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촉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촉어는 서한 시대에 처음 기록된 고대 중국어에서 갈라져 나온 언어 중 하나이다. 몽골의 중국 정복으로 인해 남송 시대 말기에 소멸되었으며, 현재는 사천 관화의 민강 방언 등 일부 방언에서 파촉어의 특징이 남아있다. 파촉어는 고대 중국어에서 갈라져 나왔기에 중세 중국어와 유사하기보다는 민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며, 음운론적으로는 코다(종성) 병합 등의 특징을 보인다. 파촉어의 어휘로는 '알갱이'를 뜻하는 '逼', '어머니'를 뜻하는 '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중국어의 방언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국어의 방언 - 차오저우어
차오저우어는 중국 광둥성 차오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로 확산되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영향력을 지니며, 다양한 방언과 표기법을 갖고 일상 대화, 지방극, 대중가요 등에서 사용된다. - 아시아의 사어 -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사용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 언어로, 비문 등을 통해 전해지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언어였고, 독자적인 설형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언어적 기원이다. - 아시아의 사어 - 베다 산스크리트어
베다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1500년경 리그베다를 포함하는 베다 시대의 산스크리트어이며,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5개의 층위로 구분되며, 유성 역행 치경 접근음과 고저 억양 등의 특징을 갖는다.
파촉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바-슈 중국어 |
로마자 표기 | Ba-Syu Junggugeo |
현지어 이름 | 巴蜀語 |
로마자 표기 | Basuyu |
다른 이름 | 촉어 |
로마자 표기 | Chogeo |
소멸 시기 | 명나라 시대 |
사용 지역 | 중국 쓰촨 분지 |
언어 분류 |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중국어파 |
조어 | 원시 중국티베트어 |
계통 | 고대 중국어 |
후손 언어 | 민강 방언 |
언어 코드 | |
ISO 639-3 | 없음 |
Glottolog | 없음 |
기타 | |
보존 | 일부 특징이 쓰촨어에 남아 있으며, 특히 민강 방언에 많음 |
2. 역사
파촉어는 서한 시대(기원전 206년~서기 8년)에 저술된 방언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고대 중국어에서 갈라져 나온 초기 언어 중 하나였다.[1][2] 다른 중국어 방언들이 중세 중국어와 유사한 것과 달리, 파촉어는 민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몽골의 중국 정복으로 인해 남송 말기 파촉어는 사라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사천 분지 전체의 학살로 이어졌다. 이후 파촉어는 현재의 후베이성과 후난성 등 중국 다른 지역에서 온 사람들의 정착으로 인해 서남 관화로 대체되었다.[3]
파촉어의 음운은 사천 관화의 민강 방언에 보존되어 있으며, 이 방언이 서남 관화의 변종인지 파촉어의 현대 후손인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4][5] 파촉어는 화하어, 고촉어, 고파어를 기원으로 하며, 전한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송대까지 사천 분지의 폐쇄적인 지리적 조건으로 독립된 언어로 성립되었으나, 명대에 절멸되었다.[6] 현재는 민강어나 낙산어 등 지방 방언에서 파촉어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2. 1. 초기 역사 (기원전 206년 ~ 서기 8년)
파촉어는 서한 시대(기원전 206년~서기 8년)에 저술된 방언이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고대 중국어에서 갈라져 나온 초기 언어 중 하나였다.[1][2] 이러한 이유로 파촉어는 다른 중국어 방언들과 달리 중세 중국어가 아닌 민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2. 2. 송나라 시대 (960년 ~ 1279년)
사천 분지의 폐쇄적인 지리적 조건 속에서 파촉어는 독자적인 언어로 발전했다. 당시 파촉 지역 문인과 시인들은 송나라 표준 중국어로 시를 썼지만, 모국어인 파촉어 억양으로 운율을 맞추었기 때문에, 작품에서 파촉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엿볼 수 있다.[6]2. 3. 소멸 (13세기 ~ 17세기)
몽골의 중국 정복 과정에서 사천 분지 전체가 학살당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13세기 말에 발생했고, 이는 파촉어 소멸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3] 이후 중국의 다른 지역, 특히 현재의 후베이성과 후난성에서 온 사람들의 정착으로 인해 파촉어는 서남 관화로 대체되었다.[3]3. 음운론
파촉어는 사멸되었지만, 파촉 지역 문인과 시인들이 작품에서 사용한 운율을 연구함으로써 몇몇 파촉어 음운론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류샤오난(2014)은 그들이 송나라 표준 중국어로 시를 썼지만, 모국어가 파촉어였기 때문에 파촉어 억양으로 운율을 맞추었다고 추정했다.[3]
3. 1. 코다(종성) 통합
류(Liu)의 연구에 따르면, 송나라 시대 파촉어에서 상당수의 코다(종성) 병합이 일어났거나 진행 중이었다.[3]- 은 와 이 종종 으로 병합된 현상이다.
- 은 과 이 종종 으로 병합된 현상이며, 이 과정은 으로 요약할 수 있다.
