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코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코맘어는 과테말라와 인접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 언어이다. 에스쿠인틀라, 할라파, 과테말라 주 등에서 사용되며, 과거에는 엘살바도르에서도 사용되었다. 음운 체계는 파열음, 마찰음, 비음, 전동음, 접근음, 모음 등으로 구성되며, 특징적인 음운 변화를 보인다. 문법적으로는 능격어이며, 작용자 초점과 수량 분류사 등의 특징을 갖는다. 기본적인 인사말과 어휘가 존재하며, 언어 부흥 운동을 통해 마야 언어의 지위 향상과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포코맘어
언어 정보
이름포코맘어
다른 이름포콤어
사용 국가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사용자 수약 10,800명 (2019년)
민족포코맘족
사용 지역알타베라파스주 (과테말라)
언어 계통마야어족 - 키체・맘어군 - 대키체어군 - 포콤어군
언어 기관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
소멸 위기 정도취약 (Vulnerable)
언어 코드
ISO 639-3poc
Glottologpoqo1253

2. 분포

포코맘어는 에스쿠인틀라주의 팔린과 할라파주의 산 루이스 질로테페케(San Luis Jilotepeque), 산 카를로스 알사타테(San Carlos Alzatate), 그리고 과테말라주의 치나우틀라(Chinautla)와 믹스코(Mixco)에서 사용된다.[21]

포코맘어 화자들은 과거 라비날(Rabinal) 분지에 살았으나, 1250년경 동쪽으로 진출한 키체족(K'iche')에 의해 쫓겨나 과테말라 동부의 신카족(Xinca) 거주 지역으로 이동하였다.[10]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현재 과테말라 주, 에스크인틀라 주, 훌라파 주, 후티아파 주와 인접한 엘살바도르의 쿠스카틀란 주에서 사용되었다.[6]

2005년 에스노로그(Ethnologue) 제15판에서는 포코맘어를 3개의 언어로 분류했으나,[11] 2009년에 이 구분은 폐지되었다.[12][13]

3. 음운

wikitext


  • /k, kʼ/ 음은 환경에 따라 [kʲ, kʲʼ]로 구개음화될 수 있다.
  • /ɓ/는 특정 환경에서 [wʼ] 또는 [mʼ]로 자유롭게 나타날 수 있다.
  • /p, t, k, q/ 파열음은 음절 말이나 자음 앞에서 [pʰ, tʰ, kʰ, qʰ]로 기음화될 수 있다.
  • /l, r, w, j/ 음은 단어 끝에서 [l̥, r̥, w̥, j̊]로 무성화된다.
  • /n/은 연구개음 앞에서 [ŋ]으로 들린다.[2]

포콤어군은 pʼ를 음소로 가지고 있으며, 양순 파열음이 p, pʼ, bʼ의 3항 대립을 이루고 있다. 같은 현상은 유카텍어군의 모든 언어와 촐-첼탈어군의 대부분에서 나타나며, 지역적 특징으로 여겨진다.[14][15]

역사적인 tz 가 마찰음 s로 변화하였다. 성문화음 tzʼ는 변화하지 않았다.[16]

전면 모음중앙 모음후면 모음
고모음i iːu uː
중모음e eːo oː
저모음a aː



역사적인 장모음 ee oo가 이중모음으로 변화하였다.[16]

3. 1. 자음


  • /k, kʼ/ 음은 환경에 따라 [kʲ, kʲʼ]로 구개음화될 수 있다.
  • /ɓ/는 특정 환경에서 [wʼ] 또는 [mʼ]로 자유롭게 나타날 수 있다.
  • /p, t, k, q/ 파열음은 음절 말이나 자음 앞에서 [pʰ, tʰ, kʰ, qʰ]로 기음화될 수 있다.
  • /l, r, w, j/ 음은 단어 끝에서 [l̥, r̥, w̥, j̊]로 무성화된다.
  • /n/은 연구개음 앞에서 [ŋ]으로 들린다.[2]

포콤어군은 pʼ를 음소로 가지고 있으며, 양순 파열음이 p, pʼ, bʼ의 3항 대립을 이루고 있다. 같은 현상은 유카테코어군의 모든 언어와 졸 첼탈어군의 대부분에서 나타나며, 지역적 특징으로 여겨진다.[14][15]

역사적인 tz 가 마찰음 s로 변화하였다. 성문화음 tzʼ는 변화하지 않았다.[16]

3. 2. 모음

전면 모음중앙 모음후면 모음
고모음i iːu uː
중모음e eːo oː
저모음a aː



역사적인 장모음 ee oo가 이중모음으로 변화하였다.[16]

4. 문법

언어와 언어학 이론[3] 저널에 따르면, 주어가 부정 부정대명사로 실현되는 경우, 작용자 초점을 유발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마야어는 작용자 초점에 대한 의무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 경우 포코맘어의 작용자 초점은 모든 관련 문맥에서 선택적이다.


  • 부정 부정대명사의 예:

아무도 돕다--자동사 3.주격-여격

아무도 그를 돕지 않았다

포코맘어는 다른 마야어와 마찬가지로 능격어이지만, 키체어군 중에서 포콤어군만 분열능격 현상이 있으며, 잠재적 지속 상에서 자동사의 주어가 A형(능격) 인칭 접미사로 표시된다.[17]

마야 원어 이래의 접중접미사를 위치 어근에 더한 형태의 수량분류사가 사용된다.[18]

4. 1. 작용자 초점 (Agent Focus)

언어와 언어학 이론에 따르면, 주어가 부정 부정대명사로 실현되는 경우, 작용자 초점을 유발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3] 마야어는 작용자 초점에 대한 의무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 경우 포코맘어의 작용자 초점은 모든 관련 문맥에서 선택적이다.

