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수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호수아는 "야훼는 구원이시다"라는 뜻을 지닌 이름으로, 에브라임 지파 출신이며 본래 호세아였으나 모세에 의해 개명되었다. 성경 속에서 여호수아는 모세의 후계자로서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가나안 정복을 수행했다. 그는 요단강을 건너 여리고 전투, 아이 성 전투, 기브온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승리하며 가나안 땅을 분배하고, 110세에 죽음을 맞이했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는 여호수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특히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여호수아보다 더 나은 존재로 묘사한다. 그러나 현대 학계에서는 여호수아기에 묘사된 가나안 정복 전쟁이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호수아기 - 라합
라합은 성경에 등장하는 여리고의 여인으로, 이스라엘 정탐꾼을 숨겨주고 가족과 함께 생명을 구원받았으며, 예수의 조상 중 한 명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 여호수아기 - 데라
데라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브라함의 아버지이며, 갈대아 우르를 떠나 하란에 머물다 205세에 사망했고, 종교적 전통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아홉 위인 - 다윗
이스라엘의 2대 왕 다윗은 목동 출신으로 골리앗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통일하여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종교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밧세바와의 죄와 아들 반란 등 어두운 면도 존재하며, 그의 생애는 여러 종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역사적 논쟁도 있다. - 아홉 위인 - 알렉산드로스 대왕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56년경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교육받고 20세에 왕위를 계승하여 그리스 통일, 페르시아 제국 정복, 인도 원정 등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하고 헬레니즘 문화 확산에 기여했으나 32세에 요절하여 제국은 분열되었다. - 출애굽기의 인물 - 아론
아론은 히브리어 성경에 등장하는 모세의 형이자 이스라엘 제사장의 조상으로, 파라오에게 이스라엘 백성의 해방을 요구하는 모세를 도왔지만 금송아지 숭배 사건과 같은 논란에 연루되기도 했으며, 여러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이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는 논쟁 중이다. - 출애굽기의 인물 - 십보라
십보라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미디안 제사장의 딸이자 모세의 아내이며, 이스라엘 백성의 이집트 탈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여호수아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예수아 ( Yēšūaʿ) 예수아 바 눈 ( Yəšūʿ bar Nōn) 예수스 () 유샤 이븐 눈 ( Yūšaʿ ibn Nūn) 이오수에 () |
출생지 | 고센(하 이집트), 고대 이집트 |
사망지 | 가나안 |
칭호 | 예언자, 의인, 선조 |
상징 | 갈렙과 함께 가나안에서 포도를 나르는 모습으로 자주 묘사됨 |
숭배 장소 | 여호수아의 무덤 (사마리아인 및 유대교 전통) 여호수아의 언덕, 알-나비 유샤 등 (이슬람 전통) |
기념일 | 니산월 26일, 야르차이트 (기념일): 유대교 7월 26일: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9월 1일: 로마 가톨릭교회 9월 1일: 동방 정교회 4월 14일: 모든 시나이 수도사 성인 |
종교적 중요성 | |
숭배 대상 |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
성경 속 역할 | |
주요 활동 | 히브리 성경의 여호수아기 중심 인물 |
이름 | |
히브리어 | (예호슈아) |
어원 | 야훼는 구원이시다 호세아 ()에서 유래, 모세에 의해 변경됨 |
추가 정보 | |
관련 성경 | 여호수아기, 출애굽기, 민수기 |
2. 이름
'여호수아'라는 이름은 히브리어 '예호슈아'(יְהוֹשֻׁעַ)를 번역한 것으로, "야훼는 구원이시다"라는 뜻이다.[8] 이 신명(神名)은 '구원'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명사 '예슈아'(יְשׁוּעָה, 현대 히브리어: ''yəšūʿa'', 티베리아 히브리어: ''yăšūʿā'')와 '야훼'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9][10][11][12] '예슈아'는 "구원하다/돕다/구출하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어근 ישׁע (''y-š-ʿ'')에서 파생되었다.[13][14]
여호수아는 에브라임 지파 눈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원래 이름은 호세아였으나 모세에 의해 여호수아로 개명되었다.[71] 출애굽 후, 르비딤에서 아말렉과의 첫 전투에서 이스라엘 군대를 지휘하여 승리했다.[21][72]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십계명을 받을 때 동행했으며,[22][73] 금송아지 숭배 사건 때 모세와 함께 있었다.[23][74] 모세가 회막에서 하나님과 대화할 때, 여호수아는 회막을 지키는 역할을 맡았다.[24]
'예수'라는 이름은 '예호슈아'의 그리스어 음역인 Ἰησοῦς|이에수스grc에서 파생된 것이다.[17][18][19][20] 현대 그리스어에서 여호수아는 예수와 구별하기 위해 "나웨의 아들 예수"(τοῦ Ναυή|투 나우에grc)로 불린다. 이는 슬라브어에서도 마찬가지이며, 동방 정교회 전통을 따르는 경우(예: 불가리아어, 세르비아어, 러시아어의 Иисус Навин|이수스 나빈ru)가 그러하다.
