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렌치 토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렌치 토스트는 빵을 달걀물에 적셔 구운 요리이다. 고대 로마 시대의 요리책에 유사한 조리법이 등장하며, 중세 유럽에서 널리 알려졌다. 프랑스에서는 팡 페르뒤(pain perdu), 독일에서는 아르메 리터(Arme Ritter) 등으로 불리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조리법으로 변형되어 왔다. 20세기 초중반 미국 철도 식당차에서 인기 메뉴였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아침 식사, 간식, 디저트 등으로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 요리 - 가룸
가룸은 고대 로마 시대에 생선 내장과 소금을 발효시켜 만든 생선 소스로, 로마 요리의 필수 조미료였으며 다양한 등급으로 생산되어 멸망 이후 제조법이 단절되었으나 오늘날 여러 음식에 영향을 미쳤다. - 고대 로마 요리 - 미트로프
다진 고기를 주재료로 빵가루, 달걀, 양파 등을 섞어 구운 유럽 유래의 미트로프는 대공황 시대 미국에서 인기 있는 가정식 요리가 되었다. - 토스트 - 파 암 토마케트
파 암 토마케트는 빵에 마늘, 토마토, 소금, 올리브 오일을 발라 먹는 카탈루냐 지방의 대표 음식으로, 다양한 재료와 곁들여 먹으며 유사한 요리들이 존재하고 국민 음식으로 여겨진다. - 토스트 - 카야 토스트
카야 토스트는 숯불에 구운 토스트에 버터와 카야 잼을 발라 먹는 싱가포르의 대표 음식으로, 싱가포르 하이난 이민자들이 개발했으며, 커피 또는 홍차와 함께 아침 식사로 즐겨 먹는다. - 프랑스의 빵 - 바게트
바게트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빵으로, 밀가루, 소금, 물, 효모 4가지 재료로 만들며, 프랑스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여 2022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프랑스의 빵 - 식빵
식빵은 프랑스 빵의 한 종류로, 설탕을 첨가하여 달콤하며 샌드위치나 토스트에 사용되고, 껍질 생성을 막는 특수 팬에 구워 둥근 모양이나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프렌치 토스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프렌치 토스트 |
다른 이름 | 계란빵 에그 브레드 집시 토스트 토스트 프랜세 아침 식사용 토스트 |
영어 이름 | French toast |
일본어 이름 | フレンチトースト |
종류 | 빵 요리 |
주요 재료 | 빵 계란 |
부재료 | 우유 또는 크림 허브 향신료 소스 시럽 |
조리 방법 | 굽기 |
특징 | 뜨겁게 제공, 토핑과 함께 |
변형 | |
맛 | 단맛 |
조리 정보 | |
준비 시간 | 최소 시간 ~ 최대 시간 |
난이도 | 쉬움 |
기타 | |
유사 음식 | 계란빵 |
2. 어원
프렌치 토스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4세기나 5세기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는 라틴어 요리책 아피기우스에서 찾을 수 있다. 해당 요리책에는 빵을 달걀 없이 우유에만 적시는 방식으로, 특별한 요리명 없이 단순히 ''알리테르 둘키아''(Aliter Dulcia), 즉 '다른 달콤한 요리'라고만 소개되어 있다.[74]
프렌치 토스트와 유사한 요리는 유럽 여러 나라에서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러한 요리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는데,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14세기 독일에서는 "아르메 리터"(Arme Ritter, "가난한 기사")라는 이름으로,[75] 같은 시기 영국에서는 "펭 페르뒤"(pain perdu, "못 쓰게 된 빵")라는 이름으로 프렌치 토스트와 유사한 조리법이 존재했다.[76] 중세 시대 영국에서는 "수페 도레이트"(suppe dorate)가 널리 소비되었는데, 이는 노르만족의 요리 "토스티스 도리스"(tostees dorees)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77]
프랑스, 벨기에, 뉴올리언스, 아카디아, 뉴펀들랜드, 콩고 등에서는 프렌치 토스트를 ''팽 페르뒤''(pain perdu, "못 쓰게 된 빵")라고 부른다.[82] 반면, 퀘벡주와 아카디아에서는 팡 도레(pain doré, "황금 빵")라고 부른다.[61]
2003년경, 미국과 프랑스가 이라크 문제로 갈등을 겪을 당시, 미국 내 반프랑스 운동의 일환으로 일부 식당에서 프렌치 포테이토를 프리덤 프라이로 개명하는 일이 있었다. 미국 하원 의회도 이에 동참하여 하원 식당 메뉴에서 프렌치 포테이토를 프리덤 프라이로, 프렌치 토스트를 프리덤 토스트로 변경한 적이 있다.[70]
3. 역사
지역 명칭 설명 고대 로마 알리테르 둘키아 (Aliter Dulciala) 또 다른 달콤한 요리라는 뜻으로, 빵을 우유에 적셔 만들었지만 계란 사용은 언급되지 않았다.[56] 프랑스, 벨기에, 콩고 공화국,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미국 뉴올리언스, 아카디아나 팡 페르뒤 (pain perdu프랑스어) 잃어버린 빵이라는 뜻으로, 딱딱해진 빵을 우유와 계란에 적셔 되살리는 것을 의미한다.[58] 프랑스에서는 아침 식사가 아닌 디저트로 먹는다.[59] 일본 팡 페르뒤 (pain perdu프랑스어) 프랑스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며, 주목받고 있다.[60] 캐나다 퀘벡주, 아카디아 팡 도레 (pain doré프랑스어) 황금 빵이라는 뜻이다.[61] 오스트리아, 바이에른주 포페제 (Pofesende) 이탈리아 파비아시 중세 기사의 방패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붙여진 이름이다.[69] 헝가리 분다슈케니에르 (bundáskenyérhu) 푹신한 빵이라는 뜻이다.[22]
2003년경 이라크 전쟁을 둘러싸고 미국과 프랑스의 관계가 악화되었을 때, 반프랑스 운동의 일환으로 미국의 민간 식당들이 프렌치프라이를 프리덤 프라이로 개명한 사건이 있었다. 미국 하원에서도 이에 동참하여 밥 네이 하원의원의 주도로 하원 식당 메뉴의 프렌치프라이를 프리덤 프라이로, 프렌치토스트를 프리덤 토스트로 개명했다.[70]
3. 1. 고대와 중세
프렌치 토스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4세기나 5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라틴어 요리책 아피기우스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책에는 빵을 달걀 없이 우유에만 적시는 조리법이 '다른 달콤한 요리'(''Aliter Dulcia'')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어 있다.[74]
14세기 독일에서는 "아르메 리터"(Arme Ritter, Arme Ritter|가난한 기사de)라는 프렌치 토스트와 유사한 조리법이 있었다.[75] 같은 시기 영국 요리책에는 "펭 페르뒤"(pain perdu, pain perdu|못 쓰게 된 빵프랑스어)라는, 남은 딱딱한 빵을 재활용하는 조리법이 등장한다.[76]
영국 중세 시대에는 "수페 도레이트"(suppe dorate)라는 비슷한 요리가 널리 소비되었는데, 이는 노르만족의 요리 "토스티스 도리스"(tostees dorees)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77]
3. 2. 근대
일부 저자들은 1세기 로마의 요리책인 아피키우스에 포함된 Aliter Dulcia|알리테르 둘키아la("또 다른 달콤한 요리"로 번역됨)의 레시피가 계란을 사용하지 않기는 하지만 현대의 프렌치 토스트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10][11]
14세기 독일 레시피에는 Arme Ritter|아르메 리터de("가난한 기사"로 번역됨)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는데,[14][15] 이 이름은 영어[3]와 북유럽 언어에서도 사용된다.
