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리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리사는 그리스 테살리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말의 산지로 유명했으며, 님프 라리사를 묘사한 독자적인 화폐를 주조하기도 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알레우아다이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로마 시대에는 동맹 도시로 테살리아 동맹의 본부가 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비잔틴 제국과 불가리아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예니셰히리 페나르로 불리며 야니나 주의 파샤가 있던 곳이었다. 1881년 그리스 왕국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그리스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자 농업 및 상업의 중심지이다. 주요 스포츠 클럽으로는 AEL FC가 있으며, 자매 도시로는 아나파, 벌치, 반스카비스트리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리사현 - 파르살라
    그리스 테살리아에 있는 파르살라는 고대 프티아의 중심지이자 로마 공화정 종말을 초래한 파르살루스 전투의 격전지였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차탈카'로 불렸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다.
  • 그리스의 주도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그리스의 주도 - 파트라
    파트라는 그리스 아카이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서그리스의 중심지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시대의 지배를 거쳐 풍부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의 중요한 무대였고 현재는 문화 유적과 현대 도시의 모습을 갖춘 그리스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이다.
  • 그리스의 현도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그리스의 현도 - 하니아
    하니아는 크레타 섬 서부의 항구 도시로,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다양한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건축물과 유적이 보존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관광 명소이다.
라리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Lárisa
위치테살리아
유형자치체
라리사 몽타주. 그림 속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한다.
"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라리사 시내 중앙 광장의 '떠다니는 강' 분수, OUHL 시립 극장 (테살리아 극장), 홀로코스트 기념비, 성 아킬레오스 대성당, 파파스 구 제분소, 라리사 기차역, 라리사 제1 고대 극장."
위치테살리아 지방, 라리사
시장아타나시오스 마마코스
표어해당 정보 없음
인구 (2021년 기준)164,095명 (시)
인구 (2021년 기준)148,562명 (시가지)
면적 (시)335.98 제곱킬로미터
면적 (시가지)122.59 제곱킬로미터
고도70 미터
시간대동유럽 표준시(EET)
시간대 UTC+2
하계 시간대동유럽 일광 절약 시간(EEST)
하계 시간대 UTC+3
우편 번호41x xx
지역 번호(+30)241
웹사이트라리사 시 공식 웹사이트
데모님라리사 사람
행정 구역
지방테살리아
라리사 현
추가 정보

2. 역사

라리사는 그리스 신화에서 손자인 페르세우스에게 죽임을 당한 아크리시우스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전해지며, 신들의 사랑을 받은 영웅 펠레우스와 그의 아들 아킬레우스가 살았던 곳이다.[2]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펠라스기인이 트로이 동맹군으로 라리사에 살았다고 언급되어 있다.[4][5]

테살리아 지방의 중심 도시로 성장한 라리사는 기원전 344년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에게 병합되었다. 기원전 196년에는 로마 공화정의 동맹 도시가 되었고, 테살리아 동맹의 맹주가 되었다.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 정착 흔적이 발견되었지만, 라리사는 선진 문화 지역의 주변부에 있었다.[6] 하지만 비옥한 토양 덕분에 농업적으로 중요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말로 유명했다. '라리사(Λάρισα, Lárīsa)'라는 이름은 '요새'를 의미한다.[7]

기원전 5세기 말, 라리사는 독자적인 화폐를 주조하기 시작했다. 화폐 앞면에는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된 님프 라리사가, 뒷면에는 테살리아 지방의 상징인 말이 그려져 있었다.

라리사는 메논의 출신지이기도 하다. 메논은 소 키루스를 도와 아케메네스 제국 페르시아의 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에 대항했으나 실패했다. 플라톤의 대화편에는 소크라테스가 메논에게 '라리사로 가는 길'을 예로 들어 올바른 생각과 과학의 차이를 설명하는 내용이 나온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라리사는 아테네 편에 섰다. 이후 테베에 점령되었다가 기원전 344년 필리포스 2세에게 병합되었다. 기원전 302년에는 데메트리우스 1세에게 점령당하기도 했지만, 대체로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197년,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5세는 키노스케팔라이 전투에서 패배한 후 로마와 라리사에서 조약을 체결했다. 기원전 196년, 라리사는 로마의 동맹이 되었고 테살리아 동맹의 본부가 되었다. 로마 내전 시기에는 폼페이우스가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패배한 후 이곳으로 피신했다.

5세기 후반, 라리사는 동고트족에게 약탈당했다. 비잔틴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하에서 재건되었으며, 8세기에는 헬라스 테마의 수도 대교구가 되었다.[12] 986년에는 불가리아 차르 사무엘에게 점령당해 수호 성인 성 아킬리오스의 유물이 프레스파로 옮겨졌다.[12] 1082/3년에는 이탈리아-노르만 군에 의해 포위 공격을 받았으나 실패했다.[12]

제4차 십자군 이후 테살로니카 왕국의 보니파스는 라리사를 롬바르디아 남작들에게 주었으나, 이들은 1209년에 반란을 일으켰다.[12] 라리사는 곧 에피루스 전제공국에 의해 회복되었다.[12] 로마 제국 분열 후 동로마 제국의 통치를 받다가, 5세기까지 주교좌가 설치되었다. 이후 불가리아 제국과 세르비아 왕국의 지배를 거쳐 15세기에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다.

