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이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완어는 타이완 원주민인 파이완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방언은 크게 A1, A2, B1, B2, B3, B4 그룹으로 분류되며, 청(Cheng, 2016)의 분류에 따라 파리드라얀 그룹, 티무르 그룹 등으로 나뉘기도 한다. 음운론적으로 파이완어는 23~24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을 가지며, 자음 체계는 방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문법적으로 파이완어는 인칭 대명사, 다양한 접사, 중첩, VSO 어순 등의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 제어 - 아미어
    아미어는 대만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VSO 어순을 따르고, 화련현과 타이둥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 대만 제어 - 부눈어
    부눈어는 부눈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이스부쿤, 타크바누아즈, 타키바탄, 타키바카, 타키투두의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대만 중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교착어적 특징을 가진 언어이다.
  • 대만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대만의 언어 - 아미어
    아미어는 대만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VSO 어순을 따르고, 화련현과 타이둥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파이완어
지도
파이완어 분포 (남쪽, 짙은 녹색)
파이완어는 유네스코위험에 처한 세계 언어 지도에서 취약 등급으로 분류됨
언어 정보
이름파이완어
고유 이름Vinuculjan, Pinayuanan
발음[vinutsuʎan]
사용 국가중화민국
민족파이완족
사용자 수96,334명 (2014년)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하위 분류타이완 제어, 파이완어군
문자로마자 (파이완 문자)
ISO 639-3pwn
Glottologpaiw1248
Glottolog 명칭Paiwan
활력도취약
기타
국가 기관원주민족위원회

2. 방언

파이완어는 크게 방언군으로 나뉜다. 페렐(Ferrell)은 파이완어 방언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 '''A1''' – 남부 및 중부
  • * 쿠라타우(Kulalao) - 페렐의 1982년 ''파이완어 사전''에서 광범위한 상호 이해력과 다양한 음소 구별의 보존으로 인해 사용됨; 또한 타이둥 현의 튜아바르 마을에서도 사용됨(이곳에서는 챠리딕과 "튜아바르"(챠부아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도 사용됨).
  • * 카파이와난(Su-Paiwan)
  • * 츄아카트시라이(Kachirai) – 최남단 방언
  • '''A2''' – 중부
  • * 라러크렉(Riki-riki)
  • * 파트자발(Ta-niao-wan)
  • '''B1''' – 최북단
  • * 츄쿠부(Tokubun)
  • * 카비앙간(Kapiyan)
  • '''B2''' – 북서부
  • * 챠라카부스(Chalaabus, Lai-yi)
  • * 마카자야자야(Ma-chia)
  • '''B3''' – 동중부
  • * 챠리딕(Charilik)
  • '''B4''' – 동부
  • * 챠부아치(Taimali)
  • * 챠쿠부쿠부(Naibon, Chaoboobol)


청(Cheng, 2016)은 파이완어 방언 분류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였다.

  • '''파리드라얀 그룹(라바르)'''
  • '''티무르 그룹'''
  • '''마카자야자야 계열'''
  • '''동부 계열'''
  • '''차가라우스 계열'''
  • '''라크에레렉 계열(서부)'''
  • '''라크에레렉 계열(동부)'''
  • '''찰라아부스 계열'''

3. 음운론

쿨랄라우 파이완어에는 23~24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이 있다(Ferrell 1982:7). 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나고 는 드물다. 다른 여러 타이완 제어에서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음소들이 합류한 것과 달리 파이완어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음소를 대부분 보존하고 있어 비교 재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파이완어 모음소는 이다. 문헌에서 는 ‘e’로 표기한다.



중부 파이완어 자음[8]
순음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전동음~
마찰음
접근음



북부 파이완어에서는 경구개음 음소가 사라졌다. 이는 최근의 현상이며 일부 보수적인 화자들은 (별개의 음소로는 아니지만) 경구개음 변이음을 보존하고 있다. *q는 가 되었기 때문에, 다른 방언에서 의 지위가 불확실한 것과 달리 북부 파이완어에서는 음소로서 지위가 확실하다.

북부 파이완어 (싼디먼 방언) 자음[8]
순음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전동음~
마찰음
접근음



남부 파이완어 (무단 방언) 자음[8]
순음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접근음



젊은 화자들은 을 로 소리내는 경향이 있다. 마찰음 은 무단향 방언의 특징이며, 남부 파이완어의 다른 방언에서는 여전히 로 변이하긴 하지만 전동음 로 발음되는 경향이 짙다. 어두의 *k는 가 되었다.