15세기에는 pain perdu|팡 페르뒤프랑스어에 대한 영국의 레시피가 있으며,[14][16][17] 요리 전문가 마르티노 다 코모도 레시피를 제공했다.[18]
스페인에서는 Francisco Martínez Motiño|프란시스코 마르티네스 모티뇨es가 1611년에 처음으로 레시피를 출판했다.[19]
오스만 제국 요리에서는 꿀을 넣고 우유는 넣지 않은 계란에 적신 빵 요리를 ''fāvniyye''라고 한다.[23]
중세 유럽에서는 수페 도라테(suppe dorate, "황금 수프"), 수피스 인 드리예(soupys yn dorye, 동일), 토스트 도레(tostées dorées, "황금 토스트"), 팡 페르뒤(pain perdu, "잃어버린 빵"의 변형) 등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15세기 이탈리아의 요리사 Martino da Como|마르티노 다 코모영어도 조리법을 남겼다. 이 요리가 종종 "수프"라고 불린 것은 빵을 액체에 담그는(Sop|소프영어) 방식 때문이다.[57]
14세기 독일에서는 Arme Ritter|아르메 리터de(가난한 기사)라고 불렸으며,[63][66] 영어의 다른 이름인 푸어 나이트(Poor knight)[67], 스웨덴의 팻티가 리다레(Fattiga riddare)와 핀란드의 쿠하트 리타릿(Köyhät ritarit)도 같은 의미이다(북유럽에는 크림 등을 사용한 더 사치스러운 "부유한 기사"라는 디저트도 있다). 같은 14세기에 기욤 티렐이 "토스트 도레" 레시피를 저서 "르 비앙디에"에 적었다.[68]
3. 3. 현대
일부 저자들은 1세기 고대 로마 요리책인 아피키우스에 포함된 Aliter Dulcia|알리테르 둘키아la("또 다른 달콤한 요리"로 번역됨)의 레시피가 계란을 사용하지 않기는 하지만 현대의 프렌치 토스트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10][11]
14세기 독일 레시피에는 Arme Ritter|아르메 리터de(poor knights|가난한 기사영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는데,[14][15] 이 이름은 영어와 북유럽 언어에서도 사용된다.[3]
15세기에는 pain perdu|팡 페르뒤프랑스어에 대한 영국의 레시피가 있으며,[14][16][17] 요리 전문가 마르티노 다 코모도 레시피를 제공했다.[18]
스페인에서는 Francisco Martínez Motiñoes가 1611년에 처음으로 레시피를 출판했다.[19]
오스트리아와 바이에른에서는 요리의 모양이 파비아시의 중세 기사의 방패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Pofesen|포페젠de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20][21] 헝가리에서는 bundáskenyér|분다슈케니에르hu(fluffy bread|푹신한 빵영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22]
오스만 제국 요리에서는 꿀을 넣고 우유는 넣지 않은 계란에 적신 빵 요리를 ''fāvniyye''(fāvniyye|파브니예tr)라고 한다.[23]
프랑스, 벨기에, 콩고 공화국, 캐나다의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미국의 뉴올리언스와 아카디아나에서는 프렌치토스트를 프랑스어로 팡 페르뒤(pain perdu|팡 페르뒤프랑스어), 즉 "잃어버린 빵"이라고 부른다. 딱딱해진 빵("잃어버린 빵")을 우유와 계란에 적셔 "되살리는" 것이 그 이유이다.[58] 프랑스에서는 아침 식사가 아닌 디저트로 먹는다.[59] 일본에서도 "팡 페르뒤"라는 이름으로 주목받고 있다.[60] 반면, 퀘벡주와 아카디아에서는 팡 도레(pain doré|팡 도레프랑스어, "황금 빵")라고 부른다.[61]
2003년경 이라크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과 프랑스의 관계가 악화되었을 때, 반프랑스 운동의 일환으로 민간 식당이 프렌치 포테이토를 프리덤 프라이로 개명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미국 하원 의회에서도 이에 동참하여, Bob Ney 하원의원이 주도하여 하원 식당 메뉴에 있던 프렌치 포테이토를 프리덤 프라이로 개명했는데, 이와 함께 프렌치토스트도 프리덤토스트로 개명된 적이 있다.[70]
4. 지역별 명칭과 특징
프렌치 토스트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조리법으로 불린다.
