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상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상(隊商, caravan)은 상품 수송 중 약탈 등의 위험을 막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상인이나 수송업자들이 공동 출자하여 조직한 집단이다. 대상은 지휘자의 통솔 하에 대열을 이루어 움직였으며, 주로 동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며 비단, 보석 등 귀중품을 운반했다. 실크로드와 사하라 교역로에서 대상 숙소가 설치되어 휴식, 물품 보충, 정보 교환 등이 이루어졌다. 20세기 초 자동차의 등장으로 쇠퇴했지만, 일부 저개발 국가에서는 여전히 낙타 등을 이용한 대상 무역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상 (상인) | |
---|---|
개요 | |
정의 | 상품을 싣고 정기적으로 이동하는 상인 또는 여행자 그룹 |
어원 | 페르시아어 کاروان (kârvân)에서 유래 |
역사 | |
기원 | 대상 (상인)은 역사가 기록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존재 고대에는 상품을 교환하기 위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여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임 |
실크로드 | 실크로드를 따라 동서양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 수행 |
주요 교역품 | 향신료 비단 보석 기타 사치품 |
구성 및 특징 | |
규모 | 수십 명에서 수천 명에 이르기까지 다양 |
이동 수단 | 낙타 말 당나귀 소 |
보호 | 강도와 야생 동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무장한 경비병 동반 |
숙영지 | 안전과 편의를 위해 사막이나 초원의 오아시스 또는 주요 교역로의 숙영지에서 정기적으로 휴식 |
문화적 중요성 | |
문학 및 예술 | 다양한 문화권의 문학, 예술, 음악에 영감을 줌 |
사회적 영향 | 서로 다른 문화와 아이디어를 교류하는 데 중요한 역할 수행 상업 중심지의 발전과 문화 교류 촉진 |
현대적 의미 | |
유목민족 | 유목민족의 이동 생활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 |
관광 | 사막 횡단 여행과 같은 특정 유형의 여행을 설명하는 데 사용 |
2. 역사
대상은 상품 수송 중 도적 등의 약탈, 폭행 등의 위험으로부터 집단적으로 몸을 보호하고, 상품의 안전 및 만일의 경우를 대비한 보험을 위해 여러 상인이나 수송업자들이 공동 출자하여 계약을 맺음으로써 조직되었다.
그 때문에 대상은 지휘자, 사실상의 "대장"의 지휘 아래 대열을 이루어 일관된 통일 행동을 하는 것이 요구되었으며, "대장"이 물가나 여정, 정박 등을 결정하면 대상대는 전원이 그에 따랐다.
20세기에 들어 자동차가 보급되면서 상품 수송에는 지붕이 있는 화물 자동차가 사용되었지만, "대상"이라는 명칭은 계승되어, 이를 줄인 "밴"이라는 약칭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1. 동서양 교역의 연결고리
대상은 동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여 비단이나 보석 같은 귀중품이나 특산품을 운반했다. 이것은 비싼 물건들이라 항상 도적떼들의 표적이 되었다. 위험하고 힘든 일이긴 하나 이익은 훗날의 향료 무역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막대했다. 지역의 지배 계층에게 신기하고 인기 있는 물품을 전해 주었으므로, 대상들이 머물 숙소를 지어 동물들을 휴식 할 수 있게 하고 물품을 보충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하지만 중세에 이르기까지 대상이 운반할 수 있는 물품의 수량은 한정되어 있어서 500마리의 낙타가 운반 할 수 있는 상품이 비잔틴 시대의 배 한 척에 비해 1/3나 1/2 정도 밖에 되지 못했다.[2]실크로드의 최초 대상 중 일부는 기원전 2세기에 한 무제에 의해 파견되었는데, 이 광대한 도로 네트워크가 '탄생'했으며, 중국이 대량의 비단 및 기타 상품을 서쪽으로, 특히 로마 제국으로 수출하기 시작했다.[3]
