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드리히 3세 폰 데어 팔츠 선제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3세 폰 데어 팔츠 선제후는 1557년부터 1576년까지 시메른 팔츠 백작, 1559년부터 1576년까지 팔츠 선제후를 지냈다. 그는 가톨릭 신앙으로 교육받았으나 브란덴부르크의 마리아와 결혼한 후 종교 개혁을 따랐고, 1546년에는 자신의 신앙을 공개적으로 고백했다. 프리드리히 3세는 루터교와 칼뱅주의가 공존하던 팔츠에서 개혁 신앙을 받아들여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을 제정하고, 루터교 목사를 해임하는 등 개혁을 추진했다. 이러한 개혁은 황제와 제국 회의의 반대에 직면했으나, 그는 이를 굽히지 않고 개혁을 지속했다. 그는 두 번 결혼하여 11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사후에는 아들 루트비히 6세가 팔츠 선제후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뱅주의로 개종한 사람 - 아더 핑크
    아더 핑크는 칼빈주의 신학을 옹호하며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전적인 타락을 강조하고 자유주의 신학을 비판한 침례교 목사이자 작가이다.
  • 팔츠짐메른가 - 프리드리히 5세 폰 데어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 폰 데어 팔츠 선제후는 팔츠 선제후국의 통치자로, 보헤미아의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백산 전투에서 패배 후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그의 딸 조피는 영국 왕위 계승권자들의 공통 선조가 되었다.
  • 팔츠짐메른가 - 리젤로테 폰 데어 팔츠 후작영애
    리젤로테 폰 데어 팔츠 후작영애는 팔츠 선제후의 딸로 프랑스 루이 14세의 동생과 결혼하여 프랑스 궁정에서 "마담"으로 불리며 궁정 생활과 유럽 사회에 대한 생생한 기록을 담은 방대한 편지를 남겼고 팔츠 계승 전쟁으로 고향이 파괴되는 아픔을 겪었으며 종교적 관용과 계몽주의 사상에 관심을 가졌으며 그녀의 편지는 역사적 사료로서 가치를 인정받고 다양한 대중 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프리드리히 3세 폰 데어 팔츠 선제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리드리히 3세, 팔츠 선제후
군주호팔츠 선제후
이름프리드리히 3세
로마자 표기Friedrich III.
별호경건한 프리드리히
출생일1515년 2월 14일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File:Banner of Palatinate-Neuburg (3^2).svg|border|25px]] 팔츠-짐메른 공령, 짐메른
사망일1576년 10월 26일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
[[File:Banner of Palatinate-Neuburg (3^2).svg|border|25px]] 팔츠 선제후령, 하이델베르크
매장지신성 로마 제국
[[File:Banner of Palatinate-Neuburg (3^2).svg|border|25px]] 팔츠 선제후령, 하이델베르크, 성령 교회
종교기독교칼뱅파
가문
왕가비텔스바흐 가문
가문팔츠-짐메른 가문
아버지팔츠-짐메른-슈폰하임 공 요한 2세
어머니베아트릭스 폰 바덴
통치
선제후 즉위1559년 2월 12일
선제후 퇴위1576년 10월 26일
이전 선제후오토 하인리히
다음 선제후루트비히 6세
배우자
배우자 1마리 폰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배우자 2아말리아 폰 노이엔아르
자녀
자녀 목록Alberta
루트비히 6세
엘리자베트, 작센 공작 부인
헤르만 루이스
요한 카지미르 폰 짐메른
도로테아 수산나, 작센-바이마르 공작 부인
알베르트
안네 엘리자베트
크리스토퍼
샤를
쿠니군데, 나사우-딜렌부르크 백작 부인

2. 생애

프리드리히는 아버지의 궁정과 쾰른에서 가톨릭 신앙으로 엄격하게 교육받았다. 그러나 1537년 브란덴부르크의 마리아와 결혼한 후 종교 개혁을 따랐으며, 1546년에는 자신의 신앙을 공개적으로 고백했다. 1557년 5월 18일 아버지 요한 2세의 뒤를 이어 짐머른의 공작이 되었고, 1559년 2월 12일에는 오토 헨리의 죽음으로 선제후가 되었다.