3. 성경 이야기
모세의 명을 받아 갈렙 등과 함께 약속의 땅인 가나안을 정탐했다. 여호수아와 갈렙은 가나안이 훌륭하다고 보고했지만, 다른 정탐꾼들은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것이 어렵다고 강조하여 백성이 동요하고 모세에게 불만을 말했다. 그러나 여호수아와 갈렙만이 불만을 말하지 않아 이들만 약속의 땅에 들어가는 것을 허락받았다.[75] 약속의 땅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백성의 일부는 군사 행동을 일으켰지만, 모세의 경고를 무시하고 덤벼들었다가 아말렉인과 가나안인에게 격파되어 추격까지 당했다.[76]
모세는 120세가 되자 자신의 후계자로 여호수아를 임명하고 죽었다.[77] 모세가 홍해를 가른 것처럼 요단강에서도 물이 갈라졌다.[30] 요단강을 건넌 후 첫 번째 전투는 여리고 전투였다. 여호수아는 여리고를 멸망시킨 후 서쪽에 있는 작은 이웃 도시인 아이 성으로 이동했으나, 이스라엘 백성은 아간이 여리고에서 "저주받은 것"을 가져갔기 때문에 36명이 죽고 패배했다. 그 뒤 아간과 그의 가족, 동물들은 돌에 맞아 죽임을 당하여 하나님의 은혜를 회복하게 되었고, 여호수아는 아이 성을 무찔렀다.[79][80]
이스라엘 백성은 예루살렘, 헤브론, 야르뭇, 라기스, 에글론 출신의 아모리 왕 다섯 명이 동맹을 맺은 군대와 마주했다. 기브온에서 여호수아는 여호와께 해와 달을 멈춰서 낮에 전투를 마치게 해 달라고 간구했고, 성경에 따르면 태양이 하늘 한가운데에 멈춰서 하루 정도 지체되었다.[30] 이 사건은 “여호와께서 사람의 목소리를 들으신 이 같은 날은 전에도 없었고 후에도 없었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싸우셨음이니라”는 구절로 가장 유명하다. 여호와께서는 이 전투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큰 우박을 하늘에서 내리게 하셨고, 이스라엘 자손이 죽인 자보다 가나안 족속 중 우박에 맞아 죽은 자가 더 많았다. 그 이후로 여호수아는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여러 차례 승리를 거두며 가나안 땅의 상당 부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여호수아는 백성을 이끌고 가나안 각지를 침략하여 저항 운동을 분쇄하고, 가나안 전역을 제압한 후 레위 지파를 제외한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에게 제비를 뽑아 토지를 분배했다.[4]
여호수아는 늙고 나이가 많아 이스라엘 장로들과 우두머리들을 소집하여 원주민들과 교제하지 말라고 권고했다.[81] 세겜에서 열린 종족 총회에서 그는 백성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면서 그들 가운데서 강력하게 나타나신 그들의 하나님께 충성하라고 권고했다. 여호수아는 하나님을 섬기겠다는 약속의 증거로 하나님의 성소 곁에 있는 상수리나무 아래에 큰 돌을 세웠다. 그 후에 그는 110세의 나이로 죽어 가아스 산 북쪽 에브라임 산지에 있는 딤낫헤레스(딤낫 세라)에 장사되었다.[82]
3. 1. 출애굽과 광야 생활