- 과 은 때때로 으로 병합되었다.
- 과 은 때때로 으로 병합되었으며, 이는 으로 요약할 수 있다.
- , , 그리고 는 아마도 모두 으로 병합되었으며, 때로는 완전히 탈락하기도 한다(특히 쓰촨 분지 서부에서).
4. 어휘
파촉어에는 학자들이 고촉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확인한 몇몇 고유한 단어가 있었다.
단어 | 기록된 시대 | 번역 | 중국 중세어 발음(정장상방) | 표준 중국어 | 비고 | ||||||||||||||||||||||||||||||||||||||
---|---|---|---|---|---|---|---|---|---|---|---|---|---|---|---|---|---|---|---|---|---|---|---|---|---|---|---|---|---|---|---|---|---|---|---|---|---|---|---|---|---|---|---|
逼 | 후기 남북조 시대에서 초기 수나라, 600년경 | '알갱이' | {{lang|zh|*pɨkD|} | }
단어 | 기록된 시대 | 번역 | 중국 중세어 발음(정장상방) | 표준 중국어 | 비고 |
---|---|---|---|---|---|
逼 | 후기 남북조 시대에서 초기 수나라, 600년경 | '알갱이' | *pɨkD중국어 | bī|강요하다, 여성 생식기의 일반적인 이름중국어 | 안지추—[https://zh.wikisource.org/wiki/%E9%A1%8F%E6%B0%8F%E5%AE%B6%E8%A8%93/%E5%8D%B7%E7%AC%AC3 안씨 가훈: "학문 장려"] "내가 익주에서 여러 사람들과 함께 앉아 있는데, 햇빛이 비치는 맑은 날 땅에 작은 빛[점]이 보여서 그들에게 이게 뭐요?라고 물었다. 한 촉(蜀) 아이가 그것을 보고 대답하기를 豆逼|dòu|콩, 강요하다중국어입니다.라고 했다. 그들은 당황하며 서로를 바라보았고, 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몰랐다. [우리는] [그에게] [그 물건을] 가져오라고 시켰고, 그것이 작은 콩이라는 것을 알았다. 촉(Shǔ)의 많은 학자들을 찾아가서, [그 아이에게] 粒|lì|알갱이중국어을 왜 逼이라고 부르는지 물었지만, 아무도 설명할 수 없었다. 나는 말했다: 에 따르면] 삼창과 설문'에 따르면, 이 글자는 匕 아래 白으로, 일반적으로 粒으로 해석되며, 일반적인 문학적 읽기는 方力反중국어이다. 군중은 깨달았다." |
姐 | 동한 | '어머니' | *tsiaB중국어 | jiě|언니중국어 | 허신—설문해자 "촉(Shǔ) 사람들은 어머니를 姐라고 부른다." |
師 | 당나라 | '승려' | *ʃiɪA중국어 | shī|스승중국어 | 두보—강을 따라 꽃을 찾으며 "#5" "촉(Shǔ) 사람들은 승려를 師라고 부르고, 매장지를 塔라고 부른다." |
塔 | '매장지' | *tʰɑpD중국어 | tǎ|탑중국어 | ||
圍 | 북송 | '하늘' | *ɦʉiA중국어 | weí|포위하다중국어 | 황정견—与大主簿三十三书중국어 "촉(Shǔ) 사람들은 하늘을 圍라고 부른다." |
葭萌중국어 | 한 | 차나무, 또한 고대 수문(水文)명칭이자 현의 이름 | *kˠaA mˠɛŋA중국어 | jiāméng중국어 | 양웅—방언 |
5. 현대 방언과의 관계
전한 시대부터 사용된 파촉어는 화하어, 고촉어, 고파어를 기원으로 한다. 사천 분지의 폐쇄적인 지리적 조건 덕분에 파촉어는 송대까지 독립적인 언어로 존재했지만, 명대에 사라졌다.[6] 현재는 쓰촨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강어나 낙산어, 또는 이와 비슷한 지방 방언에서 파촉어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6]
6. 저명한 화자
파촉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던 저명한 인물로는 "삼소"(三蘇)가 있다.[1]
6. 1. 삼소(三蘇)
바-수어의 저명한 화자로는 "삼소"(三蘇)가 있다.[1]참조
[1]
논문
"蜀语"名义阐微
[2]
서적
《四川西南官话语音研究》
电子工业出版社
[3]
서적
宋代四川语音研究
Press of Peking University
[4]
논문
Sìchuān fāngyán zhōng de gǔ Bā-Shǔ tǔzhùyǔ yánjiū
2008
[5]
논문
Shì lùn Sòngdài Bā-Shǔ fāngyán yǔ xiàndài Sìchuān fāngyán de guānxì - Jiān tán wénxiàn kǎozhèng de yīgè zhòngyào gōngyòng: Zhuīxún shīluò de fāngyán
2009
[6]
서적
《方言与中国文化》
上海人民出版社
[7]
간행물
四川方言中的古巴蜀土著语研究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