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해자학은 범죄 피해자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범죄학 및 형법과 연관되어 피해자의 정의와 권리, 범죄 피해의 결과, 피해자 유발론 등을 다룬다. 초기에는 피해자에게 책임을 묻는 경향이 있었으나, 현재는 피해자 구제와 정책에 초점을 맞춘다. 피해자학은 범죄 피해 실태 조사, 형벌 부부 개념, 피해자의 권리 보호 등 다양한 측면을 연구하며, 한국에서도 피해자 권리 보호를 위한 법률 제정 및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사회학 - 법인류학
법인류학은 법을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법적 다원주의, 질서와 분쟁, 사례 연구 등을 통해 법의 정의와 기능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 법사회학 - 사법적극주의
사법적극주의는 판사가 법 해석 및 적용 시 개인 가치관이나 정책 목표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법률 해석의 유연성을 옹호하는 입장과 법치주의 훼손을 우려하는 비판적 시각이 있으며, 사법부 독립성 등 다양한 쟁점과 관련되어 논의된다. - 피해자학 - 심적외상
심적 외상은 죽음, 부상, 성폭력과 같은 외상적 사건에 노출된 후 발생하는 정신적 고통으로, 침투적 기억, 부정적 감정, 과경계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급성 스트레스 장애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스트레스 장애를 일으킬 수 있지만, 치료와 약물 치료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 피해자학 - 부인 (심리학)
부인(심리학)은 받아들이기 힘든 현실, 감정, 생각을 무의식적으로 부정하거나 회피하는 심리 기제로, 사실 부인, 책임 부인, 충격 부인, 인식 부인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중독 환자의 부정은 중독의 심각성 부인, 자기 통제력 과신, 중독 원인 부정의 단계를 거치는 특징을 보인다. - 피해자의 권리 - 잡년 행진
잡년 행진은 2011년 토론토에서 시작된 시위 운동으로, 성폭력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반대하고 여성의 성적 자기 결정권을 옹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긍정적인 평가와 비판, 용어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 피해자의 권리 - A Benefit for Victims of Violent Crime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한 "A Benefit for Victims of Violent Crime"은 스튜디오 및 라이브 녹음 트랙으로 구성되었으며, 여러 매체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앨범이다.
피해자학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야 | 범죄학의 하위 분야 |
주요 관심사 | 범죄 피해의 본질 범죄 피해자 범죄 원인 범죄 영향 범죄 피해 예방 범죄 정의 시스템에서 피해자의 역할 |
이론 | |
핵심 이론 | 피해자 비난 피해자 역할 피해자 책임 구조적 피해 반복 피해 |
주요 연구 주제 | |
연구 분야 | 강력 범죄 재산 범죄 가정 폭력 성폭력 학교 폭력 사이버 범죄 직장 내 폭력 집단 학살 테러 전쟁 |
연구 접근 | 통계 분석 설문 조사 인터뷰 사례 연구 문헌 연구 |
주요 개념 | |
피해자 유형 | 1차 피해자 2차 피해자 3차 피해자 |
추가 개념 | 피해자학 이론 피해자학적 관점 피해자학적 방법론 |
피해자학의 발달 | |
발달 | 벤자민 멘델존 한스 폰 헨티히 마빈 울프강 프랑코 페라쿠티 |
발달 역사 | 1940년대 후반~1950년대 초반부터 학문적 연구 시작 1960년대 초반에 피해자학의 주요 개념 형성 1970년대 피해자학 연구 활성화 1980년대와 1990년대 피해자학의 이론 발전과 대중적 관심 증가 |
응용 | |
응용 분야 | 범죄 피해자 지원 프로그램 개발 범죄 피해자 상담 및 치료 범죄 피해 예방 전략 수립 범죄 정책 및 법률 개선 범죄 수사 과정에서 피해자 보호 강화 범죄 피해자 권리 증진 |
관련 학문 분야 | |
관련 학문 | 법학 사회학 심리학 사회사업 공공 정책 |
비판 | |
비판 | 피해자 비난에 대한 우려 과도한 피해자 중심주의에 대한 우려 객관성 확보의 어려움 학문적 독립성 논란 |
관련 연구 | |
관련 연구 | 범죄 피해 조사 피해자 경험 연구 피해자 회복 연구 피해자 지원 서비스 평가 |
영향 | |
영향 | 피해자 중심주의 형사 사법 개혁 범죄 피해자 지원 서비스 확대 범죄 피해 예방 노력 강화 피해자 권리 의식 증진 피해자 운동 활성화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국제 피해자학 학회 (World Society of Victimology) 피해자학 저널 (Journal of Victimology) 국가 피해자 지원 센터 (National Center for Victims of Crime) |
2. 범죄 피해자의 정의 및 개념
범죄학과 형법에서 범죄 피해자는 가해자에 의해 개별적이고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식별 가능한 사람을 의미한다. 그러나 사무직 범죄의 경우처럼 피해자가 특정 개인으로 명확히 드러나지 않을 수 있으며, 피해자로서의 지위가 부정당하는 경우도 존재한다.[2]
리처드 퀸니와 닐스 크리스티는 "피해자" 개념이 사회적 구성물이며, 이상적인 피해자상은 사회적 권력 역학에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2] 닐스 크리스티는 피해자가 약하고, 평판이 좋은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자신의 피해에 대한 책임이 없고, 가해자는 크고 악하며 피해자에게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 "피해자라는 완전하고 정당한 지위"를 얻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설명한다.
