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라만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만교는 기원전 1000년경 갠지스 강 유역에서 형성된 베다 종교의 발전된 형태로, 사회에서 사제 계급인 브라만의 종교적, 법적 중요성을 강조한다. 베다를 신성하게 여기지만, 사원 숭배, 푸자, 명상, 구루의 역할 등 베다 외의 요소와 힌두교 종교 생활에 중요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여 더 포괄적이다. 브라만교는 인도아리아인의 인도 이주와 함께 발전했으며, 베다 종교에서 다양한 종교적 사상을 통합하여 아리아바르타에서 갠지스 강 유역으로 확장되었다. "브라만교"라는 용어는 16세기에 만들어졌으며, 힌두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브라만교는 힌두교의 초기 형태에서 발전하여 윤회, 업과 같은 개념을 포함하며, 슈라우타 의례를 중심으로 하는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인도의 종교 - 아지비카교
    아지비카교는 마크칼리 고살라가 창시한 고대 인도의 철학 학파로, 완전한 숙명론을 믿으며 단순하고 좋은 삶을 추구했지만 주요 문헌이 소실되어 2차 자료에 의존하며 14세기경 쇠퇴한 것으로 보인다.
  • 고대 인도의 종교 - 바가바타파
    바가바타파는 9세기부터 존재해온 크리슈나 숭배의 한 형태로, 상키아 철학의 푸루샤 개념을 차용하고 비슈누 등 다른 신들과 융합되었으며, 굽타 제국 시대에는 바이슈나바라는 용어로 대체되어 차투르-뷰하스 개념을 도입하고 브라만교와 통합되어 박티 운동의 촉매 역할을 했다.
  • 고대 힌두교 - 베다
    베다는 "지식, 지혜"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으며 힌두교의 핵심 성전으로, 삼히타, 브라마나, 아란야카, 우파니샤드, 수트라의 5개 부문으로 나뉘고 특히 네 종류의 삼히타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 고대 힌두교 - 칼라쉬인
    칼라쉬인은 파키스탄 힌두쿠시 산맥에 거주하며 독특한 문화와 다신교적 신앙, 칼라샤어를 사용하고 고대 북유라시아 계통의 유전적 특징을 보이는 소수 민족이다.
  • 인도 계통의 종교 - 아스티카와 나스티카
    아스티카는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는 인도 철학 학파를, 나스티카는 베다의 권위를 부정하는 학파를 지칭하며, 이 구분은 유신론이나 무신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 인도 계통의 종교 - 옴 (만트라)
    옴은 힌두교, 불교 등 인도 종교에서 신성시되는 음절로, 절대자 의식, 아트만, 브라만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우파니샤드에서 "우주의 소리"로 언급되어 명상 수행의 도구로 사용되고 종교적 맥락에 따라 다층적인 상징성을 지닌다.
브라만교
개요
유형고대 종교
기원기원전 1500년 ~ 기원전 500년경
인도아리아인
지역인도 아대륙
주요 경전리그베다
야주르베다
사마베다
아타르바베다
브라마나
아란야카
우파니샤드
주요 개념리타
카르마
윤회
아트만
브라만
모크샤
주요 신인드라
아그니
수리야
바루나
루드라
바유
프리트비
우샤스
영향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아지비카
역사적 맥락
문화적 배경인더스 문명
BMAC
채색 회색 토기 문화
인도아리아인의 이동기원전 1500년 ~ 기원전 500년경
특징
종교 의례야즈나 (희생제)
소마 의례
사회 구조바르나 (사회 계층)
아슈라마 (인생 단계)
철학적 사상베단타
요가
상키아
같이 보기
관련 주제힌두교
브라만교
베다
우파니샤드
인도 철학

2. 용어

"베다교"는 기원전 2천년 경 인도아리아인들이 인더스 강 계곡으로 들어오면서 형성된 베다 종교의 가장 오래된 형태이다. "브라만교"는 기원전 1천년 경 갠지스 강 유역에서 형성된 더 발전된 형태를 가리키며, 히스터만에 따르면 브라만(사제) 계급의 종교적, 법적 중요성 때문에 널리 알려졌다.[4]

'고대 힌두교'와 '베다 힌두교'라는 용어는 고대 베다교를 지칭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2. 1. 베다교와 브라만교

베다교는 기원전 2천년 경 인도아리아인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인더스강 계곡으로 들어왔을 때 나타난 베다 종교의 가장 오래된 형태이다.[103] 브라만교는 기원전 1천년 경 갠지스강 유역에서 형성된 더 발전된 형태이다. 히스터만에 따르면, "브라만교는 브라만(사제) 계층에 부여하는 종교적, 법적 중요성 때문에 널리 알려져 있다."[103]

베다 종교는 인더스 문명 붕괴 후 인도 아대륙인더스강 계곡 지역으로 이주한 베다 인도아리아인 부족인 아리아인들의 종교적 믿음을 가리킨다. 베다 종교와 그 후의 브라만교는 베다의 신화 및 의식 이데올로기에 중점을 두며, 비베다 문헌의 권위에 의존하는 인도계 종교의 아가마, 탄트라 및 종파 형태와 구별된다. 베다 종교는 베다에 묘사되어 있으며, 다양한 사제 학파에 의해 현대로 보존된 초기 우파니샤드를 포함한 방대한 베다 문학과 관련이 있다.[119] 이 종교는 기원전 1500년부터 1100년까지 전기 베다 시대의 서부 갠지스 평원에 존재했으며, 후기 베다 시대(기원전 1100년–500년)에 브라만교로 발전했다. 동부 갠지스 평원은 후기 브라만교 이념을 거부하고 자이나교불교, 마우리아 제국을 탄생시킨 또 다른 인도아리아인 복합 종교에 의해 지배되었다.