젊은 프리드리히


그의 전임자 아래에서 엄격한 루터교도들은 멜란히톤주의자와 칼뱅주의자와 마찬가지로 팔츠에 자리를 잡았다. 1559년 여름, 이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이 일어났고, 성찬례에 관한 하이델베르크 부제 빌헬름 클레비츠가 준비한 논문은 그와 헤슈시우스 사이에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중재 노력이 실패하자 프리드리히는 1559년 9월 16일에 두 사람을 해임했다. 논쟁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얻기 위해 프리드리히는 며칠 밤낮으로 신학 연구에 몰두했고, 점점 더 개혁 신앙으로 이끌렸다. 1560년 6월 작센 신학자 요한 슈퇴셀과 요아힘 뫼를린, 하이델베르크의 피에르 보퀸, 토마스 에라스투스, 파울 아인호른 사이에서 열린 논쟁은 프리드리히의 루터교 열성주의자에 대한 반감을 더욱 키웠다. 나움부르크 협약 (1561년 1월) 이후 프리드리히는 개혁 교리를 완전히 받아들였다.

1561년 3월 그는 엠마누엘 트레멜리우스를 하이델베르크로 초청했고, 9월에는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를 초청했다. 카스파 올레비아누스는 1560년 1월부터 그곳에 있었다. 모든 교회가 변모했고, 성인의 이미지, 예복, 세례반 및 기타 "우상 숭배 작품", 심지어 오르간까지도 교회에서 무자비하게 제거되었다. 성찬례에서 빵을 떼는 것이 도입되었으며, 수도원과 재단에서 얻은 수입은 몰수되어 복음주의 교회 목적이나 자선 사업에 사용되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은 우르시누스가 이끌었을 가능성이 있는 신학자와 목사 위원회가 준비했으며, 교리의 규범이자 청소년 교육의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1563년 11월 15일의 교회법과 1564년의 치리회 법령은 이러한 변화를 굳건히 했다. 루터교로 기울어진 목사들의 반대는 그들을 해고함으로써 억압되었다. 1564년 4월 마울브론에서 열린 종교 회담은 적대감을 더욱 심화시켰다. 1565년 황제 막시밀리안 2세는 이러한 변화를 무효화하라고 명령했고, 1566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의 만장일치 결의안 또한 이러한 변화의 폐지를 요구했다. 그러나 프리드리히는 5월 14일 제국 회의에서 이 문제는 오직 하느님만이 다스리는 문제라고 선언했고, 만약 그에게 불리하게 진행된다면 구세주의 약속에서 위안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 법령은 시행되지 않았다.

라인 팔츠에서 개혁 작업을 완료한 후, 프리드리히는 상부 팔츠에서도 이를 계속하려 했지만, 열성적인 루터교도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그는 1570년에 엄격한 교회 규율을 도입하여 라인에서 개혁 작업을 계속했다. 프리드리히는 1572년 12월 23일 올레비아누스, 우르시누스, 보퀸이 서명한 의견을 바탕으로 반삼위일체론자인 요한 실반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1562년 프리드리히는 네덜란드에서 추방된 복음주의자들에게 프랑켄탈을 피난처로 제공했다. 그는 1567년과 1576년에 자신의 뜻을 같이하는 아들 요한 카시미르를 위그노를 돕기 위해 프랑스로 보냈다. 1569년 그는 또한 츠바이브뤼켄의 팔츠 백작 볼프강이 프랑스로 가는 길을 도왔다.

