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피아 (그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피아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서부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의 성역이자 도시 국가로, 제우스 등 신들을 숭배하는 종교 중심지이자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 경기로 유명했다. 기원전 8세기 시작된 올림픽은 394년 로마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폐지되었으며, 필론이 기록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올림피아의 제우스상이 있었다. 1829년 프랑스 고고학자에 의해 유적 발굴이 시작되었으며, 198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현대에는 고대 올림픽 정신을 기리며 올림픽 성화를 채화하는 장소로,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올림피아 경기장에서 포환던지기 경기가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피아 (그리스) - 고대 올림픽
    고대 올림픽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제우스 신에게 바치기 위해 4년마다 올림피아에서 개최한 종교적, 예술적, 스포츠 축제로, 도시 국가 간의 경쟁과 동맹을 공고히 하는 정치적 의미를 지녔으며 근대 올림픽의 기원이 되었다.
  • 올림피아 (그리스) - 헤라 신전
    헤라 신전은 올림피아의 알티스 북쪽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신전으로, 기원전 590년경에 건립되어 헤라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으며, 프락시텔레스의 헤르메스 조각상 등 다양한 유물을 소장하고 올림픽 성화 채화 장소로 사용된다.
  • 일리아현 - 피사 (그리스)
    피사(그리스)는 고대 그리스 피사티스 지역의 도시로, 올림피아 제우스 축제와 초기 올림픽 게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나 엘리스와의 경쟁으로 기원전 572년에 파괴되었다.
  • 일리아현 - 엘리스
    엘리스는 고대 그리스의 지역으로, 올림피아에서 고대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말 사육으로 유명하고 코로이보스 등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다.
올림피아 (그리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팔레스트라 전경, 레슬링 센터
팔레스트라 전경, 레슬링 센터
공식 명칭올림피아
현지 명칭 (그리스어)''
현대 그리스어 표기''
IPA (현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 표기''
IPA (고대 그리스어)''
별칭' (아르헤아 올림피아, 고대 올림피아)'
위치서그리스
지역 단위엘리스
고도60m
행정
자치체 유형자치체
인구
자치체 인구 (2021년)11,153명
자치체 단위 인구 (2021년)6,859명
공동체 인구 (2021년)882명
면적
자치체 면적545.1 제곱킬로미터
자치체 단위 면적178.9 제곱킬로미터
지리 및 위치
좌표''
우편 번호
우편 번호2708 25
지역 코드
지역 코드26240
유네스코 세계유산
유산 명칭올림피아 고고 유적지
ID517
등재 연도1989년
기준문화 (i, ii, iii, iv, vi)
면적105.6 헥타르
완충 지역1,458.18 헥타르

2. 고대 올림피아

주요 그리스 신전들 중 올림피아


펠로폰네소스 반도 서부에 위치한 고대 올림피아는 알페이오스 강과 클라데오스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 잡은 고대 그리스의 성역이자 도시 국가였다. 이곳은 제우스를 비롯한 여러 신들을 숭배하는 종교 중심지였으며,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 경기로 유명했다.

고대 올림픽은 기원전 8세기에 시작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전염병에 시달리던 엘리스 왕 이피토스아폴론의 계시를 받아 다툼을 멈추고 경기회를 부활시켰다고 한다. 이것이 제우스에게 바치는 봉납 경기의 시작으로, 1000년 이상 293회에 걸쳐 개최되었지만, 394년 로마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의 이교 신전 파괴령으로 폐지되었다. "경기회를 부활시키라"는 계시는 과거에도 경기가 존재했음을 시사하여, 실제 시작은 더 빨랐을 것으로 추측된다.

필론이 기록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올림피아의 제우스 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0년대에 페이디아스의 공방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제우스 신전 부근에서 발견되어 제우스상이 실제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올림피아 주변 유적 발굴은 1829년 프랑스 고고학자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19세기에는 독일 발굴대도 참여하여 프락시텔레스헤르메스상 등이 발견되었다. 20세기 중반에는 경기장 터가 발굴되었다.

근대 올림픽의 올림픽 성화는 올림피아의 헤라 신전에서 오목거울을 이용하여 태양으로부터 채화된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남녀 포환던지기 경기가 이 경기장 터에서 열렸다.