베다교는 인도-아리아인이 기원전 2천년기에 여러 차례에 걸쳐 인더스 강 계곡으로 들어오면서 형성된 베다 종교의 가장 오래된 형태를 말한다. 브라만교는 베다 후기에 갠지스 강 유역에서 형성된 더욱 발전된 형태를 가리키며, 대략 기원전 1000년경에 자리 잡았다.[4] 히스터만에 따르면, "브라만교는 사회에서 브라만(사제) 계급의 종교적, 법적 중요성 때문에 널리 알려져 있다."[4] 베다 후기 시대에는 브라만과 초기 우파니샤드가 저술되었다.[5] 베다교와 브라만교는 모두 베다를 신성하게 여기지만, 브라만교는 사원 숭배, 푸자, 명상, 출가, 채식주의, 구루의 역할 등 베다 외의 요소와 힌두교 종교 생활에 중요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여 더 포괄적이다.[4]

2. 2. 고대 힌두교와 베다 힌두교

하인리히 폰 슈티텐크론에 따르면, 19세기 서양 출판물에서는 베다교가 힌두교와 다르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대신 힌두교는 힌두 서사시와 푸라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푸로히타, 탄트라바크티에 기반한 종파를 통해서였다.[1]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서구 식민주의와 개신교 개종에 대응하여 브라모 사마지와 신-베단타 같은 힌두 개혁 운동은 푸라나 힌두교가 베다 유산에서 벗어났다고 보며 '미신'을 거부했고, 베다로 돌아가 프로테스탄트 기독교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원래의 합리적이고 일신론적인 "고대 힌두교"를 복원할 것을 주장했다.[1][2]

20세기에 베다 뿌리에 대한 신 힌두교의 강조와 베다교와 현대 힌두교의 공유 유산 및 신학에 대한 더 나은 이해는 학자들이 역사적인 베다교를 현대 힌두교의 조상으로 간주하도록 이끌었다.[1] 역사적인 베다교는 현재 일반적으로 현대 힌두교의 전신으로 받아들여지지만, 텍스트 증거는 이 둘 사이에 상당한 차이점을 시사하기 때문에 동일하지 않다. 여기에는 나중에 발전한 윤회와 삼사라 개념 대신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이 포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자들은 "역사적 힌두교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서기 초 무렵으로 여겨진다", "힌두 전통에 포함될 주요 경향, 중요한 요소들이 집합적으로 함께 나타났다"라고 가르치며, 베다교와 브라만교를 포함하는 용어로 "힌두교"를 간주하게 되었다.[3]

3. 기원과 발전

인도아리아인인더스 문명 붕괴 이후 인도 아대륙 북서부로 이주하면서 베다 종교가 시작되었다.[119] 이들은 스스로를 '아리아'(आर्य|아리아sa)라고 불렀는데, '고귀한 자' 또는 '환대하는 자'를 뜻한다.[119] 베다 종교는 베다와 초기 우파니샤드를 포함한 방대한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119]

베다 종교는 초기 베다 시대(기원전 1500년–1100년)에 서부 갠지스 평원에서 나타났으며,[119] 후기 베다 시대(기원전 1100년–500년)에 브라만교로 발전했다.[119] 동부 갠지스 평원에서는 브라만교에 반대하는 다른 인도아리아인 종교가 자이나교불교를 탄생시켰다.[119]

3. 1. 인도아리아계 베다 종교

인도 아대륙인더스 문명이 붕괴된 후, 인도아리아인 부족들은 인더스강 계곡 지역으로 이주해 왔다.[119] 이들은 스스로를 '아리아'라고 불렀으며,[119] 이들의 종교적 믿음이 베다 종교이다.[119] 베다 종교는 베다에 묘사되어 있으며, 초기 우파니샤드를 포함한 방대한 베다 문학과 관련이 있다.[119]

베다 종교는 기원전 1500년에서 1100년 사이 전기 베다 시대에 서부 갠지스 평원에 존재했으며,[119] 기원전 1100년–500년의 후기 베다 시대에 브라만교로 발전했다.[119] 한편, 동부 갠지스 평원에서는 브라만교 이념을 거부하고 자이나교불교를 탄생시킨 또 다른 인도아리아인 복합 종교가 지배적이었다.[119]

3. 1. 1. 인도유럽 기원

인도유럽어족 계열 언어 사용자들은 신타슈타 문화에서 기원하여 중앙아시아 대초원의 쿠르간 문화에서 발전한 안드로노보 문화로 발전했다.[119] 이들은 인더스 문명 붕괴 후 인도 아대륙 북서부로 이주해 온 유목민들로, 자신들의 언어[105]와 종교[106][107]를 전파했다. 이들은 시리아 북부 미탄니 왕국(기원전 1500-1300년경)을 세운 인도아리아인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104]

두 집단 모두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에 위치한 박트리아-마르기아나 시대의 안드로노보 문화[104]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기원전 1800~1600년경에 분리된 인도이란인과 관련이 있다.[104] 이들의 기원은 리그베다의 제사 의식과 유사한 장례 풍습을 가진 신타슈타 문화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04]

고전 이전 시대 베다 신앙은 원시 인도유럽 종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110] 인도아리아인이 파생된 안드로노보 문화[110] 의식과도 관련이 있다. 앤서니에 따르면, 고대 인도 종교는 제라프샨강(현재 우즈베키스탄)과 이란 사이 접경 지역에서 인도유럽 이민자들 사이에서 생겨났을 것으로 추정된다.[104] 이는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에서 "고대 중앙아시아 요소와 새로운 인도유럽 요소의 혼합"[104]이었으며, "독특한 종교적 신념과 관습"[104]을 차용했다. 이 영향은 신 인드라와 의식 음료 소마를 포함하여 이 문화에서 차용된 최소 383개의 비인도유럽어 단어[10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앤서니는 인도이란의 힘과 승리의 신 베레트라그나의 많은 특징이 인드라에게 이전되었고, 인드라는 고대 인도 문화의 중심 신이 되었다고 설명한다. 인드라는 리그베다의 250개 찬가의 주인공이며, 다른 어떤 신보다 소마(아마도 마황에서 유래)와 관련이 깊었다.[104]

