. 남부 브라흐미 계통

남부 브라흐미 문자는 카담바 문자, 팔라바 문자, 바텔루투 문자로 발전하였고, 이는 다시 남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다른 문자들로 다양화되었다. 브라흐미 문자는 평화로운 방식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인도화 또는 인도 학문의 전파였다. 이 문자들은 무역로의 항구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자연스럽게 전파되었다.[2] 이러한 무역항에서 인도에서 유래한 문자를 사용하여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고대 비문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인도 언어로 비문이 새겨졌지만, 나중에는 현지 동남아시아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 이후 현지 변종 문자가 개발되었다. 8세기까지 이 문자들은 지역 문자로 갈라져 분리되었다.[3]

남부 브라흐미계 문자는 다음과 같다.

  • '''남부 브라흐미 계통''' (타밀 브라흐미 문자, 기원전 5세기 혹은 그 이전, 적어도 기원전 3세기, 칼링가 문자, 밧디프롤루 문자)
  • * 원 칸나다 문자
  • ** 카담바 문자 또는 고 칸나다 문자, 5세기
  • ** 팔라바 문자, 6세기

카위 문자, 8세기
* 자와 문자
몬 문자
* 버마 문자
아홈 문자, 13세기
타이 탐 문자 (란나), 14세기
바탁 문자, 14세기

  • * 밧텔룻투 문자
  • ** 타밀 문자
  • * 그란타 문자, 6세기
  • ** 디베히 아쿠루 문자 그리고 기타 문자


남인도의 드라비다어족은 남부의 필요에 맞게 개선된 브라흐미계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남인도에서 브라흐미 문자가 사용된 가장 오래된 증거는 안드라프라데시주 군투르현의 바티프롤루 비문(en:Bhattiprolu)에서 나왔다.[20] 바티프롤루는 3세기에 걸쳐 큰 불교 중심지였으며, 불교는 여기서 동아시아로 퍼져나갔다. 현재의 텔루구 문자는 '텔루구-칸나다 문자', 즉 '고대 칸나다 문자'에서 파생된 것이며, 그 유사성의 원인도 같다.[21] 처음에는 작은 변화가 이루어졌고, 현재 타밀 브라흐미 문자라고 불리는 문자는 다른 인도계 문자들과 비교하여 훨씬 적은 글자만 가지고 있다. 이는 독립적인 유기 또는 유성 자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후에 그란타 문자, 바텔루투 문자의 영향을 받아 오늘날의 말라얄람 문자와 유사한 외형이 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 더 많은 변화가 더해져 인쇄 및 타자기 사용이 가능한 현재의 문자가 되었다.

4. 3. 현대 사용 문자

현대 브라흐미계 문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문자는 데바나가리 문자이며, 산스크리트어, 힌디어, 네팔어, 콘칸어 등의 표기에 사용된다. 다른 북부 브라흐미계 문자에는 벵골 문자, 아삼 문자, 오리야 문자, 구자라트 문자, 구르무키 문자 등이 있다. 특히 범자(나가리 문자)는 많은 경전에서 사용된 관계로 불교에서 특히 중요하다.

동남아시아의 버마어, 크메르어, 라오어, 태국어, 자와어, 발리어티베트어도 브라흐미계 문자로 표기되지만, 그 언어의 음운에 맞추기 위해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우르두어, 카슈미르어신드어는 기본적으로 아랍 문자를 변형하여 표기하지만,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작성될 수도 있다.

현대 브라흐미계 문자는 다음과 같다.


5. 한글과의 관계 (가설)

브라흐미계 문자와 한글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은 현재 주류 학계에서 인정받는 정설은 아니며, 일부 학자들 사이에서 제기되는 가설이다. 이 섹션에서는 원본 소스에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글과 브라흐미계 문자 간의 연관성에 대한 가설을 다룬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는 두 가지 문자가 제시되어 있다.


