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풍기 진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기 진씨는 당나라 병부시랑 진필명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진필명은 660년 나당 연합군의 장수로 백제를 멸망시킨 후 신라에 귀화하여 태원백에 봉해졌으며, 그의 후손 진질명은 고려 의종 때 문하좌시중을 지냈다. 풍기 진씨는 대원 진씨, 영춘 진씨, 남원 진씨 등으로 분파되었으며,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5명, 무과 급제자 6명, 사마시 합격자 7명을 배출했다. 경상북도 영주시를 중심으로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2015년 기준 풍기 진씨는 12,974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풍기 진씨 - 진종오
    진종오는 사격에 대한 열정으로 전국체육대회 우승을 시작, 올림픽 사격 개인 종목 3연패를 달성하고 국민의힘 비례대표로 제22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이자 정치인이다.
  • 풍기 진씨 - 진양혜
    진양혜는 1993년 KBS 공채 아나운서로 데뷔하여 여러 방송사에서 프로그램 진행을 맡았으며, 광고 모델로 활동하고 저서를 출간한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풍기 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결된 인물진종오
가문 정보
본관경상북도 영주시
중시조진질명(秦礩溟)
인구 통계 (2015년)
인구12,974명
주요 인물
인물진질명, 진유경, 진동익, 진희규, 진성호, 진종오, 진기주
집성촌
위치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 노좌리
경상북도 예천군 은풍면 송월리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제주특별자치도

2. 역사

《풍기진씨족보(豊基秦氏族譜)》에 의하면 시조 진필명은 당나라 고종 때 병부시랑을 지냈으며, 660년(태종무열왕 7) 소정방 등과 함께 나당 연합군의 대사마대장군으로 참전하여 백제를 멸망시킨 뒤 신라에 귀화하여 태원백에 봉해졌다고 한다. 15세손 진질명은 고려 의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좌시중으로 정중부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기주부원군에 봉해졌다.[6] 기주가 풍기로 개명되었고, 자손들은 풍기를 본관으로 삼아왔다.[4]

2. 1. 시조 및 기원

秦弼明|진필명중국어은 당나라 고종 때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지냈으며, 660년(태종무열왕 7)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소정방 등과 함께 나당(羅唐) 연합군의 장수로 참전하여 백제를 멸망시킨 뒤 신라에 귀화하여 태원백(太原伯)에 봉해졌다고 한다.[6]

15세손 秦礩溟|진질명중국어은 고려 의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으로 정중부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기주부원군(基州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6]

진씨는 중국황제의 증손이자 곡의 아들인 계중의 증손 미의 16세손 희자가 주의 선왕을 섬기며 많은 공을 세워 웅주를 하사받고 진씨를 사성받았다고 한다.

2. 2. 고려 시대

《풍기진씨족보(豊基秦氏族譜)》에 따르면, 시조 '''진필명'''(秦弼明)은 당나라 고종 때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지냈으며, 660년(태종무열왕 7) 소정방(蘇定方) 등과 함께 나당(羅唐) 연합군의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참전하여 백제를 멸망시킨 뒤 신라에 귀화하여 태원백(太原伯)에 봉해졌다고 한다.

15세손 진질명(秦礩溟)은 고려 의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으로 정중부(鄭仲夫)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기주부원군(基州府院君)에 봉해졌다.[6] 기주가 풍기로 개명되었고, 자손들은 풍기를 본관으로 삼아왔다.[4]

3. 분파

풍기 진씨는 15세손에서 진질명(秦礩溟)의 형 진질직(秦礩直)은 대원 진씨, 진질황(秦礩晃)은 영춘 진씨로 분관하였다고 한다. 19세손 진왕도(秦王道)는 전서(典書)를 역임하고 남원 진씨로 분관하였다고 한다. 진석명(秦礩溟)의 형인 진석직(秦礩直)과 진석황(秦礩晃)의 후손은 삼척파(三陟派)와 영춘파(永春派)로 분파되었다.


  • 선기랑공파(宣啓郎公派)
  • 순천공파(順天公派)
  • 산음공파(山陰公派)
  • 감사공파(監司公派)
  • 감정공파(監正公派)
  • 제학공파(提学公派)
  • 전서공파(典書公派)
  • 참찬공파(参賛公派)

3. 1. 본관

풍기는 경상북도 북부 영주시에 속해있다. 신라 때에는 기목진(基木鎭)이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기주(基州)로 개칭되었고, 1018년(현종 9) 안동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1172년(명종 2)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1) 은풍현(殷豊縣)을 병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기천현(基川縣)으로 개칭하여 오다가 1450년(세종 32) 은풍(殷豊)과 기천(基川)을 합하여 풍기군(豊基郡)으로 승격되었다. 1896년 경상북도 풍기군이 되었다가 1914년 영주군에 통합되었다. 1973년 풍기면이 풍기읍으로 승격되었다.

4. 인물


  • 진유경: 1444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참의를 지냈다.
  • 진재해: 조선의 화가
  • 진동익 (1773년 ~ ?): 조선 후기 역관으로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 진교훈 (1937년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진성규 (1949년 ~):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 진경환 (1958년 ~): 국립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
  • 진기남 (1960년 ~):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
  • 진종오: 올림픽 사격 금메달리스트

5. 과거 급제자

풍기 진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5명, 무과 급제자 6명, 사마시 합격자 7명을 배출하였다.[5] 이 외에도 역과, 율과, 의과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5. 1. 문과

진유경, 진담, 진연, 진명홍, 진상홍[5]

5. 2. 무과

진계남, 진관익, 진국, 진극례, 진몽성, 진신[5]

5. 3. 생원시

진개신, 진상홍, 진연[5]

5. 4. 진사시

진여권, 진용, 진익형, 진혁[5]

5. 5. 역과

이름
진계환
진규환
진동익
진몽현
진상목
진상언
진상우
진윤건
진응환
진정국
진정환
진종환
진주국
진학명
진희영
진희완
진희철
진희홍


5. 6. 율과

진익선(秦益善)

5. 7. 의과

진경환, 진동석, 진동수, 진동직, 진두환, 진문환, 진상건, 진성환, 진식, 진영, 진창백, 진학순, 진후관, 진흥백, 진희룡, 진희봉[5]

6. 집성촌


7. 항렬자

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
기(基)진(鎭)홍(洪)동(東)용(容)재(在)현(鉉)준(準)주(柱)형(炯)교(敎)흠(欽)우(雨)근(根)영(榮)균(均)


8. 인구

연도인구
1985년9,856명
2000년11,046명
2015년15,484명[1]



2015년 인구는 풍기 진씨 12,974명, 대원 진씨 464명, 영춘 진씨 35명, 남원 진씨 2,011명을 합한 수치이다.[1]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풍기진씨 豊基秦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6
[4] 네이버 지식백과 풍기 진씨 https://terms.naver.[...]
[5]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LST_212_651_0520
[6] 웹인용 풍기 진씨 http://www.jokbo.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