1386년/87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고, 1423년 투라한 베이에 의해 영구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3]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 '예니-셰히르 이-페나리'(''Yeni-şehir i-Fenari''), 즉 '새로운 요새'로 불렸다. 티르할라 산자크의 주요 도시이자 군사 기지였던 라리사는 주로 무슬림이 거주했다.[13] 1521년에는 693가구의 무슬림과 75가구의 기독교인이 있었다.[14]

17세기18세기에는 무역 박람회로 유명했으며, 1770년에는 테살리아 파샤의 자리가 이곳으로 이전되었다.[13] 라리사는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후르시드 파샤의 본부였다.

1881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에 따라 테살리아가 그리스 왕국의 일부가 되기 전까지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13]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 동안 오스만군이 잠시 재점령하기도 했다. 19세기 후반, 알리 파샤가 징집한 수단 출신 아프리카인들이 도시 외곽에 작은 마을을 이루어 살았다.

1881년, 테살리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그리스 왕국에 편입되었다.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 동안, 그리스 왕세자 콘스탄티노스 1세의 사령부가 설치되기도 했으나, 터키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평화 조약 체결 후, 라리사는 영구적으로 그리스에 남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라리사는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오늘날 라리사는 그리스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 그리스 공군 본부와 북대서양 조약 기구 그리스 본부가 있으며, 의과대학과 생화학 – 생명공학 대학, 그리고 그리스에서 세 번째로 큰 기술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16]

2. 1. 고대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라리사는 손자인 페르세우스에게 실수로 죽임을 당한 아크리시우스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한다.[2] 신들이 사랑한 영웅 펠레우스와 그의 아들 아킬레우스가 그곳에 살았다.

라리사 은 드라크마 (기원전 410-405년). 진주 귀걸이를 하고 머리카락을 사코스로 묶은 님프 라리사의 머리가 왼쪽을 향하고, 그 위에 ΛΑΡΙΣΑ, 아래에 [IA] (역행), 오른쪽으로 질주하는 말 - 도시의 상징- 이 새겨져 있다.


라리사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제2권에 언급되어 있는데, 펠라스기인이 트로이의 동맹군으로 라리사시에 살았음을 보여준다.[4][5] 다만, 이 라리사시는 아킬레우스의 출생지였던 도시와는 다른 도시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에게해 건너편 트로아스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테살리아 지방의 중심 도시로 성장한 라리사는 기원전 344년에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에게 병합되었다. 기원전 196년에는 로마 공화정의 동맹 도시가 되었고, 테살리아 동맹의 맹주가 되었다.

2. 1. 1. 고졸기

구석기 시대의 인류 정착 흔적이 이 지역에서 발견되었지만, 선진 문화 지역의 주변부에 불과했다.[6] 라리사 주변 지역은 매우 비옥하여 농업적으로 중요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말로 유명했다. 라리사(Λάρισα, Lárīsa)라는 이름은 원래 "요새"를 의미한다.[7] 테살리아 라리사의 이름은 귀족 가문인 알레우아다이 가문과 관련하여 처음 기록되었으며,[8] 폴리스(도시 국가)였다.[9]

구석기 시대에 이 지역에서 인류가 생활했다는 흔적이 발견되었지만, 선진 지역의 주변부였다. 그러나 라리사 주변의 토지는 비옥하고 농업에 적합했으며, 고대에는 의 산지로도 알려졌다. 이후 라리사 주변 지역은 다른 그리스 지역과의 차이가 없어질 정도로 발전했다.

라리사의 명칭은 고대 그리스어로 "요새"를 의미하며, 구석기 시대에 많은 도시에서 일반적이었던 단어가 계승된 것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님프 라리사는 원시인 펠라스고스의 딸이라고 여겨진다.

라리사는 유명한 고대 의사 히포크라테스소피스트 고르기아스가 사망한 땅으로도 알려져 있다.

기원전 5세기 말, 다른 테살리아 지방의 폴리스와 화폐를 공유하는 관습이 소멸되자, 라리사는 독자적인 화폐를 주조했다. 이 화폐의 표면에는 라리사의 이름의 유래가 된 님프 라리사가 그려져 있었다. 이는 당시 유명했던 시라쿠사의 님프 아레투사가 그려진 키몬의 화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뒷면에는 평원이 펼쳐지는 테살리아 지방의 상징인 이 다양한 포즈로 그려져 있었다. 또한, 테살리아인의 조상으로 여겨진 영웅 테살로스의 모습도 대개 그려져 있었다.

라리사는 크세노폰 등과 그리스 용병을 이끌고 페르시아로 향하다 기원전 401년에 패배한 장군 중 한 명인 메논의 출신지이기도 하다. (크세노폰 저 『아나바시스』에서.) 메논은 아케메네스 제국 페르시아의 왕 다리우스 2세의 아들이자 형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를 쓰러뜨리고 페르시아의 왕이 되려고 했던 소 키루스를 도왔다. 이 메논에 관해서는 플라톤의 대화편 속에서 서술되어 있다. 거기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올바른 생각과 과학의 차이를 메논을 예로 들어 "라리사로 가는 길"로 설명하고 있다. "라리사로 가는 길"이란, 메논이 살아가는 길을 믿고 고향 라리사를 목표로 했던 것처럼, 각각의 인간은 인생 속에서 진실을 모색하면서 죽음이라는 목적지로 살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2. 1. 2. 고전기

라리사는 고전 시대의 폴리스(도시 국가)였다.[10] 라리사는 유명한 그리스 의사 히포크라테스와 유명한 철학자 레온티노스의 고르기아스가 사망한 곳으로 여겨진다.

