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컬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트컬리스는 중세 성채 입구의 방어력을 강화하기 위해 설치된 수직 격자 형태의 방어 시설이다. 윈치, 체인 또는 로프를 사용하여 빠르게 올리고 내릴 수 있으며, 유사시 신속하게 닫아 성을 방어하는 데 유용했다. 포트컬리스는 런던탑, 에든버러성 등 오늘날까지 작동되는 상태로 남아 있는 곳이 있으며, 영어 명칭은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영국을 비롯한 영연방 국가에서는 문장의 소재로 사용되며, 튜더 왕조의 문장,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의 문장, 웨스트민스터궁과 영국 의회를 상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문 - 게이트 (공항)
공항 게이트는 승객이 항공기를 탑승하거나 내릴 때 이용하는 출입구로, 터미널 건물과 항공기를 연결하여 승객 이동을 돕고 항공기 운항을 지원하며, 승객 탑승 및 하차, 보안 검색, 대기 공간 제공, 정보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대문 - 관문
관문은 공간 출입 기능 외에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기능, 재료, 디자인, 문화적 맥락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고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 건축 요소이다. - 성관건축 - 성곽
성곽은 요새화된 장소의 방어를 위해 구축된 구조물로, 시대에 따라 흙, 돌, 벽돌, 두꺼운 벽 등의 재료와 형태를 달리하며 군사 기술과 건축 양식의 발전을 보여준다. - 성관건축 - 덴슈
덴슈는 일본 성의 상징적인 건축물로, 군사적 요새이자 성주의 권위를 나타내며 다양한 형식과 분류를 가지며, 방어성과 장식성을 갖추고 전쟁 시 사령탑 역할을 하였고, 메이지 시대 이후 중단되었다가 쇼와 시대 이후 재건되기도 한다. - 문장학의 도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문장학의 도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포트컬리스 | |
|---|---|
| 개요 | |
![]() | |
| 종류 | 문 |
| 용도 | 방어 입구 통제 |
| 재료 | 나무 철 |
| 특징 | |
| 작동 방식 | 수직으로 개폐 |
| 구조 | 일반적으로 나무 또는 금속 격자로 구성됨 |
| 위치 | 성문 또는 요새 입구 |
| 목적 | 적의 진입을 지연시키고 막음 |
| 역사 및 용도 | |
| 기원 | 중세 시대 |
| 주요 사용 장소 | 성, 요새, 성벽 도시 |
| 작동 방식 | 도르래 또는 윈치를 사용하여 올리고 내림 |
| 방어 전략 | 공격자에게 장애물을 제공 성벽 안으로 후퇴할 시간을 벌어줌 |
| 변형 | 이중 포트컬리스 여러 개의 포트컬리스 이동식 포트컬리스 |
| 기타 | |
| 관련 용어 | barbican (바비칸) drawbridge (도개교) gatehouse (문루) |
2. 용도
중세 성채에 설치됐던 포트컬리스는 입구의 방어력을 강화하여, 군사 공격이나 포위전이 벌어질 때 성을 안전하게 지키는 역할을 했다. 성벽 내 수직 홈에 장착되어, 내부에 달린 윈치의 체인이나 밧줄을 밀고 당겨 빠르게 올리고 내릴 수 있었다. 유사시 경비원 한 사람의 인력으로도 즉시 닫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두꺼운 대문보다 유용하다는 이점이 있었다.[12]
중세 성채의 포트컬리스는 입구 방어력을 강화하여, 군사 공격이나 포위전 때 성을 안전하게 지키는 역할을 했다. 성벽 내 수직 홈에 장착되어, 내부에 달린 윈치의 체인이나 밧줄로 빠르게 올리고 내릴 수 있었다. 경비원 한 사람의 인력으로도 즉시 닫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두꺼운 대문보다 유용했다.[12]
영어로는 Portcullis(포트컬리스)라고 하며, 이는 프랑스어의 "미닫이문"을 의미하는 "porte coulissante"에서 유래되었다. 프랑스어에서는 쇠스랑, 교회의 촛대를 의미하던 "Herse"가 1358-1359년 이후 "포트컬리스"를 가리키게 되었다.[8]
정문에 포트컬리스 두 개를 연달아 다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경우에는 안쪽에 달린 것을 먼저 닫고, 그 다음에 바깥쪽의 것을 닫았다. 중간에 남는 공간으로 적을 가두는 데 사용하였으며, 지붕이나 머더홀 (공격용 구멍)을 통해 불타는 나무나 불에 달군 모래를 끼얹어 적을 공격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세간에서는 뜨거운 기름을 끼얹어 공격했다는 인식이 있으나 실제로는 극히 드물었는데, 기름 자체가 매우 비쌌기 때문이다.[2] 성벽 측면에는 화살구멍을 뚫어 궁수와 석궁병이 갇혀 있는 적들을 죽이기도 했다.
