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스는 고대부터 호라산 지방의 중심 도시로, 동서양을 잇는 교역로 상에 위치했다. 기원전 330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점령되었고, 5세기 말에는 기독교도 거주 구역이 있었다. 651년 우마이야 칼리파조에 점령되었으며, 809년 하룬 알라시드의 사망지이자 알리 알리 레자의 매장지이기도 하다. 이후 타히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셀주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220년 몽골 제국에 의해 파괴되었다. 1385년 티무르 제국에 정복된 후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15세기 중반 이후에는 도시 이름이 문헌에서 사라졌다. 투스는 페르시아의 시인 페르도우시를 비롯한 여러 저명한 인물을 배출했으며, 페르도우시의 묘는 국가 등록 역사 유적지로 지정되어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 등재가 추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라산에라자비주의 도시 - 니샤푸르
니샤푸르는 3세기 사산 왕조 시대에 건설되어 실크로드의 요충지로 번영했으나 몽골 제국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이란 북동부의 도시이다. - 호라산에라자비주의 도시 - 카셰마르
카셰마르는 이란 북서부 서아제르바이잔주에 위치한 도시로, 카자르 왕조 시대 유적과 하산 모다레스의 묘가 있는 역사적인 곳이며, RQ-170 센티넬 무인 정찰기 격추 사건으로 주목받았고, 농업, 수공예, 불법 주류 제조가 주요 산업이며, 카셰마르 카펫, 건포도, 사프란 등이 유명하다. - 이란의 도시 - 반다르아바스
반다르아바스는 이란 남부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해군 군항으로, 고대 해상 교역 요충지였으나 포르투갈의 지배를 거쳐 사파비 왕조 시대에 탈환되었고, 이후 무역 경쟁과 쇠퇴기를 겪었지만 20세기 이란 정부의 투자로 재개발되어 현재는 농수산물 생산, 우라늄 채굴, 중계 무역의 중심지이며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이란의 도시 - 이스파한
이스파한은 이란 중부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시로, 사파비 왕조 시대에 수도로 지정되어 번성했으며, 현재는 이란의 주요 산업, 문화, 관광 중심지 역할을 한다.
투스 |
---|
2. 역사
투스는 고대부터 호라산 지방의 중심 도시였으며, 동서양을 잇는 중요한 교역로 상에 위치했다.
=== 고대 ===
전설에 따르면 투스는 노자르의 아들 투스(Tous son of Nowzar)가 건설했다고 전해진다.[2] 이 도시는 파르티아의 수도이자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한 비슈타스파 왕의 거주지였다.[2] 기원전 330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점령되어 실크로드의 중요한 경유지가 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이 도시를 Sousia/Σούσιαgrc라고 불렀다.
5세기 말(497년)에는 투스에 기독교도 거주 구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중세 ===
651년, 투스는 우마이야 칼리파 압드 알말리크 이븐 마르완에게 점령되었다.[3] 747년 아바스 혁명 당시 아부 무슬림 호라사니의 부하가 우마이야 총독을 격파했다.[3] 809년, 아바스 칼리파 하룬 알라시드는 호라산의 반란을 진압하던 중 투스에서 병으로 사망했고,[4] 그의 무덤이 이곳에 있다.[5] 818년에는 시아파 이맘 알리 알리 레자가 투스에서 사망하여 하루니예 부속 과수원에 매장되었다.[10]
이후 투스는 타히르 왕조(820년), 사만 왕조(896년), 가즈나 왕조(994년), 셀주크 제국(1037년)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10] 1072년에는 셀주크 왕조의 재상 니잠 알물크에게 도시 통치가 위임되었다.[10] 10세기 무렵까지 투스에서는 터키석, 구리, 안티몬이 채굴되었다.[10] 1121년에 도시가 요새화되었으나, 1153년에는 오구즈 족의 습격으로 모스크가 파괴되었다.[10] 1200년 또는 1201년에 골 왕조의 기야스 앗딘 무함마드에게 항복했다.[10]
=== 몽골 침입과 재건 ===
1220년, 투스는 몽골 제국의 칭기즈 칸에게 점령되어 약탈당하고, 많은 주민이 학살당했다.[6] 몽골의 장군 수부타이에게 함락되었으며, 1년후 툴루이는 대부분의 주민들을 학살했다.[6] 이때 칼리프 하룬 알라시드의 무덤도 파괴되었다.[7] 수십 년 후, 쿠에르구즈의 통치하에 투스는 재건되었다.[7]
=== 티무르 제국과 쇠퇴 ===
1360년경 투스는 사르바다르 정권의 지배를 받았다.[8] 1385년에는 티무르 제국의 미란 샤에게 정복되어 쇠퇴하기 시작했다. 13세기부터 14세기 무렵에 쓰여진 지지에 따르면, 투스는 당시 크고 작은 두 개의 도시로 이루어져 있었고, 큰 쪽의 도시 이름은 타바란(Tābarānfa)이라고 했다.[8] 이븐 바투타가 이 도시를 방문하기도 했다.[8]
15세기 중반 이후, 문헌에서 투스라는 도시 이름은 언급되지 않게 되었다. 투스의 쇠퇴와 함께 알리 알리 레자의 묘가 있는 시나바드 마을(현재의 마슈하드)이 시아파 순례지로 성장하였다.
