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순은 한자를 구성하는 획의 순서를 의미하며, 필기의 경제성, 속도, 정확성,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수립된 규칙이다.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것이 기본 원칙이며, 가로획과 세로획의 순서, 글자를 관통하는 획의 순서 등 다양한 세부 규칙이 존재한다. 필순은 학습과 기억에 도움을 주며, 국가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중국, 일본, 대만 등 각 지역은 학교 교육에서 공식적인 필순을 표준화하여 가르치고 있으며, 서예와 같은 필사체에서는 필순이 다르게 적용되기도 한다. 획순은 문자를 묘사하기 위해 다양한 그래픽 표현 방법과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순서 - 열거 열거는 수학에서 집합의 원소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을 의미하며, 가산 집합과 비가산 집합을 분류하고 계산 가능한 함수를 사용하여 집합을 열거하는 개념이다.
순서 - 의전서열 의전서열은 공식 행사나 사회 관계에서 개인이나 집단의 상대적 중요성이나 지위를 나타내는 체계로, 사회 질서 유지, 존중 문화 조성, 조직 운영 및 국제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사회적 불평등 심화 및 권위주의 문화 고착화에 대한 비판과 개선 방안이 존재하며, 각국은 고유한 역사, 문화, 정치 체제에 따라 독특한 의전 서열을 가진다.
한자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자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필순
개요
한국어 표기
필순
한자 표기
筆順
로마자 표기
bilsun
언어별 명칭
2. 기본 원리
한자는 획으로 구성된 표어 문자이다. 수천 년에 걸쳐 발전해 온 규칙에 기반하며, 필기의 경제성, 속도, 정확성, 가독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습자는 초기 단계부터 필순을 배우며, 이는 학습과 기억에 도움을 준다.[9] 용자팔법은 해서체의 기본 획 여덟 가지를 가르치는 데 사용된다.
한자의 필순은 한 글자당 하나로 한정되지 않으며, 널리 사용되는 필순이 두 개 이상인 한자나 시대 또는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958년 일본 문부성은 교육 한자 881자에 대해 학습 지도상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필순을 가능한 한 통일할 목적으로 '필순 지도 지침'을 제시했다.[9] 그러나 이 지침은 제시된 필순 외의 다른 필순을 오류로 간주하거나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명시되어 있다.[9]
'필순 지도 지침'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원칙과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대원칙
내용
예시
대원칙 1
위에서 아래로
,
대원칙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원칙
내용
예시
원칙 1
가로획이 먼저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하는 경우)
,
원칙 2
가로획이 나중 (원칙 1의 예외)[12]
, , , , , ,
원칙 3
가운데가 먼저 (가운데와 좌우가 있고, 좌우가 1, 2획인 경우)
,
원칙 4
바깥쪽이 먼저 (囗(에울 위)처럼 에워싸는 형태)
,
원칙 5
왼쪽 삐침이 먼저 (왼쪽 삐침과 오른쪽 삐침이 교차하는 경우)
,
원칙 6
관통하는 세로획은 마지막
,
원칙 7
관통하는 가로획은 마지막
,
원칙 8
가로획과 왼쪽 삐침 (가로획과 왼쪽 삐침의 길이에 따라 순서가 달라짐)
, ,
위 원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繞 (돌 녁 부수)는 경우에 따라 먼저 쓰기도 하고 나중에 쓰기도 하며, 왼쪽 삐침도 마찬가지로 먼저 쓰거나 나중에 쓰는 경우가 있다.