2. 1. 지리적 위치



올림피아는 펠로폰네소스 서부 알페이오스 강 계곡에 위치하며, 이오니아 해에서 약 18km 떨어진 곳에 있다.[4][5]

2. 2. 건축학적 개요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올림피아에는 70개가 넘는 신전과 함께 여러 신들에게 봉헌된 보물 창고, 제단, 조각상 및 기타 구조물이 있었다.[6] 델포이와는 달리, 올림피아는 특히 경기장으로 사용되던 지역을 중심으로 경계벽 너머로 넓게 펼쳐져 있었다.

신성 구역 북쪽에는 프리타네이온(Prytaneion)과 필리페이온(Philippeion)이 있으며, 여러 도시 국가들을 대표하는 보물 창고들(Treasuries at Olympia)이 늘어서 있다. 메트로온(Metroon)은 이 보물 창고들의 남쪽에 있고, 에코 스토아(Echo Stoa)는 동쪽에 있다. 경마장(hippodrome)과 후대의 경기장(stadium)은 에코 스토아의 동쪽에 있었다. 신성 구역 남쪽에는 남쪽 스토아(South Stoa)와 불레우테리온(bouleuterion)이 있고, 팔레스트라(Palaestra at Olympia), 피디아스의 작업장, 체육관(gymnasion), 레오니다이온(Leonidaion)은 서쪽에 있다.

올림피아는 피디아스가 조각하고 시돈의 안티파테르(Antipater of Sidon)가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선정한 제우스 상(Statue of Zeus at Olympia)으로 유명했는데, 이는 제우스 신전(Temple of Zeus)에 안치된 숭배상(cult image)이었다. 거대한 크리셀레판틴(chryselephantine) 조각(목재 골격에 상아을 사용)으로 만들어진 이 조각상이 있던 제우스 신전 바로 근처에 있는 피디아스의 작업장은 1950년대에 발굴되었으며, 조각가의 도구와 같은 증거들이 발견되었다.[4][5]

올림피아 성역 배치도


'''범례'''
scope="col" style="width: 0.5em;" |scope="col" style="width: 12em;" |scope="col" style="width: 0.5em;" |scope="col" style="width: 12em;" |scope="col" style="width: 0.5em;" |scope="col" style="width: 12em;" |
1.북서쪽 프로필론12.프톨레마이오스 2세와 아르시노에 2세의 건물23.영웅신전
2.프리타네이온13.헤스티아 현관24.페이디아스의 작업장과 초기 기독교 바실리카
3.필리페이온14.헬레니즘 시대 건물25.클라데오스의 목욕탕
4.헤라 신전15.제우스 신전26.그리스식 목욕탕
5.펠로피온16.제우스 제단27.숙소
6.헤로데스 아티쿠스의 님페이온17.아카이아인의 감사물28.
7.메트로온18.미키토스의 감사물29.레오니다이온
8.보물창고19.파이오니오스의 니케30.남쪽 목욕탕
9.지하묘소 (경기장으로 이어지는 아치형 통로)20.체육관31.불레우테리온
10.경기장21.팔레스트라32.남쪽 현관
11.에코 현관22.테오콜레온33.네로의 별장



'''보물창고'''
scope="col" style="width: 0.5em;" |scope="col" style="width: 8em;" |scope="col" style="width: 0.5em;" |scope="col" style="width: 8em;" |scope="col" style="width: 0.5em;" |scope="col" style="width: 8em;" |
I.시키온IV.비잔티움(?)VII.미확인X.메타폰툼
II.시라쿠사V.시바리스(?)VIII.제단(?)XI.메가라
III.에피담누스(?)VI.키레네(?)IX.셀리누테XII.겔라



알티스는 각 변이 183m가 넘는 불규칙한 사각형 지역으로, 크로니온(크로노스 산)이 경계를 이루는 북쪽을 제외하고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7] 이곳에는 헤라 신전(헤라이온/헤라에움), 제우스 신전, 펠로피온 등 여러 건물들과 제우스의 대제단 지역과 같이 전통적인 활동을 위해 사용되던 열린 공간들이 있었다. 제우스의 대제단에서는 가장 큰 희생 제물이 바쳐졌다.[8]

2. 3. 주요 유적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올림피아에는 총 70개가 넘는 신전과 함께 여러 신들에게 봉헌된 보물 창고, 제단, 조각상 및 기타 구조물이 있었다.[6] 델포이와는 달리, 올림피아는 특히 경기장으로 사용되던 지역을 중심으로 경계벽 너머로 넓게 펼쳐져 있었다.