여호수아는 에브라임 지파 눈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원래 이름은 호세아였으나 모세에 의해 여호수아로 개명되었다.[71] 출애굽 후, 르비딤에서 아말렉과의 첫 전투에서 이스라엘 군대를 지휘하여 승리했다.[21][72]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십계명을 받을 때 동행했으며,[22][73] 금송아지 숭배 사건 때 모세와 함께 있었다.[23][74] 모세가 회막에서 하나님과 대화할 때, 여호수아는 회막을 지키는 역할을 맡았다.[24]
3. 2. 가나안 정탐
모세의 명을 받아 갈렙 등과 함께 약속의 땅인 가나안을 정탐한다. 여호수아와 갈렙은 가나안이 훌륭하다고 보고했지만, 다른 정탐꾼들은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것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 때문에 백성은 동요하여 모세에게 불만을 말했지만, 여호수아와 갈렙만이 불만을 말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여호수아와 갈렙만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는 것을 허락받았지만, 다른 성인들은 허락받지 못했다 (민수기[75]). 약속의 땅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백성의 일부는 반쯤 강제로 가나안 땅에 들어가려고 군사 행동을 일으켜 모세의 경고도 무시하고 덤벼들었지만, 아말렉인과 가나안인에게 격파되어 패주, 추격까지 당하는 상황이 되었다[76]。
3. 3. 모세의 후계자
모세는 120세가 되자 자신의 후계자로 여호수아를 임명하고 죽었다([77]).
3. 4. 가나안 정복
모세가 홍해를 가른 것처럼 요단강에서도 물이 갈라졌다.[30] 요단강을 건넌 후 첫 번째 전투는 여리고 전투였다. 여호수아는 여리고를 멸망시킨 후 서쪽에 있는 작은 이웃 도시인 아이 성으로 이동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은 36명이 죽고 패배했다. 이 패배는 아간이 여리고에서 "저주받은 것"을 가져갔기 때문이었다. 그 뒤 아간과 그의 가족, 동물들은 돌에 맞아 죽임을 당하여 하나님의 은혜를 회복하게 되었다. 그런 다음 여호수아는 아이 성을 무찌르러 나갔다.[79][80]
이스라엘 백성은 예루살렘, 헤브론, 야르뭇, 라기스, 에글론 출신의 아모리 왕 다섯 명이 동맹을 맺은 군대와 마주했다. 기브온에서 여호수아는 여호와께 해와 달을 멈춰서 낮에 전투를 마치게 해 달라고 간구했다. 성경 본문에 따르면, 태양이 하늘 한가운데에 멈춰서 하루 정도 지체되었다.[30] 이 사건은 “여호와께서 사람의 목소리를 들으신 이 같은 날은 전에도 없었고 후에도 없었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싸우셨음이니라”는 구절로 가장 유명하다. 여호와께서는 이 전투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큰 우박을 하늘에서 내리게 하셨고, 이스라엘 자손이 죽인 자보다 가나안 족속 중 우박에 맞아 죽은 자가 더 많았다. 그 이후로 여호수아는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여러 차례 승리를 거두며 가나안 땅의 상당 부분을 확보할 수 있었다.