테살리아의 주화, 아마도 헬로크라테스 왕의 주화로, 알레우아스의 초상이 새겨져 있다. ''앞면'': 원뿔형 투구를 쓴 알레우아스의 머리가 약간 왼쪽을 향하고 있으며, 오른쪽에 ALEU가 새겨져 있고, 그 뒤에 라브리스가 새겨져 있다. ''뒷면'': 번개 위에 머리를 왼쪽으로 향하고 서 있는 독수리, 왼쪽에 ELLA, 오른쪽에 LARISAYA가 새겨져 있다. 테살리아, 라리사.


기원전 5세기 말, 라리사가 테살리아의 다른 도시들과 함께 연방 주화를 주조하는 것을 중단하고 자체 주화를 채택했을 때, 그들은 동전의 지역 유형을 선택했다. 앞면에는 도시의 이름을 딴 지역 샘의 님프 라리사가 묘사되어 있는데, 아마도 이 선택은 키몬이 시라쿠사의 님프 아레투사를 묘사한 유명한 동전에서 영감을 얻었을 것이다. 뒷면에는 다양한 포즈를 취한 말이 묘사되어 있다. 말은 평원 지역인 테살리아의 적절한 상징이었으며, 말로 유명했다. 보통 남성 인물이 등장하는데, 그는 테살리아인들의 시조 영웅 테살로스로 여겨져야 하며, 그는 아마도 테살리아의 이전 연방 주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의 제1 고대 극장. 기원전 3세기 말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의 통치 기간 동안 고대 도시 중심부에 건설되었다. 이 극장은 서기 3세기 말까지 6세기 동안 사용되었다.


제1 고대 그리스 극장 옆의 보행자 구역


제2 고대 극장의 유적


고대 주화와 비문에는 라리사로 표기되기도 하는 라리사는 호메로스의 아르기사의 부근에 위치해 있다. 테살리아가 주로 몇몇 귀족 가문이 통치하던 초창기에 라리사는 알레우아다이의 통치 아래 중요한 도시로 등장했으며, 그들의 권위는 펠라스기오티스 전역에 미쳤다. 이 강력한 가문은 기원전 369년 이전 여러 세대 동안 테살리아 연합군의 '스트라테고스'를 의미하는 지역 용어인 '타구스'를 제공하는 특권을 누렸다. 알레우아다이의 주요 경쟁자는 크라논의 스코파다이였으며, 그 유적은 남서쪽으로 약 14마일 떨어져 있다.

라리사는 메논의 출생지였으며, 이로 인해 크세노폰과 몇몇 다른 인물들과 함께 기원전 401년에 일어난 불운한 원정에서 여러 지역에서 온 수천 명의 그리스인들을 이끄는 장군 중 한 명이 되었다(크세노폰의 ''아나바시스''에 다시 언급됨). 이 원정은 다리우스 2세의 아들 키루스페르시아의 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를 전복하고 페르시아 왕위를 차지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었다(메논은 플라톤의 대화에서 그의 이름이 등장하며, 소크라테스는 ''"라리사로 가는 길"''의 예를 사용하여 메논에게 진정한 의견과학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메논, 97a–c); 이 "라리사로 가는 길"은 소크라테스가 메논에게 죽음에서만 도달할 수 있는 진정한 "영원한" 고향으로 가는 길, 즉 삶에서 각 사람이 추구해야 하는 "고향으로 가는 길"을 상기시키려는 시도일 수도 있다).[11]

이 도시의 헌법은 민주적이었으며, 이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고전 아테네 편에 섰던 이유를 설명한다. 라리사 인근에서는 로마의 사투르날리아를 연상시키는 축제가 열렸고, 노예들은 주인에게 시중을 받았다. 고대 테살리아의 주요 도시였던 라리사는 테베에 점령되었고, 기원전 344년에는 필리포스 2세에 의해 직접 합병되었다. 그 후 라리사는 데메트리우스 1세가 기원전 302년에 점령했을 때를 제외하고는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받았다.

2. 1. 3. 헬레니즘 시대

라리사는 크세노폰 등과 그리스 용병을 이끌고 페르시아로 향하다 기원전 401년에 패배한 장군 중 한 명인 메논의 출신지이기도 하다. (크세노폰 저 『아나바시스』에서.) 아케메네스 제국 페르시아의 왕 다리우스 2세의 아들이자 형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를 쓰러뜨리고 페르시아의 왕이 되려고 했던 소 키루스를 메논이 돕고자 했다. 이 메논에 관해서는 플라톤의 대화편 속에서 서술되어 있다. 거기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올바른 생각과 과학의 차이를 메논을 예로 들어 "라리사로 가는 길"로 설명하고 있다. "라리사로 가는 길"이란, 메논이 살아가는 길을 믿고 고향 라리사를 목표로 했던 것처럼, 각각의 인간은 인생 속에서 진실을 모색하면서 죽음이라는 목적지로 살아가고 있다고 말했다.[4]

테살리아 지방의 도시에서 과두정이 압도적이었던 시대에는, 라리사는 파라스기오티스 지역에 명성이 있는 알레우아데 가문에 의해 지배받았다. 기원전 369년이 되자, 타구스(Tagus)라고 불리는 테살리아 지방의 스트라테고스가 지배하게 되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일어나자 라리사는 아테네 편에 서서 참전했다.[5]

점차 테살리아 지방의 중심 도시가 되어간 라리사는, 기원전 344년에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에 의해 병합되었다. 기원전 196년에는 로마 공화정의 동맹 도시가 되었고, 테살리아 동맹의 맹주가 되었다.[6]

2. 1. 4. 로마 시대

라리사는 고전 시대의 폴리스(도시 국가)였다.[10] 라리사는 유명한 그리스 의사 히포크라테스와 유명한 철학자 레온티노스의 고르기아스가 사망한 곳으로 여겨진다.