3. 1. 자음

파이완어의 자음 체계는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다.[8][3] 쿨랄라우 파이완어에는 23~24개의 자음이 있는데, /h/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나고 /ʔ/는 드물다. 다른 여러 타이완 제어에서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음소들이 합류한 것과 달리 파이완어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음소를 대부분 보존하고 있어 비교 재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부 파이완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8]

중부 파이완어 자음
순음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전동음~
마찰음
접근음



북부 파이완어(싼디먼 방언)에서는 경구개음 음소가 사라졌다.[8] 이는 최근의 현상이며 일부 보수적인 화자들은 (별개의 음소로는 아니지만) 경구개음 변이음을 보존하고 있다. *q는 가 되었기 때문에, 다른 방언에서 의 지위가 불확실한 것과 달리 북부 파이완어에서는 음소로서 지위가 확실하다.

북부 파이완어 (싼디먼 방언) 자음
순음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전동음~
마찰음
접근음



남부 파이완어(무단 방언)의 젊은 화자들은 을 로 소리내는 경향이 있다.[8] 마찰음 은 무단향 방언의 특징이며, 남부 파이완어의 다른 방언에서는 여전히 로 변이하긴 하지만 전동음 로 발음되는 경향이 짙다. 어두의 *k는 가 되었다.

남부 파이완어 (무단 방언) 자음
순음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접근음


3. 2. 모음

파이완어의 모음은 /i ə a u/ 4개이다. 문헌에서 /ə/는 'e'로 표기한다.

/i/, /u/는 구개수음 /q/와 인접하면 각각 [e], [o]에 가깝게 발음되어, /ieq/ 또는 /qei/, /uoq/ 또는 /qou/가 된다. /e/는 /c/, /z/, /s/ 뒤에서 /ɨ/로 발음된다.

4. 문법

4. 1. 대명사

파이완어의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파이완어 인칭 대명사
서술격소유격비서술격, 비소유격
단수 1인칭/1SG영어-aken, ti-akenku-, ni-akentjanu-aken
단수 2인칭/2SG영어-sun, ti-sunsu-, ni-suntjanu-sun
단수 3인칭/3SG영어ti-madjuni-madjutjai-madju
복수 1인칭/1PL영어.포함/INCL영어-itjen, ti-tjentja-, ni-tjentjanu-itjen
복수 1인칭/1PL영어.제외/EXCL영어-amen, ti-amennia-, ni-amentjanu-amen
복수 2인칭/2PL영어-mun, ti-munnu-, ni-muntjanu-mun
복수 3인칭/3PL영어ti-a-madjuni-a-madjutjai-a-madju


4. 2. 접사

파이완어는 다양한 접사를 활용하여 단어를 파생하고 활용한다. 접사는 붙는 위치에 따라 접두사, 접중사, 접미사, 접주사 등으로 나뉜다.

쿨랄라오 방언의 파이완어 접사는 다음과 같다(Ferrell(1982)의 자료를 바탕으로 함).