3. 5. 가나안 땅 분배
여호수아는 백성을 이끌고 가나안 각지를 침략하여 저항 운동을 분쇄하고, 가나안 전역을 제압한 후 레위 지파를 제외한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에게 제비를 뽑아 토지를 분배했다.[4]
3. 6. 여호수아의 죽음
여호수아는 늙고 나이가 많아 이스라엘 장로들과 우두머리들을 소집하여 원주민들과 교제하지 말라고 권고했다.[81] 세겜에서 열린 종족 총회에서 그는 백성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면서 그들 가운데서 강력하게 나타나신 그들의 하나님께 충성하라고 권고했다. 여호수아는 하나님을 섬기겠다는 약속의 증거로 하나님의 성소 곁에 있는 상수리나무 아래에 큰 돌을 세웠다. 그 후에 그는 110세의 나이로 죽어 가아스 산 북쪽 에브라임 산지에 있는 딤낫헤레스(딤낫 세라)에 장사되었다.[82]
4. 여호수아가 정복한 땅의 임금들
가나안 땅의 임금 | 관련 지역 |
---|---|
예리코 임금 | 예리코 |
아이 임금 | 베텔 근처 아이 |
아도니 체덱 | 예루살렘 |
호함 | 헤브론 |
피르암 | 야르뭇 |
야피아 | 라키스 |
드비르 | 에글론 |
호람 | 게제르 |
게데르 임금 | 게데르 |
호르마 임금 | 호르마 |
아랏 임금 | 아랏 |
리브나 임금 | 리브나 |
아둘람 임금 | 아둘람 |
마케다 임금 | 마케다 |
베텔 임금 | 베텔 |
타푸아 임금 | 타푸아 |
헤페르 임금 | 헤페르 |
아펙 임금 | 아펙 |
사론 임금 | 사론 |
요밥 | 마돈 |
야빈 | 하초르 |
시므론 므론 임금 | 시므론 므론 |
악삽 임금 | 악삽 |
타아낙 임금 | 타아낙 |
므기또 임금 | 므기또 |
케데스 임금 | 케데스 |
카르멜의 요크느암 임금 | 카르멜의 요크느암 |
도르 고지대의 도르 임금 | 도르 고지대의 도르 |
길갈의 고임 임금 | 길갈 |
티르차 임금 | 티르차 |
5. 여호수아의 주요 전투
여호수아의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
여호수아는 지도자로서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위해 요르단 강을 건너 예리코를 공격했다. 여리고의 성벽은 제사장들이 부는 나팔과 백성의 외침 앞에서 무너졌다. 여호수아는 기생 라합 등을 제외한 여리고의 백성을 남녀노소 가축을 포함하여 모두 몰살시켰다[78]。
정찰병으로부터 아이의 백성은 적다고 들은 여호수아는 약 3,000명을 보냈지만 예상과는 달리 패배하여 36명이 적에게 살해당했다. 신 야훼께 여쭈어 본 결과, 멸망당해야 할 것이 남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제비뽑기 결과 아간이 해당되었다. 여리고를 공략했을 때 멸망에 바쳐져야 할 것을 아간이 훔쳤다는 것이 밝혀져 아간을 돌로 쳐 죽임에 처했다[79]。
다시 공략에 나설 때에는 아이 백성의 심리전을 이용한 총력전을 전개하여 아이 백성을 모두 읍에서 유인한 후, 복병 3만 명을 사용하여 아이 읍을 불태우고, 협격 태세로 몰아 아이 백성 1만 2천 명을 전멸시켰다[80]。
6. 종교적 관점
여호수아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각 종교는 여호수아를 다르게 해석하고 그에게서 다른 의미를 찾는다.
유대교 랍비 문헌에서 여호수아는 충실하고 겸손하며 지혜로운 인물로 묘사된다.[34] 모세의 후계자였으며,[39] 가나안 땅을 이스라엘 지파에게 분배하는 과정에서 여러 조건을 제시했다.[42] 또한 알레누 기도를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4]
기독교에서는 히브리서 4장 8-10절을 통해 예수를 여호수아보다 더 나은 안식을 가져다주는 분으로 묘사한다.[47] 초기 교부들은 여호수아를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로 보았다.
이슬람교 꾸란에는 여호수아의 이름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지만, 다른 이슬람 문헌에는 등장한다. 가나안 정복에 대한 꾸란 기록에서 여호수아와 칼리브는 알라의 은총을 받은 자들로 언급된다.[48] 일부 고전 학자들은 여호수아를 모세의 예언적 후계자로 여겼다. 이슬람 설화에서 중요한 사건은 요르단 강을 건넌 일과 ''바이트 알-마크디스'' 정복이다.