2. 1. 한국의 범죄 피해자 지원 현황
대한민국은 범죄피해자 보호법을 제정하여 피해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범죄피해자 지원센터, 스마일 센터 등 다양한 기관을 통해 심리 상담, 법률 지원, 경제적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피해자 국선 변호사 제도 확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강화 등 피해자 지원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3. 범죄 피해의 결과
범죄 피해는 피해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야기하며, 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이어질 수 있다. 피해자의 4분의 3은 공포, 불안, 초조함, 자기 비난, 분노, 수치심, 수면 장애와 같은 심리적 문제를 겪는다.[3] 범죄 후 고통은 기존의 정서적 문제나 사회인구학적 변수와도 관련이 있으며, 특히 노년층에게서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범죄 피해자는 다음과 같은 심리적 반응을 보일 수 있다.[3]
- 개인적 취약성에 대한 인식 증가
- 세상을 무의미하고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
- 자신에 대한 부정적 시각
이러한 피해 경험은 피해자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 전체의 공포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1. 환경 이론과 범죄 피해
환경 이론은 범죄 발생 장소와 맥락이 범죄 피해자와 가해자를 함께하게 한다고 주장한다.[4]2010년대 초반의 연구에 따르면 도시 환경에서 범죄 발생률은 나무의 수와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 즉, 특정 지역에 나무가 많을수록 피해 발생률이나 폭력 범죄 발생률이 낮았다.[5][6][7][8][9] 이러한 관계는 2010년 포틀랜드와 2012년 볼티모어에서 실시된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5][6][8][9] 연구원 중 한 명인 미국 산림청(United States Forest Service, USFS)의 제프리 도노반(Geoffrey Donovan)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는 나무가 포틀랜드의 범죄율 감소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라고 말했다.[6] 그 이유는 "우리는 큰 가로수가 이웃이 더 잘 관리되고 있다는 신호를 잠재적 범죄자에게 보냄으로써 범죄자의 체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5][8] 특히 새로운 작은 나무와 달리 ''큰'' 가로수가 있을 때 범죄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5][8] 버몬트 대학교와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의 과학자들이 주도한 2012년 볼티모어 연구에서는 "보수적인 공간 조정 모델에 따르면, 나무 숲의 10% 증가는 범죄율 약 12%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우리는 역의 관계가 두 가지 상황 모두에서 지속되었지만, 공공 토지보다 사유지에서 그 정도가 40% 더 컸다는 것을 발견했다."라고 밝혔다.[9]
4. 피해자 유발론과 피해자 비난
사회심리학에서 기본적 귀인 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설명할 때 성격적인 요인을 과대평가하고 상황적 요인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말한다.[14] 이는 리 로스가 에드워드 E. 존스와 빅터 해리스의 1967년 실험[15] 이후 몇 년 뒤에 만든 용어이다.
예를 들어, 앨리스가 밥이 돌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보았을 때, 앨리스는 밥이 부주의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성향적 요인). 반면 앨리스 자신이 같은 돌에 걸려 넘어졌을 때는 돌의 위치를 탓할 가능성이 크다(상황적 요인). 이러한 불일치는 행위자-관찰자 편향이라고 한다.