지역 | 명칭 | 특징 |
---|---|---|
프랑스, 벨기에, 뉴올리언스, 아카디아, 뉴펀들랜드, 콩고 | pain perdu|팽 페르뒤프랑스어 ("못 쓰게 된 빵") | 오래된 빵을 재활용하며, 후식, 아침 식사, 애프터눈 티 스낵으로 먹는다.[82][83] 퀘벡주와 아카디아에서는 pain doré|팡 도레프랑스어 ("황금 빵")라고도 부른다.[61] |
남슬라브어권 (불가리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 , pohane šnitesl, , | 달콤하거나 짭짤하게 먹으며, 아야르, 잼, 치즈, 프로슈토, 소시지와 곁들인다.[30] |
루마니아 | frigănelero | 우유 없이 짭짤하게 제공 (대부분 우유 요청 가능).[31] |
덴마크 | arme riddere|가난한 기사들da | 달콤한 아침 식사, 간식, 저녁 디저트. 설탕 대신 계피를 넣은 설탕 사용.[34][35] |
핀란드 | köyhät ritarit|가난한 기사들fi | 우유에 적신 밀가루 빵 또는 pulla|풀라fi를 튀긴다. 잼, 생크림과 곁들여 따뜻하게 먹는다. |
독일 | Arme Ritterde (아르메 리터, 가난한 기사) 또는 Pofesende (포페젠) | 그림 형제의 독일어 사전에도 언급.[39] 노른자, 우유, 설탕을 섞은 커스터드 액에 빵을 적신 후, 거품 낸 흰자와 빵가루를 묻혀 버터에 굽고, 설탕과 계피를 뿌린다.[71] |
그리스 | (Αυγόφετεςel) 또는 (Αυγόψωμο|links=noel) | 빵을 휘저은 달걀에 적셔 굽는 아침 식사. 페타 치즈, 꿀 등과 곁들인다. |
헝가리 | bundáskenyér|분다슈 케네르hu (털 코트를 입은 빵) | 마늘, 치즈, 소시지, 햄과 함께 먹는 아침 식사. |
노르웨이 | arme riddere|가난한 기사들no | 브런치, 아침 식사. 계피, 카다멈 첨가.[45][46] |
스페인 | Torrijaes (토리하) | 사순절, 부활절에 먹는 전통 음식. 우유, 와인, 꿀, 향신료에 적신 빵을 올리브 오일에 튀긴다. 계피를 뿌린다.[47] |
네덜란드 | wentelteefjes|벤털테이프여스nl, verloren brood|페를로런 브로트nl (잃어버린 빵한국어), gewonnen brood|헤보넌 브로트nl (되찾은 빵한국어) | 달콤한 아침 식사, 간식, 저녁 디저트. 설탕 대신 계피를 넣은 설탕 사용. |
영국, 아일랜드 | 에기 브레드(eggy bread), 집시 토스트(Gypsy toast) | 단맛, 짠맛 모두 가능.[49] 와인 등의 알코올에 적신 후, 노른자에 적셔 굽고, 잼이나 시나몬 설탕을 뿌려 먹는다.[72] |
미국 | 2003년 미국-프랑스 관계 악화 시 프리덤 토스트로 불리기도 했다.[70] 할라를 사용한 할라 프렌치토스트가 인기. | |
일본 | 식빵을 달걀, 우유, 설탕 혼합액에 적셔 프라이팬에 굽는 방식이 일반적. | |
홍콩 | 西多士|사이토우시중국어 | 차찬텡 대표 메뉴. 푼 달걀에 튀기듯 굽고 버터를 얹는다. 시럽, 꿀을 뿌린다. 땅콩버터, 카야잼, 햄, 소고기 사테 등 속재료 사용.[40][41][42] |
타이완 | 法國土司|퍼궈터쓰중국어 | 아침 식사로 제공. 철판에 굽는 경우도 많다. 참치, 스위트콘 등 짠맛 재료 사용. |
인도 | 봄베이 토스트 | 뭄바이 거리 음식.[43] 벵골 지방에서는 다진 양파, 청고추를 섞은 달걀물에 빵을 적셔 겨자기름에 구운 짠맛 간식.[73] |
싱가포르 | 호커센터 메뉴. 반숙 달걀, 코코넛잼과 함께 아침 식사 세트. | |
조지아 | (ყიყლიყო|trka) | 브런치, 아침 식사. 짭짤한 요리. |
이탈리아 | Carrozza (sandwich)|카로차영어 (마차를 탄 모차렐라 치즈) | 모차렐라 치즈를 빵 사이에 넣고 푼 달걀을 묻혀 구운 짠맛 요리. |
4. 1. 유럽
프랑스와 벨기에, 뉴올리언스, 아카디아, 뉴펀들랜드, 콩고에서는 프렌치 토스트를 프랑스어로 "못 쓰게 된 빵"이라는 뜻을 가진 ''팽 페르뒤''(pain perdu)라고 부른다. "못 쓰게 된 빵"은 오래되어 "못 쓰게 된" 빵을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주로 구매한 지 오래되어 돌처럼 딱딱해진 바게트 빵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퍽퍽한 식빵이나 크루아상 등도 팽 페르뒤에 사용되었다. 딱딱해진 빵은 달걀과 우유 혼합물에 담가 부드럽고 촉촉하게 만들 수 있었기에 그 당시 오래된 빵이 처치곤란이었던 사람들에게는 최고의 레시피였다.[82] 빵을 사선으로 얇게 썰고 달걀, 우유, 설탕, 계피와 바닐라 혼합물에 담근 후, 이 빵을 버터를 두른 팬에 구워서 설탕 가루를 뿌린 뒤 잼이나 시럽과 곁들여서 내는 요리다. 프랑스에서는 팽 페르뒤를 후식과 아침 식사로 먹으며, 애프터눈 티 스낵으로도 먹는다.[83]남슬라브어권 국가들, 즉 불가리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에서는 , pohane šnitesl, 또는 라고 부른다. 달콤하거나 짭짤하게 먹으며, 아야르, 잼, 치즈, 프로슈토, 또는 소시지와 함께 곁들인다.[30] 루마니아에서는 frigănelero로 알려져 있으며, 우유를 넣지 않고 거의 항상 짭짤한 요리로 제공되지만, 대부분의 식당에서는 우유를 요청할 수 있다.[31]
덴마크에서는 arme riddereda(가난한 기사들한국어)가 달콤한 아침 식사 요리로, 간식이나 저녁 디저트로도 먹을 수 있다. 이 요리의 덴마크식 버전은 설탕 대신 계피를 넣은 설탕을 사용한다.[34][35] 핀란드에서는 köyhät ritaritfi (가난한 기사들한국어)라는 디저트가 있는데, 우유에 적신 밀가루 빵 조각을 튀겨 만든다. 때때로 밀가루 빵 대신 말린 빵인 pullafi을 사용하기도 한다. 계란을 우유에 섞을 수도 있으며, 원하는 경우 설탕과 밀가루를 약간 넣을 수도 있다. 빵 조각은 우유 혼합물에 양면을 적신 후 튀긴다. 보통 가난한 기사들은 잼과 생크림을 곁들여 따뜻하게 먹는다. 어떤 점심 식당에서는 빵 조각으로 만든 디저트를 부유한 기사라고 부른다. 이는 프랑스 빵이나 다른 가벼운 빵으로 만든 가난한 기사와의 차이를 두기 위함이다. "부유한 기사"라는 이름은 생크림 장식에서 유래한다. 가난한 기사에는 생크림이 없다. 프랑스에서는 "pain perdu프랑스어" (잃어버린 빵)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다.[36]
독일에서는 아르메 리터(Arme Ritter, 가난한 기사) 또는 포페젠(Pofesen)이 적어도 14세기부터 알려져 있으며, 그림 형제가 저술한 독일어 사전에도 언급되어 있다.[39] 그리스에서는 (Αυγόφετεςel) 또는 (Αυγόψωμο|links=noel)로 알려져 있다. 이 요리는 빵을 휘저은 계란에 적셔 굽는 아침 식사의 주식이다. 짭짤한 맛이나 단맛을 낼 수 있으며, 페타 치즈와 꿀과 같은 다양한 토핑과 곁들임으로 즐길 수 있다.

