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로프슈토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로프슈토크는 독일의 시인이자 작가로, 독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종교 서사시 《메시아》를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송시와 드라마, 기타 저술 활동을 펼쳤다. 클로프슈토크는 독일 시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고, 괴테와 실러 등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작품은 한국의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베들린부르크 출신 - 카를 리터
    카를 리터는 독일의 지리학자로, 베를린 대학교 최초의 지리학 교수로서 지리학을 학문으로 발전시키고, 《지리학》을 통해 지표면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근대 지리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 크베들린부르크 출신 - 다그마르 하제
    다그마르 하제는 독일의 수영 선수로, 자유형과 배영을 주 종목으로 하여 1992년 하계 올림픽 400m 자유형 금메달을 포함, 총 7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당대 최고 선수들을 꺾고 우승, 1994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팀 동료를 위해 결승 출전 기회를 양보하는 스포츠 정신을 보여주었다.
  • 1803년 사망 - 조지 배스
    영국의 해군 군의관이자 탐험가인 조지 배스는 매슈 플린더스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해안을 탐험하고 태즈메이니아가 섬임을 확인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배스 해협이 생겨났으나 1803년 항해 중 실종되었다.
  • 1803년 사망 -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는 18세기 러시아의 시인이자 번역가, 계몽주의 사상가로,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을 러시아에 전파하는 데 기여했으며 서사시 《두셴카》가 대표작이고, 초기 사회 개혁적 작품을 쓰다가 궁중 시인으로 활동하며 체제 순응적인 경향을 보였다.
  • 1724년 출생 - 이마누엘 칸트
    이마누엘 칸트는 1724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평생 그곳에서 연구하며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등을 통해 인식론, 윤리학, 미학에 혁신적인 사상을 제시하여 서양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1724년 출생 - 경공황귀비
    경공황귀비는 한족 평민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 되어 귀인으로 입궁 후 경빈, 경비, 경귀비를 거쳐 가경제의 추존으로 황귀비에 추봉되었으며, 자녀는 없었으나 가경제를 양자로 삼아 그의 양육 은혜에 보답받아 경공이라는 시호를 추봉받았다.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로프슈토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요한 카스파르 퓌슬리가 그린 클롭슈토크 (1750년)
요한 카스파르 퓌슬리가 그린 클롭슈토크 (1750년)
본명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롭슈토크
출생1724년 7월 2일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작센 선제후국, 퀘들린부르크
사망1803년 3월 14일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 함부르크
국적독일
직업
직업시인
언어
사용 언어독일어
장르
장르
사조
사조신고전주의
감상주의
배우자
배우자메타 몰러
요한나 엘리자베트 폰 빈템

2. 생애

클로프슈토크는 작센 선제후국 퀘틀린부르크에서 태어나 출생지와 프리데부르크 저택에서 행복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김나지움과 슐포르타에서 공부하며 그리스어라틴어에 능숙해졌고, 독일어 전원시와 송시를 썼다. 존 밀턴의 "실낙원"의 영향으로 종교적인 서사시를 쓰기로 결심하고 "구세주" 계획에 참여했다. 1745년 학교 졸업 후 예나 대학교에 진학하여 "구세주"의 처음 세 곡을 썼고, 1746년 라이프치히로 이주하여 브레머 베이트레게에 기고하는 젊은이들의 모임에 참여했다. 1748년 "구세주"의 세 곡이 출판되면서 독일 문학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고, 그의 이름은 널리 알려졌다.

라이프치히에서 다양한 송시를 썼으며, 1748년 대학교를 떠나 랑엔잘차에서 가정교사로 일했다. 사촌에 대한 짝사랑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으나, 1750년 요한 야코프 보드머의 초대로 취리히를 방문하여 안정을 찾았다. 그러나 보드머는 클로프슈토크의 현실적인 모습에 실망했고, 둘의 우정은 식었다. 이 시기에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5세의 제안으로 코펜하겐에 정착하여 "구세주"를 완성하기로 했다. 코펜하겐으로 가는 길에 함부르크에서 마르가레타 묄러를 만나 1754년 결혼했으나, 1758년 그녀가 세상을 떠나면서 큰 슬픔을 겪었다.

이후 비관주의에 빠지기도 했지만, 코펜하겐에 머물며 북유럽 신화에 관심을 갖고 작품 활동을 계속했다. 1788~89년 프랑스 혁명 초기에는 이를 지지하는 송가를 쓰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1724-1745)

클로프슈토크의 출생지인 퀘들린부르크


클로프슈토크는 1724년 7월 2일 작센 선제후국(현재 독일 작센안할트 주) 퀘들린부르크에서 변호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4] 그는 아버지의 영지가 있는 프리데부르크(잘레 강변)에서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여 뛰어난 기수로 여겨졌다.[4]

