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데네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데네어족은 에드워드 사피어가 처음 명명한 언어 분류로, 애서배스카어파, 틀링깃어, 하이다어를 포함하려 했으나 현재는 하이다어를 제외하고 틀링깃어와 애서배스카·이야크어파를 주요 구성으로 본다. 나데네어족은 복잡한 동사 접두사 체계, 다양한 자음 체계 등 독특한 언어학적 특징을 가지며, 예니세이어족과의 연관성, 시노티베트어족과의 연관성 등 다른 어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전학적으로는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과 달리 시베리아 기원의 유전자를 일부 가지고 있으며, 알래스카에서 기원하여 남쪽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데네어족 - 데네예니세이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은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을 묶어 제안된 가설적인 어족으로,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간 언어적 연속성을 시사하지만,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논쟁으로 가설의 타당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 나데네어족 - 틀링깃어
    틀링깃어는 북아메리카의 나-데네 어족에 속하며 알래스카만 연안과 알래스카 남동부, 캐나다 일부, 워싱턴주 등지에서 사용되고 복잡한 음운 체계와 동사 중심의 문법 구조를 가진 언어로, 알래스카 동남 대학교를 중심으로 언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고 알래스카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나데네어족
언어 정보
이름나데네어족
다른 이름아사바스카-이야크-틀링깃어족
로마자 표기Na-Dene eo-jok
나데네어족의 분포
나데네어족의 분포
지역북아메리카
계통데네-예니세이어족?
하위 언어틀링깃어
아사바스카어 – 이야크어파
ISO 639-5xnd
Glottologatha1245
Glottolog 참조 이름Athabaskan–Eyak–Tlingit

2. 이름의 유래

에드워드 사피어가 처음 나데네어족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을 때는 애서배스카어파, 틀링깃어, 하이다어를 합한 어족이라는 뜻이었다. 당시에 이야크어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그에게 알려지지 않았다.[1] 그의 논문 “The Na-Dene languages: A preliminary report”에서 사피어는 나데네어족이라는 이름을 붙인 경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1]

The name that I have chosen for the stock, ''Na-dene'', may be justified by reference to no. 51 of the comparative vocabulary. ''Dene'', in various dialectic forms, is a wide-spread Athabaskan term for "person, people"; the element ''*-ne'' (''*-n'', ''*-η'') which forms part of it is an old stem for "person, people" which, as suffix or prefix, is frequently used in Athabaskan in that sense. It is cognate with H. ''na'' "to dwell; house" and Tl. ''na'' "people". The compound term ''Na-dene'' thus designates by means of native stems the speakers of the three languages concerned, besides continuing the use of the old term ''Dene'' for the Athabaskan branch of the stock.영어

내가 이 어족에 붙인 ‘나데네어족’이라는 이름은 비교어휘목록의 51번 항목에서 나온 것이다. ‘데네’ 및 그 다양한 방언형은 애서배스카어에 널리 퍼진 단어로 “사람,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그 일부분인 *-ne (*-n, *-η) 라는 요소는 “사람, 사람들”을 뜻하는 옛 어간이며, 같은 의미의 접미사 또는 접두사로 애서배스카어에서 널리 쓰인다. 이는 하이다어의 na “거주하다, 집” 및 틀링깃어의 na “사람들”과 동계어이다. 따라서 이를 합친 ‘나데네’는 토착 어간으로써 이 세 언어의 화자들을 지칭하고, 한편으로는 애서배스카를 가리키는 옛 용어인 ‘데네’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의미가 있다.한국어

3. 분류

나데네어족은 크게 틀링깃어와 애서배스카·이야크어파로 나뉜다. 에드워드 사피어를 따르는 학자들은 하이다어를 나데네어족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오늘날 가장 많이 쓰이는 나데네어족 언어는 나바호어로서 애리조나, 뉴멕시코 등 미국 서남부 지역에서 쓰인다.