라리사가 테살리아의 다른 도시들과 함께 연방 주화를 주조하는 것을 중단하고 기원전 5세기 말에 자체 주화를 채택했을 때, 그들은 동전의 지역 유형을 선택했다. 앞면에는 도시의 이름을 딴 지역 샘의 님프 라리사가 묘사되어 있는데, 아마도 이 선택은 키몬이 시라쿠사의 님프 아레투사를 묘사한 유명한 동전에서 영감을 얻었을 것이다. 뒷면에는 다양한 포즈를 취한 말이 묘사되어 있다. 말은 평원 지역인 테살리아의 적절한 상징이었으며, 말로 유명했다. 보통 남성 인물이 등장하는데, 그는 테살리아인들의 시조 영웅 테살로스로 여겨져야 하며, 그는 아마도 테살리아의 이전 연방 주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 주화와 비문에는 라리사로 표기되기도 하는 라리사는 호메로스의 아르기사의 부근에 위치해 있다. 테살리아가 주로 몇몇 귀족 가문이 통치하던 초창기에 라리사는 알레우아다이의 통치 아래 중요한 도시로 등장했으며, 그들의 권위는 펠라스기오티스 전역에 미쳤다. 이 강력한 가문은 기원전 369년 이전 여러 세대 동안 테살리아 연합군의 '스트라테고스'를 의미하는 지역 용어인 '타구스'를 제공하는 특권을 누렸다. 알레우아다이의 주요 경쟁자는 크라논의 스코파다이였으며, 그 유적은 남서쪽으로 약 약 22.53km 떨어져 있다.

라리사는 메논의 출생지였으며, 이로 인해 크세노폰과 몇몇 다른 인물들과 함께 기원전 401년에 일어난 불운한 원정에서 여러 지역에서 온 수천 명의 그리스인들을 이끄는 장군 중 한 명이 되었다(크세노폰의 ''아나바시스''에 다시 언급됨). 이 원정은 다리우스 2세의 아들 키루스페르시아의 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를 전복하고 페르시아 왕위를 차지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었다(메논은 플라톤의 대화에서 그의 이름이 등장하며, 소크라테스는 ''"라리사로 가는 길"''의 예를 사용하여 메논에게 진정한 의견과학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메논, 97a–c); 이 "라리사로 가는 길"은 소크라테스가 메논에게 죽음에서만 도달할 수 있는 진정한 "영원한" 고향으로 가는 길, 즉 삶에서 각 사람이 추구해야 하는 "고향으로 가는 길"을 상기시키려는 시도일 수도 있다).[11]

이 도시의 헌법은 민주적이었으며, 이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고전 아테네 편에 섰던 이유를 설명한다. 라리사 인근에서는 로마의 사투르날리아를 연상시키는 축제가 열렸고, 노예들은 주인에게 시중을 받았다. 고대 테살리아의 주요 도시였던 라리사는 테베에 점령되었고, 기원전 344년에는 필리포스 2세에 의해 직접 합병되었다. 그 후 라리사는 데메트리우스 1세가 기원전 302년에 점령했을 때를 제외하고는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받았다.

기원전 197년,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5세는 키노스케팔라이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로마와 라리사에서 조약을 체결했으며, 기원전 192년에는 안티오코스 3세가 이곳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기원전 196년에 라리사는 로마의 동맹이 되었고, 테살리아 동맹의 본부가 되었다.

라리사는 로마 내전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되었으며, 폼페이우스는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패배한 후 이곳으로 피신했다.

2. 2. 중세

5세기 후반에 라리사는 동고트족에게 약탈당했고, 비잔틴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 치하에서 재건되었다.[12]

8세기에 이 도시는 헬라스 테마의 수도 대교구가 되었다.[12] 986년에는 불가리아 차르 사무엘에게 점령당했는데, 그는 수호 성인 성 아킬리오스의 유물을 프레스파로 가져갔다.[12] 1082/3년에는 보에몽 1세 휘하의 이탈리아-노르만 군에 의해 포위 공격을 받았으나 실패했다.[12]

제4차 십자군 이후 테살로니카 왕 몽페라토의 보니파스는 이 도시를 롬바르디아 남작들에게 주었지만, 그들은 1209년에 반란을 일으켰고, 라틴 제국 헨리 황제 자신이 진압해야 했다.[12] 이 도시는 곧 에피루스 전제공국에 의해 회복되었다.[12] 로마 제국 분열 후 라리사는 동로마 제국의 통치령이 되었고, 5세기까지 주교좌가 설치되었다. 이후 불가리아 제국과 세르비아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5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1386년/87년에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고, 1390년대에도 다시 정복되었지만, 1423년 투라한 베이에 의해 영구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3]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 이 도시는 '예니-셰히르 이-페나리'(''Yeni-şehir i-Fenari'') 즉, "새로운 요새"로 알려졌다. 티르할라 산자크의 주요 도시이자 군사 기지였던 라리사는 주로 무슬림이 거주하는 도시였다.[13]