헝가리에서는 프렌치 토스트를 ''부니다슈 케네르''(털 코트를 입은 빵)라고 부르며, 마늘, 치즈, 소시지 또는 햄과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 인기 있는 아침 식사 메뉴이며, 주로 차 한 잔과 함께 먹는다. 노르웨이에서는 이 요리가 arme riddereno (가난한 기사들한국어)라고 불린다. 한때는 디저트로만 먹었지만, 현재는 브런치나 아침 식사로 먹는다. 가장 흔한 향신료는 계피와 카다멈이다.[45][46]
토리하(Torrija)[14]는 스페인에서 전통적으로 사순절과 부활절에 만들어 먹는 비슷한 요리이다. 보통 헌 빵을 우유나 와인, 꿀, 향신료에 적셔 만든다. 푼 계란에 적신 후 올리브 오일로 튀긴다. 이러한 조리법은 빵의 섬유질을 부수어 바삭한 겉과 부드러운 속을 가진 과자를 만들어낸다.[47] 마지막으로 계피를 뿌리는 경우가 많다. 토리하스(Torrijas) 또는 토레하스(Torrejas)는 1468년부터 1533년까지 활동한 스페인의 작곡가이자 시인, 극작가인 후안 델 엔시나가 1496년에 출판한 그의 칸시오네로(Cancionero)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네덜란드에서는 프렌치토스트를 ''wentelteefjesnl'', ''verloren broodnl''(잃어버린 빵한국어), 또는 ''gewonnen broodnl''(되찾은 빵한국어)라고 부른다. 달콤한 아침 식사 요리로, 오후 간식이나 저녁 디저트로도 먹을 수 있다. 네덜란드식 프렌치토스트는 설탕 대신 계피를 넣은 설탕을 자주 사용한다. ''Wentelteefjesnl''는 종종 할머니가 손주들에게 특별한 날에 특별하고 사치스러운 달콤한 아침 식사를 제공하는 어린 시절과 관련이 있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에기 브레드(eggy bread)" 또는 가끔 "집시 토스트(Gypsy toast)"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이 이름은 14세기와 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팸퍼디(Pamperdy)나 푸어 나이츠 푸딩(Poor Knights Pudding)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에기 브레드는 단맛 또는 짠맛 요리로 제공될 수 있다.[49] 다른 이름들은 단맛 버전을 가리킨다.[2] 슈퍼마켓에서 "프렌치 토스트(French toast)"라는 이름의 상업용 제품이 포장되어 판매되지만, 이것은 일반적으로 계란이 들어 있지 않고 멜바 토스트와 더 유사하다.[50]
프렌치토스트와 유사한 요리는 유럽 여러 나라에서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고대 로마의 요리책 『아피키우스』에서 "알리테르 둘키아"(Aliter Dulcia), 즉 "또 다른 달콤한 요리"로만 불리는 것이다. 빵을 우유에 적셔 만드는 것이지만, 계란 사용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56] 중세 유럽에서는 수페 도라테(suppe dorate, "황금 수프"), 수피스 인 드리예(soupys yn dorye, 동일), 토스트 도레(tostées dorées, "황금 토스트"), 팡 페르뒤(pain perdu, 프랑스어 "잃어버린 빵"의 변형) 등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 15세기 이탈리아의 요리사 마르티노 다 코모한국어도 조리법을 남겼다. 이 요리가 종종 "수프"라고 불린 것은 빵을 액체에 담그는(소프 (요리)한국어) 방식 때문이다.[57]
프랑스, 벨기에, 콩고 공화국, 캐나다의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미국의 뉴올리언스와 아카디아나에서는 프렌치토스트를 프랑스어로 팡 페르뒤(pain perdu), 즉 "잃어버린 빵"(pain perdu프랑스어)이라고 부른다. 딱딱해진 빵("잃어버린 빵")을 우유와 계란에 적셔 "되살리는" 것이 그 이유이다.[58] 프랑스에서는 아침 식사가 아닌 디저트로 먹는다.[59] 일본에서도 "팡 페르뒤"라는 이름으로 주목받고 있다.[60] 반면, 퀘벡주와 아카디아에서는 팡 도레(pain doré, "황금 빵")라고 부른다.[61] 한때 "팡 페르뒤"는 프랑스어로 매몰비용을 가리키는 은유이기도 했다.[62] 15세기에 영어로 쓰여진 팡 페르뒤의 조리법도 존재한다.[63][64][65]
14세기 독일에서는 아르메 리터(Arme Ritter, "가난한 기사")라고 불렸으며,[63][66] 영어의 다른 이름인 푸어 나이트(Poor knight)[67], 스웨덴의 팻티가 리다레(Fattiga riddare)와 핀란드의 쿠하트 리타릿(Köyhät ritarit)도 같은 의미이다(북유럽에는 크림 등을 사용한 더 사치스러운 "부유한 기사"라는 디저트도 있다). 같은 14세기에 기욤 티렐이 "토스트 도레" 레시피를 저서 "레 비앙디에"에 적었다.[68] 오스트리아와 바이에른주에서는 이탈리아어의 주파 파베제it("파비아의 수프")에서 유래한 파페제(Pafese) 또는 포페제(Pofese)라고 불린다.[69]