미탄니 왕국의 위치인 시리아 북부에서 리그베다 언어인 고대 인도어의 가장 오래된 비문이 발견된다.[104] 미탄니 왕들은 고대 인도어 왕좌 이름을 사용했고, 고대 인도어 전문 용어는 승마와 전차 운전에 사용되었다.[104] 르타인드라를 포함한 고대 인도 신들도 미탄니 왕국에서 알려졌다.[104]

3. 1. 2. 남아시아의 영향

인도 아대륙인더스강 유역으로 이주한 인도아리아인 부족들은 인더스 문명 붕괴 이후 자신들의 종교적 믿음, 즉 베다 종교를 전파했다.[119] 베다 종교는 인도아리아인과 하라파 문화 및 문명이 결합된 결과물이었다.

베다 종교 텍스트는 지적이고 질서 정연하지만, 텍스트 속 이론이 실제 베다 종교의 민속적 관습, 도상학 등을 반영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베다 종교는 기원전 1100년 이후 인도아리아인들이 갠지스 평원으로 이주하여 정착 농경을 시작하면서 변화했고, 북인도의 토착 문화와 융합되었다.

3. 2. 브라만교

브라만교(Brahmanism)는 바라문교 또는 바라만교라고도 불리며, 베다 종교에서 발전하여 비(非)베다 종교적 사상을 통합하고, 아리아바르타부터 인도 아대륙 북서부에서 갠지스강 계곡에 이르는 지역으로 확장되었다.[119]

베다 종교는 인더스 문명이 붕괴된 후 인도 아대륙인더스강 유역으로 이주한 베다 인도아리아인 부족인 아리아인(आर्य|아리아sa)들의 종교적 믿음을 가리킨다.[119] 이들은 스스로를 '아리아'라고 불렀는데, 이는 '고귀한 자' 또는 '환대하는 자'를 뜻한다. 베다 종교는 베다에 묘사되어 있으며, 초기 우파니샤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사제 학파에 의해 현대까지 보존된 방대한 베다 문헌과 관련이 있다.[119]

베다 종교는 기원전 1500년에서 1100년 사이의 전기 베다 시대에 서부 갠지스 평원에 존재했으며, 기원전 1100년에서 500년 사이의 후기 베다 시대에 브라만교로 발전했다.[119] 브라만교는 베다 문헌 외에도 사회에서 사제 계급인 브라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다르마수트라』와 『다르마샤스트라』와 같은 베다 이후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베다 종교와 그 후의 브라만교는 아가마, 탄트라 및 종파 형태와 구별되는 베다의 신화 및 의식 이데올로기에 중점을 둔다. 한편 동부 갠지스 평원은 후기 브라만교 이념을 거부하고 자이나교불교, 마우리아 제국을 탄생시킨 또 다른 인도아리아인 복합 종교에 의해 지배되었다.

3. 2. 1. 역사적 브라만교

베다 종교는 인도 아대륙인더스강 계곡 지역으로 이주한 베다 인도아리아인 부족인 아리아인들의 종교적 믿음이다.[119] 베다 종교는 기원전 1500년부터 1100년까지 전기 베다 시대의 서부 갠지스 평원에 존재했으며,[119] 후기 베다 시대(기원전 1100년–500년)에 브라만교로 발전했다. 동부 갠지스 평원은 후기 브라만교 이념을 거부하고 자이나교불교, 마우리아 제국을 탄생시킨 또 다른 인도아리아인 복합 종교에 의해 지배되었다.

''브라만교''는 베다 후기에 갠지스 강 유역에서 형성된 더욱 발전된 형태를 가리키며, 대략 기원전 1000년경에 자리 잡았다.[4] 베다 후기 시대에는 브라만과 초기 우파니샤드가 저술되었다.[5] 브라만교에는 베다 문헌 외에도, 사회에서 사제 계급인 브라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다르마수트라』와 『다르마샤스트라』와 같은 베다 이후의 텍스트가 포함되었다. 헤스터만은 또한 베다 이후의 스므리티 (푸라나와 서사시)도 언급했으며, 이는 후기 스마르타 전통에도 포함되었다. 의례에 대한 강조와 브라만의 지배적 지위는 쿠루 왕국에서 이념으로 발전했으며, 쿠루-판찰라 왕국의 쇠퇴 이후 마가다를 기반으로 한 제국으로의 통합 이후 더 넓은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그것은 야크샤 숭배와 같은 지역 종교와 공존했다.[20]

브라만교는 초기 우파니샤드에서 절대적 실재 (브라만)에 대한 사변에 중요성을 부여했는데, 이는 어원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베다 시대 말기에 베다 이후의 사상에서 발전했다. 브라만의 개념은 우주의 창조 이전에 존재했으며, 그 후 모든 존재를 구성하고, 우주가 용해될 것이며, 유사한 무한한 창조-유지-파괴 주기가 따를 것이라고 가정한다.