프리드리히의 마지막 해는 가정적인 고통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그의 큰아들 루이는 엄격한 루터교도였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죽음 이후 그의 업적이 자신의 정신으로 수행되기를 기대할 수 없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2. 2. 종교 개혁으로의 전환

프리드리히는 아버지의 궁정과 쾰른에서 가톨릭 신앙으로 엄격하게 교육받았지만, 1537년에 결혼한 브란덴부르크의 마리아의 영향을 받아 종교 개혁을 따랐다. 1546년에는 자신의 신앙을 공개적으로 고백했다. 그는 1557년 5월 18일 아버지 요한 2세의 뒤를 이어 짐머른의 공작이 되었고, 오토 헨리의 죽음으로 1559년 2월 12일에 선제후가 되었다. 그의 전임자 아래에서 엄격한 루터교도들은 멜란히톤주의자와 칼뱅주의자와 마찬가지로 팔츠에 자리를 잡았다. 1559년 여름, 그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이 일어났다. 성찬례에 관한 하이델베르크 부제 빌헬름 클레비츠가 준비한 논문은 그와 헤슈시우스 사이에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중재 노력이 실패하자 프리드리히는 1559년 9월 16일에 두 사람을 해임했다. 논쟁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얻기 위해 프리드리히는 며칠 밤낮으로 신학 연구에 몰두했고, 점점 더 개혁 신앙으로 이끌렸다. 1560년 6월에 작센 신학자 요한 슈퇴셀과 요아힘 뫼를린, 하이델베르크의 피에르 보퀸, 토마스 에라스투스, 파울 아인호른 사이에서 열린 논쟁은 프리드리히의 루터교 열성주의자에 대한 반감을 더욱 키웠다. 나움부르크 협약 (1561년 1월) 이후 프리드리히는 개혁 교리를 완전히 받아들였다.

1561년 3월 그는 엠마누엘 트레멜리우스를 하이델베르크로 초청했고, 9월에는 유명한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를 초청했다. 이제 모든 교회가 변모했다. 카스파 올레비아누스는 1560년 1월부터 그곳에 있었다. 성인의 이미지, 예복, 세례반 및 기타 "우상 숭배 작품", 심지어 오르간까지도 교회에서 무자비하게 제거되었다. 성찬례에서 빵을 떼는 것이 도입되었다. 수도원과 재단에서 얻은 수입은 몰수되어 복음주의 교회 목적이나 자선 사업에 사용되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은 우르시누스가 이끌었을 가능성이 있는 신학자와 목사 위원회가 준비했으며, 이제 교리의 규범이자 청소년 교육의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1563년 11월 15일의 교회법과 1564년의 치리회 법령은 이러한 변화를 굳건히 했다. 루터교로 기울어진 목사들의 반대는 그들을 해고함으로써 억압되었다. 루터교도들 사이에서 프리드리히의 조치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1564년 4월 마울브론에서 열린 종교 회담은 적대감을 더욱 심화시켰다. 1565년 황제 막시밀리안 2세는 이러한 변화를 무효화하라고 명령했다. 1566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의 만장일치 결의안 또한 이러한 변화의 폐지를 요구했다. 그러나 프리드리히는 5월 14일 제국 회의에서 이 문제는 오직 하느님만이 다스리는 문제라고 선언했고, 만약 그에게 불리하게 진행된다면 구세주의 약속에서 위안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 법령은 시행되지 않았다.

라인 팔츠에서 개혁 작업을 완료한 후, 프리드리히는 상부 팔츠에서도 이를 계속하려 했지만, 여기서는 열성적인 루터교도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그는 1570년에 엄격한 교회 규율을 도입하여 라인에서 개혁 작업을 계속했다. 프리드리히는 1572년 12월 23일 올레비아누스, 우르시누스, 보퀸이 서명한 의견을 바탕으로 반삼위일체론자인 요한 실반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1562년 프리드리히는 네덜란드에서 추방된 복음주의자들에게 프랑켄탈을 피난처로 제공했다. 그는 1567년과 1576년에 자신의 뜻을 같이하는 아들 요한 카시미르를 위그노를 돕기 위해 프랑스로 보냈다. 1569년 그는 또한 츠바이브뤼켄의 팔츠 백작 볼프강이 프랑스로 가는 길을 도왔다.

프리드리히의 마지막 해는 가정적인 고통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그의 큰아들 루이는 엄격한 루터교도였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죽음 이후 그의 업적이 자신의 정신으로 수행되기를 기대할 수 없었다.