신성 구역 북쪽에는 프리타네이온과 필리페이온이 있으며, 여러 도시 국가들을 대표하는 보물 창고들이 늘어서 있다. 메트로온은 이 보물 창고들의 남쪽에, 에코 현관은 동쪽에 위치해 있었다. 경마장과 후대의 경기장은 에코 스토아의 동쪽에 위치해 있었다. 신성 구역 남쪽에는 남쪽 스토아와 불레우테리온이 있고, 팔레스트라, 피디아스의 작업장, 체육관, 그리고 레오니다이온은 서쪽에 위치해 있다.

올림피아는 피디아스가 조각하고 시돈의 안티파테르가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선정한 올림피아의 제우스 상으로 유명했다. 이 조각상은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에 안치되어 있었으며, 1950년대에 신전 근처에서 피디아스의 작업장이 발굴되면서 조각상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증거들이 발견되었다.

고대 유적은 알페오스 강 북쪽과 크로노스 산 남쪽에 위치하며, 알페오스 강의 지류인 클라데오스 강이 서쪽 경계를 이룬다.

'''범례'''
1.북서쪽 프로필론12.프톨레마이오스 2세와 아르시노에 2세의 건물23.영웅신전
2.프리타네이온13.헤스티아 현관24.페이디아스의 작업장과 초기 기독교 바실리카
3.필리페이온14.헬레니즘 시대 건물25.클라데오스의 목욕탕
4.헤라 신전15.제우스 신전26.그리스식 목욕탕
5.펠로피온16.제우스 제단27.숙소
6.헤로데스 아티쿠스의 님페이온17.아카이아인의 감사물28.
7.메트로온18.미키토스의 감사물29.레오니다이온
8.보물창고19.파이오니오스의 니케30.남쪽 목욕탕
9.지하묘소 (경기장으로 이어지는 아치형 통로)20.체육관31.불레우테리온
10.경기장21.팔레스트라32.남쪽 현관
11.에코 현관22.테오콜레온33.네로의 별장



'''보물창고'''
I.시키온IV.비잔티움(?)VII.미확인X.메타폰툼
II.시라쿠사V.시바리스(?)VIII.제단(?)XI.메가라
III.에피담누스(?)VI.키레네(?)IX.셀리누테XII.겔라



고대 올림픽은 기원전 8세기에 시작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전염병에 시달리던 엘리스 왕 이피토스가 다툼을 그치고 경기회를 부활시키라는 아폴론의 계시를 받았고, 제우스에게 바치는 봉납 경기를 시작하여 1000년 이상 293회에 걸쳐 개최했지만, 394년 로마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의 이교 신전 파괴령으로 폐지되었다. "경기회를 부활시키라"는 계시는 과거에도 경기가 존재했음을 시사하여, 실제 시작은 더 빨랐을 것으로 추측된다.

필론이 기록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올림피아의 제우스 상이 있었던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1950년대에 페이디아스의 공방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제우스 신전 부근에서 발견되어 제우스상이 실제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올림피아 주변 유적 발굴은 1829년 프랑스 고고학자에 의해 시작되었다. 19세기에는 독일 발굴대도 참여하여 프락시텔레스헤르메스상 등이 발견되었다. 20세기 중반에는 경기장 터가 발굴되었다.

근대 올림픽의 올림픽 성화는 올림피아의 헤라 신전에서 오목거울을 이용하여 태양으로부터 채화된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남녀 포환던지기 경기가 이 경기장 터에서 열렸다.

2. 3. 1. 알티스

경기장, 헤라 신전, 제우스 신전을 보여주는 고고학 유적지. 오른쪽 상단의 나무들이 알피오스 강 북쪽 도로의 경계를 이룬다. 지질학적으로 이 유적지는 배경에 보이는 알피오스 계곡의 완만한 북쪽 사면에 계단식으로 조성되어 있다.