고대 중국에서 소 어깨뼈와 거북 배딱지에 새겨진 갑골문에는 필순에 대한 표시가 없었다. 글자들은 조각마다, 심지어 한 조각 안에서도 매우 큰 변형을 보였다. 점을 치는 의식 동안, 금이 간 후, 글자들은 붓으로 껍질이나 뼈에 쓰여졌다(나중에 작업장에서 새겨지도록). 비록 붓으로 쓴 필순은 조각 후에는 확인할 수 없지만, 완전히 특이하지 않았다는 증거가 있다. 껍질이나 뼈의 출처를 기록하는 소수의 글자들, 종종 부수적인 행정 기록들은 나중에 다시 새겨지지 않았고, 이 글자들의 필순은 전통적인 필순과 현대적인 필순을 닮는 경향이 있었다.[1] 칼을 사용하여 딱딱한 표면에 새겨진 글자들(대다수)의 경우, 아마도 다른 개인이 새겼을 가능성이 있으며, 적어도 일부 경우에는 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모든 획이 새겨진 다음, 조각을 돌려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획이 새겨졌다는 증거가 있다.[1]
3. 2. 중국 제국 시대
초기 중국 제국 시대에는 일반적인 문자가 소전이었다. 기원전 220년경, 중국을 최초로 정복한 황제 진시황은 이사의 문자 통일을 시행하여 3,300개의 표준화된 소전 문자를 만들었다.[2] 기원전 200년경의 오래된 비석에 새겨진 이 문자들은 당시의 획순을 보여주지만, 비석만으로는 획순을 파악할 수 없었고 당시의 종이도 남아있지 않다.
획순의 진정한 시작점은 더욱 정형화되어 현대 텍스트와 어떤 면에서는 유사한 예서이다. 예서체의 비석에 새겨진 문자와 각 획의 배치에서 획 사이의 우선순위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서예가 또는 비석 조각가가 사용한 획순을 나타낸다.
해서는 가장 최근의 주요 서체 스타일로, 비석에 글자를 쓸 때 사용된 획순을 더 쉽게 추측할 수 있게 해준다. 1000년 전의 획순은 중국 제국 시대 말기와 비슷했다. 예를 들어, 广|광중국어의 획순은 1716년의 ''강희자전''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하지만 현대 책에서는 공식 획순(동일)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강희자전의 형태와 현재의 형태는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옛 스타일에 따르면 현재의 획순은 여전히 동일하다.[3] 그러나 강희자전에 의해 암시된 획순이 오늘날의 표준과 반드시 유사한 것은 아니다.
3. 3. 필사체
초서와 행서는 필기 도구가 움직이면서 만들어내는 각 획의 움직임이 보이기 때문에 정자체보다 필순을 더 명확하게 보여준다.[3]
4. 국가별 필순
현대 중국, 홍콩,[4] 타이완,[5] 및 일본[6] 정부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공식 필순을 표준화했다. 각 표준은 대부분 일치하지만, 일부 차이점이 존재한다. 어떤 정부 표준도 중국 제국 시대에 널리 사용된 전통 필순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으며, 현재 전통 필순은 주로 서예 학자들이 사용한다.
문자 必(반드시 필)의 다른 획순.
전통
타이완 & 홍콩
일본
중국 본토
'''전통 필순''': 중국 문화권에서 사용되며, 주로 서예에 정통한 학자들이 사용한다. "서예" 필순이라고도 한다. 중화민국 이전의 필사본, 특히 유명한 서예가들의 문서를 연구하여 확립되었다. 어원, 문자 구성, 문자 발전 및 전통과 관련하여 가장 보수적이다. 많은 문자가 획의 순서가 올바른 이체자 형태를 가진다. 획순은 서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본 필순''': 일본의 필순에 대해서는 하위 섹션인 === 일본 ===에서 다룬다.
'''타이완 필순''': 타이완의 필순에 대해서는 하위 섹션인 === 대만 ===에서 다룬다.
'''중국 본토 필순''': 중국의 필순에 대해서는 하위 섹션인 === 중국 본토 ===에서 다룬다.
'''홍콩 필순''': 홍콩 교육국의 표준 문자 집합은 상용자형표이다.[4] 艹(초두머리)는 전통적인 세로-가로-가로-세로 순서 대신 세로-가로-세로-가로 순서로 쓴다. 成(이룰 성)은 가로 획으로 시작한다.
