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브레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이브레드는 아메리카 원주민이 미국 정부의 배급 식량으로 만들어 먹기 시작한 튀긴 빵으로, 강제 이주와 식민주의의 역사를 담고 있다. 1864년 나바호족의 강제 이주 과정에서 배급된 밀가루, 라드, 설탕 등을 활용해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사우스다코타 주의 공식 빵으로 지정되었다. 프라이브레드는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며, 긍정적인 측면과 비판적인 시각이 공존한다. 빵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며, 나바호 타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또한 영화, 음악, 문학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등장하며, 배넉, 랑고스 등 유사한 음식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빵 - 프렌치 토스트
프렌치 토스트는 얇게 썬 빵을 달걀과 우유 혼합물에 적셔 버터에 구운 요리로, 'Aliter Dulcia'라는 고대 조리법에서 기원하여 중세 유럽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발전해왔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아침 식사나 디저트로 널리 즐겨진다. - 미국의 빵 - 팬케이크
팬케이크는 밀가루, 달걀 등을 반죽하여 굽는 음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와 조리법이 존재하며, 아침 식사, 간식, 디저트 등으로 즐겨 먹는다. - 아메리카 원주민 요리 - 아히아코
아히아코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스튜로, 쿠바에서는 타이노족 전통 음식으로 여겨지며 지역 축제와 관련 있고, 콜롬비아 보고타에서는 닭고기와 세 종류의 감자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이는 등 각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요리이다. - 아메리카 원주민 요리 - 메이플 시럽
메이플 시럽은 북아메리카 원주민 전통 식품에서 유래하여 단풍나무 수액을 농축해 만든 감미료로, 다양한 채취 및 농축 과정을 거쳐 여러 등급으로 나뉘며, 캐나다, 특히 퀘벡주에서 주로 생산된다. - 납작빵 - 볼라니
볼라니는 아프가니스탄의 전통 음식으로, 반죽에 속을 채워 튀기거나 구워 바삭한 식감과 고소한 맛 또는 독특한 풍미를 내는 음식이다. - 납작빵 - 크네케브뢰드
크네케브뢰드는 스웨덴과 핀란드에서 유래된 납작하고 바삭한 빵으로, 호밀가루 등을 사용해 만들어 건조하여 섭취하며 일상적인 식사나 비상식량으로 활용된다.
프라이브레드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납작빵 |
국가 | 북아메리카 |
창시자 | 아메리카 원주민 |
주재료 | 반죽, 팽창제, 지방 (식용유, 쇼트닝, 또는 라드) |
기타 | 사우스다코타의 주 빵 |
2. 역사
프라이브레드는 미국 남서부에 선주하는 나바호족의 음식으로 여겨지지만, 1864년 롱 워크 오브 나바호 때 미국 정부에서 배급된 재료로 만들 수밖에 없었던 고지방, 고칼로리 빵이다. 2005년 사우스다코타 주의 공식 빵으로 지정되기도 했다.[2]
2. 1. 아메리카 원주민의 강제 이주와 프라이브레드의 탄생