알티스는 각 변이 183m가 넘는 불규칙한 사각형 지역으로, 북쪽은 크로니온(크로노스 산)이 경계를 이루고, 그 외 지역은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7] 이곳에는 헤라 신전(헤라이온/헤라에움), 제우스 신전, 펠로피온 등 여러 건물과 제우스의 대제단 지역과 같이 전통적인 활동을 위해 사용되던 열린 공간들이 있었다. 제우스의 대제단에서는 가장 큰 희생 제물이 바쳐졌다.[8]

기원전 5세기 테베의 시인 피린다르(Pindar)는 헤라클레스펠롭스의 무덤 옆에 자신의 아버지인 제우스를 기리기 위해 신성한 구역(zatheon alsos)을 세웠다고 전한다. 헤라클레스는 이 구역을 알티스(Altis)로 명명하고, "주변 지역을 연회를 위한 휴식처로 만들고", 알페이오스(Alfeios) 강과 12명의 올림포스 신들을 기렸다. 또, 이름이 없던 언덕에 "크로노스의 언덕"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올림픽 경기를 제정했다.[9]

오늘날 이 장소는 숲처럼 나무들이 무성하며, 주로 분홍색 꽃이 피는 낮은 나무인 유다 나무(Cercis siliquastrum)가 자라고 있다.

2. 3. 2. 헤라클레스의 성역

기원전 5세기 테베의 시인 피린다르(Pindar)는 헤라클레스(Heracles)가 아버지 제우스(Zeus)를 기리기 위해 펠롭스(Pelops)의 무덤 옆에 알티스(Altis)라는 신성한 구역(zatheon alsos)을 세웠다고 전한다. 헤라클레스는 "주변 지역을 연회를 위한 휴식처로 만들고", 알페오스 강(Alfeios River)과 12명의 올림포스 신들을 기렸다. 그는 이전에는 이름이 없던 언덕에 "크로노스의 언덕"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올림픽 경기를 제정했다.[9]

헤라클레스는 측량 도구인 스타트메(stathme)를 사용하여 알소스(alsos)를 배치하고, 알티스(Altis)의 경계를 "고정"한 뒤 주변 공간을 정리했다. 그는 축제를 위한 유흥 공간으로 땅을 "만들고", 알페오스(Alfeios)의 여울과 12명의 신들을 "기리고", 이름 없는 언덕에 크로노스(Kronos)의 이름을 붙인 후 첫 번째 경기를 개최했다.

알티스라는 이름은 "숲"을 의미하는 고대 엘리스(ancient Elis) 지역의 단어가 변형된 것으로, 이 지역은 특히 올리브 나무와 플라타너스 나무가 우거진 숲이었다.

2. 3. 3. 펠롭스의 성역

남쪽에서 본 펠로페이온 유적의 담장(전경)과 헤라 신전(배경)


고전 시대의 펠로페이온은 기원전 6세기에 만들어진 담장으로 구획된 별개의 신전이었다.[13] 이는 기원전 776년(올림픽 경기의 전통적인 시작 시점)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난 뒤의 일로, 이전에 존재했던 펠롭스의 신전을 개조한 것이다. 1987년 이후 펠로페이온 발굴 조사에서는 하위 미케네식(기원전 1100-1000년)과 원기하학적(기원전 1000-900년) 토기를 포함하여 기원전 11세기 이후의 "지속적인 도자기 연대기"가 확인되었다. "종교적" 유물(봉납물인 작은 조각상과 항아리)도 상당수 발견되었다.[14]

2. 4. 역사

기원전 8세기 엘리스 왕 이피토스가 전염병을 해결하기 위해 아폴론의 계시를 받아 경기를 부활시켰다는 전설이 있으며, 이것이 제우스에게 바치는 경기의 시작이었다. 이 경기는 1000년 이상 293회에 걸쳐 개최되었지만, 394년 로마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의 이교 신전 파괴령에 의해 폐지되었다. 그러나 "경기회를 부활시키라"는 계시는 과거에도 경기가 존재했음을 시사하며, 실제 경기의 시작은 더 빨랐을 것으로 추측된다.

