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란츠 델리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츠 델리취는 1813년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세례를 받은 기독교 신학자이자 셈족 연구 학자였다. 그는 랍비 학식과 유대인에 대한 공감, 변호로 인해 유대인 혈통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유대인 후원자와 대부를 두는 등 독특한 가족 환경을 가졌다. 델리취는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를 거쳐 여러 대학에서 재직했으며, 카를 프리드리히 카일과 함께 구약성서 주석 시리즈를 공동 집필했다. 또한 히브리어 신약성서를 번역했으며, 유대인 기독교 선교사 훈련을 위한 유대 연구소를 설립하여 유대교와 기독교의 관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히브리어학자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 독일의 히브리어학자 - 빌헬름 시카르트
    빌헬름 시카르트는 독일의 과학자이자 루터교 목사, 튀빙겐 대학교 교수로, 성서 언어와 천문학을 가르치며 천문학적 날짜 계산 기계, 히브리어 문법 기계 등을 발명하고 지도 제작에도 기여했으며, 1623년에는 사칙연산이 가능한 기계식 계산기인 '계산 시계'를 설계, 제작했으나 완성 전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 작센 왕국 출신 - 카를 리프크네히트
    카를 리프크네히트는 독일의 사회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쟁 반대 운동을 이끌고 독일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을 시도했으며 스파르타쿠스 봉기 진압 과정에서 살해당해 독일 좌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작센 왕국 출신 - 아르놀트 겔렌
    아르놀트 겔렌은 20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사회학자로, 인간을 '결함 존재'로 규정하고 문화 창조를 생존 전략으로 분석했으며, 전후 사회 비판을 통해 현대 사회 문제점을 지적하며 후대 사회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프란츠 델리취
기본 정보
프란츠 델리취
프란츠 델리취
출생1813년 2월 23일
출생지라이프치히
사망1890년 3월 4일
사망지라이프치히
국적독일
학문 분야
분야신학, 유대교 연구
직업신학자, 성서학자, 히브리어 학자
모교라이프치히 대학교
영향 받은 인물에른스트 빌헬름 헹스텐베르크
경력
재직로스토크 대학교
에를랑겐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신학적 관점
신학적 입장루터교
주요 저서
저서《구약 성서 주석》(A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함께: 카를 프리드리히 케일)
《시편 주석》(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이사야서 주석》(Commentary on the Book of Isaiah)
《히브리어 신약 성서》(Hebrew New Testament)

2. 생애

델리취는 카를 프리드리히 카일과 함께 구약성서 전체를 다루는 주석 시리즈를 공동 작업했으며, 1861년에 처음 출판되어 현재도 판매 중이다. 델리취는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이사야서에 대한 주석을 기고했다. 이 시리즈와는 별도로, 1888년에 창세기에 대한 주석도 저술했다.[5]

히브리어로 번역된 델리취의 신약성서(1877)는 여전히 히브리어 신약성서의 표준 판으로 간주되며, 제10판에서는 델리취의 주장에 따라 젊은 아놀드 에를리히가 개정했다. 이 판은 유대인 개종을 위해 사용될 의도였다. 이후 "유대인의 복음화에 대한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한 구스타프 달만에 의해 개정되었다.[6] 현대 히브리어 부흥 이전에 작성되었음에도, 이 번역은 오늘날 독자들에게 여전히 신선하고 생생하게 남아 있다.

그는 신학자 요하네스 (1846-1876)와 저명한 아시리아학자 프리드리히 (1850-1922) 두 아들을 두었다.

존 던칸은 델리취가 많은 사람들이 "포기하려는 것처럼 보였을 때" "구약 성서 전체의 신성한 권위와 영감을 굳게 지켰다"고 평가했다.[7]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델리취는 기독교인이었지만, 랍비 학문에 대한 깊은 지식과 유대인에 대한 공감, 그리고 그들을 변호한 점 때문에 유대인 혈통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의 가족 환경은 특이했는데, 유대인 후원자가 함께 살았고, 유대인 대부가 있었다.[1]

델리취는 1813년 3월 4일 라이프치히의 성 니콜라스 교회에서 "프란츠 율리우스"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의 아버지 요한 고트프리트 델리취는 행상인, 장인, 일용직 노동자였고, 어머니는 수산나 로지나였다. 프란츠는 세 자녀 중 막내였지만, 유아기에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그의 대부 프란츠 율리우스 히르쉬는 헌 가구 상인이었는데, 대부와 이름이 같다는 점은 그가 생물학적 아버지일 수 있다는 추측을 낳았다.[1]