2003년경 이라크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과 프랑스의 관계가 악화되었을 때, 반프랑스 운동의 일환으로 민간 식당이 프렌치 포테이토를 프리덤 프라이로 개명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미국 하원 의회에서도 이에 동참하여, 밥 네이한국어 하원의원이 주도하여 하원 식당 메뉴에 있던 프렌치 포테이토를 프리덤 프라이로 개명했는데, 이와 함께 프렌치토스트도 프리덤토스트로 개명된 적이 있다.[70]
독일의 아르메 리터("가난한 기사")의 조리법은 노른자와 흰자를 나누어 노른자, 우유, 설탕을 섞은 커스터드액에 빵을 적신다. 가볍게 거품을 낸 흰자를 묻히고, 빵가루를 묻혀 버터에 굽고, 설탕과 시나몬을 뿌린다.[71] 영국에서는 17세기 후반 이래 푸어 나이츠, 또는 푸어 나이츠 오브 윈저라고 불리지만, 일반적으로는 에기 브레드(eggy bread), 부지 토스트(boozy toast), 집시 토스트(gypsy toast)라고도 불린다.[72] 현대의 일반적인 레시피는 우유 외에 와인 등의 알코올에 적신 후, 노른자에 적셔 굽고, 잼이나 시나몬 설탕을 뿌려 먹는 것이다. 달걀물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프렌치토스트보다 바삭한 식감이 된다.[72]
4. 2. 아메리카
프랑스어로 "못 쓰게 된 빵"이라는 뜻을 가진 ''팽 페르뒤''(pain perdu)는 미국에서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즐겨 먹는다.2003년경 이라크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과 프랑스의 관계가 악화되었을 때, 반프랑스 운동의 일환으로 민간 식당에서 프렌치 포테이토를 프리덤 프라이로 개명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미국 하원 의회에서도 이에 동참하여, 하원 의원이 주도하여 하원 식당 메뉴에 있던 프렌치 포테이토를 프리덤 프라이로 개명했고, 이와 함께 프렌치토스트도 프리덤토스트로 개명했다.[70]
뉴올리언스와 아카디아나에서는 프렌치토스트를 프랑스어로 팡 페르뒤(pain perdu)라고 부른다.[58]
20세기 초중반, 산타페 철도를 비롯한 여러 철도의 식당차에서 프렌치 토스트가 인기리에 제공되었다. 일부 철도 회사는 홍보를 위해 식당차 메뉴의 레시피를 대중에게 제공하기도 했다.[51] 프렌치 토스트는 일반적으로 버터, 슈거파우더, 메이플 시럽과 함께 먹으며, 잼, 생크림, 과일 등을 곁들이기도 한다.[52]
할라를 사용한 할라 프렌치토스트도 인기가 높다.
4. 3. 아시아
; 일본: 일본에서는 식빵을 사용하여 달걀과 우유, 설탕을 섞은 액체에 적신 후 프라이팬에 굽는 것이 일반적이나, 가게마다 다양한 변형이 있다. 빵집에서 구운 것을 판매하거나, 빵 공장에서 구운 것을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보관 기간을 고려하여 안쪽까지 액체를 적시지 않고 표면에만 얇게 묻히는 경우가 많아 음식점에서 제공하는 것과는 식감 등에 차이가 있다. 일본에서도 "팡 페르뒤"라는 이름으로 주목받고 있다.[60]
; 홍콩

: 광둥어로 '사이토우시'(西多士, 多士는 토스트의 음역)라고 불리며, 차찬텡이라는 찻집 겸 경식점의 대표 메뉴이다. 푼 달걀을 묻혀 약간의 기름에 튀기듯이 굽는다. 버터를 얹어 제공한다. 그대로는 달지 않으므로 시럽이나 꿀을 뿌려 먹는다. 얇게 썬 식빵 2장 사이에 땅콩버터를 바르고, 바깥쪽에만 푼 달걀을 묻혀 굽는 가게도 있다.[40][41] 육포, 카야잼, 햄 또는 소고기 사테 등 다른 종류의 속재료도 사용된다.[40][42]
; 타이완
: 중국어로 '퍼궈터쓰'(法國土司, 土司는 토스트의 음역) 등의 이름으로 아침 식사로 제공하는 곳이 많다. 타이완에서는 철판에 굽는 요리도 적지 않다. 그 중 하나로 식빵 표면에 푼 달걀만 묻혀 철판에 구워 제공하는 등, 대체로 달지 않은 것이 많다. 짠맛의 경우에는 재료로 2장 사이에 참치를 넣은 「鮪魚法國土司」(웨이위퍼궈터쓰)나, 스위트콘을 넣은 「玉米法國土司」(위미퍼궈터쓰) 등도 있다.
; 인도
: 벵골 지방의 "프렌치토스트"는 다진 양파와 청고추를 섞은 달걀물을 빵에 적셔 겨자기름에 구운 짠맛의 간식이다.[73] 인도에서는 봄베이 토스트가 뭄바이(Mumbai) 거리에서 노점상들이 파는 음식이다.[43] 봄베이 토스트는 스위트 프렌치 브레드라고도 불린다.[44]
; 싱가포르
: 프렌치 토스트는 싱가포르의 호커센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메뉴로, 종종 반숙 계란이나 코코넛잼(카야)과 함께 아침 세트 메뉴의 일부를 이룬다.