2. 2. 실크로드와 대상 숙소
대상은 동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여 비단이나 보석 같은 귀중품이나 특산품을 운반했다. 이것들은 비싼 물건이어서 항상 도적떼들의 표적이 되었다. 위험하고 힘든 일이었지만 이익은 훗날의 향료무역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막대했다. 지역의 지배 계층에게 신기하고 인기 있는 물품을 전해 주었으므로, 대상들이 머물 숙소를 지어 동물들을 휴식하게 하고 물품을 보충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2] 하지만 중세에 이르기까지 대상이 운반할 수 있는 물품의 수량은 한정되어 있어서, 낙타 500마리가 운반할 수 있는 상품은 비잔틴 시대 배 한 척에 비해 1/3나 1/2 정도밖에 되지 못했다.대상 숙소는 아시아, 북아프리카, 그리고 특히 실크로드를 따라 동남부 유럽을 덮는 무역로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는 상업, 정보, 사람들의 흐름을 지원하는 길가 역이었다. 대상 숙소는 인간과 동물의 소비, 세척, 그리고 의식적인 의례적 정화를 위한 물을 제공했다. 또한 동물들을 위한 사료를 비축해두었고, 여행자들이 새로운 물품을 얻을 수 있는 상점도 갖추고 있었다. 일부 상점에서는 여행 상인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기도 했다.[2]
2. 3. 중세 시대의 한계
중세 시대에는 대상이 운반할 수 있는 물품의 양이 제한적이었다. 낙타 500마리가 운반하는 상품은 비잔틴 시대 배 한 척이 운반하는 상품의 3분의 1 또는 절반 정도에 불과했다.2. 4. 이슬람 세계의 대상
무함마드가 초대 칼리파인 아부 바크르에게 순례 대상을 편성하도록 명령한 이후, 서아시아의 무슬림 국가는 전통적으로 메카를 목적지로 하는 국영 순례 대상을 조직했다. 국영 대상은 왕실 구성원 또는 그 대리인이 지휘하고, 국군에 의해 호위받기 때문에 민간 대상보다 비교적 안전한 여행이 가능했다[1]. 대상은 주로 이슬람 지역을 다니는 상인이 많았지만, 다양한 문화가 교류·융합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서아시아의 대상 무역은 사막의 기온이 극도로 상승하는 여름에는 피하고, 연간 3~4회 정도, 봄과 가을에 이루어졌다.2. 5. 현대의 대상
현대에는 이러한 무역 방식은 거의 소멸했지만 일부 저개발 국가에는 여전히 남아있다. 역사적으로, 동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대상은 비단이나 보석과 같은 사치스럽고 수익성이 좋은 물품을 운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대상은 상당한 투자를 필요로 할 수 있었고, 강도들의 수익성 좋은 목표가 되었다. 성공적인 여정에서 얻는 이익은 상당할 수 있었으며, 이후 유럽의 향신료 무역에서 발생한 이익과 비교할 만했다.[2] 대상이 가져온 사치품은 중요한 무역로를 따라 많은 통치자들이 대상 숙소를 건설하도록 유도했다. 대상 숙소는 아시아, 북아프리카, 그리고 특히 실크로드를 따라 동남부 유럽을 덮는 무역로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는 상업, 정보, 그리고 사람들의 흐름을 지원하는 길가 역이었다. 대상 숙소는 인간과 동물의 소비, 세척, 그리고 의식적인 의례적 정화를 위한 물을 제공했다. 그들은 동물을 위한 사료를 비축해두었고, 여행자들이 새로운 물품을 얻을 수 있는 상점도 갖추고 있었다. 일부 상점에서는 여행 상인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했다.[2]실크로드의 최초 대상 중 일부는 기원전 2세기에 한 무제에 의해 파견되었는데, 이 광대한 도로 네트워크가 '탄생'했으며, 중국이 대량의 비단 및 기타 상품을 서쪽으로, 특히 로마 제국으로 수출하기 시작했다.[3]
그러나 대상이 운송할 수 있는 물량은 고전 시대 또는 중세 시대의 기준에서도 제한적이었다. 예를 들어, 낙타 500마리의 대상은 일반적인 비잔틴 상선이 운반하는 상품의 3분의 1 또는 절반 정도만 운송할 수 있었다.