제2의 도시화 시대의 베다 이후 시대는 브라만교의 쇠퇴를 보았다. 사문 운동, 난다 제국마우리아 제국을 포함한 마가다 (마하자나파다)로부터의 동부 제국의 정복, 그리고 인도 아대륙 북서부의 침략과 외세 통치는 시골 브라만의 수입과 후원을 위협했다. 이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부 갠지스 평원의 비베다 인도 아리아 종교 유산과 지역 종교 전통을 통합하여 극복되었으며, 현대 힌두교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 "새로운 브라만교"는 통치자들에게 호소했는데, 그들은 브라만이 제공할 수 있는 초자연적 힘과 실질적인 조언에 매료되었으며, 서기 초기에 힌두교의 고전 시대 이후 인도 사회를 지배하면서 브라만교의 영향력이 부활했다.

3. 2. 2. 논쟁적인 용어로서의 브라만교

"브라만교"라는 용어는 16세기에 곤살루 페르난데스 트란코주(1520–1596)가 만들었다.[21] 역사적으로, 그리고 일부 현대 저자들은 '브라만교'라는 단어를 힌두교를 지칭하는 데 영어로 사용했으며, 브라만교라는 용어를 힌두교와 동의어로 취급하고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했다.[22][23]

오늘날에는 브라만교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브라만주의라는 용어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슈라우타 의식에 보존된 특정한 브라만 의식과 세계관을 의미하며, 이와는 거의 관련이 없는 광범위한 대중 문화 활동과는 구별된다.[132] 브라만주의는 또한 브라만을 사회를 지배하고 지배할 자격이 있는 타고난 특권층으로 보는 브라만 이데올로기를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이 용어는 인도 사회에 대한 지배와 배타주의 이데올로기에 반대하는 반 브라만주의 반대자들이 자주 사용한다.[133]

마이클 S. 앨런은 브라만이 아닌 사람들이 전통에 기여한 점을 모호하게 만든다고 주장하며 "더 위대한 베다 전통"에 "브라만교"를 사용하는 것을 비판했다.[24]

19세기 식민 통치자들은 인도 문화를 부패하고 타락한 것으로, 인구를 비합리적인 것으로 보았다. 종교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에서 파생된 이 견해에서 원래의 “신이 주신 종교”는 사제(이 경우 브라만)와 그들의 종교인 “브라만주의”에 의해 타락했으며 인도 인구에게 부과된 것으로 추정된다.[134] 개혁주의 힌두교도들과 암베드카르와 같은 다른 사람들은 비슷한 노선을 따라 비판을 구조화했다.[134]

4. 문헌

베다 산스크리트어로 구성된 베다 시대의 문헌은 주로 네 개의 베다 삼히타이지만, 브라마나, 아란야카, 좀 더 오래된 우파니샤드[135]의 일부도 이 시기에 포함된다. 베다 문헌들은 의식과 희생에 관련된 전례를 기록하고 있으며, 현대 힌두교 경전의 한 부분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누가 정말 알겠는가?

누가 여기서 그것을 선포하는가?

어디서 만들어졌는가? 이 창조물은 어디에서 왔는가?

이 우주의 창조와 함께 신들이 그 뒤에 왔노니.

그렇다면 이 우주가 언제부터 생겨났는지 누가 알 수 있겠는가?

— 나사디야 숙타, 리그베다, 10:129-6[136][137]


5. 특징

리그베다에 언급된 베다 종교는 윤회열반과 같은 개념은 없었고, 다신교범신론적인 측면을 가진 복잡한 애니미즘 종교였다. 조상 숭배가 중요했고, 현대 힌두교에서도 스랏다 형태로 남아있다.[148]

학자들 사이에서는 베다 종교의 기원에 대해 이견이 존재한다. 일부는 베다 종교 문화에서 자연스럽게 발전했다고 보는 반면, 다른 일부는 비(非)아리아인에게서 기원했다고 주장한다. 이 논쟁은 현재 진행형이다.[148]

5. 1. 윤회와 업

리그베다와 같은 초기 베다 문헌에는 윤회 개념이 나타나지 않는다.[138][139] 다만, 리그베다의 후기 판본에는 다시 태어나는 것에 대한 개념을 암시하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기는 하다.[140]

베다의 초기 문헌들은 업과 윤회에 대한 교리를 언급하지 않고,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을 언급한다.[141] 이 시기에는 조상 숭배와 스랏다(조상 제사)와 같은 의식이 나타난다. 아란야카우파니샤드와 같은 후기 베다 문헌들은 윤회에 기초한 다른 구원론을 보여주며, 조상 제사에 대해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으며, 초기 의식을 철학적으로 해석하기 시작한다.[142][143][144] 윤회와 업에 대한 개념은 석가모니마하비라 이전인 베다 후기의 우파니샤드에 뿌리를 두고 있다.[145] 브리하다란야카 우파니샤드(c.  800 BCE) 4.4절과 같은 베다 문헌의 후기 판본들은 인과관계뿐만 아니라 업 교리의 초기 버전에 대해 논의한다.[146][147]

고대 베다 종교에는 윤회에 대한 믿음과 열반 같은 개념이 없었다. 고대 베다 종교는 다신교범신론적인 측면을 가진 복잡한 애니미즘적인 종교였으며, 조상 숭배가 중심적인 요소였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 힌두교에서는 여전히 스랏다의 형태로 조상 숭배의 요소가 일반적이다.[148]

올리벨에 따르면, 일부 학자들은 포기 전통이 "베다 종교 문화에서 발견된 생각들의 유기적이고 논리적인 발전"이었다고 말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이것들이 "고유의 비아리아인 인구"로부터 발생했다고 말한다. 이 학문적인 논쟁은 오래된 것이고, 현재 진행 중이다.