4. 4. 기타 지역
프랑스와 벨기에, 뉴올리언스, 아카디아, 뉴펀들랜드에서는 프렌치 토스트를 프랑스어로 "못 쓰게 된 빵"이라는 뜻을 가진 ''팽 페르뒤''(pain perdu)라고 부른다.[82] "못 쓰게 된 빵"은 오래되어 "못 쓰게 된" 빵을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프랑스에서는 팽 페르뒤를 후식과 아침 식사로 먹으며, 애프터눈티 스낵으로도 먹는다.[83] 퀘벡주와 아카디아에서는 팡 도레(pain doré, "황금 빵")라고 부른다.[61]조지아에서는 (ყიყლიყო|trka)로 알려져 있다. 브런치나 아침 식사로 인기 있는 요리이며, 거의 항상 짭짤한 요리로 제공된다.[37][38]
14세기 독일에서는 아르메 리터(Arme Ritter, "가난한 기사")라고 불렸으며,[63][66] 스웨덴의 팻티가 리다레(Fattiga riddare)와 핀란드의 쿠하트 리타릿(Köyhät ritarit)도 같은 의미이다.
오스트리아와 바이에른주에서는 파페제(Pafese) 또는 포페제(Pofese)라고 불린다.[69]
일본에서는 식빵을 사용하여 달걀과 우유, 설탕을 섞은 액체에 적신 후 프라이팬에 굽는 것이 일반적이다.
홍콩에서는 「西多士」(광둥어: 사이토우시)라고 불리며, 차찬텡의 대표 메뉴이다. 푼 달걀을 묻혀 약간의 기름에 튀기듯이 굽고 버터를 얹어 제공하며, 시럽이나 꿀을 뿌려 먹는다.
타이완에서는 「法國土司」(중국어: 퍼궈터쓰) 등의 이름으로 아침 식사로 제공하는 곳이 많다.
이탈리아에는 얇게 썬 모차렐라 치즈를 빵 사이에 넣고 표면에 푼 달걀을 묻혀 구운 Carrozza (sandwich)영어 ("마차를 탄 모차렐라")라는 짠맛의 요리가 있다.
스페인에는 우유와 설탕을 섞은 액체에 적신 빵에 푼 달걀을 입혀 올리브 오일에 튀겨 시나몬 설탕을 뿌린 토리하스라는 과자가 있다.
독일의 아르메 리터("가난한 기사")는 노른자와 흰자를 나누어 노른자, 우유, 설탕을 섞은 커스터드액에 빵을 적신 후, 가볍게 거품을 낸 흰자를 묻히고 빵가루를 묻혀 버터에 굽고, 설탕과 시나몬을 뿌린다.[71]
영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에기 브레드(eggy bread), 부지 토스트(boozy toast), 집시 토스트(gypsy toast)라고도 불린다.[72]
미국에서는 할라를 사용한 할라 프렌치토스트의 인기가 높다.
인도 벵골 지방의 "프렌치토스트"는 다진 양파와 청고추를 섞은 달걀물을 빵에 적셔 겨자기름에 구운 짠맛의 간식이다.[73]
5. 조리법
프렌치 토스트는 얇게 썬 빵을 달걀, 우유, 크림 등을 섞은 혼합물에 적신 후, 양면을 갈색이 될 때까지 구워 만든다.[78] 요리사들은 오래되어 딱딱해진 빵을 사용하면 달걀 혼합물이 골고루 잘 흡수되기 때문에 오래된 빵을 추천한다.[78]
빵은 약 7.62cm 두께로 자른 빵이나 아티장 빵이 자주 사용된다.[24] 빵을 굽기 전에는 설탕, 계피, 육두구, 바닐라 등을 혼합물에 추가할 수 있다.[24] 구울 때에는 버터나 올리브 오일을 사용한다.[24]
5. 1. 기본 재료
프렌치 토스트를 만들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는 다음과 같다.- 빵: 주로 얇게 썬 식빵이나 바게트를 사용하며, 하루 정도 지나 살짝 굳은 빵이 달걀 혼합물을 더 잘 흡수하기 때문에 좋다.[78][25] 건포도빵이나 견과류를 넣은 빵을 사용하기도 한다.
- 달걀: 빵에 입힐 혼합물의 주재료이다.
- 우유 또는 크림: 달걀과 함께 섞어 빵을 적시는 데 사용한다.
- 향신료: 설탕, 계피, 육두구, 바닐라 등을 취향에 따라 달걀 혼합물에 추가할 수 있다.
빵을 달걀, 우유 (또는 크림), 향신료를 섞은 혼합물에 담갔다가 버터나 올리브 오일을 두른 팬에 양면을 노릇하게 구워 만든다.[24]
구운 프렌치 토스트에는 잼, 마멀레이드, 버터, 꿀, 시럽, 가루 설탕, 과일, 초콜릿, 휘핑 크림 등 다양한 재료를 곁들여 먹을 수 있다.[26]

5. 2. 선택 재료
잼, 마멀레이드, 버터, 꿀, 시럽, 가루 설탕, 과일, 초콜릿, 휘핑 크림 등 다양한 재료를 구워낸 빵에 얹을 수 있다.[78] 메이플 시럽, 설탕, 카라멜, 아이스크림, 잼, 꿀, 과일 등을 토핑으로 곁들여 먹기도 한다.[26]취향에 따라 버터, 메이플 시럽, 생크림, 설탕, 슈거 시럽, 꿀 등을 뿌려 먹는다. 식빵 외에도 건포도빵이나 견과류를 넣은 빵을 사용하기도 한다. 빵 두 장 사이에 으깬 바나나 등의 과일을 넣거나, 잼이나 피넛버터를 발라 만들 수도 있다.
5. 3. 만드는 방법
얇게 썬 빵에 섞은 달걀 혼합물을 적시거나 담그는데, 이때 혼합물에 우유나 크림이 들어가기도 한다. 그 다음, 달걀물을 입힌 빵 조각을 양쪽 면이 모두 갈색으로 익을 때까지 굽는다. 요리사들은 오래된 빵을 추천하는데, 오래되어 딱딱해진 빵에 달걀 혼합물이 골고루 더 잘 흡수되기 때문이다.[78]빵 조각을 풀은 달걀, 우유 또는 크림과 섞은 혼합물에 적시거나 담근다. 약 7.62cm 두께로 자른 빵이나 아티장 빵이 자주 사용된다.[24] 설탕, 계피, 육두구, 바닐라를 혼합물에 다양하게 추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빵을 버터나 올리브 오일에 갈색이 될 때까지 굽는다. 하루 지난 빵[25]은 경제적이고 부서지지 않고 달걀 혼합물을 더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
구운 빵에는 잼, 마멀레이드, 버터, 꿀, 시럽, 가루 설탕, 과일, 초콜릿, 휘핑 크림, 아이스크림, 메이플 시럽 등 다양한 재료를 얹어 먹을 수 있다.[26]
프렌치토스트는 다양한 조리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식빵이나 바게트(프랑스빵프랑스어)를 슬라이스한 빵에 계란과 우유 또는 오렌지주스, 그리고 넛맥(나쓰메그일본어), 시나몬(시나몬일본어) 등의 향신료를 섞은 조미액(커스터드액)을 스며들게 한 후, 프라이팬 등으로 앞뒤를 살짝 구워 만든다. 조미액에 바닐라 에센스(바닐라에센스일본어)를 넣는 경우도 있다.