오늘날 세계의 덜 개발된 지역에서 대상은 여전히 농업에 필요한 씨앗과 같이 통행이 어려운 지역을 통해 중요한 상품을 운송하는 경우가 많다. 예로는 사하라 사막의 남쪽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낙타 무리가 있다.
3. 대상의 구성 및 운영
대상은 주로 사막의 기온이 매우 높은 여름을 피해 봄과 가을에 연간 3~4회 정도 활동했다. 이슬람 지역을 다니는 상인이 많았지만, 대상은 다양한 문화가 교류, 융합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1]
20세기에 들어 자동차가 보급되면서 상품 수송에는 지붕이 있는 화물 자동차가 사용되었지만, "대상"이라는 명칭은 계승되었다. 이를 줄인 "밴"이라는 약칭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1. 조직 및 지휘 체계
대상은 상품 수송 중 도적 등의 약탈, 폭행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집단적으로 몸을 보호하고, 상품의 안전 및 만일의 경우를 대비한 보험을 위해 여러 상인이나 수송업자들이 공동 출자하여 계약을 맺음으로써 조직되었다.그 때문에 대상은 지휘자, 사실상의 "대장"의 지휘 아래 대열을 이루어 일관된 통일 행동을 하는 것이 요구되었으며, "대장"이 물가나 여정, 정박 등을 결정하면 대상대는 전원이 그에 따랐다.
무함마드가 초대 칼리파인 아부 바크르에게 순례 대상을 편성하도록 명령한 이후, 서아시아의 무슬림 국가는 전통적으로 메카를 목적지로 하는 국영 순례 대상을 조직했다. 국영 대상은 왕실 구성원 또는 그 대리인이 지휘하고, 국군에 의해 호위받기 때문에 민간 대상보다 비교적 안전한 여행이 가능했다.
3. 2. 중국의 마방
상단은 대부분 상인으로 구성되며, 마방(馬幇)은 도적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조직이다. 마방의 우두머리는 대상두(리더), 이대상두(부리더), 관사(총잡무장)로 구성되며, 군기와 같이 엄격한 규칙으로 운영되었다. 이들은 타클라마칸 사막이나 차마고도 등의 교역로를 이용했다.4. 운송 수단
수송에는 낙타, 말, 라마, 노새 등 다양한 동물이 활용되었으며, 각각의 특성과 대상의 목적에 따라 구분되었다. 말은 빠르지만 무거운 짐을 운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고, 노새는 몸집이 작아 장거리 교역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반면 낙타나 라마는 유지 비용이 적게 들고 장거리 이동에 유리하여 장거리 교역에 사용되었다. 낙타는 평탄한 스텝이나 사막 지대에서, 라마는 고원 지대나 산악 지역에서 주로 활용되었다. 낙타 500마리의 운반량은 비잔틴 제국 상선 1척의 절반에서 3분의 1 수준으로, 수운에 비해 수송력이 크게 떨어졌다.
4. 1. 동물의 활용
수송에는 낙타, 말, 라마, 노새 등 다양한 동물이 활용되었으며, 각각의 특성과 대상의 목적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되었다.말은 속도가 빠르지만 무거운 짐을 운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짐 운반보다는 여정의 선두 역할에 사용되었다. 노새 역시 몸집이 작아 짐을 싣기 어려워 장거리 교역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반면, 먹이 등 유지 비용이 저렴하고 장거리 이동에 강하며 힘도 센 낙타나 라마는 장거리 교역에 주로 사용되었다.
낙타는 기복이 심한 지형을 싫어하여, 낙타 대상 루트는 주로 평탄한 스텝이나 사막 지대로 한정되었다. 금과 암염을 교환하는 사하라 횡단 교역에는 수천 마리 규모의 낙타 대상이 활용되었으며, 이는 수단 지역의 가나 제국, 말리 제국, 송가이 제국 번영의 기반이 되었다.
라마는 낙타(1마리당 130kg)보다 짐 적재량(80kg)이 적지만, 고저차가 심한 지형에 강하여 중앙아시아, 터키, 이란 등 고원 지대나 산악 지역 대상에서 활용되었다.
수송력은 수운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낙타 500마리로 운반할 수 있는 양은 표준적인 비잔틴 제국 상선 1척 운반량의 절반에서 3분의 1 수준이었다.