5. 2. 의식

베다 종교의 구체적인 의식들은 다음과 같다:[149]

의식 종류세부 의식설명
불 의식(하비르)
동물 희생파슈반두[150]매년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의식
소마 의식소마의 추출, 효용 및 소비를 포함하는 의식
기타



이 중 소마 의식에 포함되었던 프라바르기야는 본래 독립된 의식이었으나 나중에 소마 의식에 흡수되었다.[151]

고메다, 즉 소를 희생하는 의식은 다음과 같다.

의식 종류설명
야주르베다의 타이티리야 브라흐마나신에 따라 제물을 바칠 소를 고르는 지시
판차사라디야 사바17마리의 소가 5년에 한 번 털갈이하는 것을 기념하는 행사
술라가바구운 쇠고기를 제물로 바치는 의식 (그리야수트라에 언급)



이때 공양된 동물은 아스발라야나수트라에 자세히 설명된 대로 식용으로 사용되었다.[153] 고파타 브라마나에는 프라티하르타(목과 혹), 우드가트르, 네쉬타, 사다샤, 제물을 바치는 집주인(오른쪽 두 발), 그의 아내(왼쪽 두 발) 등 다양한 부위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개인이 나열되어 있다.[153]

힌두교화장 의식은 리그베다 시대부터 볼 수 있다. 이들이 화장을 치렀다는 것은 묘지 H 문화의 초기부터 입증되었지만, 후기 리그베다 문헌에서는 화장되거나(agnidagdhá-) 화장되지 않은(ánagnidagdha-) 조상을 언급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5. 3. 판테온

리그베다에는 수많은 데바의 이름이 등장하지만, 지구, 우주, 천국에 각각 11명씩 총 33명의 데바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154] 베다의 판테온에는 데바와 아수라라는 두 가지 부류가 있다. 데바(미트라, 바루나, 아리아만, 바가, 암사 등)는 우주와 왕국부터 개인에 이르기까지 우주와 사회 질서를 관장하는 신이다. 리그베다에는 다양한 신들에 대한 찬가가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영웅적인 인드라, 희생의 불이자 신의 메신저인 아그니, 인도-이란인들이 신성시하는 신성한 음료인 소마가 대표적이다.[155] 또한 바루나(종종 미트라와 짝을 이루는)와 '만신' 그룹인 비슈바데바스들도 눈에 띈다.[156]

태국 방콕 왓 아룬("여명의 사원")의 중심탑 프라프랑의 세부 모습으로 고대 베다의 신 인드라와 머리가 세 개인 에라완(아이라바타)을 보여준다.

5. 4. 성현

힌두교 전통에서 이 시대의 존경받는 성현들은 야즈나발키야,[157][158] 아타르반,[159] 아트리,[160] 바라드바자,[161] 가우타마, 자마다그니,[162] 카샤파,[163] 바시슈타,[164] 브리구,[165] 쿠트사,[166] 풀라스티야, 크라투, 풀라하, 비슈와미트라, 나라야나, 칸바, 리샤바, 바마데바, 앙기라스 등이다.[57][58],[59],[60],[61],[62],[63],[64],[65],[66]

5. 5. 윤리: 사트야와 르타

베다의 윤리는 사트야르타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167]

사트야는 베다와 후기 경전에서 진실성에 대한 윤리적 개념으로 발전하여 중요한 덕목으로 간주된다.[168][169] 이는 생각, 말, 행동에서 진실하고 현실과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168]

르타는 "고정되거나 정착된 질서, 규칙, 신성한 법 또는 진리"로 정의된다.[170] 이 용어는 "적합한 방식으로 움직인 것"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171] 추상적으로는 "보편적 법칙", "우주 질서" 또는 단순히 "진리"로 번역될 수 있다.[171]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특성상 르타라는 용어는 직간접적으로 수많은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질서 있는 행동"이라는 기본 의미는 보편적으로 분명하게 남아 있다.[173]

이 용어는 인도이란인의 종교인 원시 인도이란 종교에서도 발견된다.[174] 다르마라는 용어는 이미 후기 브라만 사상에서 사용되었는데, 여기서 다르마는 르타의 한 측면으로 생각되었다.[175]

5. 6. 신화

베다 의식의 중심 신화는 소마를 마시고 취한 인드라가 용(아히) 브리트라를 죽이고 강, 소, 여명을 해방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176]

베다 신화는 인도유럽 신화 전통에 공통적인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데,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켈트, 게르만, 발트, 슬라브 신화 등이 대표적이다. 베다의 신 인드라는 천부신인 디아우스 피타르, 제우스, 유피테르, 토르티르, 또는 페룬에 해당한다. 죽은 자들의 영주인 야마는 페르시아 신화의 이마와 관련이 있다는 가설이 있다.[176]

베다 찬가들은 이들과 다른 신들을 가리키며, 종종 33개의 신은 8명의 바수들, 11명의 루드라들, 12명의 아디트야들, 그리고 후기 리그베다의 프라자파티로 구성된다. 이 신들은 우주 또는 하늘, 땅, 중간계의 삼계에 속한다.[176]

베다 전승의 주요 신들은 다음과 같다.[77]

6. 베다 시대 이후



기원전 8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는 후기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의 형성기이다. 이 시기에 브라만교는 힌두교로 진화했는데, 이는 이전의 브라만교와는 상당히 달랐다. 고대 브라만교에서 힌두교 학파로의 전환은 베다 전통과 비(非)베다 전통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졌다. 베다의 중심 사상과 신학을 보존하면서도 비베다 사상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변화가 일어났다.[179]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상호 연관된 전통들의 전체를 포괄하는 단일 용어를 갖는 것도 편리하다".[179] 힌두교의 일부 학파인 베단타, 상키야요가 학파는 존재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한 관심을 불교와 공유한다.[180]

6. 1. 정통 의식의 계승



베다 시대는 기원전 500년경에 끝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8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는 후기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의 형성기였다. 마이클에 따르면 기원전 5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는 “금욕주의 개혁주의” 시기였으며, 기원전 200년에서 기원전 1100년 사이는 “베다 종교와 힌두 종교 사이의 전환점”이 있었기 때문에 “고전 힌두교” 시기였다. 뮤세는 기원전 8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를 '고전 시대'라고 부르며 "전통적인 종교적 관습과 신념이 재평가된 시기”로 파악한다. 브라만과 그들이 수행하던 의식은 더 이상 베다 시대와 같은 명성을 누리지 못했다.