13세에 퀘들린부르크의 김나지움에 입학했고, 1739년에는 명문 고전 학교인 슐포르타에 진학했다.[4] 슐포르타에서 그는 그리스어라틴어에 능통하게 되었고, 독일어로 훌륭한 전원시와 송시를 썼다.[4] 요한 야코프 보드머의 번역을 통해 존 밀턴의 《실낙원》을 접하고 큰 감명을 받은 그는, 원래 하인리히 1세를 주인공으로 한 서사시를 쓰려던 계획을 바꾸어 종교 서사시인 《메시아》를 구상하기 시작했다.[4]

1745년 9월 21일, 슐포르타를 졸업하면서 클로프슈토크는 서사시에 대한 주목할 만한 "고별사"(《서사시에 대한 고별 연설, 문화 및 문학사적으로 설명》)를 발표했다.[4]

2. 2. 예나 대학교와 라이프치히 대학교 시절 (1745-1748)

1745년 9월 21일, 클로프슈토크는 슐포르타를 졸업하며 서사시에 대한 고별 연설을 했다. 이후 예나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며 《메시아》의 초기 3개의 칸토를 산문으로 작성했다. 1746년 봄, 라이프치히 대학교로 옮겨 《브레머 베이트레게》에 기고하는 젊은 문인들과 교류했으며, 1748년에는 《메시아》의 초기 3개 칸토를 헥사미터 운율로 발표하여 독일 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2. 3. 덴마크와 독일에서의 활동 (1748-1803)

1748년, 클로프슈토크는 라이프치히 대학교를 떠나 랑엔잘차에서 친척의 가정교사로 일하게 되었다. 그는 사촌에 대한 짝사랑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는데, 그의 송시 "Fanny"에서 이 감정을 엿볼 수 있다. 1750년, 존 밀턴의 《실낙원》을 번역한 요한 야콥 보트머의 초대로 취리히를 방문하여 정신적인 안정을 찾았다. 그러나 보트머는 《메시아》의 젊은 시인에게서 세속적인 면모를 발견하고 실망하여 둘 사이에는 냉랭함이 싹텄다.[4]

이때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5세는 베른스토르프 백작의 추천을 받아 클로프슈토크에게 코펜하겐에 정착하여 《메시아》를 완성할 것을 제안하며 400탈러의 연금을 약속했다. 클로프슈토크는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4]

코펜하겐으로 가는 길에 클로프슈토크는 함부르크에서 마르가레타(메타) 몰러를 만났다. 그녀는 함부르크 상인의 딸이자 그의 시 열성 팬이었으며, 1754년에 그의 아내가 되었다. 클로프슈토크는 그녀를 자신의 송시에서 "Cidli"라고 불렀다. 그러나 행복은 짧았고, 1758년 그녀는 출산 중 사망하여 클로프슈토크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다. 이 슬픔은 《메시아》의 15번째 칸토에 애절하게 표현되어 있다.[4] 이후 클로프슈토크는 아내의 저작인 ''Hinterlassene Werke von Margareta Klopstock''(1759)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그녀의 온화하고 섬세하며 깊은 신앙심을 보여준다.[4]

클로프슈토크는 다시 우울에 빠졌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지 못해 그의 시는 점점 더 내성적으로 변해갔다. 그럼에도 그는 코펜하겐에서 계속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며, 하인리히 빌헬름 폰 게르스텐베르크의 영향을 받아 북유럽 신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770년, 크리스티안 7세가 베른스토르프 백작을 해임하자, 클로프슈토크는 그와 함께 함부르크로 돌아갔지만, 덴마크 왕의 연금과 공사 직위는 유지했다.[4]

1773년, 《메시아》(''Messias'')의 마지막 5개 칸토가 발표되었다. 1774년에는 독일 문학 부흥 계획을 담은 《학자 공화국》(''Die Gelehrtenrepublik'')을 출판했다. 1775년, 그는 남쪽으로 여행을 떠나 괴테를 만났고, 바덴카를스루에 궁정에서 1년을 보냈다. 1776년, 덴마크 왕의 연금과 함께 바덴 변경백으로부터 ''호프라트''(Hofrath) 직함과 연금을 받아 함부르크로 돌아와 여생을 보냈다.[4]

만년에 클로프슈토크는 은퇴 생활을 하며 가장 친한 친구들과 교류하고, 어문학 연구에 몰두하며, 독일 문학의 새로운 발전에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미국 독립 전쟁프랑스 혁명에 열광적인 지지를 보냈다. 프랑스 공화국은 그에게 명예 시민권을 수여했지만, 혁명의 폭력성에 실망한 그는 이를 반납했다.[4]

1791년, 클로프슈토크는 첫 번째 부인의 조카이자 오랜 친구였던 요한나 엘리자베스 폰 빈템과 재혼했다. 1803년 3월 14일, 그는 함부르크에서 사망하여 오텐센 교회 묘지에 첫 번째 부인 곁에 안장되었다.[4] 그의 장례식은 독일 전역의 애도 속에 성대하게 치러졌다.