  • 토카라어 문자 체계: 토카라어는 인도유럽어족의 토카라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중앙아시아의 타림 분지에서 사용되었다. 토카라어 문자 체계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토카라어는 현재 사멸된 언어이다.
  • 타르나 문자: 타르나 문자에 대한 정보는 주어진 원본 소스에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 두 문자 외에, 브라흐미계 문자가 한글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다른 가설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부 학자들은 한글의 자음 형태가 브라흐미 문자 또는 그 파생 문자인 파스파 문자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은 아직 충분한 근거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계의 폭넓은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브라흐미계 문자와 한글과의 관계는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가설 단계에 머물러 있다.

6. 비교

다음은 여러 종류의 주요 브라흐미계 문자를 비교한 표이다. 발음은 인도 국립 도서관의 음역법 및 IPA로 나타낸다. 발음은 가능하면 산스크리트어에서 따왔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언어도 취했다.[17][18] [19]

6. 1. 자음

아삼 문자]]

| ক || খ || গ || ঘ || ঙ || চ || ছ || জ || ঝ || ঞ || ট || ঠ || ড || ঢ || ণ || ত || থ || দ || ধ || ন || style="background:#ccc;"| || প || ফ || ব || ভ || ম || য || য় || র,ৰ || style="background:#ccc;"| || ল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ৱ || শ || ষ || স || হ || ক্ষ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구르무키 문자

| ਕ || ਖ || ਗ || ਘ || ਙ || ਚ || ਛ || ਜ || ਝ || ਞ || ਟ || ਠ || ਡ || ਢ || ਣ || ਤ || ਥ || ਦ || ਧ || ਨ || style="background:#ccc;"| || ਪ || ਫ || ਬ || ਭ || ਮ || ਯ || style="background:#ccc;"| || ਰ || style="background:#ccc;"| || ਲ || ਲ਼ || style="background:#ccc;"| || ਵ || ਸ਼ || style="background:#ccc;"| || ਸ || ਹ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구자라트 문자

| ક || ખ || ગ || ઘ || ઙ || ચ || છ || જ || ઝ || ઞ || ટ || ઠ || ડ || ઢ || ણ || ત || થ || દ || ધ || ન || style="background:#ccc;"| || પ || ફ || બ || ભ || મ || ય || style="background:#ccc;"| || ર || style="background:#ccc;"| || લ || ળ || style="background:#ccc;"| || વ || શ || ષ || સ || હ || ક્ષ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오디아 문자

| କ || ଖ || ଗ || ଘ || ଙ || ଚ || ଛ || ଜ || ଝ || ଞ || ଟ || ଠ || ଡ || ଢ || ଣ || ତ || ଥ || ଦ || ଧ || ନ || style="background:#ccc;"| || ପ || ଫ || ବ || ଭ || ମ || ଯ || ୟ || ର || style="background:#ccc;"| || ଲ || ଳ || style="background:#ccc;"| || ୱ || ଶ || ଷ || ସ || ହ || କ୍ଷ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그란타 문자

| || || || || || || || || || || || || || || || || || || || || style="background:#ccc;"| || || || || ||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 style="background:#ccc;"| || || || || || || || style="background:#ccc;"| 

|-

! style="font-size: 75%;" | 타밀 문자

| க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ங || ச || style="background:#ccc;" | || ஜ || style="background:#ccc;" | || ஞ || ட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ண || த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ந || ன || ப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ம || ய || style="background:#ccc;" | || ர || ற || ல || ள || ழ || வ || ஶ || ஷ || ஸ || ஹ || க்ஷ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텔루구 문자

| క || ఖ || గ || ఘ || ఙ || చ || ఛ || జ || ఝ || ఞ || ట || ఠ || డ || ఢ || ణ || త || థ || ద || ధ || న || style="background:#ccc;"| || ప || ఫ || బ || భ || మ || య || style="background:#ccc;"| || ర || ఱ || ల || ళ || ఴ || వ || శ || ష || స || హ || క్ష || style="background:#ccc;"| 

|-

! style="font-size: 80%;" | 칸나다 문자

| ಕ || ಖ || ಗ || ಘ || ಙ || ಚ || ಛ || ಜ || ಝ || ಞ || ಟ || ಠ || ಡ || ಢ || ಣ || ತ || ಥ || ದ || ಧ || ನ || style="background:#ccc;" | || ಪ || ಫ || ಬ || ಭ || ಮ || ಯ || style="background:#ccc;" | || ರ || ಱ || ಲ || ಳ || ೞ || ವ || ಶ || ಷ || ಸ || ಹ || ಕ್ಷ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말라얄람 문자