6. 1. 유대교
랍비 문헌에서 여호수아는 충실하고, 겸손하며, 자격 있고, 지혜로운 사람으로 묘사된다.[34] "주인을 섬기는 자는 존경을 받으리라"[35], "무화과나무를 지키는 자는 그 열매를 먹으리라"[36], "영혼이 겸손한 자는 영예를 얻으리라"[37]와 같은 성경 구절들은 여호수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38]모세의 후계자는 아들들이 아닌 여호수아였으며,[39] 여호수아가 옷니엘을 책망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40] "하나님은 모세와 대면하여 말씀하시되 친구에게 이야기하듯 하셨다. 그러고 나서 그는 진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그의 시종인 눈의 아들 여호수아는 젊은이로서 장막을 떠나지 않았다."[24]라는 구절은 여호수아가 차디크인 모세에게 완전한 믿음을 가졌음을 보여준다.[41]
랍비 전통에 따르면, 여호수아는 가나안 땅을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에게 분배하면서 각 지파의 경계선을 표시하기 위해 해총()을 심었다. 또한, 가나안 땅 분배 시 지파들이 숲을 가축의 목초지로 공동 사용하고, 티베리아스 호수에서 공동으로 어업을 하는 등의 열 가지 조건을 준수하도록 했다.[42]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여호수아는 요단강을 건너 이스라엘 땅으로 들어가 알리야를 한 후 하나님께 감사하는 알레누 기도를 지었다.[44] 이 내용은 14세기 후반의 콜 보에 처음 언급되었다. 몇몇 중세 주석가들은 여호수아의 짧은 출생 이름인 호세아가 알레누의 처음 몇 구절에 거꾸로 된 머리글자(ע – עלינו, ש – שלא שם, ו – ואנחנו כורעים, ה – הוא אלוקינו)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게오님은 여호수아가 알레누를 지은 이유에 대해,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으로 알리야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에 다른 민족들이 있었기 때문에, 하나님을 알고 그분의 주권을 받아들이는 자신들과 그렇지 않은 다른 민족들 사이에 명확한 구분을 두기 위함이었다고 설명한다.[45]
6. 2. 기독교
히브리서 4장 8-10절에서는 예수를 여호수아보다 더 나은 안식을 가져다주는 분으로 묘사한다.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백성을 가나안으로 인도했지만, 예수는 하나님의 백성을 "하나님의 안식"으로 인도하기 때문이다.[47] 초기 교부들은 여호수아를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로 해석했다.6. 3. 이슬람교
꾸란에는 여호수아(يُوشَعُ بْنُ نُونٍ|Yūšaʿ ibn Nūnar)의 이름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지만, 다른 이슬람 문헌에는 그의 이름이 등장한다. 가나안 정복에 대한 꾸란의 기록에서 여호수아와 칼리브는 언급되지만, 이름이 명시되지는 않고 하느님께서 은총을 베푸신 두려워하는 자들로 언급된다.[48]여호수아는 무사(모세)가 히드르를 찾기 위해 함께 여행했을 때도 언급된다.
부하리가 수집한 전승에 따르면, 한 남자가 설교를 마친 모세에게 "지상에서 가장 지식이 풍부한 사람은 누구입니까?"라고 질문했고, 모세는 "그것은 바로 나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알라는 모세에게 그가 그렇게 말해서는 안 되며, 그보다 더 지식이 풍부한 사람이 있다고 계시했다. 모세는 알-카드르(Al-Khaḍir)를 만나기 위해 두 바다가 만나는 곳으로 여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슬람 학자들은 이곳이 홍해와 지중해 사이의 시나이 반도 북부, 홍해가 수에즈 만과 아카바 만으로 갈라지는 시나이 남부, 또는 흑해와 마르마라 해 사이의 해협인 이스탄불의 보스포루스 해협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일부 고전 학자들은 여호수아를 모세(موسى|rtl=yesar)의 예언적 후계자로 여겼다. 알-타바리는 ''예언자와 왕들의 역사''에서 여호수아가 12명의 정탐꾼 중 한 명이었으며, 이슬람 학자들은 꾸란에서 언급된 두 명의 믿음직한 정탐꾼이 여호수아와 갈렙이라고 믿고 있다. 여호수아는 알라의 충실한 추종자 중 한 명으로 이스라엘 백성들 사이에서 특별했다.
여호수아의 이슬람 설화에서 중요한 사건으로는 요르단 강을 건넌 일과 ''바이트 알-마크디스'' 정복이 있다.