1864년, 미국 연방 정부는 애리조나에 살던 나바호족을 뉴멕시코의 보스케 레돈도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른바 "롱 워크"라 불리는 이 사건으로 인해 나바호족은 삶의 터전을 잃고 정부가 제공하는 식량에 의존해야 했다.[4] 당시 미국 정부가 배급한 식량은 밀가루, 라드, 설탕 등이었는데, 나바호족은 이를 이용해 프라이브레드를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16][4] 이는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이 음식은 결국 다른 부족들에게도 퍼져나갔으며, 기숙 학교 역시 아메리카 원주민 식단에 프라이브레드가 퍼지는 데 기여했다.[3][1]2. 2. 프라이브레드의 확산과 논란
아메리카 원주민이 땅을 빼앗기고 미국 연방 정부의 식량 배급을 받아 살아가게 되었을 때, 배급 식량이었던 밀가루, 라드, 설탕을 이용해 프라이브레드를 만들어 먹었다.[16] 달고 기름진 음식인 프라이브레드는 그 후 아메리카 원주민의 비만 및 성인병 문제에 일조했다.[16]나바호족의 전통에 따르면, 프라이브레드는 1864년 애리조나에 살던 나바호족이 "롱 워크"로 알려진 300마일의 여정을 강제로 떠나 뉴멕시코의 보스케 레돈도로 이주해야 했을 때, 미국 정부가 제공한 밀가루, 설탕, 소금, 라드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4] 이주한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굶주리는 것을 막기 위해 미국 정부는 기본적인 식량 품목을 제공했는데, 여기에는 숯불 위 뜨거운 라드 팬에 구워 프라이브레드로 알려진 간단한 퀵 브레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가 포함되었다.[4] 이 음식은 결국 다른 부족들에게도 퍼져나갔다.[3] 기숙 학교 역시 아메리카 원주민 식단에 프라이브레드가 퍼지는 데 기여했다.[1]
프라이브레드는 2005년 사우스다코타 주의 공식 빵으로 지정되었다.[2] 같은 해, 활동가 수잔 쇼운 하조는 ''인디언 컨트리 투데이''에 프라이브레드에 반대하는 글을 써서 이 요리를 "집과 자유에서 구금과 배급으로 이어지는 긴 여정의 상징... 건강한 아이들과 비만, 고혈압, 당뇨병, 투석, 실명, 절단 및 서서히 죽음에 이르는 연결 고리"라고 칭했다. 비평가들은 하조가 지나치게 과장하고 아메리카 원주민이 겪는 문제에 대해 프라이브레드를 부당하게 비난한다고 비판했다.[4] 2012년, 피닉스 레스토랑 프라이 브레드 하우스는 제임스 비어드 재단으로부터 아메리칸 클래식으로 선정되었다.[10] 뉴멕시코주에서 먹는 Sopaipilla|소파이피야영어의 영향도 엿볼 수 있다.
3. 문화적 상징성
프라이브레드는 북미 원주민 문화와 식민주의, 강제 이주에 대한 감정, 그리고 민족과 문화의 회복력에 대한 자부심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4][3] ''스미소니언 매거진''에 따르면, 많은 북미 원주민들에게 "프라이브레드는 세대와 세대를 연결하고 현재를 북미 원주민 역사의 고통스러운 서사와 연결한다"라고 한다.[4]
프라이브레드의 북미 원주민에 대한 의미는 복잡하다고 묘사되었으며,[4] 그들과의 관계는 상반된다.[5] 프라이브레드가 종종 "전통" 북미 원주민 요리와 연관되지만, 일부 북미 원주민 셰프들은 이를 식민주의의 상징으로 거부하기도 한다.
3. 1. 고통스러운 역사와 회복력의 상징
아메리카 원주민이 땅을 빼앗기고 미국 연방 정부의 식량 배급을 받아 살아가게 되었을 때, 배급 식량이었던 밀가루, 라드, 설탕을 이용해 프라이브레드를 만들어 먹었다.[16] 달고 기름진 음식인 프라이브레드는 그 후 아메리카 원주민의 비만 및 성인병 문제에 일조했다.[16]프라이브레드는 북미 원주민 문화와 식민주의, 강제 이주에 대한 감정, 그리고 민족과 문화의 회복력에 대한 자부심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게 되었다.[4][3] ''스미소니언 매거진''에 따르면, 많은 북미 원주민들에게 "프라이브레드는 세대와 세대를 연결하고 현재를 북미 원주민 역사의 고통스러운 서사와 연결한다".[4]