3. 구조
정문에 포트컬리스 두 개를 연달아 설치하기도 했다. 안쪽 포트컬리스를 먼저 닫고, 바깥쪽 포트컬리스를 닫아 그 사이에 적을 가두는 방식으로 사용했다. 갇힌 적에게는 지붕이나 머더홀 (공격용 구멍)을 통해 불타는 나무나 불에 달군 모래를 끼얹어 공격했다. 뜨거운 기름은 매우 비쌌기 때문에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2] 성벽 측면에는 화살구멍을 뚫어 궁수와 석궁병이 갇힌 적들을 공격했다.
포트컬리스는 수직으로 오르내리므로, 설치할 성문에 수직 홈을 파서 끼워 사용한다. 균형추, 윈치, 사슬 또는 로프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하강과 상승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하단은 말뚝 모양이며, 지면에는 말뚝을 받기 위한 움푹한 곳을 설치하고 완충재 역할을 하는 흙을 채워 넣어 하강 시 충격으로 부서지지 않도록 했다.[9]
4. 각 언어별 명칭
5. 문장
영국을 비롯한 영연방 국가에서 문장의 소재로 사용된다. 영국의 귀족가문인 뷰포트 가는 포트컬리스를 문장으로 삼았으며, 잉글랜드 왕국 튜더 왕조의 헨리 7세는 모계 혈통이 뷰포트 가에 속했던 관계로 포트컬리스와 튜더 장미를 튜더가의 왕실문장으로 채택하였다. 이를 계기로 포트컬리스는 영국 문장학에서 보편적인 소재가 되었다.[13][14]
18세기 말 제5대 뷰포트 공작의 아들 찰스 서머싯 경은 케이프 식민지 총독 재임 시절, 남아프리카 식민지의 여러 문장에 포트컬리스를 사용하였다. 서머싯 경은 우스터, 서머싯웨스트, 포트뷰포트, 뷰포트웨스트 등 여러 도시를 건설하고 가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는데, 이들 도시의 문장 뿐만 아니라 학교, 상공회의소, 럭비 클럽의 문장에도 포트컬리스가 널리 활용되었다.
웨스트민스터궁과 영국 의회는 포트컬리스 문장을 사용한 대표적인 예시이다. 1834년 화재로 소실된 이후 찰스 배리 경의 주도로 궁전을 재건하면서, '입법의 성' (legislative castle)이라는 취지에 따라 성에 매다는 포트컬리스를 상징으로 채택하였다. 현재 포트컬리스는 영국 상원과 영국 하원의 상징이며, 2001년에는 영국 국회의원들을 위한 새 사무용 건물 이름을 '포트컬리스 하우스' (Portcullis House)라 명명하기도 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의 문장은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와 영국 의회 간의 연대를 나타내기 위해 포트컬리스를 소재로 삼았다. 캐나다에서는 캐나다 국경관리청의 배지, 문장, 상징기에 포트컬리스가 들어가 있으며, 영국 국왕의 대리인으로서 캐나다 국경 출입을 담당하고 있음을 상징한다.[15]
이밖에도 지금은 폐지된 영국 관세소비세국 (HM Customs and Excise)의 상징기, 옛 영국 1페니 동전의 도안에도 포트컬리스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영국 왕실 문장으로 대체되었다.
포트컬리스는 다음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블라존에서 언급하지 않더라도 종종 쇠사슬이 부착된 채로 표시된다.
참조
[1]
문서
OEtymD|portcullis
[2]
서적
[3]
웹사이트
Hever Castle
2011-07-04
[4]
웹사이트
Monk Bar
2011-07-04
[5]
서적
The Great Palace: The Story of Parliament
https://archive.org/[...]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6]
간행물
Westminster and the Victorian
Royal Historical Society
[7]
웹사이트
About the CBSA: CBSA Heraldry
https://www.cbsa-asf[...]
The Government of Canada
2015-01-21
[8]
웹사이트
herse etymologie(herse語源)
http://www.cnrtl.fr/[...]
[9]
서적
[10]
서적
[11]
문서
OEtymD|portcullis
[12]
서적
[13]
서적
The Great Palace: The Story of Parliament
https://archive.org/[...]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4]
저널
Westminster and the Victorian
Royal Historical Society
[15]
웹인용
About the CBSA:CBSA Heraldry
https://www.cbsa-asf[...]
The Government of Canada
2020-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