브라만교는 이전의 브라만교와 상당히 다른 힌두교로 진화했다. 고대 브라만교에서 힌두교 학파로의 전환은 비베다 전통과의 상호작용에서 진화의 한 형태였다. 이러한 전환은 베다에서 발견되는 많은 중심 사상과 신학을 보존하는 동시에 비베다 사상을 통합하는 시너지 효과를 냈다. 힌두교의 일부 학파인 베단타, 상키야요가 학파는 존재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한 관심을 불교와 공유한다.[180]

악셀 마이클스에 따르면, 베다 신들은 쇠퇴했지만 사라지지 않았고, 지역의 신앙들은 베다 판테온에 동화되었고, 이는 힌두교의 판테온으로 바뀌었다. 시바비슈누 같은 신들은 더욱 두드러졌고, 시바파비슈누파를 낳았다.

데이비드 나이페에 따르면 케랄라주안드라프라데시주 등 인도의 일부 지역사회에서는 고대 베다 종교의 일부를 보존하고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역사학자이자 산스크리트어 언어학자인 마이클 위첼에 따르면 칼라쉬인들의 의식 중 일부는 고대 베다 종교의 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베다 종교와 달리 제단 안이 아닌 제단 옆에 불이 존재하는 등 약간의 차이점도 존재한다.[181][182]

6. 2. 미맘사와 베단타

미맘사 철학자들은 베다나 신을 구성하는 저자가 의식을 검증할 필요가 없었듯이, 세계를 위한 창조자를 상정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183] 미맘사는 베다에 이름을 올린 신들은 자신의 이름을 말하는 만트라를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런 점에서 이들은 신들의 힘이 곧 만트라의 힘이라고 간주한다.[184]

파울러는 우파니샤드에서 베다 전통을 이어온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 베다와 관련하여 우파니샤드는 근본적으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소재가 '베다' 혹은 '지식', 즉 '슈루티' 문헌을 형성하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따라서 우파니샤드는 그들의 의식 형식주의를 넘어 베다의 사상을 발전시키며, 그들과 고립된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베단타에서 더욱 강조되는 베다, 즉 베다 의식의 효능이 거부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알려주는 실재에 대한 탐색이 있을 뿐이다.[185]

우파니샤드는 점차 힌두교 내 주요 사상 학파 중 하나인 베단타로 발전했다. 베단타는 스스로를 “베다의 목적 또는 목표[최종]”라고 여긴다.[186]

6. 3. 슈라마나 전통

베다를 따르지 않는 슈라마나 전통은 브라만교와 함께 존재했다.[187][188][189][190] 이들은 베다 종교에서 직접 파생된 것이 아니라, 브라만교 전통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은 운동이었으며, "인도 북동부의 훨씬 더 오래된 아리아인 이전 상류층의 우주론과 인류학"을 반영했다.[187] 자이나교불교는 슈라마나 전통에서 발전했다.[191]

자이나교에서는 22명의 선사시대 티르탕카라를 언급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자이나교는 마하비라(전통적으로 기원전 6세기) 시대에 절정에 달했다.[192][193] 전통적으로 기원전 500년경부터 시작된 불교는 5세기에서 12세기에 걸쳐 인도에서 힌두교이슬람교의 세력이 강해지며 쇠퇴했다.[194][195][196]

