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호마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치스코 호마루스(1563-1641)는 개혁 신학자이자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반대하며 예정설을 옹호한 인물이다. 브뤼헤에서 태어나 개신교 종교 개혁의 영향을 받아 교육을 받았으며, 스트라스부르와 잉글랜드에서 수학했다. 프랑크푸르트에서 목회 활동을 하다가 라이덴 대학교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와의 논쟁에서 예정설을 옹호하며 고마르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도르트 신조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구약 성경 번역에 참여하고, 히브리 시 연구를 시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던 대학교 교수 - 아서 클라인먼
아서 클라인먼은 정신의학과 인류학을 융합하여 동아시아 문화권의 질병과 건강을 연구한 선구적인 학자로서, 문화와 질병의 상호작용, 사회적 고통,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서구 중심적 의학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했다. - 레이던 대학교 교수 -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는 예정론에 대한 칼뱅주의적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고 자유 의지를 강조한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레이던 대학교의 교수로, 그의 사상은 알미니우스주의 운동과 감리교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도르트 총회 - 윌리엄 에임스
윌리엄 에임스는 윌리엄 퍼킨스의 영향을 받은 영국의 청교도 신학자로, 프라네커 대학교의 신학 교수이자 《신학의 정수》 저술가로서 칼뱅주의 확산에 기여했으며, 특히 뉴잉글랜드 청교도들에게 큰 영향을 주어 '교회 정치의 아버지'로 불린다. - 도르트 총회 - 도르트 신조
도르트 신조는 1618년에서 1619년 도르트 총회에서 알미니우스주의자들의 다섯 개의 항론에 대한 개혁주의 교회의 답변으로 채택된 신앙 고백으로, 예정설, 그리스도의 속죄, 인간의 타락, 불가항력적 은혜, 성도의 견인 교리를 다루며 칼뱅주의 5대 강령의 토대가 되어 많은 개혁 교회에서 권위 있는 기준으로 여겨진다. - 브뤼허 출신 - 스벤 빙커
스벤 빙커는 라리안 스튜디오의 CEO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서 《디비니티》 시리즈와 200개 이상의 올해의 게임상을 수상한 《발더스 게이트 3》 개발을 이끌었으며, 벨기에 평생 공로상을 수상한 벨기에 게임 개발자이다. - 브뤼허 출신 - 토니 파커
토니 파커는 NBA 샌안토니오 스퍼스에서 4번의 챔피언십 우승과 2007년 파이널 MVP를 수상하고 프랑스 국가대표팀으로 유로바스켓 2013 우승을 이끈 프랑스 은퇴 프로 농구 선수이다.
프란치스코 호마루스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프랑수아 고마에르 |
출생 | 1563년 1월 30일 |
출생지 | 브뤼헤,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사망 | 1641년 1월 11일(향년 77세) |
사망지 | 흐로닝언, 네덜란드 공화국 |
국적 | 네덜란드 |
종교 | 개혁교회 (칼뱅주의) |
직업 | |
직업 | 신학자 |
학문 | |
관심사 | 신학 |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 칼뱅주의 5대 강령, 제한 속죄 |
영향 | 장 칼뱅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도르트 신조 서명, 고마루스-아르미니우스 논쟁 참여 |
2. 생애
1563년 브뤼헤에서 태어난 고마루스는 개신교 신앙을 가진 부모의 영향으로 팔츠 선제후국에서 성장했다. 요한 슈투름 밑에서 교육받기 위해 스트라스부르로 보내졌고, 이후 노이슈타트에서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 히에로니무스 샹키우스, 다니엘 토사누스 등에게 신학을 배웠다. 잉글랜드로 건너가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에서 수학한 후, 1584년 케임브리지를 졸업하고 하이델베르크로 돌아왔다. 1587년부터 1593년까지 프랑크푸르트에서 네덜란드 개혁 교회 목사로 활동하다가, 1594년 라이덴 대학교 신학 교수로 임명되면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603년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가 라이덴 대학교 신학부 동료 교수가 되면서, 고마루스는 아르미니우스가 펠라기우스주의적 교리를 가르치고 새로운 신학 학파를 만든다고 비판하며 격렬하게 대립했다.[2] 그는 절대적 예정설을 주장하며 아르미니우스의 선택론에 맞섰고, 이후 아르미니우스 반대파(고마르파[1])의 지도자가 되었다. 1608년과 1609년 홀란트 의회에서 아르미니우스 및 그의 추종자들과 논쟁을 벌였다.[2]
아르미니우스 사후, 그의 후임으로 콘라트 포르스티우스가 임명되자 고마루스는 이에 반발하여 1611년 라이덴 대학교 교수직을 사임하고 미델부르흐로 옮겨 개혁교회 설교자로 활동하며 일루스트레 슐레에서 신학과 히브리어를 가르쳤다.[1] 1614년 소뮈르 아카데미 신학 교수로 초빙되어 1618년까지 재직했고, 이후 흐로닝언 대학교 신학과 히브리어 교수로 임명되어 1641년 사망할 때까지 활동했다.[1] 그는 히브리어 교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대인에 대한 제재를 촉구하기도 했다.