3. 1. 틀링깃어

틀링깃어는 화자가 700명이다.[3] 알래스카, 캐나다 서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3. 2. 애서배스카·이야크어파

애서배스카·이야크어파는 나데네어족의 한 갈래이다. 에드워드 사피어를 따르는 학자들은 하이다어를 나데네어족에 포함시키고, 하이다어가 독립된 갈래를 이루며, 나머지 애서배스카·이야크·틀링깃어가 하나의 갈래를 이룬다고 본다.

3. 2. 1. 이야크어

이야크어는 알래스카 중남부에서 쓰였으나, 2008년에 마지막 화자인 마리 스미스 존스가 사망하면서 사멸했다.[27] 현재 이야크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다.[3]

3. 2. 2. 애서배스카어파

애서배스카어파(데네어파)는 앨버타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매니토바주, 노스웨스트 준주, 누나부트 준주, 서스캐처원주, 유콘 준주, 알래스카, 오리곤 일부, 캘리포니아 북부, 미국 남서부, 멕시코 북부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분포하는 북미 원주민 언어들로 이루어져 있다. 애서배스카어파 서남부의 언어들은 남애서배스카어군 또는 아파치어군이라 불리며 나바호어아파치족의 모든 언어가 여기 속한다.

  • 북애서배스카어군
  • 태평양해안애서배스카어군
  • 남애서배스카어군 (아파치어군)

4. 유형학적 특징

나데네어족 언어들은 공통적으로 시제와 서법 표지가 주어와 목적어 일치 표지 사이에서로 얽혀 있는 매우 복잡한 동사 접두사 체계를 지녔다. 나데네어족의 형태론적 특징은 동사 어근 바로 앞에 붙어 동사의 결합가를 높이거나 낮추는 접두사 계열이다. 이 접두사들은 전통적으로 "분류사"라 불리며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세 종류의 형태소에서 온 것인데,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어족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나데네어족의 음운체계에는 설배음(연구개음구개수음) 자음이 많고(여러 현대 애서배스카 언어에서는 각각 경구개음과 연구개음으로 전진했다), 대체로 양순 장애음이 없다 (*w|영어로부터 /b/|영어가 나온 경우는 제외). 애서배스카 언어에서는 과거 음절말의 성문음 자질로부터 성조가 발생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성문음 자질은 종종 이야크어나 틀링깃어에 보존되어 있다. 나데네어족 언어들은 SOV형 어순이고 후치사를 사용하는 등 접미사를 주로 사용하는 언어의 언어유형학적 특징을 지녔지만 실제로는 접두사를 매우 활발하게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형학적으로 특이하다.

5. 다른 어족과의 관계

19세기틀링깃어, 이야크어, 애스배스카어파가 같은 계통이라는 주장이 처음 제기되었으나, 널리 인정받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프란츠 보아스하이다어틀링깃어가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했고, 에드워드 사피어하이다어, 틀링깃어, 애스배스카어파가 모두 같은 계통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하이다어고립어로 보는 것이 정설이며, 라일 캠벨은 '나데네어족' 대신 '애서배스카·이야크·틀링깃어족'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시베리아예니세이어족(켓트어)이나 히말라야 서쪽의 부르샤스키어와 유사하다는 설도 있었지만 널리 인정받지 못했다. 그러나 2008년 에드워드 새뮤얼 와이다가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이 동계라는 연구를 발표하면서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이 유력하게 떠올랐다.[28][29] 이와는 별도로 중국티베트어족과 근연 관계라는 견해도 존재한다.[30][31]

5. 1. 초기 가설

19세기 초에 틀링깃어, 이야크어, 애스배스카어파가 같은 계통이라는 주장이 처음 나왔지만 널리 인정받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1894년 프란츠 보아스하이다어틀링깃어가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그 뒤 에드워드 사피어는 1915년에 하이다어와 틀링깃어 모두 애서배스카 언어들과 같은 계통이라고 주장했다. 오늘날 라일 캠벨과 같은 언어학자들은 하이다어를 연결지을 근거가 부족하며 하이다어는 고립어라고 본다.[28][29] 캠벨은 하이다어가 속하지 않음을 강조하기 위해 ‘나데네어족’이라는 이름 대신 ‘애서배스카·이야크·틀링깃어족’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2010년 제프 리어는 애서배스카·이야크·틀링깃조어(PAET)에 대한 폭넓은 재구 자료를 발표하였다.