참조

[1] 백과사전 Vedic religion https://www.britanni[...] 2024-09-21
[2] 서적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Translated with a popular commentary https://archive.org/[...] E. J. Lazarus and Co.
[3] 서적 The Rigveda —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Vedism and Brahmanism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4-08-02
[5] 서적 Encyclopedia of Reincarnation and Karma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8-10-15
[6] 서적 Ancient Cities of the Indus Valley Civ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 학술지 Autochthonous Aryans? The Evidence from Old Indian and Iranian Texts http://www.people.fa[...]
[8] 서적 Selective Remembrances: Archaeology in the construction, commemoration, and consecration of national pasts
[9] 서적 The Making of History
[10] 문서 Bryant, Edwin. 2001. ''The Indo-Aryan Controversy'', p. 342
[11] 서적 The History of India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12] 서적 Indo-European Sacred Space: Vedic and Roman Cul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6-08-18
[13]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ABC-CLIO
[14] 서적 A Passage to Nuristan: Exploring the mysterious Afghan hinterland I.B. Tauris 2006-04-18
[15] 서적 No Way Out: A story of valor in the mountains of Afghanistan Berkley Caliber 2012-12-31
[16]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Infobase Publishing 2010-05-19
[17] 웹사이트 Pakistan's Forgotten Pagans get their Due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7-04-19
[18] 서적 The Origin of the World's Mythologies
[19] 서적 Vala and Iwato: The Myth of the Hidden Sun in India, Japan, and beyond https://www.onmarkpr[...]
[20] 백과사전 yaksha https://www.britanni[...] 2024-07-12
[21] 서적 Missionary Tropics: The Catholic Frontier in India (16th–17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2] 서적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3] 서적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ita and Images of the Hindu Tradition: The song of the Lor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4] 문서 Allen|2022|p=208
[25] 서적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6] 서적 Eastern Philosophy: Key Reading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7] 서적 Hinduism: The anthropology of a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Brāhmanism and Hindūism: Or, Religious Thought and Life in India, as Based on the Veda and Other Sacred Books of the Hindūs https://archive.org/[...] J. Murray
[29]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archive.org/[...] Rosen Publishing 2001
[30] 서적 Buddhism in the Shadow of Brahmanism https://www.worldcat[...] Brill 2011
[31] 서적 Kautilyan Arthasastra https://www.worldcat[...] Atlantic Publishers and Distributors 1998
[32] Q인용 Q108732338 https://www.hindutva[...]
[33] 뉴스 'Hindutva Is Nothing But Brahminism' http://www.outlookin[...] Outlook 2002-04-05
[34] 학술지 Mantras of Anti-Brahmanism: Colonial Experience of Indian Intellectuals https://www.research[...]
[35] 서적 Hindu Scriptur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6] 서적 World Scriptures: An Introduction to Comparative Religions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1986-01
[37] 서적 Maps of Time: An Introduction to Big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09-01
[38] 논문 Etude sur l'origine de la doctrine du samsara
[39] 서적 Bharatiya Vidya Bhavan Bharatiya Vidya Bhavan
[40] 서적 A Constructive Survey of Upanishadic Philosophy https://archive.org/[...] Bharatiya Vidya Bhavan
[41] 서적 Circulation of Fire in the Ved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42] 서적 Feeding the Dead: Ancestor worship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3] 간행물 Feeding the ancestors: ancestor worship in ancient Hinduism and Buddhism https://repositories[...] University of Texas
[44] 논문 Feeding the Dead: Ancestor worship in ancient India https://academic.oup[...] 2015-11-01
[45] 서적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The Vedic Origins of Karma: Cosmos as man in ancient Indian myth and ritual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7] 웹사이트 Brihadaranyaka Upanishad 4.4.5–6 http://berkleycenter[...] Georgetown University
[48] 논문 The Śrāddha: The Development of Ancestor Worship in Classical Hinduism 2015
[49] 서적 Indian Scriptures Pustak Mahal 2010-08-11
[50] 서적 Vedic India Susil Gupta
[51] 서적 The Rigveda: The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Hymns of the Atharva Veda Kessinger Publishing 2004-06-01
[53] 서적 The Vedas: With Illustrative Extracts https://books.google[...] Book Tree, 2003
[54] 서적 The Ancient History of India Atlantic Publishers and Distributors
[55] 백과사전
[56] 서적 L'Inde Classique
[57]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58] 서적 The Samnyasa Upanisads: Hindu scriptures on asceticism and renunci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9]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60]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61]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62]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63]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64]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65]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66]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67] 서적 Vedic Cosmology and Ethics: Selected Studies https://books.google[...] Brill 2019
[68] 서적 Classical Indian Ethical Thought Motilal Banarsidass
[69] 논문 The dharma of ethics, the ethics of dharma: Quizzing the ideals of Hinduism 2002
[70] 백과사전 AṦA (Asha "Truth") http://www.iranicaon[...] 2013-02-21
[71] 서적 "" 1899
[72] 서적 "" 1998
[73] 간행물 "" 1894
[74] 간행물 "" 1965
[75] 간행물 "" 1963
[76] 서적 The Conception of Punishment in Early Indian Literature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77] 서적 Vedic Mytholog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78] 저널 The vivaha (marriage) Samskara as a paradigm for religio-cultural integration in Hinduism
[79] 서적 Prabuddha Bharata https://books.google[...] Prabuddha Bharata Press
[80] 서적 From Gautama Buddha to the Triumph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1] 서적 From Gautama Buddha to the Triumph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2] 서적 Kalash Religion (extract from 'The Ṛgvedic Religious System and its Central Asian and Hindukush Antecedents Forsten
[83] 웹사이트 Kalasha religion http://www.people.fa[...]
[84] 서적 Religious Truth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1
[85] 서적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in eastern and western though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8
[86]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87] 서적 The American College Dictionary Random House
[88] 서적 Philosophy East and West
[89] 서적 Study of Jainism Prakrit Bharti Academy
[90]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Motilal Banarsidass
[91] 서적 The Jaina Path to Purification Motilal Banarsidass
[92] 서적 India : History, religion, vision and contribution to the world
[93] 간행물 Jainism: an Indian religion of salvation
[94] 서적 The Jains
[95] 백과사전 Buddhism
[96] 서적 Freeing the Buddha: Diversity on a sacred path – large scale concerns
[97] 서적 A text book of the history of Theravāda Buddhism University of Delhi
[98] 웹사이트 바라문교 http://donation.enc.[...] 2011-02-13
[99] 백과사전 Vedic religion https://www.britanni[...]
[100] 백과사전 Vedic religion https://www.britanni[...]