  • 접두사
  • 'ka-': 일부 어간에서 시작 접미사로 사용되며, 과거 시제를 표시한다.
  • 'ka- -an': 주요한, 중심적인 것을 나타낸다.
  • 'kaɬa- -an': 무언가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시간/장소를 나타낸다.
  • 'ma-ka-': 지나가다, ~을 거쳐; 완료하다
  • 'pa-ka-': ~을 거쳐 가다/가게 하다 (무언가/장소)
  • 'ka-si-': ~에서 오다
  • 'ken(e)-': 먹다, 마시다, 소비하다
  • 'ki-': 얻다, 획득하다
  • 'ku-': 나의; 나 (비작용자 중심 동사의 작용자로서)
  • 'ɬa-': 주어진 [식물/동물] 범주에 속하는
  • 'ɬe-': ~ 방향으로 가다
  • 'ɬia-': ~에/에서 존재하게 되다
  • 'li-': ~의 특성을 가지다
  • 'ma-': ~의 영향을 받다, ~의 상태에 있다 (비자발적)
  • 'mare-': 상호 관계를 갖는
  • 'mare-ka-': 어떤 일반적인 범주에 있는
  • 'maɬe-': 사람의 수
  • 'me-': 주로 지위 변화를 포함하는 작용자 표시 (특정 동사와 함께 사용)
  • 'mere-': 거대한, 초대형의
  • 'mi-': 주로 자동적인 작용자 표시 (특정 동사와 함께 사용)
  • 'mi- -an': 가장하다, 주장하다
  • 'mu-': 작용자 표시 (특정 동사)
  • 'ka-na- -anga': 모든
  • 'pa-': ~하게 만들다/~하게 되다
  • 'pe-': 나타나다, 보이다
  • 'pi-': ~에/위에 두다; ~을 ~에게 하다
  • 'pu-': 가지다 또는 생산하다; 획득하다
  • 'pu- -an': 무언가가 놓이거나 보관되는 장소
  • 'ma-pu-':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다
  • 'ra-': ~와 관련된
  • 'r-m-a-': ~에서/~동안 하다
  • 'r-m-a- -an': ~에서/~에서 하다
  • 'sa-': ~하고 싶어하다; ~로/방향으로 가다; ~의 냄새, 특징, 맛이 나다
  • 'pa-sa-': ~을 ~에게 옮기다; 거의, ~하려는 참이다
  • 'ki-sa-': 사용하다, 활용하다, 이용하다
  • 'na-sa-': 아마, 대부분 ~일 것이다
  • 'san(e)-': 건설하다, ~에서/위에서 작업하다
  • 'ki-sane(e)-': 되다/~처럼 행동하다; ~처럼 행동하는 사람
  • 'ru-': 자주/습관적으로 하다; 많은 ~을 가지다
  • 'se-': (마을/국가)의 사람들; ~의 특성을 가지다; 갑자기/예기치 않게/무심코 발생하다
  • 's-ar-e-': ~의 상태에 있다 (비자발적)
  • 'si-': ~의 도구/원인/수혜자이다; 도구 중심 표지; 과거 특정 시간에 속한
  • 'ma-si-': 운반하다, 수송하다
  • 'su-': 너의; 너 (비작용자 중심 동사의 작용자로서); 떠나다, 제거하다, ~을 그만두다
  • 'ki-su-': 자신에게서 제거하다 또는 제거하게 하다
  • 'ta-': 과거 시제 표시
  • 'tu-': ~와 비슷한, ~같은
  • 'ma-ru-': 크기는 같지만 다른
  • 'tja-': 우리의, 우리 (포괄적); 더, 더 큰 정도로, 더욱
  • 'ki-tja-': 사용하기 위해 가지고 가다
  • 'tjaɬa- -an': 가장, 최상의
  • 'tjara-': 확실히 ~이다
  • 'tjaɬu-': ~까지 이르다/미치다
  • 'tjari-': 가장 먼, 극도의
  • 'tja-u-': 방금 ~하다
  • 'tje-': ~에서/~에서 하기로 선택하다
  • 'ka-tje- -an': 포함하는
  • 'tji-': 주로 식물/동물 종 이름에 사용됨 (쿨랄라오 방언이 아닌 고정 접사)
  • 'tji-a-': ~에 있다/머무르다
  • 'tju-': 따로 하다/사용하다; 특정 장소에 있다/하다
  • 'm-uri-': ~을 찾다

  • 접중사
  • '-aɬ-, -al-, -ar-': ~의 소리나 특성을 가진; ~의 사용을 포함하는; ''쿨랄라오 방언이 아님''
  • '-ar-': 무차별적으로, 사방으로 하다; ''쿨랄라오 방언이 아님''
  • '-m-': 작용자 또는 행위자; /p/, /b/, /v/, /m/ 다음에 -n-;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m-
  • '-in-': 완료 시제 표시, 이미 시작되거나 완료된 행위, 과거 행위의 목적어 또는 결과;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in-

  • 접미사
  • '-an': 시간/공간의 특정 위치; 특정한 것/유형; 지시 대상 중심
  • '-en': 행위의 목적어/목표; 목적어 중심
  • '-aw, -ay': 예상되거나 의도된 행위, 지시 대상 중심
  • '-u': 작용자 중심 (대부분의 종속절); 가장 단호한 명령형
  • '-i': 목적어 중심 (대부분의 종속절); 공손한 명령형
  • '': 순서대로 있는 것들; 그룹; 시간의 지속


파이완족 거주 지역 북서쪽에서 사용되는 파이완어의 츄아바르 방언의 접사는 다음과 같다.