고마루스는 1618년 도르트 신조에서 아르미니우스주의를 비판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 그는 구약 성경의 네덜란드어 번역 개정 작업에 참여했으며, 사후에는 성경 히브리 시의 운율을 설명하려 한 ''Lyra Davidis''가 출판되어 루이 카펠과의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의 작품들은 1645년 암스테르담에서 한 권으로 출판되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고마루스는 브뤼헤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종교 개혁의 원칙을 받아들였고, 새로운 신앙을 자유롭게 고백하기 위해 1578년 브뤼헤에서 팔츠 선제후국으로 이주했으며, 아들을 요한 슈투름 밑에서 교육받도록 스트라스부르로 보냈다. 그는 그곳에서 3년 동안 머물렀고, 1580년 노이슈타트로 갔다. 그곳은 하이델베르크의 교수들이 루터교 신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팔츠 선제후에 의해 쫓겨난 곳이었다. 여기서 그의 신학 스승은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 (1534–83), 히에로니무스 샹키우스 (1560–90), 다니엘 토사누스 (1541–1602)였다. 1582년 말 잉글랜드로 건너가 옥스퍼드에서 존 레이놀즈 (1549–1607)의 강의를 들었고, 케임브리지에서 윌리엄 휘태커의 강의를 들었다. 그는 1584년 케임브리지에서 졸업한 후 하이델베르크로 갔고, 이 무렵 그곳의 교수진이 재건되었다. 그는 1587년부터 1593년까지 프랑크푸르트의 네덜란드 개혁 교회의 목사였으며, 그 당시 박해로 인해 교회가 흩어졌다. 1594년 그는 라이덴 대학교의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그곳으로 가기 전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2. 목회 활동과 교수 임용
고마루스는 브뤼헤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종교 개혁의 원칙을 받아들였고, 새로운 신앙을 자유롭게 고백하기 위해 1578년 브뤼헤에서 팔츠 선제후국으로 이주했으며, 아들을 요한 슈투름 밑에서 교육받도록 스트라스부르로 보냈다. 그는 그곳에서 3년 동안 머물렀고, 1580년 노이슈타트로 갔다. 그곳은 하이델베르크의 교수들이 루터교 신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팔츠 선제후에 의해 쫓겨난 곳이었다. 여기서 그의 신학 스승은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 (1534–83), 히에로니무스 샹키우스 (1560–90), 다니엘 토사누스 (1541–1602)였다. 1582년 말 잉글랜드로 건너가 옥스퍼드에서 존 레이놀즈 (1549–1607)의 강의를 들었고, 케임브리지에서 윌리엄 휘태커의 강의를 들었다. 그는 1584년 케임브리지에서 졸업한 후 하이델베르크로 갔고, 이 무렵 그곳의 교수진이 재건되었다. 그는 1587년부터 1593년까지 프랑크푸르트의 네덜란드 개혁 교회의 목사였으며, 그 당시 박해로 인해 교회가 흩어졌다. 1594년 그는 라이덴 대학교의 신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그곳으로 가기 전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3. 신학 및 아르미니우스 논쟁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는 1603년 레이던 대학교 신학부 교수로 임명된 후, 프란치스코 호마루스가 보기에 펠라기우스주의에 가까운 주장을 펼치며 새로운 신학 학파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에 호마루스는 아르미니우스의 신학에 반대하며 논쟁을 벌였다.