4. 1. 일본
문부과학성(MEXT)의 표준 문자 집합은 1946년에 신자체로 개혁된 많은 문자를 포함하는 조요 한자이다. 문부과학성은 편집자가 문자의 획순을 자유롭게 규정하도록 하며, 이는 모두 "사회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상식적인 순서를 따라야 한다"는 입장이다.[6] 이 표준은 초두(艹)의 양쪽을 합쳐서 세 획으로 쓰는 점에서 전통 획순과 다르다. 또한 이 표준은 반해서체의 영향을 받아 세로 획이 가장 낮은 가로 획을 통과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세로 획이 교차하는 가로 획보다 먼저 오는 경향이 있다(例: 隹, 生). 必은 위쪽 점을 먼저 쓰지만, 전통 획순에서는 丿을 먼저 쓴다.[6]
1958년(쇼와 33년) 일본 문부성(당시)에서 '필순 지도 지침'이 제시되었다.[9] 이 '필순 지도 지침'(1958년(쇼와 33년) 문부성 편)은 교육 한자 881자에 대해 학습 지도상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필순을 가능한 한 통일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9]
다만, 한자의 필순은 한 글자당 하나로 한정되지 않으며, 널리 사용되는 필순이 두 개 이상인 한자나 시대 또는 국가에 따라 차이가 보이는 등, 필순에 명확한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다.
문부성의 '지침'에도, 本署(본서)에 제시된 필순은 학습 지도상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배려하여 정해진 것이며, 이는 여기에서 다루지 않은 필순에 대해서도 이를 오류로 간주하거나 부정하려는 것은 아니다.|본서에 제시된 필순은 학습 지도상 혼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배려하여 정해진 것이며, 이는 여기에서 다루지 않은 필순에 대해서도 이를 오류로 간주하거나 부정하려는 것은 아니다.일본어 , 本署(본서)에서 다룬 필순은 학습 지도상의 관점에서 하나의 문자에 대해 하나의 형태로 통일되어 있지만, 이는 본서에 제시된 이외의 필순으로, 종래 행해져 온 것을 오류로 간주하는 것은 아니다.|본서에서 다룬 필순은 학습 지도상의 관점에서 하나의 문자에 대해 하나의 형태로 통일되어 있지만, 이는 본서에 제시된 이외의 필순으로, 종래 행해져 온 것을 오류로 간주하는 것은 아니다.일본어 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를 유일하게 올바른 필순이라고 근거할 수는 없다.[9]
'지침'에는 '널리 사용되는 필순이 두 개 이상 있는 것'으로 '상', '점', '점포', '취', '최', '직', '엄', '필', '발', '등', '감', '성', '마', '무', '흥'이 예시되어 있다. 물론, 이것들은 예시이며, 이 외에도 두 개 이상의 필순이 있는 한자는 적지 않다.
또한, 행서로 한자를 쓸 때 필순이 다를 수 있다.[11] 현행의 [https://www.mext.go.jp/a_menu/shotou/kyoukasho/kentei/021202.htm 의무 교육 제 학교 교과용 도서 검정 기준]에는, 서예의 교과서에 대해 "한자의 필순은 원칙적으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상식적인 것으로 하며, 행서에서 필순이 다른 글자에 대해서는 적절한 설명을 추가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지침'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4. 2. 대만
중화민국 교육부의 표준 문자 집합은 국자표준자체이다.[5] 대만 필순은 戈(창 과) 구성 요소의 오른쪽 위 점을 두 번째로 쓰는 점에서 전통 필순과 다르다. 忄(심방변)의 세로 획은 두 번째로 쓰인다. 成(이룰 성)은 가로 획으로 시작한다. 또한, 左(왼 좌)와 右(오른 우)에서 볼 수 있는 𠂇(삐침 별) 구성 요소는 모든 경우에 가로 획을 먼저 쓰지만, 전통 필순은 어원과 문자 구조에 따라 𠂇의 획순을 구별한다.
1956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간체자라고 불리는 많은 새롭게 만들어진 문자와 대체자를 도입했으며,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의 표준 문자 집합인 현대 한어 상용 자표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는 다시 많은 문자의 획순을 개혁했다.[4] 간체자는 일본의 신자체와 유사하게 艹 부호를 가진 문자의 양쪽을 합쳐서 세 획으로 쓴다. 𠂇 구성 요소의 가로 획은 모든 경우에 먼저 쓰인다. 乃는 丿으로 끝난다. 成은 가로 획으로 시작한다.[4]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간체자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만, 전통 중국 문자에 중화인민공화국 획순과 유사한 대체 획순을 적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중국 정부는 1997년에 일부 한자의 필순을 조정한 적이 있기[14] 때문에, 개정 전과 개정 후에 초등 교육을 받은 세대에는 차이가 보인다.