| ക || ഖ || ഗ || ഘ || ങ || ച || ഛ || ജ || ഝ || ഞ || ട || ഠ || ഡ || ഢ || ണ || ത || ഥ || ദ || ധ || ന || ഩ || പ || ഫ || ബ || ഭ || മ || യ || style="background:#ccc;"| || ര || റ || ല || ള || ഴ || വ || ശ || ഷ || സ || ഹ || ക്ഷ || ഺ

|-

! style="font-size: 75%;" | 싱할라 문자

| ක || ඛ || ග || ඝ || ඞ || ච || ඡ || ජ || ඣ || ඤ || ට || ඨ || ඩ || ඪ || ණ || ත || ථ || ද || ධ || න || style="background:#ccc;" | || ප || ඵ || බ || භ || ම || ය || style="background:#ccc;" | || ර || style="background:#ccc;" | || ල || ළ || style="background:#ccc;" | || ව || ශ || ෂ || ස || හ || ක්‍ෂ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티베트 문자

| ཀ || ཁ || ག || གྷ || ང || ཅ || ཆ || ཇ || ཛྷ || ཉ || ཊ || ཋ || ཌ || ཌྷ || ཎ || ཏ || ཐ || ད || དྷ || ན || style="background:#ccc;"| || པ || ཕ || བ || བྷ || མ || ཡ || style="background:#ccc;"| || ར || ཬ || ལ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ཝ || ཤ || ཥ || ས || ཧ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파그파 문자

| || || || || || || || || || || || || || || || || || || || || style="background:#ccc;"| || || || || ||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 || style="background:#ccc;"| || ||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메이테이 마예크 문자

| || || || || || || || || || || || || || || || || || || || || style="background:#ccc;"| || || || || || || || style="background:#ccc;"| || ꯔ || style="background:#ccc;"| || ꯂ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 || || ||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레프차 문자

| ᰀ || ᰂ || ᰃ || style="background:#ccc;"| || ᰅ || ᰆ || ᰇ || ᰈ || style="background:#ccc;"| || ᰉ || ᱍ || ᱎ || ᱏ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ᰊ || ᰋ || ᰌ || style="background:#ccc;"| || ᰍ || style="background:#ccc;"| || ᰎ || ᰐ || ᰓ || style="background:#ccc;"| || ᰕ || ᰚ || style="background:#ccc;"| || ᰛ || style="background:#ccc;"| || ᰜ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ᰟ || ᰡ || ᰡ᰷ || ᰠ || ᰝ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림부 문자

| ᤁ || ᤂ || ᤃ || ᤄ || ᤅ || ᤆ || ᤇ || ᤈ || ᤉ || ᤊ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ᤋ || ᤌ || ᤍ || ᤎ || ᤏ || style="background:#ccc;"| || ᤐ || ᤑ || ᤒ || ᤓ || ᤔ || ᤕ || style="background:#ccc;"| || ᤖ || style="background:#ccc;"| || ᤗ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ᤘ || ᤙ || ᤚ || ᤛ || ᤜ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티르후타 문자

| 𑒏 || 𑒐 || 𑒑 || 𑒒 || 𑒓 || 𑒔 || 𑒕 || 𑒖 || 𑒗 || 𑒘 || 𑒙 || 𑒚 || 𑒛 || 𑒜 || 𑒝 || 𑒞 || 𑒟 || 𑒠 || 𑒡 || 𑒢 || style="background:#ccc;"| || 𑒣 || 𑒤 || 𑒥 || 𑒦 || 𑒧 || 𑒨 || style="background:#ccc;"| || 𑒩 || style="background:#ccc;"| || 𑒪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𑒬 || 𑒭 || 𑒮 || 𑒯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카이티 문자

