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일연구원은 통일 실현을 위한 국민적 역량 축적과 통일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국책 연구 기관이다. 1991년 설립되어 북한 및 통일 관련 문제를 연구, 분석하며 국가의 통일 정책 수립을 지원한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반도 통일 관련 법과 정책, 북한 인권 개선 방안 등이며, '북한인권백서' 발간 및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를 발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 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 -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은 국토종합장기계획 수립, 국토 이용 및 보전 연구 등을 수행하며, 1978년 국토개발연구원으로 개원하여 1999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세종특별자치시로 청사를 이전했다.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
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장관급 정무직 공무원으로, 국무총리를 보좌하여 정부 정책 조정, 행정 지휘·감독, 사회적 위험 및 갈등 관리, 정부 업무 평가, 규제 개혁 등을 담당하며, 과거 행정조정실장에서 격상되었다.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 정부출연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정부출연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1965년 설립되어 경제 성장과 기술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통합 및 분리를 거쳐 현재 독립된 연구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통일연구원 | |
---|---|
기본 정보 | |
원래 이름 | 통일연구원 |
로마자 표기 | Tongil Yeongguwon |
영어 이름 |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KINU) |
설립 | 1990년 (통일부 산하); 2005년부터 NRC (경제, 인문, 사회 과학 국가 연구회) 후원 |
전신 | 민족통일연구소 |
유형 | 싱크 탱크 |
본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17 (반포동) |
국가 | 대한민국 |
리더 직함 | 원장 |
리더 이름 | 김천식 |
모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
비고 | 이전 명칭은 민족통일연구소임 |
2. 설립 목적
1980년대 후반 이후 소련의 해체와 동구권의 붕괴 등 국제 정세가 급격히 변하면서 통일 환경에도 변화가 생겼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교류를 늘리고 남북한 통일 외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또한, 국민들에게 바람직한 민족 통일관을 심어주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통일에 대한 논의를 확산시키며 이를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연구할 종합 연구기관의 필요성이 커졌다.
1990년, 통일연구원은 북한에 관한 연구의 중심지로서 설립되었다.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관할 아래,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에 관련된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하여 국가의 통일 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책 연구 기관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정부는 통일연구원을 설립하게 되었다. 연구원의 설립 목적은 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국민적 역량을 키우고, 변화하는 통일 환경에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통일 문제에 관한 여러 사항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하여 국가의 통일 정책 수립과 지원에 기여하는 것이다.
1990년에 설립된 통일연구원은 북한에 관한 연구의 중심지 역할을 맡았다. 대한민국 국무총리의 감독 아래,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에 관련된 모든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하여 국가의 통일에 기여하며 북한 연구를 수행할 목적으로 설립된 국책 연구 기관이다.