전통적인 이슬람 학술 주석에서는 여호수아가 이슬람의 예언자임을 보여주는 표적으로서 여호수아가 보인 기적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븐 카티르는 무스나드 아흐마드 이븐 한발 하디스에 대한 주석을 통해 예루살렘 포위 중에 여호수아가 승리할 때까지 해를 멈춰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하여 낮이 끝나지 않았고, 여호수아 휘하의 이스라엘 백성이 도시를 점령한 후에야 해가 졌다고 전했다. ''알-잘랄라인''은 "아흐마드 [이븐 한발]은 그의 무스나드에서 '[다음] 하디스'를 전했다. '해는 예루살렘의 성전을 향해 행진하던 여호수아를 제외하고는 어떤 인간을 위해서도 멈춘 적이 없었다.'"라고 말한다.
이슬람 문헌에는 히브리 성경에는 없는 여호수아에 대한 전통이 포함되어 있다. 여호수아는 모세의 죽음에 함께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문헌은 모세가 세상을 떠날 때 그의 의복이 여호수아에게 있었다고 기록한다. 사히 알-부하리와 사히 무슬림에서 여호수아는 유샤 빈 눈으로 언급되며 히드르와의 만남에서 모세의 수행자이다. 이 하디스 에피소드는 학자들이 알-카프 장의 꾸란 구절에 대한 주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7. 역사성
현대 주류 학계에서는 여호수아기가 역사적 사건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것이 아니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1][2] 여호수아기의 배경은 기원전 13세기로 추정되는데,[2] 이 시기에 광범위한 도시 파괴가 있었지만, 몇몇 예외(하소르, 라키스)를 제외하고는 파괴된 도시들이 성경에서 여호수아와 연관 짓는 도시들이 아니며, 성경이 연관 짓는 도시들은 당시 점령의 흔적이 거의 또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3]
캐롤린 프레스러는 여호수아기 독자들이 그 신학적 메시지를 우선시하고 이것이 기원전 7세기와 6세기의 청중에게 무엇을 의미했는지 인지해야 한다고 제안한다.[4] 리처드 넬슨은 중앙집권화된 군주의 필요에 따라 이집트 탈출의 오래된 전통, "신성한 전사"로서의 국가 신에 대한 믿음, 그리고 파괴된 도시, 사회 계층과 민족 집단, 그리고 동시대 부족들에 대한 설명을 결합한 단일 기원 이야기가 선호되었다고 설명했다.[5]
여호수아기는 역사적 가치가 거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 고고학적 증거는 여리고와 아이가 근동 후기 청동기 시대에 점령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7] 다만 여리고에서 최근 발굴을 통해 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8] 정복 이야기는 아마도 기원전 8세기 유다 왕국 왕들의 민족주의적 선전과 이스라엘 왕국 영토에 대한 그들의 주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요시아 왕(기원전 640–609년 재위) 통치 말기에 쓰인 여호수아기의 초기 형태에 통합되었을 것이다. 이 책은 기원전 586년 예루살렘이 신바빌로니아 제국에 함락된 후, 그리고 아마도 기원전 538년 바빌론 유수에서 귀환한 후에 개정되고 완성되었을 것이다.[9]
1930년대에 마르틴 노트는 여호수아서의 역사적 유용성에 대해 광범위한 비판을 가했다.[10] 노트는 알브레히트 알트의 제자였으며, 알트는 양식 비평과 기원 신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0][11] 알트와 노트는 성경의 기록과는 ''반대로''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의 여러 지역으로 평화롭게 이동했다고 가정했다.[12]
윌리엄 F. 올브라이트는 여호수아서의 정복 전쟁 분석의 핵심인 원인론의 "고집"에 의문을 제기했다. 1930년대의 고고학적 증거는 여호수아서에 나오는 정복 대상인 아이가 존재하여 파괴되었지만, 그 시기가 기원전 22세기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0] 아이의 대체 유적지가 제안되어 날짜의 불일치를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이러한 유적지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3]
1951년 캐슬린 케년은 텔 에스-술탄(예리코)의 시 IV가 청동기 시대 중기 (기원전 2100~1550년경) 말에 파괴되었으며, 청동기 시대 후기 (기원전 1550~1200년경)에는 파괴되지 않았음을 보였다. 케년은 초기 이스라엘의 원정이 역사적으로 뒷받침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지역의 기원을 설명하고 이스라엘 정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15]
1955년, G. 어니스트 라이트는 고고학적 자료와 초기 이스라엘의 원정 사이의 상관관계를 논했는데, 그는 이를 여호수아기에 따라 세 단계로 나누었다. 그는 "성경의 기록이 13세기 후반과 12-11세기의 그 땅의 특성에 관해 대체로 정확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듯한" 두 가지 고고학적 발견, 즉 "엄청난 폭력의 시기"였다는 점을 지적했다.[16] 그는 당시 이가엘 야딘에 의해 진행된 하솔 발굴에 특별한 비중을 뒀다.[16]
참조
[1]
서적
The Tiberian Pronunciation Tradition of Biblical Hebrew, Volume 1.