1521년(히즈라 927년) 이 도시는 693가구의 무슬림과 75가구의 기독교인을 포함했다;[14] 굑빌긴(1956)에 따르면, 알바니아와 유대인 공동체도 포함되어 있었다.[15]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라리사 및 티르나보스 대교구의 행정은 인근 트리칼라로 이전되었으며, 1734년 야코보스 2세 대주교가 트리칼라에서 라리사로 교구를 복귀시키고 현재의 라리사 및 티르나보스 대교구를 설립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17세기18세기에는 무역 박람회로 유명했으며, 1770년에는 테살리아 파샤의 자리도 이곳으로 이전되었다.[13] 라리사는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후르시드 파샤의 본부였다. 또한 모스크 (19세기 후반에도 4개가 사용되었다)와 무슬림 묘지로도 유명했다.

이 도시는 테살리아1881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에 의해 독립 그리스 왕국의 일부가 되기 전까지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으며,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 동안 오스만군이 재점령한 기간을 제외하고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13] 19세기 후반에는 알리 파샤가 징집한 군대의 특이한 잔재로서, 수단에서 온 아프리카인들이 거주하는 작은 마을이 도시 외곽에 남아 있었다.

19세기에는 가죽, , 실크, 담배를 생산했다. 배수 불량과 강 범람으로 인해 열병오한이 만연했고, 사망률이 출생률보다 높았다.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알리 파샤의 본영이 라리사에 설치되었고, 알리 파샤에 의해 징집된 수단 출신 아프리카 병사의 잔류 병력이 라리사 교외에 정착촌을 건설하여 거주했다. 1881년에는 다수의 터키인이 라리사에서 이주했다.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 당시 라리사는 왕태자 콘스탄티노스의 본영이 설치되었고, 4월 25일에는 터키군이 점령했다. 평화 조약 체결 후 라리사는 그리스 영토로 남았다.

현재 라리사에서 유명한 것은 20세기 초까지 사용되었던 모스크의 미나렛과 이슬람교도의 묘지이다.

2. 4. 근대 그리스 시대

라리사는 1386/87년에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고, 1390년대에도 다시 정복되었지만, 1423년 투라한 베이에 의해 영구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3]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 이 도시는 '예니-셰히르 이-페나리'(''Yeni-şehir i-Fenari'') 즉, "새로운 요새"로 알려졌다. 티르할라 산자크의 주요 도시이자 군사 기지였던 라리사는 주로 무슬림이 거주하는 도시였다.[13] 1521년 (히즈라 927년) 이 도시는 693가구의 무슬림과 75가구의 기독교인을 포함했다.[14] 굑빌긴(1956)에 따르면, 알바니아와 유대인 공동체도 포함되어 있었다.[15]

17세기와 18세기에는 무역 박람회로 유명했으며, 1770년에는 테살리아 파샤의 자리도 이곳으로 이전되었다.[13] 라리사는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후르시드 파샤의 본부였다.

이 도시는 테살리아가 1881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에 의해 독립 그리스 왕국의 일부가 되기 전까지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으며,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 동안 오스만군이 재점령한 기간을 제외하고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13] 19세기 후반에는 알리 파샤가 징집한 군대의 특이한 잔재로서, 수단에서 온 아프리카인들이 거주하는 작은 마을이 도시 외곽에 남아 있었다.

19세기에는 가죽, , 실크, 담배를 생산했다. 배수 불량과 강 범람으로 인해 열병과 오한이 만연했고, 사망률이 출생률보다 높았다.

도시의 옛 엽서, 알렉산드라스 거리, 1910년


1881년, 이 도시는 테살리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그리스 왕국에 편입되었다. 1881년 8월 31일, 스칼라토스 수초스 장군이 이끄는 그리스 육군 부대가 도시에 진입했다. 그 시점에서 상당수의 터키인들이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다.

라리사 군사 비행장에 추락한 독일 메서슈미트, 제2차 세계 대전 중 RAF 조종사가 격추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 동안, 이 도시는 그리스 왕세자 콘스탄티노스 1세의 사령부였다. 1897년 4월 23일, 그리스군은 이곳에서 파르살라로 도주했다. 터키군은 이틀 후 도시에 진입했다. 평화 조약이 체결된 후, 그들은 철수했고 라리사는 영구적으로 그리스에 남게 되었다. 1898년에 터키인들의 추가적인 탈출이 있었다.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알리 파샤의 본영이 라리사에 설치되었고, 알리 파샤에 의해 징집된 수단 출신 아프리카 병사의 잔류 병력이 라리사 교외에 정착촌을 건설하여 거주했다. 1881년에는 다수의 터키인이 라리사에서 이주했다. 19세기의 라리사는 주로 피혁, , , 담배 등의 생산으로 유명했다. 또한, 라리사에서는 배수 시설의 미비와 강의 범람으로 인해 열병이나 말라리아 등이 유행하여 사망률이 출생률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었다.

1897년 그리스-터키 전쟁 당시 라리사는 왕태자 콘스탄티노스의 본영이 설치되었고, 4월 25일에는 터키군이 점령했다. 평화 조약 체결 후 라리사는 그리스 영토로 남았다.