[101] 서적 The Texts of the White Yajurveda. Translated with a popular commentary https://archive.org/[...] E. J. Lazarus and Co.
[102] 서적 The Rigveda —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3] 간행물 Vedism and Brahmanism https://www.encyclop[...]
[104] 서적 Ancient Cities of the Indus Valley Civi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05] 저널 Autochthonous Aryans? The Evidence from Old Indian and Iranian Texts http://www.people.fa[...]
[106] 서적 Selective Remembrances: Archaeology in the construction, commemoration, and consecration of national pasts
[107] 서적 The Making of History
[108] 서적 The Indo-Aryan Controversy
[109] 서적 The History of India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110] 서적 Indo-European Sacred Space: Vedic and Roman Cul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6-08-18
[111] 웹인용 Vedic Hinduism http://www.people.fa[...] Harvard University 2018-08-04
[112]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ABC-CLIO
[113] 서적 A Passage to Nuristan: Exploring the mysterious Afghan hinterland I.B. Tauris 2006-04-18
[114] 서적 No Way Out: A story of valor in the mountains of Afghanistan https://archive.org/[...] Berkley Caliber 2012-12-31
[115]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Infobase Publishing 2010-05-19
[116] 웹인용 Pakistan's Forgotten Pagans get their Due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7-07-31
[117] 서적 The Origin of the World's Mythologies https://archive.org/[...]
[118] 서적 Vala and Iwato: The Myth of the Hidden Sun in India, Japan, and beyond https://www.onmarkpr[...]
[119] 웹인용 Vedic Hinduism http://www.people.fa[...] Harvard University 2018-08-04
[120] 백과사전 Brahmanism https://www.britanni[...] 2023-09-15
[121] 백과사전 yaksha https://www.britanni[...]
[122] 서적 Missionary Tropics: The Catholic Frontier in India (16th–17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23] 서적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24] 서적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ita and Images of the Hindu Tradition: The song of the Lor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5] 서적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26] 서적 Eastern Philosophy: Key Reading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7] 서적 Hinduism: The anthropology of a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28] 서적 Brāhmanism and Hindūism: Or, Religious Thought and Life in India, as Based on the Veda and Other Sacred Books of the Hindūs https://archive.org/[...] J. Murray
[129]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archive.org/[...] Rosen Publishing 2001
[130] 서적 Buddhism in the Shadow of Brahmanism https://www.worldcat[...] Brill 2011
[131] 서적 Kautilyan Arthasastra https://www.worldcat[...] Atlantic Publishers and Distributors 1998
[132] 문서 Q108732338 https://www.hindutva[...]
[133] 뉴스 'Hindutva Is Nothing But Brahminism' http://www.outlookin[...] Outlook 2002-04-05
[134] 간행물 Mantras of Anti-Brahmanism: Colonial Experience of Indian Intellectuals https://www.research[...] 2003
[135] 서적 Hindu Scriptur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36] 서적 World Scriptures: An Introduction to Comparative Religions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1986-01
[137] 서적 Maps of Time: An Introduction to Big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09-01
[138] 논문 Etude sur l'origine de la doctrine du samsara
[139] 서적 Bharatiya Vidya Bhavan Bharatiya Vidya Bhavan
[140] 서적 A Constructive Survey of Upanishadic Philosophy https://archive.org/[...] Bharatiya Vidya Bhavan
[141] 서적 Circulation of Fire in the Ved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42] 서적 Feeding the Dead: Ancestor worship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3] 학위논문 Feeding the ancestors: ancestor worship in ancient Hinduism and Buddhism https://repositories[...] University of Texas
[144] 저널 Feeding the Dead: Ancestor worship in ancient India https://academic.oup[...] 2015-11-01
[145] 서적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6] 서적 The Vedic Origins of Karma: Cosmos as man in ancient Indian myth and ritual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47] 웹인용 Brihadaranyaka Upanishad 4.4.5–6 http://berkleycenter[...] Georgetown University
[148] 저널 The Śrāddha: The Development of Ancestor Worship in Classical Hinduism 2015
[149] 서적 Indian Scriptures Pustak Mahal 2010-08-11
[150] 서적 Vedic India Susil Gupta
[151] 서적 The Rigveda: The Earliest Religious Poetry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52] 서적 Hymns of the Atharva Veda Kessinger Publishing 2004-06-01
[153] 서적 The Vedas: With Illustrative Extracts https://books.google[...] Book Tree, 2003
[154] 서적 The Ancient History of India Atlantic Publishers and Distributors
[155] 백과사전
[156] 서적 L'Inde Classique
[157] 서적 Discovering the Vedas: Origins, mantras, rituals, insight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58] 서적 The Samnyasa Upanisads: Hindu scriptures on asceticism and renunci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9]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60]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61]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62]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63]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64]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65]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66]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67] 서적 Vedic Cosmology and Ethics: Selected Studies https://books.google[...] Brill 2019
[168] 서적 Classical Indian Ethical Thought Motilal Banarsidass
[169] 간행물 The dharma of ethics, the ethics of dharma: Quizzing the ideals of Hinduism 2002
[170] 문서 Monier-Williams 1899
[171] 문서 Mahony 1998
[172] 문서 Oldenberg 1894
[173] 문서 Ramakrishna 1965
[174] 문서 Duchesne-Guillemin 1963
[175] 서적 The Conception of Punishment in Early Indian Literature https://archive.org/[...]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176] 서적 Vedic Mytholog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77] 저널 The vivaha (marriage) Samskara as a paradigm for religio-cultural integration in Hinduism
[178] 서적 Prabuddha Bharata https://books.google[...] Prabuddha Bharata Press
[179] 서적 From Gautama Buddha to the Triumph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0] 서적 From Gautama Buddha to the Triumph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1] 서적 The Vedas: Texts, language, and ritual Forsten
[182] 웹인용 Kalasha religion http://www.people.fa[...]
[183] 서적 Religious Truth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1
[184] 서적 The perfectibility of human nature in eastern and western though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8
[185] 서적 Perspectives of Reality: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Hinduism
[186] 서적 The American College Dictionary Random House
[187] 서적 Philosophy East and West
[188] 서적 Study of Jainism Prakrit Bharti Academy
[189]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Motilal Banarsidass
[190] 서적 The Jaina Path to Purification Motilal Banarsidass
[191] 서적 India : History, religion, vision and contribution to the world
[192] 간행물 Jainism: an Indian religion of salvation
[193] 서적 The Jains https://archive.org/[...]
[194] 서적 Freeing the Buddha: Diversity on a sacred path – large scale concerns
[195] 서적 A text book of the history of Theravāda Buddhism University of Delhi
[196] 백과사전 Buddhis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