프라이브레드의 북미 원주민에 대한 의미는 복잡하다고 묘사되었으며,[4] 그들과의 관계는 상반된다.[5] 프라이브레드가 종종 "전통" 북미 원주민 요리와 연관되지만, 일부 북미 원주민 셰프들은 이를 식민주의의 상징으로 거부한다. 토착 셰프 숀 셔먼은 프라이브레드를 "북미 원주민 음식이 아닌 모든 것"이라고 부르며,[6] "인내와 고통, 독창성과 회복력"을 상징한다고 적었다.[7] 프라이브레드는 정부에서 제공한 밀가루, 설탕, 라드를 사용하여 필요에 의해 개발되면서 회복력의 상징이 되었다.[8] 그러나 셔먼과 같은 토착 셰프들은 이 재료들이 정부가 옥수수와 콩과 같은 전통적인 주요 작물을 재배할 수 없는 땅으로 사람들을 옮겼기 때문에 제공되었다는 점에서 식민지적 억압의 상징으로 간주한다.[4][9]
호피족 콘 씨족으로 알려진 저널리스트이자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인 패티 탈라홍바는 프라이브레드를 "다이 브레드"라고 부르며 담낭 질환, 당뇨병 등을 포함하여 북미 원주민에게 고유한 질병과 관련시킨다. 그녀는 1970년대 후반에 다녔던 피닉스 인디언 학교와 같은 기숙 학교가 프라이브레드의 확산에 기여했다고 말한다. 그녀는 또한 옥수수, 콩, 호박과 같은 건강에 좋은 음식을 프라이브레드와 같은 전분질의 고지방 음식 대신 장려하는 토착 식량 주권 운동에 대해 설명한다.[1]
3. 2. 식량 주권 운동과의 연관성
일부 원주민들은 프라이브레드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점을 들어, 옥수수, 콩, 호박과 같은 전통적인 건강식품을 장려하는 식량 주권 운동을 펼치고 있다.[1] 호피족 콘 씨족으로 알려진 저널리스트이자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인 패티 탈라홍바(Patty Talahongva)는 프라이브레드를 "다이 브레드"라고 부르며, 담낭 질환, 당뇨병 등 북미 원주민에게 고유한 질병과 관련시킨다.[1]4. 만드는 방법 및 활용
프라이브레드는 밀가루, 물, 소금, 기름(또는 라드), 베이킹파우더(또는 효모) 등을 섞어 반죽한 후, 기름에 튀겨 만든다. 나바호 타코를 만들 때 사용되기도 한다.[3] 가정, 파우와우, 팟래치와 같은 모임, 주 박람회 및 기타 축제에서 제공된다.[11] 제공 방식은 지역과 부족에 따라 다르며, 주 박람회와 파우와우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일반 대중에게 판매되는 것과 가정이나 부족 행사에서 제공되는 것은 다를 수 있다.
4. 1. 재료 및 반죽
프라이브레드는 밀가루, 물, 소금, 소량의 기름 또는 라드를 기본 재료로 사용하며, 때에 따라 베이킹 파우더나 효모를 넣기도 한다.[10] 이 재료들을 섞어 간단하게 반죽한 후, 30분에서 1시간 정도 천으로 덮어두어 부풀어 오르게 한다. 부풀어 오른 반죽은 작은 공 모양으로 만든 다음, 뜨거운 기름에 튀기기 전에 납작한 원반 모양으로 펴거나 늘인다.[4]

4. 2. 튀기기
일반적인 프라이브레드 반죽은 밀가루, 물, 소금, 약간의 기름이나 라드를 넣고, 때때로 베이킹 파우더나 드물게 효모를 넣어 만든다.[10] 재료들을 섞어 간단한 반죽을 만든 후, 30분에서 1시간 정도 천으로 덮어 반죽이 부풀어 오르게 한다. 그런 다음 반죽을 작은 공 모양으로 만들고 뜨거운 기름에 튀기기 전에 납작한 원반 모양으로 굴리거나 잡아당긴다.[4] 냄비에 기름이나 라드 등을 넣고 뜨겁게 달구어, 반죽의 양면을 튀기듯이 굽는다.4. 3. 다양한 활용: 나바호 타코 등
프라이브레드는 그냥 먹기도 하고, 소금을 뿌리거나 꿀을 뿌리거나 계란 프라이를 얹어 먹기도 한다.[3] 특히 프라이브레드 위에 여러 재료를 얹은 '나바호 타코'(Indian taco|인디언 타코영어)는 널리 사랑받는 음식이다. 멕시코 요리의 타코와 비슷하게, 나바호 타코는 프라이브레드 위에 사슴고기 또는 쇠고기를 비롯한 여러 가지 재료를 올려 먹는다.5. 대중문화 속 프라이브레드
- 셔먼 알렉시의 1998년 영화 ''스모크 시그널스''에는 프라이 브레드와 "프라이 브레드 파워"라는 문구가 등장한다. 등장인물들이 빵을 먹거나, 튀기거나, 맛과 문화적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습이 자주 나온다.[4][12]
- 키스 세콜라는 자신의 노래 ''Fry Bread''에 이 빵을 등장시킨다.[4]