2. 3. 팔츠 선제후 즉위와 종교 개혁

프리드리히 3세는 아버지의 궁정과 쾰른에서 가톨릭 신앙으로 엄격하게 교육받았다. 하지만, 1537년 브란덴부르크의 마리아와 결혼한 후 종교 개혁의 영향을 받아, 1546년에는 개신교 신앙을 공개적으로 고백했다. 1557년 5월 18일 아버지 요한 2세의 뒤를 이어 짐머른 공작이 되었고, 1559년 2월 12일에는 오토 헨리의 죽음으로 팔츠 선제후가 되었다.

그의 전임자 오토 헨리 치하에서는 엄격한 루터교도들이 멜란히톤주의자와 칼뱅주의자와 마찬가지로 팔츠에 자리를 잡았다. 1559년 여름, 이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이 발생했고, 성찬례에 관한 하이델베르크 부제 빌헬름 클레비츠와 헤슈시우스 사이의 논쟁은 더욱 격화되었다. 프리드리히 3세는 중재 노력이 실패하자 1559년 9월 16일 두 사람을 해임했다. 이후 신학 연구에 몰두하여 개혁 신앙으로 기울었고, 1560년 6월 작센 신학자 요한 슈퇴셀과 요아힘 뫼를린, 하이델베르크의 피에르 보퀸, 토마스 에라스투스, 파울 아인호른 사이의 논쟁은 프리드리히의 루터교에 대한 반감을 더욱 키웠다. 나움부르크 협약 (1561년 1월) 이후 프리드리히는 개혁 교리를 완전히 받아들였다.

1561년 3월 엠마누엘 트레멜리우스를, 9월에는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를 하이델베르크로 초청했다. 카스파 올레비아누스는 1560년 1월부터 하이델베르크에 있었다. 모든 교회에서 성인의 이미지, 예복, 세례반 및 기타 "우상 숭배 작품", 심지어 오르간까지도 제거되었고, 성찬례에서 빵을 떼는 것이 도입되었다. 수도원과 재단에서 얻은 수입은 몰수되어 복음주의 교회 목적이나 자선 사업에 사용되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은 우르시누스가 이끌었을 가능성이 있는 신학자와 목사 위원회가 준비했으며, 교리의 규범이자 청소년 교육의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1563년 11월 15일의 교회법과 1564년의 치리회 법령은 이러한 변화를 굳건히 했다. 루터교로 기울어진 목사들의 반대는 해고로 억압되었다.

프리드리히 3세의 종교 개혁 조치는 루터교도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1564년 4월 마울브론 종교 회담은 적대감을 더욱 심화시켰고, 1565년 황제 막시밀리안 2세와 1566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는 변화를 무효화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프리드리히 3세는 1566년 5월 14일 제국 회의에서 이 문제는 하느님만이 다스리는 문제라고 선언하며, 자신의 구세주의 약속에서 위안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이 법령은 시행되지 않았다.

라인 팔츠에서 개혁을 완료한 후, 상부 팔츠에서도 개혁을 시도했지만, 열성적인 루터교도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1570년 엄격한 교회 규율을 도입하여 라인에서 개혁 작업을 계속했다. 1572년 12월 23일 올레비아누스, 우르시누스, 보퀸의 의견을 바탕으로 반삼위일체론자인 요한 실반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1562년 네덜란드에서 추방된 복음주의자들에게 프랑켄탈을 피난처로 제공했다. 1567년과 1576년 자신의 뜻을 같이하는 아들 요한 카시미르를 위그노를 돕기 위해 프랑스로 보냈고, 1569년 츠바이브뤼켄의 팔츠 백작 볼프강이 프랑스로 가는 길을 도왔다.

프리드리히 3세의 마지막 해는 가정적인 고통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그의 큰아들 루이가 엄격한 루터교도였기 때문에, 자신의 죽음 이후 그의 업적이 자신의 정신으로 수행되기를 기대할 수 없었다.