Open Book Publishers
[2]
웹사이트
Strong's Hebrew Concordance - 3091. Yehoshua
https://biblehub.com[...]
[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Josue (Joshua)
https://www.newadven[...]
2023-01-01
[4]
웹사이트
Conjugation of לְהוֹשִׁיעַ
https://www.pealim.c[...]
[5]
Bible
Numbers 13:16
[6]
웹사이트
"Jami' at-Tirmidhi 3149 - Chapters on Tafsir - كتاب تفسير القرآن عن رسول الله صلى الله عليه وسلم - Sunnah.com - Sayings and Teachings of Prophet Muhammad (صلى الله عليه و سلم)"
https://sunnah.com/t[...]
2022-02-14
[7]
웹사이트
Sahih Muslim 2380a - The Book of Virtues - كتاب الفضائل - Sunnah.com - Sayings and Teachings of Prophet Muhammad (صلى الله عليه و سلم)
https://sunnah.com/m[...]
2022-02-14
[8]
웹사이트
Fausset's Bible Dictionary
http://www.studyligh[...]
Study Light
2018-01-08
[9]
웹사이트
Strong's Hebrew Concordance - 3444. yeshuah
https://biblehub.com[...]
[10]
웹사이트
Inflection of יְשׁוּעָה
https://www.pealim.c[...]
[11]
웹사이트
Klein Dictionary, יְשׁוּעָה
https://www.sefaria.[...]
[12]
웹사이트
Jastrow, יְשׁוּעָה
https://www.sefaria.[...]
[13]
웹사이트
Strong's Hebrew Concordance - 3467. yasha
https://biblehub.com[...]
[14]
웹사이트
Klein Dictionary, ישׁע
https://www.sefaria.[...]
[15]
웹사이트
Strong's Hebrew Concordance - 474. Elishua
https://biblehub.com[...]
[16]
웹사이트
Strong's Hebrew Concordance - 410. êlî
https://biblehub.com[...]
[17]
Bible
Nehemiah 8:17
[18]
Webarchive
Numbers 13:16 LXX
http://bibledatabase[...]
2011-07-23
[19]
간행물
Zechariah
http://bibledatabase[...]
Bible database
2018-01-08
[20]
웹사이트
Strong's Hebrew Concordance - 3442. Yeshua
https://biblehub.com[...]
[21]
Bible
Exodus 17:8–16
[22]
문서
Exodus 24:13
[23]
Bible
Exodus 32:17
[24]
문서
Exodus 33:11
[25]
문서
Exodus 34:3
[26]
Bible
Numbers 13:16–17
[27]
Bible
Numbers 14:22–24
[28]
Bible
Joshua 1:1–9
[29]
Bible
Joshua 1:5
[30]
Bible
Joshua 10:14
[31]
Bible
Joshua 23:1–2
[32]
Bible
Joshua 23:7–8, Joshua 23:12–13
[33]
Bible
Joshua 24:29–30
[34]
문서
Proverbs 27:18
[35]
문서
Numbers Rabbah 12
[36]
문서
Yalkut Shimoni, Joshua 2; Numbers Rabbah 12:21
[37]
문서
Proverbs 29:23
[38]
문서
Numbers Rabbah 13
[39]
문서
Numbers Rabbah 12
[40]
문서
Yalkut Shimoni, Numbers 776
[41]
문서
Nachman of Breslov, Likutey Halakhot VII
[42]
문서
Babylonian Talmud
[43]
문서
Maimonides, Mishneh Torah
[44]
웹사이트
Shiur #18: Aleinu | VBM haretzion
https://www.etzion.o[...]
2021-01-30
[45]
웹사이트
The Origins of Aleinu – Anshe Sholom
https://anshesholomn[...]