피해자의 성향이나 피해자 비난은 기본적 귀인 오류의 한 형태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정의로운 세계 현상으로 볼 수 있다.[16] 멜빈 러너가 처음 이론화한[17] 정의로운 세계 현상은 사람들이 자신이 받을 만한 것을 얻는다는 믿음이다. 이러한 믿음은 인지된 위협을 줄이고,[18][19] 안전감을 주며, 어려운 상황에서 의미를 찾도록 돕는다.[20]
하지만 정의로운 세계 가설은 강간[21][22]이나 가정 폭력[23] 피해자와 같이 비극적인 사건의 피해자를 비난하는 경향을 낳기도 한다. 이는 사건에 대한 자신의 면역성을 확신시키기 위한 심리적 방어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피해자 유발론(Victim facilitation)은 피해자 소인(victim proneness)보다 더 수용되는 이론으로, 마빈 볼프강과 같은 범죄학자들의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피해자 유발론은 피해자를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의 행동이 범죄에 취약하게 만드는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춘다.
피해자 유발 이론은 피해자가 공격에 더 접근하기 쉽거나 취약하게 만드는 외부 요인을 연구한다.[25] 슈나이더(Schneider)는 피해자 유발을 가해자의 피해자 행동 오해만을 설명하는 모델로 제시하며, 이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기반하고 가해자의 책임을 경감시키지 않는다고 설명한다.[26]
에릭 히키(Eric Hickey)는 미국의 연쇄 살인마 329명에 대한 분석에서 피해자를 고위험, 저위험, 혼합으로 분류했다. 히키는 피해자의 13~15%가 고위험 촉진, 60~64%가 저위험 촉진, 23~25%가 고위험과 저위험 촉진의 조합을 보였다는 것을 발견했다.[27] 또한 1975년 이후 연쇄 살인 피해자 5명 중 1명이 무임승차, 매춘 등 낯선 사람과 자주 접촉하는 상황에 연루되어 더 큰 위험에 처해 있었다고 지적했다.[27]
피해자 유발에 대한 연구는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피해자-가해자 관계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이끌어내며, 폭력 범죄의 이론적 병인론을 발전시킨다.[28] 이러한 지식의 궁극적인 목적 중 하나는 대중에게 알리고 인식을 높여 피해를 줄이는 것이다.
5. 범죄 피해율과 조사
범죄 피해 실태 조사(NCVS)는 신고되지 않은 실제 범죄 발생 빈도를 측정하는 도구이다.[30] 미국의 범죄 피해 정보는 주로 범죄 피해 실태 조사를 통해 얻어진다. 매년 미국 내 7만 7,200가구(약 13만 4,000명)를 대상으로 범죄 피해 빈도, 특징, 결과를 조사하여, 여성, 노인, 다양한 인종, 도시 거주자 등 특정 집단의 피해 가능성을 추정한다.[30] 사법통계국(BJS)에 따르면, 1994년부터 2005년까지 폭력 범죄율은 감소하여 사상 최저 수준에 도달했으며,[30] 재산 범죄도 계속 감소하고 있다.[30]
연쇄 살인은 감소하고 있는데, 2020년 ''ABA 저널'' 보고서는 사람들이 더 안전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31] ''ABA 저널''은 히치하이킹 감소, 휴대전화를 이용한 비상 상황 대처, 감시 카메라 증가, 부모의 자녀 외출 감독 강화, 문제 아동 지원, 포르노 접근성 증가, 대량 총기 난사 사건 증가 등 여러 사회적 변화를 그 이유로 제시했다.[31] 더 긴 징역형과 가석방 감소 또한 연쇄 살인 억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도 있다.[31]
캐나다에서는 범죄 피해자 연방 옴부즈맨 사무실(OFOVC)이 범죄 피해자를 위한 독립적인 지원 기관 역할을 한다. 2007년 설립된 OFOVC는 연방 정부가 범죄 피해자에 대한 책임을 다하도록 보장하며, 피해자들에게 캐나다 연방법에 따른 권리와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불만 제기를 돕는다. 또한 정책 입안자들이 피해자의 요구와 우려를 인식하도록 노력하며, 연방 정부에 권고안을 제시하기도 한다.[32][33]
많은 국가에서 범죄 피해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살인처럼 발생 빈도가 낮은 범죄나 무범죄 행위에 대해서는 정확도가 떨어진다. 국가별 조사 자료는 범죄 정의 및 방법론적 차이로 인해 국제 비교에 활용하기 어렵다.