부정 부정대명사의 예:

{{interlinear|indent=3

|{qu hamʼ wach} toʔ-w-i r-eh

|아무도 돕다--자동사 3.주격-여격

|아무도 그를 돕지 않았다}}

포코맘어는 다른 마야어와 마찬가지로 능격어이지만, 키체어군 중에서 포콤어군만 분열능격 현상이 있으며, 잠재적 지속 상에서 자동사의 주어가 A형(능격) 인칭 접미사로 표시된다.[17]

마야 원어 이래의 접중접미사를 위치 어근에 더한 형태의 수량분류사가 사용된다.[18]

5. 어휘

안녕하세요 - Nqakʼul ta awach[4]

좋은 아침 - Saqʼwa[4]

좋은 오후 - Sanaqʼiij[4]

안녕히 주무세요 - Qawaqʼaabʼ[4]

잘 지내세요? - Qanke jat wilkaat[4]

잘 일어났어요? - Qanke xtisaqʼwa[4]

감사합니다 - Tiyoox tii[4]

안녕 - Xahʼoo[4]

과테말라의 마야 언어 중 하나인 포코맘어의 일상 인사말이며, 번역은 미국 언어학 국제 저널에서 제공했다.[4]

5. 1. 기본 인사말

안녕하세요 - Nqakʼul ta awach[4]

좋은 아침 - Saqʼwa[4]

좋은 오후 - Sanaqʼiij[4]

안녕히 주무세요 - Qawaqʼaabʼ[4]

잘 지내세요? - Qanke jat wilkaat[4]

잘 일어났어요? - Qanke xtisaqʼwa[4]

감사합니다 - Tiyoox tii[4]

안녕 - Xahʼoo[4]

과테말라의 마야 언어 중 하나인 포코맘어(Poqomam)의 일상 인사말이며, 번역은 미국 언어학 국제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에서 제공했다.[4]

6. 언어 부흥 운동

미국 인류학자에 따르면,[5] 1996년 평화협정에서 마야 언어의 공식화 또는 공동 공식화라는 아이디어가 제시되었으나, 1999년 헌법 개정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었다. 2003년 5월, 과테말라 의회는 "국가 언어법"을 통과시켜 스페인어를 과테말라의 공식 언어로 명시하면서도, 토착 언어가 국가 정체성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육성되어야 한다고 인정했다. 이는 과테말라 헌법에서 토착 언어를 "국가 유산"의 일부로만 인정했던 것과는 상당한 변화이다.[5]

마야인들은 언어 지위와 언어 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테말라 마야 언어 아카데미 설립, 여러 NGO들의 마야 언어 연구, 언어 장려 재단 설립, 교육부의 이중 언어 교육 프로그램 참여, 마야 어린이들을 위한 사립 "마야 학교" 설립, 마야 학교 지원 비정부 협회 조직, 마야 언어 관련 출판물 및 기타 관심사를 홍보하는 마야 출판사 설립 등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XI Censo Nacional de Población y VI de Habitación (Censo 2002) – Idioma o lengua en que aprendió a hablar http://www.ine.gob.g[...]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2008-05-27
[2] 서적 Rukorb'aal Poqom Q'orb'al: Gramática Poqom (Poqomam) Ciudad de Guatemala, Guatemala: Cholsamaj
[3] 논문 Agent Focus in Mayan Languages 2006-05
[4] 논문 Rukorb'aal Poqom Q'orb'al: Gramática Poqom (Poqomam). By Pala's José Francisco Santos Nicolás and Waykan José Gonzalo Benito Pérez. Guatemala City: Cholsamaj, 1998. Pp. 480 (Paper).Rukeemiik ja Tz'utujiil Chii': Gramática Tz'utujiil. By Ajpub' Pablo García Ixmatá. Guatemala City: Cholsamaj, 1997. Pp. 481 (Paper).Rukemik ri Kaqchikel Chi': Gramática Kaqchikel. By Lolmay Pedro García Matzar and Pakal B'alam José Obispo Rodríguez Guaján. Guatemala City: Cholsamaj, 1997. Pp. 485 (Paper).Ttxoolil Qyool Mam: Gramática Mam. By B'aayil Eduardo Pérez and Ajb'ee Odilio Jiménez. Guatemala City: Cholsamaj, 1997. Pp. 414 + appendixes (Paper).Gramática K'ichee'. By Saqijix Candelaria Dominga López Ixcoy. Guatemala City: Cholsamaj, 1997. Pp. 458 (Paper) 2005-04
[5] 논문 Mayan Language Revival and Revitalization Politics: Linguists and Linguistic Ideologies 2003-12
[6] 문서 Richards (2003) p.70
[7] 웹사이트 Pocomam Oriental http://multitree.org[...] MultiTree
[8] 문서 八杉(1999) pp.115-117
[9]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10] 문서 Campbell (2017) pp.54-55
[11] 논문 Reviewed Work: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by Raymond G. Gordon Jr.
[12] 웹사이트 Southern Pokomam (deprecated) https://iso639-3.sil[...] ISO 639-3
[13] 웹사이트 Eastern Pokomam (deprecated) https://iso639-3.sil[...] ISO 639-3
[14] 문서 Bennett (2016) p.481
[15] 문서 England and Baird (2017) p.175
[16] 문서 England and Baird (2017) p.176
[17] 문서 Zavala Maldonado (2017) p.234
[18] 문서 Polian (2017) pp.202,219
[19] 웹사이트 Poqomam https://www.ethnolog[...]
[20] 웹인용 XI Censo Nacional de Población y VI de Habitación (Censo 2002) - Idioma o lengua en que aprendió a hablar http://www.ine.gob.g[...]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2008-05-27
[21] 문서 Variación Dialectal en Poqom,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