델리취의 부모는 가난했지만, 델리취는 그가 "후원자"라고 불렀던 유대인 골동품 상인 레비 히르쉬의 도움으로 학교와 대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히르쉬는 델리취 가족과 같은 집에 살았다.[1] 히르쉬는 델리취의 영향으로 세례를 받고 "테오도르"라는 이름을 얻었다.[2] 델리취 생전에 레비 히르쉬와 대부 프란츠 율리우스 히르쉬가 동일인물이며, 델리취의 생물학적 아버지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델리취는 이를 부인했다.[1] 19세기 초 독일에서는 유대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는 일이 흔했는데, 이는 정부 관직과 교사직이 기독교인에게만 허용되었기 때문이다.[3]

델리취는 초기에 셈족 연구를 전공했다. 1844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의 조교수가 되었고, 1846년 로스토크 대학교의 정교수가 되었다. 1850년에는 에를랑겐 대학교로, 1867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교로 돌아와 남은 생을 보냈다.[4]

2. 2. 유대교와의 관계

델리취는 기독교인이었지만, 랍비 학문에 대한 지식, 유대인에 대한 공감, 그리고 그들을 변호한 점 때문에 유대인 혈통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의 가족 환경에는 유대인 후원자가 함께 살았고, 유대인 대부가 있었다는 특이점이 있었다.[1]

그의 대부 이름은 프란츠 율리우스 히르쉬로, 헌 가구 상인이었다. 델리취와 대부의 이름이 같다는 점은 그가 델리취의 생물학적 아버지일 가능성을 시사한다.[1] 델리취의 부모는 가난했지만, 레비 히르쉬라는 유대인 골동품 상인의 후원으로 학교와 대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레비 히르쉬는 델리취 가족과 같은 집에 살았다.[1] 히르쉬는 나중에 델리취의 영향으로 세례를 받고 "테오도르"라는 이름을 얻었다.[2]

델리취 생전에 레비 히르쉬와 대부 프란츠 율리우스 히르쉬가 동일 인물이며, 델리취의 생물학적 아버지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델리취는 항상 이를 부인했다.[1] 19세기 초 독일에서는 유대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는 일이 흔했으며, 이는 정부 관직이나 교사직이 기독교인에게만 허용되었기 때문이었다.[3]

델리취는 히브리어로 번역한 신약성서(1877)를 썼는데, 이는 여전히 히브리어 신약성서의 표준 판으로 간주되며, 유대인 개종을 위해 사용될 의도였다.[6] 1880년에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기독교 선교사를 훈련시키기 위해 라이프치히에 유대 연구소 (Institutum Judaicum)를 설립했다.

2. 3. 유대 연구소 설립

1880년 델리취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기독교 선교사를 훈련시키기 위해 라이프치히에 유대 연구소 (Institutum Judaicum)를 설립했다.[7]

3. 주요 저작

카일-델리취 구약성경 주석, 그랜드 래피즈 어드만 출판사, 1975.


프란츠 델리취는 카를 프리드리히 카일과 함께 카일-델리취 구약성경 주석을 편집했다.[8] 이 외에도 다양한 저작을 남겼다.[10]

3. 1. 카일-델리취 구약성경 주석



카일-델리취(Keil–Delitzsch)의 주석 편집본:[8]

권수내용
제1권모세 오경
제2권여호수아, 판관기, 룻기, 사무엘기 상·하
제3권열왕기 상·하, 역대기 상·하
제4권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욥기
제5권시편
제6권잠언, 전도서, 아가
제7권이사야
제8권예레미야, 애가
제9권에스겔, 다니엘
제10권소예언서


3. 2. 기타 저작


  • Die Genesis ausgelegtde (라이프치히 1852)
  • Handschriftliche Funde: Die Erasmischen Entstellungen des Textes der Apokalypsede (라이프치히 1861)
  • System der biblischen Psychologiede (라이프치히: Dorffling & Franke, 1861); 영어 번역: ''A System of Biblical Psychology'' (에든버러: T&T Clark, 1869); 2판 (그랜드 래피즈: Baker Book House, 1966).
  • 예수와 힐렐, 1865/66년 에세이[9]
  • ברית חדשהhe (''Berit Khadasha''), 히브리어 신약성경, 라이프치히 1877
  • Rohling's Talmudjude beleuchtetde, 라이프치히 1881 (아우구스트 롤링의 탈무드 왜곡에 대한 델리취의 논쟁)
  • Neuer Kommentar über die Genesisde, 소피아 테일러의 'A New Commentary of Genesis'(1888, 1889)는 영어 번역본(2권)이다. 지그프리트 바그너 교수의 서문 포함, 기센/바젤 (브루넨), 1999 (라이프치히 [Dörffling und Franke] 1887년판 재판).
  • Messianische Weissagungen in geschichtlicher Folgede, 게르하르트 마이어 박사의 서문 포함, 기센/바젤 (브루넨), 1992. (초판 라이프치히 [Faber] 1890년판 재판).
  • Die Psalmende, 기센/바젤 (브루넨), 2005 (다섯 번째 수정판 라이프치히 Dörffling und Franke 1894년판 재판)
  •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Hebrews'' by Franz Delitzsch, Thomas L. Kingsbury가 독일어에서 번역 (미시간주 그랜드 래피즈,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52) 2권