시베리아 원주민의 예니세이어족(켓트어)이나 히말라야 서쪽의 부르샤스키어와 유사한 점이 있어 이들과 동계라는 설도 있었지만, 언어학적으로 널리 인정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2008년 에드워드 새뮤얼 와이다에 의해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이 동계라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것은 동사 형태론과 음운의 비교에 따른 엄밀한 방법론에 기초한 것으로, 유력한 가설로 여겨지고 있다. 이 두 어족을 합쳐 데네-예니세이어족이라는 명칭이 제안되고 있다.[28][29] 참고로, 이와는 별도로 중국-티베트어족과 근연이라는 견해도 있다.[30][31]

또한 태평양 연안의 하이다어도 한때 나데네어족에 포함되었지만, 현재는 별개의 고립어로 보는 것이 정설이다.

5. 2. 데네예니세이어족

2008년에 에드워드 바이다는 나데네어족이 시베리아예니세이어족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증거를 발표했다.[34] 오늘날 예니세이어족에서 살아남은 언어는 케트어가 유일하다.

오늘날의 비교 재구 방법론에 따른 핵심 증거는 동사 접두사의 대응 관계, 케트어 성조와 나데네어족 자음 사이의 체계적 대응 관계 등이다. 바이다의 논문은 마이클 크라우스, 제프 리어, 제임스 카리, 하인리히 베르너 등 여러 나데네어족과 예니세이어족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버나드 콤리, 조애나 니콜스, 빅터 골라, 마이클 포티스큐, 에릭 햄프 등 저명한 언어학자 다수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바이다의 주장에 의하면 예니세이어족 자료와 비교해 봤을 때 하이다어는 애서배스카·이야크·틀링깃어족과 같은 계통이라고 볼 수 없다.[32] 이 두 어족을 합쳐 데네예니세이어족이라는 명칭이 제안되고 있다.[28][29]

5. 3. 시노티베트어족

'''시노-데네어족''' 가설은 에드워드 새피어가 나데네어족과 시노티베트어족 간의 연관성을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 1920년경 새피어는 나데네어족이 다른 아메리카 어족보다 시노티베트어족과 더 가깝다고 확신했다.[5] 그는 알프레드 크뢰버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데네어족과 "인도차이나어족" 간의 연관성을 언급했다. 1925년에는 그의 생각을 요약한 "중국어와 인도어의 유사점"이라는 논문이 사이언스 서플리먼트에 발표되었다. 시노-데네 가설은 미국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로버트 셰이퍼와 모리스 스웨이디시에 의해 다시 연구되었다.[6][7]

에드워드 바이다의 데네-예니세이어족 가설은 제프리 캐버니와 같은 언어학자들이 시노-데네 가설을 다시 검토하게 만들었다. 캐버니는 시노티베트어족, 나데네어족, 예니세이어족 간의 연관 가능성은 인정했지만, 시노티베트어족과 나데네어족이 코카서스어족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시노-코카서스어족 및 데네-코카서스어족)은 지지하지 않았다.[8]

데이비드 브래들리는 2023년 비교 언어학의 표준 기법을 사용하여 시노티베트어족, 나데네어족, 예니세이어족 간의 먼 유전적 연관성을 지지하는 분석을 발표했다. 브래들리는 시노티베트어족이 흐몽-미엔어족, 알타이어족(실제로는 어족연합이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라다이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같은 동아시아 지역의 다른 어족과 공유하는 유사성은 접촉을 통해 발생했지만, 시노티베트어족, 나데네어족, 예니세이어족 간에는 최근 접촉이 없었으므로 이들 그룹이 공유하는 유사점은 잔류적인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9]

중국-티베트어족과 근연이라는 견해도 있다.[30][31]