| 𑂍 || 𑂎 || 𑂏 || 𑂐 || 𑂑 || 𑂒 || 𑂓 || 𑂔 || 𑂕 || 𑂖 || 𑂗 || 𑂘 || 𑂙 || 𑂛 || 𑂝 || 𑂞 || 𑂟 || 𑂠 || 𑂡 || 𑂢 || style="background:#ccc;"| || 𑂣 || 𑂤 || 𑂥 || 𑂦 || 𑂧 || 𑂨 || style="background:#ccc;"| || 𑂩 || style="background:#ccc;"| || 𑂪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𑂫 || 𑂬 || 𑂭 || 𑂮 || 𑂯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실헤티 나가리 문자

| || || || || style="background:#ccc;"| || || || || || style="background:#ccc;"| || || || || || style="background:#ccc;"| || || || || || || style="background:#ccc;"| || || || || ||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 || style="background:#ccc;"| || style="background:#ccc;"| 

|-

!style="font-size: 75%;"| 착마 문자

|

NLACIPA데바나가리벵골
아쌈
구르무키구자라트오리야타밀텔루구칸나다말라얄람싱할라
k
khங்
g
ghங்
ŋŋங்
cc
ch
j
jh
ɲ
ட்
ṭhட்ட
ḍhண்
nn
ɳn
pp
ph
bbம்
bhம்
mm
yj
rrர்
r
llல்
ள்
v
ś
hh



|}

6. 2. 모음

NLACIPA데바나가리 문자벵골 문자구르무키 문자구자라트 문자오리야 문자타밀 문자텔루구 문자칸나다 문자말라얄람 문자싱할라 문자
aə
āकाকাਕਾકાକାகாకాಕಾകാකා
iiकिকিਕਿકિକିகிకిಕಿകിකි
īकीকীਕੀકીକୀகீకీಕೀകീකී
uuकुকুਕੁકુକୁகுకుಕುകുනු
ūकूকূਕੂકૂକୂகூకూಕೂകൂනූ
eeकॆ--------கெకెಕೆകെකෙ
ēकेকেਕੇકેକେகேకేಕೇകേකේ
aiaiकैকৈਕੈકૈକୈகைకైಕೈകൈකෛ
ooकॊ--------கொకొಕೊകൊකො
ōकोকোਕੋકોକୋகோకోಕೋകോකෝ
auauकौকৌਕੌકૌକୌகௌకౌಕೌകൗ
कृকৃ--કૃକୃ--కృಕೃകൃකෘ
कॄকৄ--કૄ---కౄಕೄ-කෲ
कॢকৢ--------ಕಌ-(ඏ)[24]-
कॣকৣ--------ಕೡ-(ඐ)-



모음은 독립형을 왼쪽 칸에 표기하고, 나머지는 /ka/에 대응하는 자음과 조합하여 오른쪽 칸에 표기한다.

대부분의 브라흐미계 문자에는 존재하지만 모든 문자에 존재하는 것은 아닌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자음은 일반적으로 짧은 ‘ə’인 고유 모음을 가지고 있다. (벵골어, 아삼어, 오디아어에서는 음운 변화로 인해 음소가 /ɔ/이다.) 다른 모음은 글자에 추가하여 쓴다. 산스크리트어에서 비라마/할란타/하산타로 알려진 구분 부호를 사용하여 고유 모음의 부재를 나타낼 수 있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각 모음은 자음에 붙지 않은 독립형과 자음에 붙은 종속형의 두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문자에 따라 종속형은 기본 자음의 왼쪽, 오른쪽, 위, 아래 또는 왼쪽과 오른쪽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6. 3. 숫자

브라흐미계 문자는 인도에서 사용되는 여러 문자를 말하며, 숫자의 표기 방식도 문자마다 조금씩 다르다.

아라비아데바나가리벵골구르무키구자라트타밀텔루구칸나다말라얄람
0
1
2
3
4
5
6
7
8
9



힌두-아라비아 숫자0123456789
브라흐미 숫자𑁒𑁓𑁔𑁕𑁖𑁗𑁘𑁙𑁚
브라흐미 숫자 기호𑁦𑁧𑁨𑁩𑁪𑁫𑁬𑁭𑁮𑁯
벵골어-아삼어
티르후타𑓐𑓑𑓒𑓓𑓔𑓕𑓖𑓗𑓘𑓙
오디아어
데바나가리
구자라트어
모디𑙐𑙑𑙒𑙓𑙔𑙕𑙖𑙗𑙘𑙙
샤라다𑇐𑇑𑇒𑇓𑇔𑇕𑇖𑇗𑇘𑇙
타크리𑛀𑛁𑛂𑛃𑛄𑛅𑛆𑛇𑛈𑛉
구르무키
쿠다바디𑋰𑋱𑋲𑋳𑋴𑋵𑋶𑋷𑋸𑋹
메이테이(마니푸리)


7. 유니코드

기준으로, 브라흐미 계열 문자는 다음과 같이 유니코드에 인코딩되어 있다.