2.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라리사의 중앙 광장에 있는 "떠다니는 강" 분수(사프카, 구 테미도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라리사는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오늘날 라리사는 그리스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로, 많은 광장, 선술집, 카페가 있다. 군 병원 1개를 포함하여 3개의 공립 병원이 있으며, 그리스 공군 본부와 북대서양 조약 기구 그리스 본부가 있다. 의과대학과 생화학 – 생명공학 대학, 그리고 그리스에서 세 번째로 큰 기술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16] 라리사는 도시 공간의 평방 미터당 녹지 면적과 1인당 바-선술집-레스토랑 비율에서 그리스 도시 중 1위를 차지한다. 또한 2개의 공립 도서관과 5개의 박물관이 있다.[16]

3. 지리

라리사는 테살로니키에서 남서쪽으로 약 120km, 아테네에서 북서쪽으로 약 210km 떨어져 있다. E75, E65 등 여러 고속도로와 아테네에서 테살로니키(살로니카)로 이어지는 주요 철도가 테살리아를 통과한다. 이 지역은 라리사 인근 네아 안키알로스에 있는 중앙 그리스 국제공항을 통해 유럽의 다른 지역과 직접 연결된다(약 60km). 라리사는 피네이오스 강에 위치해 있다.[21]

라리사 시의 면적은 335.98km2, 라리사 자치구의 면적은 122.586km2, 라리사 공동체의 면적은 88.167km2이다.[21]

이 도시는 올림푸스 산, 키사보스 산, 메테오라, 플라스터 호수, 필리오 등과 같은 목적지와 가깝다.

토성의 위성인 디온 표면의 깊은 틈인 라리사 차스마는 라리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1. 기후

라리사의 기후는 추운 반건조 기후(쾨펜: ''BSk'')이며, 건조한 여름과 다소 습한 겨울 등 일부 지중해성 기후 (''Csa'')의 특징을 보인다.[22] 겨울은 춥고 눈이 내릴 수 있지만, 폭설은 드물다. 여름은 특히 더우며, 40°C 안팎의 온도가 일반적으로 매년 며칠 동안 나타난다. 여름철 뇌우는 때때로 심각하여 농작물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라리사는 연간 약 413mm의 강수량을 보이며, 연평균 기온은 15.4°C이다.[23]

라리사, 1981–2010년 평년값[2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10.2°C11.8°C15.4°C20°C26°C31.6°C33.4°C32.9°C28.6°C22.5°C15.3°C10.5°C21.6°C
평균 기온 (°C)5.4°C6.4°C9.5°C13.5°C18.8°C23.9°C26°C25.5°C21.5°C16.5°C10.5°C6.4°C15.4°C
평균 최저 기온 (°C)0.7°C1.1°C3.6°C6.9°C11.5°C16.1°C18.5°C18.1°C14.4°C10.5°C5.7°C2.2°C9.1°C
강수량 (mm)29.9mm33.5mm35.2mm39.5mm40.9mm19.8mm18.5mm19.6mm12.9mm44.2mm67.4mm51.2mm413.2mm
평균 강수일수 (≥ 1mm)56665322257756



라리사, 1961–1990년 평년값 (최고값 1955–2024)[2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22.8°C25.2°C34.8°C33.8°C40°C44.6°C45.5°C45°C41.9°C36.8°C29.6°C23.4°C45.5°C
평균 최고 기온 (°C)9.6°C11.8°C14.9°C20°C25.7°C30.9°C33°C32.4°C28.7°C22.1°C16°C10.9°C21.3°C
평균 기온 (°C)5.1°C6.8°C9.5°C14°C19.6°C24.9°C27.1°C26°C22°C16.1°C10.8°C6.3°C15°C
평균 최저 기온 (°C)0.5°C1.5°C3.4°C6.3°C10.8°C15°C17.6°C17.1°C14.1°C9.8°C5.5°C1.8°C8.6°C
최저 기온 기록 (°C)-21.6°C-10.5°C-7°C-3.4°C1.4°C7.2°C11°C10°C5°C-2°C-6.4°C-17.5°C-21.6°C
강수량 (mm)29.7mm34.9mm36.3mm28.9mm37.1mm23.5mm20.3mm15.5mm29.4mm47.1mm58.2mm52.3mm413.2mm
평균 상대 습도 (%)79.575.974.168.761.749.946.450.058.669.978.982.566.3
평균 강수일수 (≥ 1mm)5.85.85.85.05.33.52.01.72.85.56.56.956.6
평균 일조시간104.7117.8157.5213.8266.3307.2337.1320.1247.6171.8126.0101.02470.9


4. 행정

2011년 지방 정부 개혁으로 라리사 시는 다음 3개의 이전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형성되었으며, 이들은 시립 단위가 되었다.[26]

시립 단위
야눌리
코일라다
라리사



라리사 현(Επαρχία Λάρισας|라리사 현el)은 중 하나였다. 그 영토는 현재의 라리사 시(야눌리 시정구 제외)와 템피 시(고노이 및 카토 올림포스 시정구 제외)에 해당한다.[27] 2006년에 폐지되었다.

5. 문화

라리사에는 시립 음악원,[29] 파파스 극장,[30] 시립 극장(테살리아 극장),[31] 하치지아네이오 문화 센터, 티리톰바 그림자 극장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이 있고, 파파스 구제 방앗간도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푸리오 언덕 신년 전야 콘서트
--

지역 특산물로는 바치나(Μπατζίνα, 오븐에 구운 파이), 켈라이디(Κελαηδί), 피타(Πίτα, 전통 파이), 플라스토스(Πλαστός) 파이, 라하노프소모(Λαχανόψωμο, 양배추 빵), 할바(Χαλβάς) 과자 등이 있다.