  • 명사
  • '-aḷ-, -alʸ-': '아주 작은 것들'
  • '-in-': '뿌리로 만든 것들'
  • '-an': '장소' (항상 다른 접사와 함께 사용)
  • 'mar(ə)-': '한 쌍의' (사람에게만 사용)
  • 'pu-': '부유한'
  • 'ḳay-': '식물'
  • 'sə-': '주민들'
  • 'cua-': '부족의 이름'

  • 동사
  • '-aŋa': '이미 완료된'
  • 'ka-': '완료하다'
  • 'kə-': '스스로 무언가를 하다'
  • 'ki-': '자신에게 무언가를 하다'
  • 'kisu-': '제거하다'
  • 'kicu-': '따로 무언가를 하다'
  • 'maCa-': '상호적으로 무언가를 하다' (C는 어간의 첫 자음을 나타냄)
  • 'mə-': '~을 경험하다, ~이다'
  • 'pa-': '누군가가 무언가를 하도록 하다'
  • 'pu-': '생산하다, 무언가를 얻다'
  • 'sa-': '무언가를 기꺼이 하다'
  • 'calʸu-': '~에 도착하다'

  • 형용사
  • 'ma-': '~인'
  • 'na-': '~의 특성을 가진'
  • 'səcalʸi-': '매우'
  • 'ca-': '~보다 많은'


이 외에, 접두사와 접중사가 짝을 이루거나, 접중사와 접미사가 짝을 이루어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다.

  • 접주사: 'a-……-an'는 명사에 붙어 "진짜"라는 의미를 덧붙인다. 예를 들어 'gung'(소)에 접주사가 붙으면 'a-gung-an'(진짜 소)가 된다.
  • 접두사와 접중사가 짝을 이루어 기능하는 것: 'isan-……-em-'은 동사에 붙어 동작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명사를 만든다. 예를 들어 '’esa'(삶다)에 이 접사가 붙으면 '’isan-’-em-esa'(요리사)가 된다.
  • 접중사와 접미사가 짝을 이루어 기능하는 것: '-in-……-an'은 동사에 붙어 동작을 한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를 만들거나, 명사에 붙어 언어를 나타내는 명사를 만든다. 예를 들어 'caqis'(꿰매다)에 이 접사가 붙으면 'c-in-aqis-an'(꿰맨 곳, 꿰맨 자국)이 되고, 'paiwan'(파이완족)에 붙으면 'p-in-aiwan-an'(파이완어)이 된다.

4. 3. 중첩

파이완어에서 명사는 중첩을 통해 의미를 강조하거나 새로운 단어를 생성한다.

원래부터 중첩으로 이루어진 어휘에서의 중복은 전체 중복(예: djidji「돼지」, bibi「오리」)과 부분 중복(예: bubung「거품」, tjattjan「우물」)으로 나뉜다.

파생어에서의 중첩은 전체 중복(예: gadegade「산꼭대기」(←gade「산」))과 부분 중복(예: ’ua’uang「장난감 창」(←’uang「창」), qatjuvitjuvi「곤충」(←qatjuvi「뱀」), kavatjevatjes「작은 등나무 바구니」(←kavatjes「등나무 바구니」))으로 나뉜다.

4. 4. 통사론

파이완어의 기본 어순은 VSO어이다. 그러나 파이완어는 굴절어이며, 조사에 의해 주어와 목적어가 명확하게 구분되므로, 주어와 목적어의 어순에는 관용적이다. 조동사는 동사 앞에 놓지만, 조동사와 동사 사이에 주어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동사 앞에 조사 a를 놓는다.

5.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뉴스 Amis Remains Taiwan's Biggest Aboriginal Tribe at 37.1% of Total http://focustaiwan.t[...] 2015-02-15
[2] 간행물 Yuánzhùmínzú yǔyán fāzhǎn fǎ https://glin.ly.gov.[...]
[3] 논문 A Comparative Study on Formosan Phonology: Paiwan and Budai Rukai http://repositorie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6
[4] 웹사이트 Paiwan at Ethnologue https://www.ethnolog[...] 2016-01-16
[5] 웹사이트 Paiwan https://www.ethnolog[...] 2016
[6] 간행물 Indigenous Languages Development Act, ROC https://glin.ly.gov.[...]
[7] 뉴스 Taiwan seeks to save indigenous languages https://www.bbc.co.u[...] 2010-07-14
[8] 논문 A comparative study on Formosan phonology: Paiwan and Budai Rukai http://repositorie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