문자유래유래 시기사용 참고ISO 15924유니코드 범위예시
아홈버마[5]13세기사멸된 아홈어AhomU+11700–U+1174F𑜒𑜠𑜑𑜨𑜉Ahom
발리카비11세기발리어BaliU+1B00–U+1B7Fᬅᬓ᭄ᬲᬭᬩᬮᬶban
바탁팔라바14세기바탁어족BatkU+1BC0–U+1BFFᯘᯮᯒᯖ᯲ ᯅᯖᯂ᯲Batk
바이바인카비14세기타갈로그어, 기타 필리핀 제어TglgU+1700–U+171Fᜊᜌ᜔ᜊᜌᜒᜈ᜔Tglg
벵갈리-아삼(동부 나가리)싯다함11세기앙기카어, 아삼어(아삼 문자 변형), 벵골어(벵골 문자 변형), 비슈누프리아, 마이틸리어, 메이테이어(헌법상 "마니푸리"로 명명)[6]BengU+0980–U+09FF
바이쿠수키굽타11세기1천년기 전후로 산스크리트어를 쓰는 데 사용됨BhksU+11C00–U+11C6F𑰥𑰹𑰎᭄𑰬𑰲𑰎𑰱Bhks
부히드카비14세기부히드어BuhdU+1740–U+175FᝊᝓᝑᝒᝇBuhd
몬-버마팔라바11세기버마어, 몬어, 착마를 포함한 다른 여러 언어에 대한 수많은 변형, 동부 및 서부 프워 카렌어, 게바 카렌어, 카야어, 루마이 팔라웅, 쓰가우 카렌, MymrU+1000–U+109F, U+A9E0–U+A9FF, U+AA60–U+AA7F, U+116D0–U116FFမြန်မာအက္ခရာMymr
착마버마8세기착마어CakmU+11100–U+1114F{{llang|Cakm|𑄌𑄋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Japanese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4] 학술지 Brahmi-derived scripts, script layout, and segmental awareness http://dx.doi.org/10[...] 2006-07-20
[5] 서적 Shan Manuscripts, Part 1 2003
[6] 웹사이트 GAZETTE TITLE: The Manipur Official Language (Amendment) Act, 2021 http://manipurgovtpr[...]
[7] 웹사이트 L2/18-016R: Proposal to encode Dives Akuru in Unicode https://www.unicode.[...] 2018-01-23
[8] 웹사이트 L2/15-234R: Proposal to encode the Dogra script https://www.unicode.[...] 2015-11-04
[9]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11.0 Unicode, Inc. 2018-06
[10] 웹사이트 Proposal to encode Kawi https://www.unicode.[...] 2020
[11] 서적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11.0 Unicode, Inc. 2018-06
[12] 웹사이트 L2/15-233: Proposal to encode the Makasar script in Unicode https://www.unicode.[...] 2015-11-02
[13]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1987
[14] 웹사이트 GAZETTE TITLE: The Manipur Official Language (Amendment) Act, 2021 http://manipurgovtpr[...]
[15] 서적
[16] 서적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1948
[17] 웹사이트 http://www.angelfire[...]
[18] 서적 Origin of Brāhmī Script: The Beginning of Alphabet in India Chowkhamba Saraswatibhawan
[19] 웹사이트 http://jharsuguda.ni[...]
[20]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buddhavih[...] 2007-06-12
[21] 웹사이트 Telugu Language and Literature http://www.engr.mun.[...]
[22] 문서 古代に書かれたシンハラ文字のみ
[23] 문서 비스듬한, 오버캐스트는 덮다란 뜻
[24] 문서 고대에 적힌 싱할라 문자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