라리사에는 역대 박물관, 고고학 및 비잔틴 박물관,[32] 시립 미술관,[33] 민속 및 역사 박물관,[34] 군 수의 박물관, 민속 협회 박물관, 곡물 및 밀가루 박물관 등 다양한 박물관이 있다.

테살리아 라디오 텔레비전(TRT), 아스트라 TV, 포르미디어 TV 등의 텔레비전 방송국과 ''엘레프테리아'', ''폴리티아 라리세온'' 등의 신문이 있다.

주요 축제로는 피니우 축제, 공연 예술의 밀, 아그로테살리아 농업 박람회 등이 있고, 범헬레니즘 블라흐 문화 협회 연맹이 있다.

바실리스 게오르기아디스 감독의 영화 ''피의 대지''(1966)는 라리사 지역에서 촬영되었으며 이 지역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5. 1. 명소


  • 제1 고대 극장: 기원전 3세기 말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의 통치 기간 동안 고대 도시 중심부에 건설되었으며, 서기 3세기 말까지 6세기 동안 사용되었다.[10] 프로리오 언덕과 인접해 있다.
  • 제2 고대 극장: 기원전 1세기에 지어졌다.[10]
  • 피니오스 강: 성 아킬리우스 교회 근처와 피니오스 강 유역의 울창한 강둑 옆, 알카자르 공원 근처의 도심을 가로지른다.
  • 성 아킬리우스 바실리카: 도시의 수호성인인 성 아킬리우스에게 헌정된 초기 비잔틴 바실리카 유적이다. 오스만 시대에 파괴되었다.[12]
  • 라리사 베제스텐: 15세기에 지어진 오스만 제국 시대의 폐쇄된 시장으로, 19세기에 화약고이자 요새로도 사용되었다. 프루리오 언덕의 고고학 발굴 현장에 있다.
  • 라리사의 예니 모스크: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진 19세기의 모스크로, 현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라리사의 오스만 목욕탕: 15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히포크라테스 기념비: 기원전 4세기의 히포크라테스 기념비로, 포세이돈에게 헌정된 기원 비문과 기타 많은 고대 유적 및 기념물이 있다.
  • 라리사 시대별 박물관: 고대부터 라리사의 모든 역사를 아우르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파파스 제분소, 시네 팰리스, 차로코포스 타워, 아베로페이오스 농업학교의 신고전주의 단지 등 건축학적으로 보존된 역사적인 건물들이 있다.
  • 라리사 시립 음악원[29]
  • 파파스 극장[30]
  • 라리사 시립 극장 OUHL[31] (테살리아 극장)
  • 하치지아네이오 문화 센터
  • 티리톰바 그림자 극장
  • 라리사 역대 박물관 / 라리사 고고학 및 비잔틴 박물관[32]
  • 라리사 시립 미술관 – G.I. 카치그라스 박물관[33]
  • 라리사 민속 및 역사 박물관[34]
  • 라리사 군 수의 박물관
  • 라리사 민속 협회 박물관
  • 곡물 및 밀가루 박물관

5. 2. 스포츠

지역 축구 클럽인 AEL FC는 현재 수페르리그에 참여하고 있다. 이 팀은 1988년에 그리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1985년과 2007년에 그리스 컵에서 우승했다. 이러한 타이틀은 AEL을 그리스에서 가장 중요한 5개의 축구 클럽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했다.[16]

역사가 깊은 다른 두 개의 프로 축구 클럽인 아폴론과 이라클리스도 이 도시를 대표한다.[16]

AEL은 2010년 11월부터 AEL FC 아레나에서 홈 경기를 치렀으며, 이 경기장은 UEFA 3성급 축구 경기장이다. 다른 중요한 스포츠 경기장으로는 알카자르 스타디움과 네아폴리 실내 경기장을 포함하는 '라리사 국립 스포츠 센터'(EAK Larissas)가 있다.[16]

알카자르 스타디움


라리사 국립 스포츠 센터는 다양한 스포츠와 행사(축구, 농구, 레슬링, 수영, 복싱, 무술, 핸드볼, 수구 등)를 수용할 수 있으며, 스포츠 홀에서는 중요한 스포츠 행사(1995년 FIBA U-19 세계 선수권 대회, 1997년 여자 유로리그 파이널 포, 2003년 그리스 농구 컵 파이널 포, 무술 행사 등)가 개최되었으며, 댄스 페스티벌과 같은 문화 행사에도 사용된다.[16]

라리사를 연고로 하는 주요 스포츠 클럽
클럽스포츠창단업적
아폴론 라리사축구1930수페르리그 2 참가
A.E.L. (라리사 체육 연맹)축구1964그리스 선수권 대회 및 그리스 컵 우승
농구2006이전 그리스 바스켓 리그 참가
EA 라리사배구1968이전 그리스 배구 리그 참가
이라클리스 라리사축구1930/1982 (재창단)수페르리그 2 참가
올림피아 라리사농구1979이전 그리스 바스켓 리그 참가
라리사농구1984그리스 바스켓 리그 참가
짐나스티코스 S. 라리사스농구1928이전 그리스 바스켓 리그 참가
필라틀리티코스 라리사이코스 실로고스배구1990이전 그리스 여자 배구 리그 참가