2021-01-30
[46]
웹사이트
Online Siddur with Commentary
https://www.chabad.o[...]
2021-01-30
[47]
웹사이트
Torah of Yeshuah: Book of Meqabyan I - III
http://torahofyeshua[...]
2019-11-10
[48]
문서
The Holy Qur'an: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49]
서적
The Qur'an
Oxford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Surah Al-Kahf - 60
https://quran.com/al[...]
2023-07-14
[51]
문서
History of the Prophets and Kings
[52]
웹사이트
من هو يوشع بن نون؟
https://islamqa.info[...]
2024-08-04
[53]
웹사이트
Palestina, Tanah Kaum Muslimin
https://almanhaj.or.[...]
Lajnah Istiqomah
2024-08-04
[54]
웹사이트
QuranX.com The most complete Quran / Hadith / Tafsir collection available!
https://quranx.com/T[...]
2018-08-15
[55]
문서
Encyclopedia of Islam
[56]
문서
Prophetic Commentary on the Qur'an (Tafseer of the Prophet (pbuh))
[57]
문서
Knowledge
[58]
문서
The Book Pertaining to the Excellent Qualities of the Holy Prophet (may Peace be upon them) and His Companions (Kitab Al-Fada'il)
[59]
서적
THE EXEGESIS OF THE GRAND HOLY QUR'AN 1-4 Ibn Katheer VOL 3: تفسير ابن كثير [انكليزي] 1/4
https://books.google[...]
Dar Al Kotob Al Ilmiyah
2024-08-04
[60]
웹사이트
Histoires sacrées, vol. 2
https://boutique.cmb[...]
[61]
웹사이트
Joshua Trees
http://www.nps.gov/j[...]
National Park Service
2013-05-27
[62]
문서
https://archive.org/[...]
[63]
뉴스
Jews Barred from Visiting Tomb of Biblical Joshua
http://www.israelnat[...]
[64]
간행물
Meron, Rabbi Shim'on Bar Yochai Compound: Final Report
http://www.hadashot-[...]
2024-04-17
[65]
웹사이트
ISTANBUL, Extended On Two Continents
http://culturecityis[...]
2018-01-08
[66]
웹사이트
Mazar Hazrat Yusha’ bin Noon, on the website of the Islamic Supreme Council of Canada
http://www.islamicsu[...]
2017-05-05
[67]
웹사이트
Tomb of Prophet Yusha' (photo of the tomb; Islamic view on Prophet Yusha'/Joshua)
http://www.islamicla[...]
2018-09-26
[68]
웹사이트
The buried prophets in Iran – Arash Nooraghayee
http://nooraghayee.c[...]
2020-01-15
[69]
웹사이트
The Shrine of Prophet Yusha/Joshua (pbuh), Sacred Places in Lebanon - Holy Places in Lebanon
http://thecenteroflo[...]
2019-07-20
[70]
웹사이트
El-Nabi Yusha' Mosque and Maqam, at DestinationLebanon.gov.lb, Lebanon Ministry of Tourism
http://www.destinati[...]
2019-07-20
[71]
성경
民数記(口語訳)#13:8,16
https://ja.wikisourc[...]
[72]
성경
出エジプト記(口語訳)#17:8-13
https://ja.wikisourc[...]
[73]
성경
出エジプト記(口語訳)#24:12,13
https://ja.wikisourc[...]
[74]
성경
出エジプト記(口語訳)#32:17
https://ja.wikisourc[...]
[75]
성경
民数記(口語訳)#13章から14章
https://ja.wikisourc[...]
[76]
성경
民数記(口語訳)#14:39-45
https://ja.wikisourc[...]
[77]
성경
申命記(口語訳)#34:7
https://ja.wikisourc[...]
[78]
성경
ヨシュア記(口語訳)#6:17-21
https://ja.wikisourc[...]
[79]
성경
ヨシュア記(口語訳)#第7章
https://ja.wikisourc[...]
[80]
성경
ヨシュア記(口語訳)#第8章
https://ja.wikisourc[...]
[81]
성경
ヨシュア記(口語訳)#24:29
https://ja.wikisourc[...]
[82]
성경
ヨシュア記(口語訳)#第24章
https://ja.wikisou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