2. 4. 종교적 박해와 저항

2. 5. 가정사와 죽음

프리드리히 3세는 두 번 결혼했다. 1537년 마리아(1519–1567)와 첫 번째 결혼을 했는데, 그녀는 카시미르,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과 바이에른의 수산나의 딸이었다. 이들 사이에는 6남 5녀가 태어났다. 1569년에는 노이에나르의 아말리아 (1539–1602)와 재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

프리드리히 3세는 1576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루트비히 6세가 팔츠 선제후로 계승했다. 프리드리히 3세는 그의 둘째 아들 요한 카시미르를 위해 로어 팔츠 영토에서 "팔츠-라우테른"을 개척하여 개혁 신앙을 유지할 수 있게 했다. 요한 카시미르는 루트비히 6세 사후 팔츠 선제후령의 섭정으로 활동하며 팔츠 지역에 개혁 신앙을 부활시켰다.

3. 가족 관계

프리드리히 3세는 1537년에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변경백 카지미르의 딸 마리와 결혼하여 6남 5녀를 두었다.


  • 알베르타 (1538년 - 1553년)
  • 루트비히 6세 (1539년 - 1583년) - 팔츠 선제후
  • 엘리자베트 (1540년 - 1594년) - 작센 공작 요한 프리드리히 2세와 결혼.
  • 헤르만 루트비히 (1541년 - 1556년)
  • 요한 카지미르 (1543년 - 1592년) - 짐머른 공작
  • 도로테아 주잔나 (1544년 - 1592년) - 작센-바이마르 공작 요한 빌헬름과 결혼.
  • 알브레히트 (1546년 - 1547년)
  • 안나 엘리자베트 (1549년 - 1649년) - 헤센-라인펠스 방백 필리프 2세, 후에 팔츠-뤼첼슈타인 공작 요한 아우구스트와 결혼.
  • 크리스토프 (1551년 - 1574년)
  • 카를 (1552년 - 1555년)
  • 쿠니군데 야코베아 (1556년 - 1586년) - 나사우-딜렌부르크 백작 요한 6세와 결혼.


1569년에 아말리아 폰 노이엔아르와 재혼했다.

3. 1. 첫 번째 부인과 자녀

프리드리히 3세는 두 번 결혼했다. 1537년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의 마리아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카시미르,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과 바이에른의 수산나의 딸이었다.

그들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 알베르타 (1538년 4월 4일 – 1553년 3월 19일)
  • 루트비히 6세 (1539년 7월 4일 – 1583년 10월 22일)
  • 엘리자베트 (1540년 6월 30일 – 1594년 2월 8일), 1558년 작센의 요한 프리드리히 2세와 결혼
  • 헤르만 루트비히 (1541년 10월 6일 – 1556년 7월 1일)
  • 요한 카시미르 (1543년 3월 7일 – 1592년 1월 16일); 결혼: 1570년 작센의 엘리자베트 (1552년 10월 18일 - 1590년 4월 2일)
  • 도로테아 수잔네 (1544년 11월 15일 – 1592년 4월 8일), 1560년 작센-바이마르의 요한 빌헬름과 결혼
  • 알베르트 (1546년 9월 30일 – 1547년 4월 30일)
  • 안나 엘리자베트 (1549년 7월 23일 – 1609년 9월 20일), 1569년 헤센-라인펠스의 필리프 2세와, 1599년 팔츠 백작 요한 아우구스투스와 결혼
  • 크리스토프 (1551년 6월 13일 – 1574년 4월 14일)
  • 카를 (1552년 12월 28일 – 1555년 9월 12일)
  • 쿠니군데 야코바 (1556년 10월 9일 – 1586년 1월 26일), 1580년 나사우-딜렌부르크의 요한 6세와 결혼


1569년 노이에나르의 아말리아와 재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

3. 2. 두 번째 부인

프리드리히 3세는 두 번 결혼했다. 1537년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의 마리아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카시미르, 브란덴부르크-바이로이트 변경백과 바이에른의 수산나의 딸이었다. 1569년에는 노이에나르의 아말리아와 결혼했지만, 이 결혼에서는 자녀가 없었다.

4. 유산

프리드리히 3세는 비텔스바흐 가문 출신으로, 1557년부터 1576년까지 시메른 팔츠 백작을 지냈으며, 오토 하인리히의 뒤를 이어 1559년부터 1576년까지 팔츠 선제후를 지냈다. 그의 사후, 루이 6세가 팔츠 선제후 자리를 계승했고, 요한 카시미르는 라우턴 지역을 다스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