5. 3. 경제

구석기 시대의 인류 정착 흔적이 이 지역에서 발견되었지만, 선진 문화 지역의 주변부에 불과했다.[6] 라리사 주변 지역은 매우 비옥하여 농업적으로 중요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말로 유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도시는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오늘날 라리사는 많은 광장, 선술집, 카페를 갖춘 그리스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 그리스 공군 본부와 북대서양 조약 기구 그리스 본부가 있다. 도시 공간의 평방 미터당 녹지 면적과 그리스에서 1인당 술집-선술집-레스토랑 비율이 가장 높은 곳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16]

라리사는 테살리아 평원 덕분에 그리스의 주요 농업 중심지이다. 제조업 분야에서는 Biokarpet 카페트 회사(과거 AEL FC의 주요 주주)와 오리엔트 바이크스의 본거지이며, 미켈 커피 컴퍼니와 브루노 커피 스토어 체인도 이 도시에서 시작되어 본사를 두고 있다.

6. 자매 도시

라리사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41][37]

국가도시연도
Анапа|아나파ru아나파2016년
Bălți|벌치ro벌치1986년
Banská Bystrica|반스카비스트리차sk반스카비스트리차1985년
Foča|포차bs포차1994년
Knoxville|녹스빌영어녹스빌1996년[38]
Κως|코스el코스1978년
Λάρνακα|라르나카el라르나카1990년
Rybnik|리브니크pl리브니크2003년
Стара Загора|스타라자고라bg스타라자고라1985년
Ürgüp|위르귑tr위르굽


참조

[1]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Larissa, Municipal elections{{snd}}October 2023 https://ekloges.ypes[...] Ministry of Interior
[2] 문서 Stephanus Byzantius
[3] 문서 Pausanias, 2.24.1
[4] 문서 Hippothous led the tribes of Pelasgian spearsmen, who dwelt in fertile Larissa — Hippothous, and Pylaeus of the race of Mars, two sons of the Pelasgian Lethus, son of Teutamus.
[5] Youtube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 The Iliad by Homer http://classics.mit.[...]
[6] 논문 The Lower and Middle Paleolithic of Thessaly, Greece 1993-Autumn
[7]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2009-07-08
[8] 문서 "The city and the plain around it were settled in prehistoric times, and its name must be early, but it is first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Richard Stillwell, William L. MacDonald, Marian Holland McAllister, eds.,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Classical Sit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6, 's.v.'' "Larissa, or Larisa, or Pelasgis, Thessaly").
[9] 서적 An inventory of archaic and classical polei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An inventory of archaic and classical polei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Larissa http://plato-dialogu[...]
[12] 문서 Larissa
[13] 문서 Yeñi Shehir
[14] 서적 Conversion to Islam in the Balkans : Kisve bahası petitions and Ottoman social life, 1670-1730 https://www.worldcat[...] Brill 2004
[15] 간행물 KANUNÎ SULTAN SÜLEYMAN DEVRİ BAŞLARINDA RUMELİ EYALETİ, LİVALARI, ŞEHİR VE KASABALARI https://belleten.gov[...] 1956
[16] 웹사이트 Δήμος Λαρισαίων - ΔΗΜΟΣ ΛΑΡΙΣΑΣ https://www.larissa.[...]
[17] 문서 Ecclesia Larissæ
[18] 문서 "Ungedruckte. . .Texte der Notitiae episcopatuum" 1900
[19] 문서 Hieroclis Synecdemus 1866
[20] 문서 Gelzer, op. cit., 635.
[21]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22] 웹사이트 Updated Köppen-Geiger climate map of the world https://people.eng.u[...] 2019-01-18
[23] 웹사이트 Rainfall in Larissa, Greece Average Precipitation and Wet Days http://www.larissa.c[...]
[24] 웹사이트 moyennes 1981/2010 http://meteo-climat-[...]
[25] 웹사이트 Lariss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3-01
[26]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27] 웹사이트 Detailed census results 1991 http://dlib.statisti[...]
[28] 웹사이트 Οι δήμαρχοι της Λάρισας από το 1881 μέχρι σήμερα https://www.elefther[...] 2019-06-12
[29] 웹사이트 Municipal Odeon of Larissa http://www.larissa-d[...]
[30] 웹사이트 Ο Μύλος του Παππά https://www.nea-acro[...] 2013-09-17
[31] 웹사이트 Θεσσαλικό Θέατρο https://www.thessali[...]
[32] 웹사이트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 Diachronic Museum of Larissa http://odysseus.cult[...]
[33] 웹사이트 Δήμος Λαρισαίων http://www.larissa-d[...] 2008-02-02
[34] 웹사이트 Δήμος Λαρισαίων http://www.larissa-d[...] 2008-01-17
[35] 웹사이트 ΕΕΤΑΑ-Διοικητικές Μεταβολές των ΟΤΑ https://www.eetaa.gr[...]
[36] DGRBM Hegesaratus https://www.perseus.[...]
[37] 웹사이트 Αδελφοποιημένες Πόλεις http://www.larissa-d[...] Larissa 2021-04-02
[38] 웹사이트 Sister City Directory http://www.sister-ci[...] Sister Cities International 2012-02-06
[39] 웹인용 moyennes 1981/2010 http://meteo-climat-[...]
[40] 웹인용 Lariss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3-01
[41] 웹인용 Αδελφοποιημένες Πόλεις http://www.larissa-d[...] Larissa 2021-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