필론이 기록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올림피아의 제우스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0년대에 제작자 페이디아스의 공방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제우스 신전 부근에서 발견되어 제우스상이 실제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올림피아 주변 유적의 발굴은 1829년 프랑스 고고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19세기에는 독일 발굴대도 참여하여 프락시텔레스헤르메스상 등이 발견되었다. 20세기 중반에는 경기장 터가 발굴되었다.

근대 올림픽의 올림픽 성화는 올림피아의 헤라 신전에서 오목거울을 이용하여 태양으로부터 채화된다. 2004년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남녀 포환던지기 경기가 이 경기장 터에서 열렸다.

2. 4. 1. 선사 시대

기원전 1500년경부터 이곳에 사람이 살았고, 기원전 1000년경에는 제우스를 숭배하는 종교 집단이 형성되었다는 주장이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기원전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음식과 불에 탄 제물의 잔해가 이곳에서 오랜 종교 활동의 증거라고 믿고 있으며, 이 초기 사용 시기의 건물은 남아 있지 않다.[15]

2. 4. 2. 기하학 및 고졸기 시대

기원전 8세기에 엘리스 당국이 최초의 올림픽 축제를 조직했다.[15] 전통에 따르면 최초의 경기는 기원전 776년에 열렸다. 기원전 700년경에는 부지를 평평하게 하고 새로운 우물을 파는 등 부지에 대한 대대적인 변경이 이루어졌다. 엘리스의 힘이 약해지면서 기원전 676년에 신성 지역은 피사인들의 손에 넘어갔다. 피사인들은 기원전 7세기 후반까지 경기를 주관했다.[15]

기원전 600년경, 피사인들의 동맹인 스킬루디아인들이 헤라 신전을 건설하면서 이곳에서 건설 활동이 시작되었다.[16] 기원전 6세기 동안 올림피아의 보물 창고와 펠로피온이 건설되었다. 불레우테리온을 포함한 세속적인 구조물과 운동 경기장도 이 기간 동안 건설되었다. 최초의 경기장은 기원전 560년경에 건설되었으며, 단순한 트랙으로 구성되었다. 기원전 500년경 경기장은 관중을 위한 경사진 측면을 갖추고 동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개조되었다. 기원전 6세기 동안 다양한 종목이 올림픽 축제에 추가되었다. 기원전 580년에 엘리스는 스파르타와 동맹을 맺고 피사를 점령하여 신성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다.[15]

헤라 신전(올림피아) 유적

2. 4. 3. 고전 시대

경기장으로 향하는 아치형 통로(크립트)


기원전 360년 올림피아의 은 테트라드라크마(Tetradrachm). 앞면: 월계관을 쓴 제우스의 머리. 뒷면: 님프 올림피아의 머리(머리띠인 스펜도네 착용). 오른쪽에 ΟΛΥΜΠΙΑ.


기원전 5세기와 4세기는 고전 시대 올림피아 유적의 황금기였다. 이 시기에 다양한 종교 및 세속 건물과 구조물들이 건설되었다.[15]

제우스 신전은 기원전 5세기 중반에 건설되었는데, 그 크기, 규모, 장식은 이전에 이곳에 건설된 어떤 것보다 뛰어났다. 그리스식 목욕탕, 경기 시설, 경기장의 최종 형태, 그리고 경마장(전차 경주용)이 건설되었다. 프리타네이온은 기원전 470년 유적지 북서쪽에 건설되었다.[15]

2. 4. 4.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4세기 후반에 필리페이온(Philippeion)이 건립되었다. 기원전 300년경에는 중요한 방문객들을 수용하기 위해 부지에서 가장 큰 건물인 레오니다이온(Leonidaion)이 건설되었다.[15]

2. 4. 5. 로마 시대

로마 시대에는 경기가 로마 제국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제우스 신전을 포함한 새로운 건물 건설과 광범위한 수리가 이루어졌다. 서기 150년에는 님페이움(혹은 엑세드라)이 건설되었다. 서기 100년에는 기존의 그리스식 목욕탕을 대체하는 새로운 목욕탕이 건설되었고, 서기 160년에는 수로가 건설되었다.[15]