국제 비교를 위한 전문 조사로는 국제범죄피해조사(ICVS)가 있다. 1989년 첫 조사 이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2005년에 조사가 반복되었다.
5. 1. 한국의 범죄 피해 실태 조사
이전 출력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제목에 대한 내용이 없어 작성할 수 없다고 올바르게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6. 형벌 부부 (Penal couple)
'형벌 부부'(penal couple)는 범죄의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즉, 둘 다 사건에 연루되어 있다는 것이다.[34] 이 용어는 1963년 한 사회학자에 의해 만들어졌다.[35] 현재 많은 사회학자들이 이 용어를 받아들이고 있다.[35][36][38] 이 개념은 "범죄가 발생하면 두 명의 당사자가 있는데, 한 명은 범죄자이고 다른 한 명은 범죄가 일어나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피해자"라는 것이다.[36] 이러한 관점에서 피해자는 "범죄 부부에 참여하는 사람이며 범죄에 대한 어느 정도의 '기능적 책임'을 져야 한다."[37] 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다른 피해자학자들에 의해 피해자 비난으로 거부되고 있다.[38]
7. 피해자의 권리
1985년 유엔 총회는 범죄 및 권력 남용 피해자를 위한 정의의 기본 원칙에 관한 선언을 채택했다.[39] 국제 피해자학 연구소 틸뷔르흐(INTERVICT)[40]와 세계 피해자학회는 범죄 및 권력 남용 피해자를 위한 유엔 협약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41]
형사 사법에서 범죄자에 대한 처벌만으로는 피해자의 불만을 해소하기 어려우며, 피해자가 입은 손실이나 피해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다.
7. 1. 한국의 피해자 권리 보호 제도
대한민국 헌법은 범죄 피해자의 재판 절차 진술권을 보장하고 있다. 범죄 피해자 보호법, 성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률을 통해 피해자의 권리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1] 더불어민주당은 피해자 권리 보호 강화를 위한 법률 제정·개정, 예산 확보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1]8. 피해자학의 발전과 역사 (일본 중심)
한스 폰 헨팅(Hans von Hentig)은 1948년 범죄자와 피해자의 관계를 연구하여 피해자학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42] 1954년 앙리 에렌베르거(Henri Ellenberger)는 피해자학의 현황을 정리하고 체계화의 기반을 마련했고, 1956년 멘델손(Mendelsohn)은 기존 연구를 포괄하여 피해자학을 체계화했다. 초기 피해자학은 피해자 책임론, 잠재적 피해자론 등 피해자에게 책임을 묻는 경향이 있었으나, 점차 피해자 구제와 정책론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일본에서 피해자학(victimology)이 처음 소개된 것은 1958년이다. 멘델존(Mendelsohn, B.)의 논문이 일본어로 번역되어 소개된 것이 시초이다. 이 논문은 고하타 타네모토(古畑種基) 박사와 요시마스 노부오(吉益脩夫) 박사 등이 받았고, 요시마스 노부오(吉益脩夫) 교수 문하의 나카타 오사무(中田修)가 『범죄학잡지』(24권 6호, 1958년)에 소개하였다. 이후 도쿄의과치과대학(東京医科歯科大学)에서 피해자학 관련 심포지엄이 개최(1959년)되어 널리 알려졌다.
1990년 일본피해자학회가 발족되었고, 1993년 도쿄의과치과대학 난치병연구소 안에 범죄피해자상담실이 설치되어 범죄피해자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체계가 확립되었다.
초기에는 의학적, 생화학적 방법이 중심이었고, 전공자도 대부분 의사였다. 그러나 법학, 사회과학 연구자들도 연구하기 시작했고, 사회정책, 형사정책의 한 측면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토치기대학 등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대학도 많다.
9. 한국 피해자학의 과제
기존에는 범죄가 발생했을 때 국가가 범죄자를 처벌한다는 관점(징벌적 형벌)만 존재했으며, 피해자의 존재는 간과되었다. 이후 범죄자의 사회복귀를 중시하는 입장(교정적 형벌)이 대두되었지만, 기껏해야 지역 사회에 주목하는 정도였다. 그래서 오랫동안 잊혀져 있던 피해자에게 주목하여, 피해자 구제는 물론 피해자의 관점에서 형사 사법을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과거에 논의되었던 회복적 사법도 이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다만, 피해자 보호만으로는 형사 사법 전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Crime Victims: An Introduction to Victimology
Wadsworth Publishing
[2]
웹사이트
14.2 Theories of Victimisation
https://kpu.pressboo[...]