4. 신학적 관점과 영향

델리취는 기독교인이었지만, 랍비 학문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유대인에 대한 깊은 공감, 그리고 그들을 공격으로부터 보호했기 때문에 유대인 혈통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았다. 그는 유대인 후원자와 대부가 있는 독특한 가정 환경에서 자랐다.[1]

델리취가 히브리어로 번역한 신약성서(1877)는 여전히 히브리어 신약성서의 표준판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아놀드 에를리히가 델리취의 주장에 따라 제10판을 수정했다. 이 번역본은 유대인을 개종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구스타프 달만에 의해 개정되었다.[6] 이 번역본들은 현대 히브리어 부흥 이전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놀랍지만, 오늘날 독자들에게도 여전히 신선하고 생생하게 읽힌다.

1880년, 델리취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기독교 선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라이프치히에 유대 연구소 (Institutum Judaicum)를 세웠다.

존 던칸은 델리취가 많은 사람들이 포기하려 할 때 "구약 성서 전체의 신성한 권위와 영감을 굳게 지켰다"고 평가했다.[7]

4. 1. 유대-기독교 관계에 대한 기여

델리취는 기독교인이었지만, 랍비 학문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유대인에 대한 깊은 공감, 그리고 그들을 공격으로부터 보호했기 때문에 유대인 혈통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았다. 그의 가정 환경은 독특했는데, 유대인 후원자가 함께 살았고, 유대인 대부가 있었다.[1]

그의 대부 이름은 프란츠 율리우스 히르쉬로, 헌 가구 상인이었다. 델리취의 이름이 대부의 이름과 같다는 사실은 그가 생물학적 아버지일 수 있다는 추측을 낳았다.[1] 델리취는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지만, 유대인 골동품 상인 레비 히르쉬의 후원으로 학교와 대학교에 다닐 수 있었다. 레비 히르쉬는 델리취 가족과 함께 살았으며,[1] 나중에 델리취의 영향으로 세례를 받고 "테오도르"라는 이름을 얻었다.[2] 델리취 생전에 레비 히르쉬와 대부 프란츠 율리우스 히르쉬가 동일 인물이며, 델리취의 생물학적 아버지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델리취는 이를 부인했다.[1]

델리취가 히브리어로 번역한 신약성서(1877)는 여전히 히브리어 신약성서의 표준판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제10판에서는 아놀드 에를리히가 델리취의 주장에 따라 수정했다. 이 번역본은 유대인들을 개종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후에는 "유대인의 복음화"라는 공통의 목표를 공유했던 구스타프 달만에 의해 개정되었다.[6] 이 번역본들은 현대 히브리어 부흥 이전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놀랍지만, 오늘날 독자들에게도 여전히 신선하고 생생하게 읽힌다.

1880년, 델리취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기독교 선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라이프치히에 유대 연구소 (Institutum Judaicum)를 세웠다.

존 던칸은 델리취가 많은 사람들이 포기하려 할 때 "구약 성서 전체의 신성한 권위와 영감을 굳게 지켰다"고 평가했다.[7]

참조

[1] 서적 Franz Delitzsch
[2] 서적 Franz Delitzsch - Aspects of Life and Work
[3] 서적 The Pity Of It All: a history of Jews in Germany, 1743-1933 Penguin Books
[4] 웹사이트 Franz Delitzsch http://www.jewishenc[...] 2017-01-12
[5] 서적
[6] 간행물 The Hebrew New Testament of Franz Delitzsch https://www.jstor.or[...] 1892
[7] 서적 Rich Gleanings from Rabbi Duncan Free Presbyterian Publications
[8] 서적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Eerdmans
[9] 웹사이트 Hillel and Jesus, Comparisons of Two Major Religious Leaders http://ljohns.ambs.e[...] Fortress Press
[10] 웹사이트 Hillel and Jesus, Comparisons of Two Major Religious Leaders http://ljohns.ambs.e[...] Fortres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