5. 4. 기타 가설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다양한 출판물에서 부다(Bouda)는 (예니세이어와 중국티베트어족 외에도) 북카프카스어, 부루샤스키어를 포함하는 언어 네트워크를 설명했는데, 일부 형태는 시노카프카스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R. 블라이히슈타이너[12]와 O.G. 타일러,[13] 세르게이 스타로스틴[14]과 세르게이 L. 니콜라예프[15]의 연구는 이러한 연관성을 확인하려고 시도했다. 이 가설을 발전시킨 다른 학자들로는 J.D. 벵츠손,[16] V. 블라젝,[17] 조지프 그린버그(메릿 룰렌과 함께),[18] M. 룰렌[19]이 있으며, 종종 데네카프카스어족으로 확장하여 제시하기도 했다. 조지 스타로스틴(George Starostin)은 예니세이어, 시노카프카스어 및 기타 분야에서 아버지의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20]

이 이론은 다른 언어학자들에 의해 매우 논란의 여지가 있거나 구식으로 간주된다.[21][22][23]

시베리아 원주민의 예니세이어족(켓어)이나 히말라야 서쪽의 부르샤스키어와 유사한 점이 있어 이들과 동계라는 설도 있었지만, 언어학적으로 널리 인정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2008년 에드워드 새뮤얼 와이다에 의해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이 동계라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것은 동사 형태론과 음운의 비교에 따른 엄밀한 방법론에 기초한 것으로, 유력한 가설로 여겨지고 있다. 이 두 어족을 합쳐 데네예니세이어족이라는 명칭이 제안되고 있다.[28][29] 참고로, 이와는 별도로 중국티베트어족과 근연이라는 견해도 있다.[30][31]

또한 태평양 연안의 하이다어도 한때 나데네어족에 포함되었지만, 현재는 별개의 고립어로 보는 것이 정설이다.

6. 장애음 대응 관계

Jeff Leer영어가 재구한 나데네어족의 자음 체계에서, 특히 장애음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장애음 대응 관계
PAET영어[1]PAE영어[1]PA영어[1]이야크어틀링깃어
일반L영어-동화
colspan=5 |
colspan=5 |
colspan=5 |
colspan=6 style="background:#CCCCCC"|
colspan=4 |,
colspan=2 |colspan=2 |
colspan=6 style="background:#CCCCCC"|
colspan=5 |?
colspan=4 |()
colspan=4 |, ()
colspan=2 |()
colspan=6 style="background:#CCCCCC"|
,
rowspan=2 colspan=3 |
,
rowspan=2 colspan=3 |,,
rowspan=2 |rowspan=2|colspan=2 |
;
colspan=6 style="background:#CCCCCC"|
colspan=2 |rowspan=2 |
colspan=2 |
colspan=2 |rowspan=2|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rowspan=2|
colspan=2 |
colspan=6 style="background:#CCCCCC"|
colspan=3 |rowspan=2|rowspan=2|
colspan=2 |
colspan=3 |rowspan=2|rowspan=2|
colspan=2 |
colspan=3 |rowspan=2|
colspan=2 |
colspan=2 |rowspan=2|
colspan=2 |
비체계적 장애음 대응 관계
rowspan=2 |rowspan=2 |
colspan=2 |
$$ ();



위 표에서 PAET는 애서배스카·이야크·틀링깃조어, PAE는 애서배스카·이야크조어, PA는 애서배스카조어를 뜻한다.[1]

이러한 대응 관계는 나데네어족 언어들이 어떻게 서로 관련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예를 들어, PAET의 는 모든 후손 언어에서 로 나타나지만, PAET의 는 PA에서는 로, 이야크어에서는 로, 틀링깃어에서는 }}로 다르게 나타난다.