3세기에는 일련의 지진으로 인해 이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 서기 267년 침입 부족들로 인해 유적지 중심부가 유적에서 가져온 건축 자재로 요새화되었다. 파괴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축제는 서기 393년 마지막 올림피아드가 열릴 때까지 계속 개최되었으며, 그 후 기독교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가 금지령을 내렸다. 제우스 신전은 서기 426년경, 테오도시우스 2세가 이교도 축제 금지령을 내린 후 로마 제국 말기 이교도 박해 기간에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피디아스의 작업장은 바실리카로 바뀌었고, 이 지역에는 기독교 공동체가 거주했다.[15]

2. 4. 6. 중세 이후



3세기경 올림피아는 여러 차례의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267년에는 외적의 침입으로 유적지 중심부가 요새화되었는데, 이때 유적에서 가져온 건축 자재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파괴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축제는 393년 마지막 올림피아드가 열릴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 후 기독교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가 올림픽 경기를 금지했다.[15] 제우스 신전은 426년경 테오도시우스 2세의 이교도 축제 금지령 이후 로마 제국의 이교도 박해 기간에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페이디아스의 작업장은 바실리카로 변경되었고, 이 지역에는 기독교 공동체가 거주했다.[15]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누스 시기의 역병과 두 차례의 지진으로 황폐화될 때까지 소규모 올림픽 행사(기독교적인 형태로 추정)가 비밀리에 계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복되는 홍수로 인해 7세기 초에는 완전히 버려졌다.

3. 고고학

올림피아 유적에 대한 본격적인 고고학적 발굴은 19세기부터 시작되었다. 1829년 프랑스 고고학자들이 제우스 신전 유적 발굴을 시작했고,[20][21][22] 19세기에는 독일 발굴팀이 참여하여 프락시텔레스헤르메스상 등을 발견했다. 20세기 중반에는 경기장 터가 발굴되었다.

필론이 기록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올림피아 제우스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0년대에는 제우스 신전 부근에서 제작자 페이디아스의 공방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견되어 제우스 상이 실제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근대 올림픽의 올림픽 성화는 올림피아의 헤라 신전에서 오목거울을 이용하여 태양으로부터 채화된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남녀 포환던지기 경기가 이 경기장 터에서 열렸다.

3. 1. 초기 발굴

1766년 영국의 골동품 수집가 리처드 챈들러가 유적지의 정확한 위치를 재발견했다.[18][19] 이후 루이-프랑수아-세바스티앙 포벨, 프랑수아 푸케빌, 윌리엄 겔, 찰스 로버트 코커렐, 윌리엄 마틴 리크 등 여러 고고학 여행가들이 이 유적지를 방문했다.

최초의 발굴은 1829년 5월 10일, "모레아 과학 원정대" 소속 프랑스 고고학자들이 제우스 신전 유적지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20][21][22] 대부분의 건물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에드워드 도드웰과 존 스펜서 스태너프의 정확한 설명 덕분에 전체적인 유적 식별이 가능했다. 프랑스 고고학자들은 6주 동안 현장에 머물렀다.[20][21][22] 레옹-장-조제프 뒤부아와 아벨 블루에는 화가 피에르 아킬 포아로, 피에르 펠릭스 트레젤, 아마뤼-뒤발과 함께 최초의 발굴 작업을 수행했다. 이들은 지형을 정방형으로 나누고 도랑을 파서 직선으로 발굴을 진행했으며, 복원 모델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고고학이 체계화되기 시작했고, 제우스 신전의 위치와 정체성이 처음으로 밝혀졌다.[23]

1829년 5월 모레아 원정대(아벨 블루에와 피에르 아킬 포아로 작)가 발굴한 올림피아 최초의 고고학적 발굴 지점과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 지도

3. 2. 독일 발굴 (1875-1881)

1870년대 이후 고대 올림피아의 발굴과 보존은 아테네 독일 고고학 연구소의 책임이었다. 1875년 에른스트 쿠르티우스가 독점적인 접근 권한을 협상한 후 독일 정부의 자금 지원으로 올림피아의 최초 대규모 발굴이 시작되었다.[24] 발굴 작업을 담당한 다른 고고학자들로는 구스타프 히르슈펠트, 게오르크 트로이, 아돌프 푸르트벵글러(건축가들과 함께 작업), A. 보에티허, 빌헬름 됭펠트, 리하르트 보르만이 있다.