빵도 식빵뿐만 아니라 건포도(레즌일본어)를 넣은 건포도빵(레즌빵일본어)이나 견과류(종실류|넛일본어)를 넣은 빵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한 장이 아니라 두 장을 합쳐 중간에 으깬 바나나(바나나일본어) 등의 과일(프루트일본어)을 넣거나, 잼(잼일본어)이나 피넛버터(피넛버터일본어)를 바르는 경우도 있다. 취향에 따라 버터(버터일본어), 메이플시럽(메이플시럽일본어), 생크림(생크림일본어), 설탕(설탕일본어), 슈거시럽(검시럽일본어), 꿀(벌꿀일본어) 등을 뿌려 먹는다.
5. 4. 변형 조리법
스터프 프렌치 토스트는 프렌치 토스트 두 조각을 샌드위치로 만들어 그 사이에 바나나, 딸기와 같은 과일을 채워넣은 요리로, 버터, 단풍 시럽, 설탕 가루 등을 얹어서 먹는다.[79]홍콩 스타일 프렌치 토스트는 빵을 섞은 달걀이나 간장에 담근 후 기름에 튀긴 후 버터 조각을 올리고 당밀이나 꿀을 곁들인 요리로, 토스트 두 장 사이에 달콤한 것을 넣어서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80][81]
빵 조각을 풀은 달걀, 우유 또는 크림과 섞은 혼합물에 적시거나 담근다. 두께 약 7.62cm의 조각으로 자른 빵이나 아티장 빵이 자주 사용된다.[24] 설탕, 계피, 육두구, 바닐라를 혼합물에 다양하게 추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빵을 버터나 올리브유에 갈색이 될 때까지 굽는다. 하루 지난 빵[25]은 경제적이고 부서지지 않고 달걀 혼합물을 더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
구운 조각은 설탕이나 카라멜, 아이스크림, 잼, 꿀, 과일,[26] 또는 메이플 시럽과 같은 달콤한 토핑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찍어 먹는 소스에는 계란이 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으며, 빵은 요리 전이나 후에 와인, 장미수, 또는 오렌지 주스에 적셔서 만들 수 있다.
프렌치토스트는 다양한 조리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식빵이나 바게트(pain français|프랑스 빵프랑스어)를 슬라이스한 빵에 계란과 우유 또는 오렌지 주스, 그리고 nutmeg|넛맥영어, cinnamon|시나몬영어 등의 향신료를 섞은 조미액(커스터드액)을 스며들게 한 후, 프라이팬 등으로 앞뒤를 살짝 구워 만든다. 조미액에 vanilla essence|바닐라 에센스영어를 넣는 경우도 있다.
빵도 식빵뿐만 아니라 건포도(raisin|레이즌영어)를 넣은 건포도빵(raisin bread|레이즌빵영어)이나 견과류(nuts|너츠영어)를 넣은 빵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한 장이 아니라 두 장을 합쳐 중간에 으깬 바나나(banana|바나나영어) 등의 과일(fruit|프루트영어)을 넣거나, 잼(jam|잼영어)이나 peanut butter|피넛버터영어를 바르는 경우도 있다. 취향에 따라 버터(butter|버터영어), maple syrup|메이플 시럽영어, whipped cream|생크림영어, 설탕(sugar|슈거영어), sugar syrup|슈거 시럽영어, 꿀(honey|허니영어) 등을 뿌려 먹는다.
참조
[1]
뉴스
Student cookbook: French toast (a.k.a. eggy bread)
https://www.theguard[...]
2012-12-13
[2]
웹사이트
Gypsy Toast
http://thanksgiving.[...]
food.com
2015-01-19
[3]
서적
s.v. 'poor' S3
http://www.oed.com/v[...]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6
[4]
웹사이트
Eggy Bread
https://www.bbc.co.u[...]
2020-02-27
[5]
웹사이트
How to make French toast
https://www.jamieoli[...]
2020-02-27
[6]
웹사이트
Eggy Bread
https://www.bestreci[...]
2020-02-27
[7]
웹사이트
How To Make Yumurtalı Ekmek (Eggy Bread)
http://www.turkeysfo[...]
2020-02-27
[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9]
웹사이트
s.v. pain
http://www.cnrtl.fr/[...]
Trésor de la Langue Française Informatisé
[10]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archive.org/d[...]
Oxford ;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1]
서적
Apicius, De re culinaria
https://penelope.uch[...]
[12]
서적
Le Viandier de Guillaume Tirel dit Taillevent
https://books.google[...]
[13]
웹사이트
Tostées Dorées - Recette De Pain Perdu Médiéval
https://recettemedie[...]
2024-06-26
[14]
뉴스
Is French Toast Really French?
http://www.slate.com[...]
2015-04-06
[15]
서적
Deutsches Wörterbuch, quoting from the Buch von guter Spyse
[16]
서적
Two 15th-century Cookery-books
Oxford English Dictionary
1888
[1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Medieval Kitchen: Recipes from France and Italy
2000
[19]
웹사이트
Arte de cocina, pastelería, vizcochería y conservería
https://realacademia[...]
2024-06-26
[20]
서적
Variantenwörterbuch des Deutschen: die Standardsprache in Österreich, der Schweiz und Deutschland sowie in Liechtenstein, Luxemburg, Ostbelgien und Südtirol
2004
[21]
웹사이트
Österreichische Mehlspeiskultur - Die Pofesen
https://www.gutekuec[...]