- 가상의 프라이 브레드 대회가 2012년 모큐멘터리인 ''More Than Frybread''의 줄거리를 형성했다.[13]
- 케빈 노블 마이아드가 쓰고 후아나 마르티네즈-닐이 그림을 그린 2019년 그림책 ''Fry Bread: A Native American Family Story''는 2020년 로버트 F. 시버트 정보 도서 메달을 수상했으며, 아메리카 원주민 청소년 문학상에서 명예 도서로 선정되었다.[14]
- FX 프로덕션에서 스털린 하르조와 타이카 와이티티가 제작한 원주민 아메리카 텔레비전 시리즈 ''레저베이션 독스''의 2021년 에피소드에는 원주민 래퍼인 스텐 조디가 출연하여 "Greasy Frybread"라는 노래를 부른다.[15]
- 2023년 영화 ''Frybread Face and Me''는 나바호족의 성장 이야기이다.
6. 유사한 음식
배넉은 캐나다 원주민의 음식으로, 프라이브레드와 유사한 문화적 역사를 공유한다.[1] 헝가리의 현대식 랑고스는 프라이브레드와 유사하다.[2] 뉴질랜드의 마오리족 또한 파라오아 파라이라는 프라이브레드를 가지고 있다.[3]
참조
[1]
논문
No More 'Die Bread': How Boarding Schools Impacted Native Diet and the Resurgence of Indigenous Food Sovereignty
2018-04-01
[2]
웹사이트
Official State Foods from NETSTATE.COM
https://www.netstate[...]
2023-03-11
[3]
웹사이트
Navajo frybread is a golden crisp canvas of possibilities
https://thetakeout.c[...]
2023-02-05
[4]
웹사이트
Frybread
https://www.smithson[...]
2019-06-04
[5]
웹사이트
Native American Cuisine Returns to Its Roots
https://www.national[...]
2019-06-04
[6]
웹사이트
Exploring indigenous kitchens of North America with Sean Sherman
https://www.splendid[...]
2019-06-04
[7]
서적
The Sioux Chef's Indigenous Kitch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8]
뉴스
'This is not a trend': Native American chefs resist the 'Columbusing' of indigenous foods
https://www.washingt[...]
2019-06-03
[9]
웹사이트
(Not) Fry Bread: The Sioux Chef's Indigenous Kitchen
https://newsmaven.io[...]
2019-06-04
[10]
웹사이트
From the simplest ingredients to the most delicious dishes, Fry Bread House is cooking up a storm
https://www.12news.c[...]
2023-02-05
[11]
웹사이트
Indian Fry Bread and Indian Taco Recipe
https://whatscooking[...]
2023-02-05
[12]
웹사이트
"Smoke Signals," p. 3
https://www.ejumpcut[...]
2022-04-21
[13]
웹사이트
More Than Frybread Mockumentary Going Rez to Rez
http://indiancountry[...]
2012-03-24
[14]
웹사이트
Fry Bread
https://us.macmillan[...]
2023-03-11
[15]
웹사이트
What About Your Dad
https://www.imdb.com[...]
[16]
뉴스
FEATURES GASTROLOGY - “조상의 전통을 이어받은 요리를 하고 싶다”
https://jmagazine.jo[...]
2018-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