그들은 제우스 신전, 헤라 신전, 메트로온, 불레우테리온, 필리페이온, 에코 현관, 보물 창고, 팔레스트라를 포함한 신전의 중앙 부분을 발굴했다. 중요한 발견물로는 제우스 신전의 조각상들, 파이오니오스의 니케, 프락시텔레스헤르메스와 많은 청동 조각상들이 포함된다. 총 14,000점의 유물이 기록되었으며, 발견된 유물들은 현장 박물관에 전시되었다.[24]

3. 3. 20세기 이후 발굴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을 계기로 에밀 쿤체와 한스 슐라이프의 주도하에 새로운 체계적인 발굴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경기장 남쪽 지역, 남쪽 회랑, 목욕 시설 및 체육관 발굴에 집중했다.[24]

1952년부터 1966년까지 쿤체는 건축가 알프레드 말비츠와 함께 발굴 작업을 계속했다. 이들은 페이디아스의 작업장, 레오니다이온, 경기장 북쪽 벽을 발굴했다. 또한 신전의 남동쪽 부분을 발굴하여 약 140개의 파편 구덩이에서 많은 청동과 도자기 유물, 테라코타 지붕 기와를 발견했다.[24]

말비츠는 1972년부터 1984년까지 발굴 작업을 책임지며 경기장, 무덤, 프리타네이온의 위치에 대한 중요한 연대 측정 증거를 밝혀냈다. 1984년부터 1996년까지는 헬무트 키리엘레이스가 발굴 작업을 이어받아 프리타네이온과 펠로피온 발굴을 통해 신전의 초기 역사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24]

1950년대에는 제우스 신전 부근에서 페이디아스의 공방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견되어 올림피아 제우스상이 실제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20세기 중반에는 경기장 터가 발굴되었다.

4. 현대 올림피아

알레아 올림피아(고대 올림피아)는 유적지 서쪽에 있는 마을로, 현대 그리스어로는 Ολυμπίαel를 “올림비아”라고 발음한다. 20세기부터 관광이 이 마을의 주요 산업이 되었으며, 피르고스와 연결되는 기차역이 있다.

4. 1. 행정 구역

2011년, 칼리크라티스 계획에 따라 행정 개혁이 이루어지면서 아르카이아 올림피아(Αρχαία Ολυμπία, 고대 올림피아)는 주변의 여러 지역과 통합되어 더 큰 규모의 지방 자치 단체가 되었다.[30] 이 과정에서 기존의 아르카이아 올림피아와 폴로이(폴로이), 람페이아(람페이아), 라시오나(라시오나)는 새로운 아르카이아 올림피아 시의 구(Municipal unit)가 되었다.[30]

아르카이아 올림피아는 이제 시와 구 모두를 지칭하는 명칭이 되었다. 시의 전체 면적은 545.121km2이며, 구의 면적은 178.944km2이다.[30]

아르카이아 올림피아 구는 다시 여러 지역 사회(Community)로 나뉜다.[30]

아르카이아 올림피아 구의 지역 사회
지역 사회구성 마을
아르카이아 올림피아아르카이아 올림피아, 드루바
고대 피사고대 피사, 국제 올림픽 아카데미
아스프라 스피티아
켈리도니
플로카스
이라클레이아
카프코니아
카메나카메나, 네아 카메나
클라데오스
코스키나스코스키나스, 파나라스
크리오네리
리나리아
루브로루브로, 기로스
마게이라스
무리아
페프케스
펠로피오
플라타노스플라타노스, 아기오스 게오르기오스
푸르나리
스밀라스밀라, 카루테스
스트레피스트레피, 카토 스트레피
바실라키바실라키, 익실로
크시로캄포스크시로캄포스, 암파리