2024-06-26
[22]
웹사이트
French toast, az édes bundás kenyér
http://www.cookta.hu[...]
2016-06-28
[23]
논문
Kitâb-ı Me’kûlât
https://www.academia[...]
1848
[24]
웹사이트
what bread options are best for French toast
http://culturalistpr[...]
2022-03-07
[25]
웹사이트
French Toast-Food Network
https://www.youtube.[...]
2009-07-30
[26]
웹사이트
French Toast Toppings – Unique French Toast Recipes
http://www.goodhouse[...]
2015-01-19
[27]
서적
Compleat Cook
OED
1659
[28]
서적
The Diner's Dictionary: Word Origins of Food and Drink
[29]
서적
A Dictionarie of the French and English Tongues
https://archive.org/[...]
1611
[30]
웹사이트
PRŽENICE: French toast on Serbian way
https://www.restoran[...]
[31]
웹사이트
Friganele reteta copilariei – paine cu ou sau bundás kenyér
https://savoriurbane[...]
2018-04-05
[32]
웹사이트
Rabanada, um antigo clássico natalino presente em todo o mundo
https://www.petitgas[...]
[33]
웹사이트
Rabanadas tradicionais
https://www.tavi.pt/[...]
tavi.pt
[34]
웹사이트
Mærkelige madnavne: Hvorfor hedder det arme riddere?
https://samvirke.dk/[...]
2017-04-01
[35]
웹사이트
Arme riddere
https://www.dr.dk/ma[...]
2018-04-12
[36]
웹사이트
Le pain perdu: son histoire et ses origins
https://www.lecercle[...]
2017-05-25
[37]
웹사이트
Kikliko: For Whom The Rooster Crows
https://culinaryback[...]
Culinary Backstreets
2022-01-22
[38]
웹사이트
KIKLIKO - GEORGIAN EGGBREAD
https://gastroguide.[...]
2022-01-22
[39]
백과사전
Armeritter
http://woerterbuchne[...]
[40]
뉴스
World's 50 most delicious foods
http://www.cnngo.com[...]
2011-10-11
[41]
뉴스
How the Queen's death left me reconciling complicated feelings about the history of my favourite foods
https://www.thestar.[...]
2022-10-10
[42]
웹사이트
香港獨一無二的沙爹牛肉法式吐司
http://www.hklazytra[...]
2017-08-07
[43]
웹사이트
Bombay Toast - Indian French Toast
https://threewhistle[...]
2019-10-15
[44]
웹사이트
Sweet French Toast (Bombay Toast) - Anglo-Indian - Family friendly - Recipe
http://www.bawarchi.[...]
2016-10-08
[45]
웹사이트
Arme riddere
https://www.matprat.[...]
[46]
웹사이트
Arme Riddere Med Blåbær - Oppskrift fra TINE Kjøkken
https://www.tine.no/[...]
Tine.no
2022-08-19
[47]
뉴스
Dan Lepard's recipes for Basque butter buns, plus fried milk bread (a.k.a. torrija)
https://www.theguard[...]
2012-07-20
[48]
웹사이트
La teatralidad en los villancicos pastoriles de Juan del Encina
http://www.cervantes[...]
2016-03-23
[49]
웹사이트
BBC Good Food: Eggy bread recipe
https://www.bbcgoodf[...]
BBC Good Food
2024-07-01
[50]
웹사이트
Tesco: French Toast
https://www.tesco.co[...]
Tesco
2023-04-28
[51]
간행물
Last call to dinner
http://ctr.trains.co[...]
2018-09-08
[52]
웹사이트
Enjoy French toast in a new way
https://www.heraldma[...]
2024-07-22
[53]
웹사이트
New Orleans Style Pain Perdu (French Toast)
https://www.thespice[...]
2017-11-25
[54]
웹사이트
Pain Perdu
http://www.gumbopage[...]
2017-11-25
[55]
웹사이트
New Orleans-style French Toast "Pain Perdu"
https://www.thespruc[...]
2017-11-25
[56]
서적
Apicius: Cookery and Dining in Imperial Rome
http://www.gutenberg[...]
[57]
서적
The Medieval Kitchen: Recipes from France and Italy
2000
[5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2006-09
[59]
서적
Simple Cooking
Farrar, Straus and Giroux
1996-11
[60]
뉴스
【試してみた】未知の料理「パンペルデュ」は、みんなが大好きなアノ料理だった!
https://news.livedoo[...]
Livedoor News
2015-02-02
[61]
사전
Trésor de la Langue Française Informatisé
[62]
서적
Vocabulaire francois-flameng
https://books.google[...]
1562
[63]
웹사이트
Is French Toast Really French?
http://www.slate.com[...]
2015-04-06
[64]
서적
Two 15th-century Cookery-books
1888
[6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Deutsches Wörterbuch
[67]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v[...]
2006
[68]
서적
Le Viandier de Guillaume Tirel dit Taillevent
https://books.google[...]
[69]
서적
Variantenwörterbuch des Deutschen
2004
[70]
뉴스
米下院食堂メニューの「フレンチ」追放 「仏へ不快感」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13-03-10
[71]
서적
The German Cookbook: A Complete Guide to Mastering Authentic German Cooking
Random House
1965-10-12
[72]
서적
増補改訂 イギリス菓子図鑑:お菓子の由来と作り方
誠文堂新光社
2020
[73]
서적
Bengali Cooking: Seasons and Festivals
Serif
1997-09
[74]
서적
Apicius: Cookery and Dining in Imperial Rome
http://www.gutenberg[...]
[75]
서적
Deutsches Wörterbuch
[76]
서적
Two 15th-century Cookery-books
1888
[77]
뉴스
Is French Toast Really French?
http://www.slate.com[...]
Slate.com
2010-09-16
[78]
웹인용
French Toast-Food Network
https://www.youtube.[...]
[79]
웹인용
Recipes : Stuffed French Toast : Food Network
http://www.foodnetwo[...]
2013-02-08
[80]
뉴스
World's 50 most delicious foods
http://www.cnngo.com[...]
CNN Go
2011-07-21
[81]
뉴스
40 Hong Kong foods we can't live without
http://www.cnngo.com[...]
CNN Go
2011-07-13
[8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3]
웹사이트
Wikipedia article about the pain perdu
https://fr.wiki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