Leer영어는 PAET에 파찰음 , , 을 재구하지 않았는데, 이들이 드물다는 점에서 예전의 자음군이 해소된 결과라고 설명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1]

또한, 애서배스카어파와 이야크어에서 치경 치찰음은 후치경 치찰음의 지소형인 경우가 있으며, 반대로 틀링깃어에서 후치경 치찰음은 치경 치찰음의 지소형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대응 관계는 위 표에서 괄호 안에 나타냈다.[1]

7. 유전학적 연구

나-데네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다른 북아메리카 원주민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집단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코랴크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시베리아 출신의 유전자를 약 10% 정도 가지고 있다. 나-데네어족 조상과 이 시베리아 집단 사이의 접촉은 약 9,000년 전에서 5,500년 전 사이에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24] 나-데네어족의 기원지는 알래스카였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25] 아타바스칸족의 대규모 남쪽 이동은 약 1,000년 전에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로 인해 북아메리카 남부에 정착하게 되었다.[26]

참조

[1] 웹사이트 Dene–Yeniseic Symposium http://www.uaf.edu/a[...] 2010-03-30
[2] 논문 Linguistic Phylogenies Support Back-Migration from Beringia to Asia 2014-03-12
[3] 웹사이트 Cultural Defense Fund :: Eyak Revitalization Project https://www.eyakpres[...] 2024-03-16
[4] 문서 Vajda 2010
[5] 논문 The origin of the Na-Dene 1998-11-10
[6] 논문 Once again on the history and validity of the Sino-Tibetan bifurcate model / Еще раз к вопросу об истории и степени обоснованности бинарной модели классификации сино-тибетских языков https://www.degruyte[...] 2024-01-09
[7] 논문 Once again on the history and validity of the Sino-Tibetan bifurcate model / Еще раз к вопросу об истории и степени обоснованности бинарной модели классификации сино-тибетских языков https://www.degruyte[...] 2024-01-09
[8] 논문 Sino-Tibetan ŋ- and Na-Dene *kw- / *gw- / *xw-: 1st Person Pronouns and Lexical Cognate Sets 2014
[9] 논문 Ancient Connections of Sinitic 2023-07-24
[10] 웹사이트 Earliest Americans arrived in 3 waves, not 1, DNA study finds https://www.nytimes.[...] 2018-03-18
[11] 웹사이트 Center for the Study of the First Americans http://www.centerfir[...] Texas A&M University 2011-05-15
[12] 문서 Bleichsteiner 1930
[13] 문서 Tailleur 1958 and Tailleur 1994
[14] 문서 Starostin 1982, Starostin 1984, Starostin 1991, Starostin & Ruhlen 1994
[15] 문서 Nikola(y)ev 1991
[16] 문서 Bengtson 1994, Bengtson 1998, Bengtson 2008
[17] 문서 Blažek & Bengtson 1995
[18] 문서 Greenberg & Ruhlen and Greenberg & Ruhlen 1997
[19] 문서 Ruhlen 1997, Ruhlen 1998a, Ruhlen 1998b
[20] 문서 Reshetnikov & Starostin 1995a, Reshetnikov & Starostin 1995b, Dybo & Starostin
[21] 서적 The dictionary of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0
[22]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8
[23] 서적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Matching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0-19
[24] 논문 Peopling of the Americas as inferred from ancient genomics https://www.nature.c[...] 2024-05-07
[25] 서적 Mid-Holocene Language Connections between Asia and North America https://brill.com/vi[...] BRILL 2024-05-07
[26] 논문 A Multiscalar Consideration of the Athabascan Migration http://dx.doi.org/10[...] 2024-05-07
[27] 뉴스 Marie Smith, the last speaker of the Eyak language, died on January 21st, aged 89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8-02-07
[28] 문서 A Siberian Link with Na-Dene Languages http://www.uaf.edu/a[...] 2008
[29] 웹사이트 Dene-Yeniseic Symposium http://www.uaf.edu/a[...]
[30] 논문 Athapaskan and Sino-Tibetan 1952
[31] 논문 SINO-TIBETAN ŋ- AND NA-DENE *kw- / *gw- / *xw-: 1 st PERSON PRONOUNS AND LEXICAL COGNATE SETS / 漢藏語的 ŋ- 及納得內語的 *kw- / *gw- / *xw-: 第一人稱代詞及詞匯同源組 2014
[32] 웹사이트 Dene–Yeniseic Symposium http://www.uaf.edu/a[...] 2010-03-30
[33] 웹사이트 Linguistic Phylogenies Support Back-Migration from Beringia to Asia http://www.plosone.o[...] 2014-11-25
[34] 문서 Vajda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