4. 2. 운송의 한계
수송에 사용되는 동물은 낙타, 말, 라바, 노새 등이며, 그 특성과 대상의 목적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되었다.말은 발이 빠르지만 무거운 짐을 수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짐 운반에는 사용되지 않고 여정의 선두 역할에 사용되었다. 노새도 몸집이 작아 짐을 싣기 어려워 장거리 교역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결국 먹이 등의 유지 비용이 저렴하며 장거리를 걸을 수 있고 힘도 센 낙타나 라바가 장거리 교역에 사용되었다.
낙타는 기복이 심한 지형을 걷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낙타 대상 루트는 평탄한 스텝이나 사막 지대가 되었다. 금과 암염을 교환하는 사하라 횡단 교역의 낙타 대상은 수천 마리 규모에 달해, 수단의 가나 제국, 말리 제국, 송가이 제국 번영의 기초가 되었다.
라바는 짐의 적재량이 낙타 1마리당 130kg에 비해 80kg으로 다소 떨어지지만, 고저차가 심한 지형에 강하기 때문에 중앙 아시아, 터키, 이란 등의 고원 지대나 산악부 대상에서 사용되었다.
수송력은 수운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낙타 500마리로 운반할 수 있는 양은 표준적인 비잔틴 제국 상선 1척으로 운반할 수 있는 양의 절반에서 3분의 1 정도에 해당한다.
4. 3. 중국의 도구
상단은 대부분 상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마방은 도적에 맞서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조직이었다. 마방의 우두머리는 대상두(리더), 이대상두(부리더), 관사(총잡무장) 등으로 구성되었고, 군기와 같이 엄격한 규칙으로 운영되었다. 이들은 타클라마칸 사막이나 차마고도와 같은 교역로를 이용했다.5. 대상과 관련된 문화
- 구약성서 창세기 제37장 25절에는 낙타에 향료와 유향, 몰약을 싣고 길르앗에서 이집트로 가는 대상이 등장한다.[1]
- 앨버트 케텔비 작곡의 상황 음악 페르시아 시장에서
- 듀크 엘링턴 작곡의 스탠다드 재즈 넘버 캐러밴
- 캐러밴의 도착
5. 1. 교역로와 대상 숙소
대상은 동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여 비단이나 보석같은 귀중품이나 특산품을 운반했다. 이것들은 비싼 물건이어서 항상 도적떼들의 표적이 되었다. 위험하고 힘든 일이었으나 이익은 훗날의 향료무역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막대했다. 지역의 지배 계층에게 신기하고 인기 있는 물품을 전해 주었으므로, 대상들이 머물 숙소를 지어 동물들을 휴식하게 하고 물품을 보충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2] 하지만 중세에 이르기까지 대상이 운반할 수 있는 물품의 수량은 한정되어 있어서, 낙타 500마리가 운반할 수 있는 상품이 비잔틴 시대의 배 한 척에 비해 1/3이나 1/2 정도밖에 되지 못했다.대상 숙소는 아시아, 북아프리카, 그리고 특히 실크로드를 따라 동남부 유럽을 덮는 무역로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는 상업, 정보, 그리고 사람들의 흐름을 지원하는 길가 역이었다. 대상 숙소는 인간과 동물의 소비, 세척, 그리고 의식적인 의례적 정화를 위한 물을 제공했다. 또한 동물들을 위한 사료를 비축해두었고, 여행자들이 새로운 물품을 얻을 수 있는 상점도 갖추고 있었다. 일부 상점에서는 여행 상인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기도 했다.[2]
5. 2. 예술 작품 속의 대상
참조
[1]
서적
Caravan
EB1911
[2]
웹사이트
Catalogue of Georeferenced Caravansaras/Khans
http://www.ciolek.co[...]
Canberra: www.ciolek.com - Asia Pacific Research Online
2004
[3]
서적
The Stone Tower: Ptolemy, the Silk Road, and a 2,000-Year-Old Riddle
Penguin Viking
[4]
웹사이트
カーフィラとは
https://kotobank.jp/[...]
2021-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