3. 연혁
4. 조직
- 통일정책연구협의회
4. 1. 통일연구원장
통일연구원장 직속으로 감사 업무를 담당하는 감사실을 두고 있다.4. 1. 1. 부원장
- 기획조정실
- 통일정책연구실
- 북한연구실
- 평화연구실
- 인도협력연구실
- 경영지원실
5. 역대 원장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제1·2대 | 이병용 | 1991년 1월 3일 ~ 1996년 12월 18일 | |
제3·4대 | 정세현 | 1996년 12월 18일 ~ 1998년 3월 9일 |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추진에 기여 |
제5대 | 양영식 | 1998년 4월 16일 ~ 1999년 5월 25일 | |
제6대 | 곽태환 | 1999년 7월 6일 ~ 2000년 12월 16일 | |
제7대 | 서병철 | 2001년 1월 18일 ~ 2004년 1월 17일 | |
제8대 | 박영규 | 2004년 1월 18일 ~ 2007년 1월 17일 | |
제9대 | 이봉조 | 2007년 1월 18일 ~ 2008년 6월 5일 | 이명박 정부의 대북 강경 정책 비판 |
제10대 | 서재진 | 2008년 8월 8일 ~ 2011년 8월 7일 | |
제11대 | 김태우 | 2011년 8월 8일 ~ 2012년 10월 22일 | |
제12대 | 김동성 | 2012년 12월 14일 ~ 2013년 2월 6일 | |
제13대 | 전성훈 | 2013년 8월 12일 ~ 2014년 3월 6일 | |
제14대 | 최진욱 | 2014년 3월 28일 ~ 2017년 3월 27일 | |
제15대 | 손기웅 | 2017년 3월 28일 ~ 2018년 1월 10일 | |
제16대 | 김연철 | 2018년 4월 12일 ~ 2019년 3월 8일 | 문재인 정부 통일부 장관 역임 |
제17대 | 임강택 | 2019년 6월 14일 ~ 2020년 1월 17일[3] | |
제18대 | 고유환 | 2020년 4월 30일 ~ 2023년 7월 19일 | 문재인 정부 대북 정책 자문 |
제19대 | 김천식 | 2023년 7월 20일 ~ 현재 | 윤석열 정부 통일부 차관 역임 |
6. 주요 연구 및 발간 자료
통일연구원은 북한 인권, 한반도 통일 문제, 남북 관계, 동북아시아 정세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주요 발간물로는 매년 북한의 인권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북한인권백서, 특정 현안에 대한 심층 분석을 담은 연구 보고서 및 분석 자료, 그리고 통일 문제에 관한 국제적 논의를 촉진하기 위한 영문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등이 있다.
6. 1. 북한인권백서
통일연구원은 1994년 12월 북한 인권 관련 모든 자료와 객관적인 데이터를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하기 위해 북한인권센터를 개설했으며, 1996년부터 매년 한국어 및 영어로 '''북한인권백서'''를 발간하고 있다.[1]- [http://www.kinu.or.kr/servlet/Download?num=40&fno=43&bid=DATA04&callback=http://www.kinu.or.kr/eng/pub/pub_04_01.jsp&ses= 북한인권백서 2014]
- [http://www.kinu.or.kr/servlet/Download?num=36&fno=37&bid=DATA04&callback=http://www.kinu.or.kr/eng/pub/pub_04_01.jsp&ses= 북한인권백서 2013]
- [http://www.kinu.or.kr/servlet/Download?num=34&fno=35&bid=DATA04&callback=http://www.kinu.or.kr/eng/pub/pub_04_01.jsp&ses= 북한인권백서 2012]
6. 2. 연구 보고서 및 분석 자료
6. 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영어는 통일연구원에서 발간하는 영문 학술지로, 통일 문제에 관한 다양한 학술 논문을 게재한다.- [http://www.kinu.or.kr/eng/pub/pub_03_01.jsp?page=1&num=961&mode=view&field=&text=&order=&dir=&bid=DATA03&ses=&category=11 제24권 1호]
- [http://www.kinu.or.kr/eng/pub/pub_03_01.jsp?page=1&num=944&mode=view&field=&text=&order=&dir=&bid=DATA03&ses=&category=11 제23권 2호]
- [http://www.kinu.or.kr/eng/pub/pub_03_01.jsp?page=1&num=922&mode=view&field=&text=&order=&dir=&bid=DATA03&ses=&category=11 제23권 1호]
참조
[1]
뉴스
"Korean Wave" set to swamp North Korea, academics say
https://www.reuters.[...]
2013-03-21
[2]
웹인용
역대원장 - 원장 - 연구원안내 - 연구원안내
http://www.kinu.or.k[...]
[3]
웹인용
통일연구원 임강택(林崗澤) 제17대 원장 취임
http://www.kinu.or.k[...]
통일연구원 - 보도자료 - 보도자료 - 연구원소식 - 연구원소식
2019-06-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김정은도 관심인 ‘외국인 관광’···개방하자니 통제 풀리는 ‘딜레마’
2월14일 알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