2023-03-01
[3]
서적
Third Parties, Victims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Ohio Stat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environmental theory
http://www.cameron.e[...]
2018-07-00 #Dead link, only month is available.
[5]
웹사이트
More Trees (Equals) Less Crime in Baltimore, Study Shows
http://www.treehugge[...]
2012-06-19
[6]
웹사이트
Big Trees May Make Communities Safer, Says Study
http://www.treehugge[...]
2012-07-25
[7]
웹사이트
Some City Trees May Discourage 'Shady' Behavior; Study Explores Relationship Between Urban Trees and Crime
https://www.scienced[...]
2010-11-01
[8]
논문
The Effect of Trees on Crime in Portland, Oregon
https://semanticscho[...]
[9]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canopy and crime rates across an urban–rural gradient in the greater Baltimore region
[10]
논문
Toward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Victim Proneness
[11]
논문
Repeat Victimization of Victims of Violence: A Retrospective Study From a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for the Period 1971–1995
[12]
논문
Risk Assessment and Offender–Victim relationship in Juvenile Offenders
[13]
논문
Prostitution, Sex Work and Violence: Discursive and Political Contexts for Five Texts on Paid Sex, 1987–2001
http://www.prostitut[...]
2018-01-31
[14]
서적
The intuitive psychologist and his shortcomings: Distortions in the attribution process
Academic Press
[15]
논문
The attribution of attitudes
[16]
서적
Social Psychology
Pearson
[17]
논문
Just-world research and the attribution process: Looking back and ahead
[18]
논문
Motivational biases in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or an accident: A meta-analysis of the defensive-attribution hypothesis
[19]
논문
Assignment of responsibility for an accident
[20]
논문
The correspondence bias
http://www.wjh.harva[...]
2005-12-11
[21]
논문
Perceptions of stranger and acquaintance rape: The role of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in victim blame and rape proclivity
[22]
논문
Understanding attributions of blame in stranger-rape and date-rape situations: An examinations of gender, race, identification, and students' social perceptions of rape victims
[23]
논문
Blaming the victim versus blaming the perpetrator: An attributional analysis of spouse abuse
[24]
서적
Other lives, other selves: A Jungian psychotherapist discovers past lives
Bantam
[25]
서적
The Male serial murderer
Wadsworth Group
[26]
논문
Victimological developments in the world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I): A Study of comparative victimology
[27]
서적
Victims
Wadsworth Group
[28]
논문
The Myth or reality of victim involvement in crime: A Review and comment on victim-precipitation research
[29]
논문
Victim target networks as solvability factors in serial murder
[30]
웹사이트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 Official web site
http://www.ojp.usdoj[...]
2008-02-23
[31]
뉴스
Serial killings are waning, leading to speculation about the cause
https://www.abajourn[...]
2020-12-17
[32]
웹사이트
Home: Federal Ombudsman for Victims of Crime
http://www.victimsfi[...]
2010-10-23
[33]
웹사이트
Redirect Page
http://www.pssg.gov.[...]
2016-01-22
[34]
웹사이트
Criminal Justice Glossary at the Prentice Hall website
http://www.prenhall.[...]
2012-12-23
[35]
서적
Crime, criminal justice, and the probation servi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04-01
[36]
간행물
Hiring Domestic Help Without Verification
http://www.premiersh[...]
2009-04-01
[37]
연구논문
Elderly Victims of Crime – A Refinement of Theory in Victimology
http://www.ncjrs.gov[...]
AARP
1979
[38]
서적
Crime and its victims: what we can do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1986
[39]
웹사이트
A/RES/40/34. Declaration of basic principles of justice for victims of crime and abuse of power
https://www.un.org/d[...]
Un.org
1985-11-29
[40]
웹사이트
Search results
http://www.tilburgun[...]
[41]
웹사이트
Search results
http://www.tilburgun[...]
[42]
서적
犯罪精神医学
金剛出版
1972
[43]
서적
Crime Victims: An Introduction to Victimology
Wadsworth Publishing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