아르미니우스 사후, 그의 후임으로 콘라트 포르스티우스가 임명되자 호마루스는 이에 반발하여 교수직을 사임했다. 이후 미델부르흐에서 목회 활동과 신학 교육을 하다가, 소뮈르 아카데미를 거쳐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생을 마감했다.[1] 호마루스는 히브리어 교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대인에 대한 제재를 가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성경 히브리 시의 운율을 설명하려고 시도했으며, 사후에 루이 카펠에 의해 반대되어 논란을 일으킨 ''Lyra Davidis''가 출판되었다. 그의 작품들은 1645년 암스테르담에서 한 권의 절판본으로 출판되었다. 1643년 흐로닝언에서 그의 제자 사무엘 마레시우스(1599–1673)에게 계승되었다.[1]
3. 1. 아르미니우스와의 논쟁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가 1603년 신학부 동료가 되면서, 고마루스가 본질적으로 펠라기우스 교리로 간주하는 것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대학 내에 새로운 신학 학파를 만들었다. 고마루스는 즉시 자신의 대학 수업에서 이러한 믿음에 반대하기 위해 진지하게 나섰고, 나중에 프라네커의 신학 교수가 된 요한 B. 보게르만 (1570–1637)의 지지를 받았다. 아르미니우스는 선택이 믿음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 반면, 그들은 절대적인 예정설을 신앙의 규칙으로 강요하려 했고, 이에 따라 전체 성경을 해석해야 했다.[2] 고마루스는 이후 고마르파[1](네덜란드어: ''contra-remonstranten'')로 알려지게 된 아르미니우스 반대파의 지도자가 되었다.그는 1608년 홀란트 의회에서 아르미니우스와 두 차례 개인적인 논쟁을 벌였고, 1609년 같은 의회에서 다섯 명의 항론파 (알미니우스주의자)를 만난 다섯 명의 고마르파 중 한 명이었다. 이 직후 아르미니우스가 사망하자, 고마루스와 그의 친구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아르미니우스의 견해에 동조하는 콘라트 포르스티우스가 그의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고마루스는 이 패배를 심하게 받아들여 직책을 사임하였다.[1]
3. 2. 도르트 신조
고마루스는 1618년 아르미니우스의 교리를 심판하기 위해 소집된 도르트 신조(도르드레흐트 신조)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 그는 재능, 열정, 학식을 갖춘 인물이었으며, 상당한 동양학자이자 예리한 논쟁가였다.[1] 1633년 구약 성경의 네덜란드어 번역 개정 작업에 참여했다.[1]4. 기타 활동 및 평가
고마루스는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가 펠라기우스주의와 유사한 교리를 가르치며 새로운 신학 학파를 만들자 이에 반대하였다.[2] 그는 프라네커의 신학 교수였던 요한 B. 보게르만 (1570–1637)의 지지를 받았으며, 절대적 예정설을 주장하며 아르미니우스와 논쟁을 벌였다.[2] 고마루스는 이후 고마르파[1](네덜란드어: ''contra-remonstranten'')로 알려진 아르미니우스 반대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1608년 홀란트 의회에서 아르미니우스와 두 차례 논쟁을 벌였고, 1609년에는 같은 의회에서 다섯 명의 항론파(알미니우스주의자)에 맞선 다섯 명의 고마르파 중 한 명이었다. 아르미니우스 사후, 그의 후임으로 콘라트 포르스티우스가 임명되자 고마루스는 직책을 사임하고 미델부르흐로 가서 설교자가 되었다.[1] 1614년 소뮈르 아카데미의 신학 교수로 초빙되었고, 이후 흐로닝언의 신학과 히브리어 교수로 초빙되어 1641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1]
4. 1. 성경 번역 및 연구
고마루스는 1633년 구약 성경의 네덜란드어 번역 개정 작업에 참여했다. 그는 사후에 성경 히브리 시의 운율을 설명하려 시도했고, 루이 카펠에 의해 반대되어 논란이 된 ''Lyra Davidis''가 출판되었다.4. 2. 유대인에 대한 입장
פְרַנְצִיסְקוּס הוֹמַרוּס|프란치스코 호마루스he는 히브리어 교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대인에 대한 제재를 가할 것을 촉구했다.[1]4. 3. 평가
고마루스는 1618년 아르미니우스의 교리를 심판하기 위해 소집된 도르트 신조(도르드레흐트 신조)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재능, 열정, 학식을 갖춘 인물이었으며, 상당한 동양학자이자 예리한 논쟁가였다.[1] 1633년 구약 성경의 네덜란드어 번역 개정 작업에 참여했으며,[1] 사후에는 성경 히브리 시의 운율을 설명하려 시도하여 루이 카펠에 의해 반대되어 논란을 일으킨 ''Lyra Davidis''가 출판되었다.[1] 그의 작품들은 1645년 암스테르담에서 한 권의 절판본으로 수집되어 출판되었다.[1] 그는 1643년 흐로닝언에서 그의 제자 사무엘 마레시우스(1599–1673)에게 계승되었다.[1]참조
[1]
EB1911
Gomarus, Franz
[2]
서적
History of Protestant Theology, Particularly in Germany (etc.)
https://books.google[...]
T. & T. Clark, Edinburgh
18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