4. 2. 현대 올림픽과의 연관성

기원전 394년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고대 올림픽 경기가 폐지된 후에도, 개인의 탁월성을 위한 국제적인 평화 경쟁이라는 경기의 정신은 계속 이어졌다. 고대 모델을 기반으로 하되, 그 어느 때보다 국제적인 성격을 띤 경기가 1894년에 부활했다. 새로운 경기의 이념은 영감을 얻기 위해 고대 올림피아 유적지로 향했으며, 심지어 유적지의 폐허조차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현대 올림픽 경기의 올림픽 성화는 헤라 신전 앞에 있는 포물선 거울에 태양광을 반사시켜 불을 붙인 다음 횃불을 통해 경기가 열리는 장소로 운반된다.[33] 2004년 하계 올림픽아테네에서 개최되었을 때, 남자와 여자 포환던지기 경기는 고대 올림피아 경기장에서 열렸다.[34] 포환던지기는 고대 올림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혈통을 가진 현대 육상 종목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민감한 고고학 유적지에서 최소한의 훼손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선택되었다.[35]

5. 한국과 올림피아

현재 주어진 원문 자료에는 한국과 올림피아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없어,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6. 세계유산



올림피아는 198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는 고대 올림피아가 인류 역사와 문화에 끼친 중요한 가치를 인정받은 결과이다.

참조

[1] harvard
[2] 문서 The length of the stadium at Olympia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Sports History
[4] 웹사이트 Olympia Hypothesis: Tsunamis Buried the Cult Site On the Peloponnese https://www.scienced[...] Science Daily 2011-07-11
[5] 문서 The coastline of Olympia
[6] 문서 Wilson
[7] 웹사이트 Altis https://www.britanni[...] 2021-07-10
[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our of Olympia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21-07-13
[9] 서적 Olympian http://www.perseus.t[...] Perseus Digital Library 2021-07-12
[10] 문서 Pindar's description of the Altis
[11] harvard
[12] 웹사이트 The Stadium and the Events http://www.perseus.t[...] Perseus Digital Library 2021-07-14
[13] 웹사이트 Olympia, Pelopeion (Building)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021-07-14
[14] harvard
[15] 웹사이트 Olympics Through Time http://sunsite.icm.e[...] 2007-02-22
[16] 웹사이트 Ancient Olympic Games and the Elis Olympic Coins for Olympia https://elisolympicc[...] 2021-03-09
[17] 문서 The sediments of Olympia
[18] 뉴스 Where Athletes Once Ran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2004-07-18
[19] 서적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Psychology Press
[20] 서적 L'œuvre de l'expédition scientifique de Morée 1829-1838 Editions Melissa
[21] 서적 Souvenirs (1829-1830) https://archive.org/[...] Librairie Plon, E. Plon, Nourrit et Cie
[22] 서적 Expedition scientifique de Morée ordonnée par le Gouvernement Français ; Architecture, Sculptures, Inscriptions et Vues du Péloponèse, des Cyclades et de l'Attique https://digi.ub.uni-[...] Firmin Didot
[23] 문서 Map of the location of the temple of Zeus at Olympia http://digi.ub.uni-h[...] Firmin Didot
[24] 웹사이트 Olympia http://www.dainst.or[...] Deutsches Archäologisches Institut
[25] 잡지 Rare Bronze Bull Sacrificed to Zeus Found at Site of the Ancient Olympic Games https://www.smithson[...] 2021-03-22
[26] 뉴스 Greek archaeologists unearth bronze bull idol in ancient Olympia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3-19
[27] 웹사이트 Τυχαία αποκάλυψη χάλκινου ειδωλίου ταύρου στον Αρχαιολογικό Χώρο Ολυμπίας https://www.culture.[...] 2021-03-29
[28] 뉴스 Rain uncovers bull idol at ancient Olympia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21-03-19
[29] 문서 The Greek municipal system
[30] 웹사이트 ΦΕΚ B 1292/2010, Kallikratis reform municipalities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2021-09-07
[31]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2016-11-15
[32] 서적 The Modern Olympics – A Struggle for Revival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http://www.ft.com/cm[...] 2018-03-01
[34] 웹사이트 Ancient and modern Shot put revisits Olympia https://www.theguard[...] 2004-08-19
[35] 뉴스 The Games live again at Olympi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4-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