2. 1. 고대
전설에 따르면 투스는 노자르의 아들 투스(Tous son of Nowzar)가 건설했다고 전해진다.[2] 이 도시는 파르티아의 수도이자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한 비슈타스파 왕의 거주지였다.[2] 기원전 330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점령되어 실크로드의 중요한 경유지가 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이 도시를 Sousia/Σούσιαgrc라고 불렀다.5세기 말(497년)에는 투스에 기독교도 거주 구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 2. 중세
651년, 투스는 우마이야 칼리파 압드 알말리크 이븐 마르완에게 점령되었다.[3] 747년 아바스 혁명 당시 아부 무슬림 호라사니의 부하가 우마이야 총독을 격파했다.[3] 809년, 아바스 칼리파 하룬 알라시드는 호라산의 반란을 진압하던 중 투스에서 병으로 사망했고,[4] 그의 무덤이 이곳에 있다.[5] 818년에는 시아파 이맘 알리 알리 레자가 투스에서 사망하여 하루니예 부속 과수원에 매장되었다.[10]이후 투스는 타히르 왕조(820년), 사만 왕조(896년), 가즈나 왕조(994년), 셀주크 제국(1037년)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10] 1072년에는 셀주크 왕조의 재상 니잠 알물크에게 도시 통치가 위임되었다.[10] 10세기 무렵까지 투스에서는 터키석, 구리, 안티몬이 채굴되었다.[10] 1121년에 도시가 요새화되었으나, 1153년에는 오구즈 족의 습격으로 모스크가 파괴되었다.[10] 1200년 또는 1201년에 골 왕조의 기야스 앗딘 무함마드에게 항복했다.[10]
2. 3. 몽골 침입과 재건
1220년, 투스는 몽골 제국의 칭기즈 칸에게 점령되어 약탈당하고, 많은 주민이 학살당했다.[6] 몽골의 장군 수부타이에게 함락되었으며, 1년후 툴루이는 대부분의 주민들을 학살했다.[6] 이때 칼리프 하룬 알라시드의 무덤도 파괴되었다.[7] 1200년 또는 1201년에 골 왕조의 기야스 앗딘 무함마드의 포위를 받아 항복한적이 있었다. 수십 년 후, 쿠에르구즈의 통치하에 투스는 재건되었다.[7]2. 4. 티무르 제국과 쇠퇴
1360년경 투스는 사르바다르 정권의 지배를 받았다.[8] 1385년에는 티무르 제국의 미란 샤에게 정복되어 쇠퇴하기 시작했다. 13세기부터 14세기 무렵에 쓰여진 지지에 따르면, 투스는 당시 크고 작은 두 개의 도시로 이루어져 있었고, 큰 쪽의 도시 이름은 타바란(Tābarānfa)이라고 했다.[8] 이븐 바투타가 이 도시를 방문하기도 했다.[8]15세기 중반 이후, 문헌에서 투스라는 도시 이름은 언급되지 않게 되었다. 투스의 쇠퇴와 함께 알리 알리 레자의 묘가 있는 시나바드 마을(현재의 마슈하드)이 시아파 순례지로 성장하였다.
3. 주요 인물
투스는 역사적으로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가장 유명한 거주민은 시인 페르도우시로, 서사시 『샤나메』의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묘는 탄생 1000주년이 되는 1934년에 이 도시에 세워졌다.
그 외에도 자비르 이븐 하이얀, 아사디 투시, 니잠 알물크, 가잘리, 나시르 알딘 투시, 시아파 학자 아부 자파르 투시 등이 저명한 거주민이다.
3. 1. 페르도우시
투스 출신의 가장 유명한 인물은 페르시아의 국민 서사시 《샤나메》를 저술한 시인 페르도우시이다.[9] 그의 묘는 1934년, 탄생 1000주년을 기념하여 건립되었다.[9] 페르도우시 묘는 이란 문화유산 관광 기구에 의해 국가 등록 역사 유적지로 등록되었으며, 이란 문화유산 기구와 페르도우시 재단의 제안에 따라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를 추진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9]그 외에도 자비르 이븐 하이얀, 아사디 투시, 니잠 알물크, 가잘리, 나시르 알딘 투시, 시아파 학자 아부 자파르 투시 등이 투스 출신의 저명한 인물이다.
3. 2. 기타 인물
투스 출신의 저명한 인물로는 자비르 이븐 하이얀, 아사디 투시, 니잠 알물크, 가잘리, 나시르 알딘 투시, 시아파 학자 아부 자파르 투시 등이 있다. 페르도우시는 서사시 샤나메의 작가로, 그의 묘는 탄생 1000주년이 되는 1934년에 투스에 세워졌다.4. 문화 유산
4. 1. 페르도우시 묘
페르도우시 묘는 이란 문화유산 관광 기구에 의해 국가 등록 역사 유적지로 등록되었다.[9] 이란 문화유산 기구와 페르도우시 재단의 제안에 따라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페르도우시 묘의 등재를 추진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9]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Places: 952108 (Tusa/Sousia)
http://pleiades.stoa[...]
Pleiades
2015-01-05
[2]
서적
Iranisches Namenbuch
1963
[3]
간행물
Tus
Brill
2000
[4]
서적
The Court of the Caliphs
[5]
서적
Hudud al-Alam
[6]
간행물
Tus
Routledge
2006
[7]
간행물
Mediaeval Researches from Eastern Asiatic Sources
Routledge
2000
[8]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4-24
[9]
웹사이트
Campaign for Registering Ferdowsi's Hometown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Site
http://worldcultural[...]
WCHV
2021-07-18
[10]
논문
ウマイヤ朝期イラク地方における軍事体制の形成と変容 : シリヤ軍の東方進出問題をめぐって
https://doi.org/10.2[...]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