3. 주요 작품

''Der Tod Adams. Hermanns Schlacht'' (1823)


클로프슈토크는 메시아 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송시에서는 북유럽 신화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과 종교적 주제를 강조한 작품을 썼다.[4] 대표적인 송시로는 ''안 파니(An Fanny)'', ''취리히 호수(Der Zürchersee)'', ''죽은 클라리사(Die tote Klarissa)'', ''안 시들리(An Cidli)'', ''두 뮤즈(Die beiden Musen)'', ''라인 와인(Der Rheinwein)'', ''초기 무덤들(Die frühen Gräber)'', ''나의 조국(Mein Vaterland)'' 등이 있으며,[4] 종교적 송시 중 가장 아름다운 작품은 ''봄의 축제(Die Frühlingsfeier)''이다.[4]

성경을 소재로 한 드라마 아담의 죽음(1757), 솔로몬(1764)과 독일 역사를 소재로 한 드라마 헤르만 전투(1769)를 창작했다.

그는 《학자 공화국》 외에도 《언어와 시 문학에 관한 단편》(1779), 《문법 대화》(1794)를 저술하여 언어학과 독일 시 문학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4]

3. 1. 《메시아》(Der Messias) (1748-1773)

클로프슈토크의 《메시아》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을 다룬 종교 서사시로, 1748년부터 1773년까지 25년에 걸쳐 완성되었다. 총 20개의 칸토와 2만여 행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존 밀턴의 《실낙원》의 영향을 받아 헥사미터 운율을 사용하여 숭고하고 장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4]

《메시아》는 구원이라는 주제를 기독교 신화를 바탕으로 묘사하며, 교리의 틀 안에서 서사시적으로 풀어낸다.[4] 클로프슈토크는 예나 대학교 신학생 시절 이 작품의 처음 세 곡을 산문으로 썼으며, 1748년 라이프치히에서 이 세 곡이 출판되면서 독일 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메시아》는 발표와 동시에 대중의 열렬한 호응을 얻었으며, 17개 언어로 번역되고 수많은 모방작을 낳았다.[4] 이 작품은 독일 문학사에서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3. 2. 송시 (Odes)

클로프슈토크는 송시를 통해 자신의 독특한 재능을 더 잘 발휘하였다.[4] 그의 송시 중 일부는 북유럽 신화에서 영감을 받았고, 다른 일부는 종교적 주제를 강조했다.

클로프슈토크의 가장 유명하고 번역된 송시로는 ''안 파니(An Fanny)'', ''취리히 호수(Der Zürchersee)'', ''죽은 클라리사(Die tote Klarissa)'', ''안 시들리(An Cidli)'', ''두 뮤즈(Die beiden Musen)'', ''라인 와인(Der Rheinwein)'', ''초기 무덤들(Die frühen Gräber)'', ''나의 조국(Mein Vaterland)'' 등이 있다. 그의 종교적 송시는 대부분 찬송가 형태를 띠며, 가장 아름다운 작품은 ''봄의 축제(Die Frühlingsfeier)''이다.[4]

클로프슈토크의 찬송가 "부활(Die Auferstehung)"은 1894년 한스 폰 뷜로의 장례식에서 구스타프 말러가 그의 교향곡 2번 마지막 악장을 작곡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 말러는 이 작품에 개인적인 결론을 내리기 위해 자신이 직접 쓴 추가 구절과 함께 찬송가를 통합했다.[3]

클로프슈토크는 Der am Kreuz ist meine Liebe를 포함한 송시와 찬송가를 출판했으며, 이 중 일부는 단축 및 수정된 형태로 2013년 가톨릭 찬송가 ''Gotteslob''에 수록되었다.

3. 3. 드라마

클로프슈토크는 성경과 독일 역사를 소재로 한 드라마를 창작했다. 대표적인 드라마로는 《아담의 죽음》(Der Tod Adams, 1757), 《솔로몬(Salomo, 1764)》 등이 있다. 《헤르만 전투(Hermanns Schlacht, 1769)》는 고대 게르만족 영웅 아르미니우스를 소재로 한 작품으로, 독일 민족주의 정신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3. 4. 기타 저술

그는 또한 《학자 공화국》 외에도 언어학과 독일 시 문학사에 중요한 기여를 한 저서인 《언어와 시 문학에 관한 단편》(1779)과 《문법 대화》(1794)를 저술했다.[4]

4. 유산과 영향

클로프슈토크는 독일 시의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운율에 대한 관심을 높여 그를 따르던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5] 그는 독일 시를 알렉산드린 운율에 대한 독점적인 관심에서 해방시키면서 독일 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으며, 실러괴테는 그의 예술적 영향을 받았다.[6] 덴마크에는 클로프슈토크의 이름을 딴 800년 된 참나무가 있다.[7]

참조

[1] 서적 Klopstock, Friedrich Gottlieb
[2] 서적 Klopstock, Friedrich Gottlieb
[3] 서적 The Symphon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Klopstock, Gottlieb Friedrich
[5] 간행물 Klopstock, Friedrich Gottlieb
[6] 서적 Klopstock, Friedrich Gottlieb
[7] 웹사이트 Danish Tree Register http://dendron.dk/dt[...] 2020-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