"방(方)"의 예
1997년 이후의 필순 (꺾임을 먼저 씀)[15]。일본의 필순과 동일
1997년까지의 필순 (파임을 먼저 씀). 그 이전에 초등 교육을 받은 세대는 이 필순으로 쓰는 경우가 많음
4. 4. 홍콩
홍콩 교육국의 표준 문자 집합은 상용자형표이다.[4] 이 표준에서 艹는 전통적인 세로-가로-가로-세로 순서 대신 세로-가로-세로-가로 순서로 쓴다. 成은 가로 획으로 시작한다.
5. 일반적인 지침
한자는 획으로 구성된 표어 문자이다. 수천 년에 걸쳐 관습에 의해 일반적으로 합의된 일련의 규칙이 개발되었다. 국가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기본 원칙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즉, 문자를 쓰는 것은 경제적이어야 하며, 가능한 가장 적은 손 움직임으로 최대한의 획을 써야 한다. 이는 필기 속도, 정확성 및 가독성을 향상시킨다. 이 아이디어는 학습자가 진행할수록 문자가 종종 더 복잡해지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획순서 또한 학습과 기억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학생들은 학교에서 아주 어린 나이부터 획순서에 대해 배우고 이를 따르도록 권장된다.[9]
용자팔법은 하나의 문자 永|영중국어을 사용하여 해서체의 가장 기본적인 획 여덟 가지를 가르친다.
표준에 따라 예외가 있지만, 다음은 일반적인 지침이다.
'''1.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일반적으로 획은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예를 들어, 가장 먼저 배우는 글자 중 하나는 숫자 1로, 가로 획 하나로 쓰여진다. 一|일중국어. 이 글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이는 한 획을 가지고 있다.
"둘"을 의미하는 글자는 두 획으로 이루어져 있다: 二|이중국어. 이 경우 두 획 모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여지지만, 위쪽 획이 먼저 쓰여진다. "셋"을 의미하는 글자는 세 획으로 이루어져 있다: 三|삼중국어. 각 획은 맨 위 획부터 시작하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여진다.
이 규칙은 구성 요소의 순서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校|교중국어는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체 왼쪽 부분(木|목중국어)은 오른쪽 부분(交|교중국어)보다 먼저 쓰여진다. 이 규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는데, 주로 글자의 오른쪽 부분에 아래쪽 덮개가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아래 참조).
위쪽과 아래쪽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 위쪽 구성 요소가 먼저 쓰여지고, 그 다음 아래쪽 구성 요소가 쓰여진다(예: 品|품중국어 및 星|성중국어).
'''2. 가로 획이 세로 획보다 먼저'''
가로 획과 세로 획이 교차할 때, 가로 획이 일반적으로 세로 획보다 먼저 쓰여진다: "열"을 의미하는 글자, 十|십중국어,는 두 획을 가지고 있다. 가로 획, 一|일중국어,이 먼저 쓰여지고, 그 다음 세로 획이 쓰여져 十|십중국어을 만든다.
마찬가지로, 가로 획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대각선(丿)에 의해 교차될 때, 가로 획이 먼저 쓰여진다. 예를 들어, 大의 첫 번째 획은 一이고, 그 다음 丿이다.
일본어 표준에서는, 세로 획이 가장 낮은 가로 획을 통과하지 않는 경우, 많은 교차하는 가로 획보다 먼저 세로 획을 쓸 수 있다.
'''3. 글자를 가로지르는 획은 마지막에'''
다른 많은 획을 통과하는 세로 획은 해당 획이 통과하는 획 다음에 쓰여진다(예: 聿|율중국어 및 弗|불중국어).
다른 많은 획을 통과하는 가로 획은 마지막에 쓰여진다(예: 毋|무중국어 및 舟|주중국어).
'''4.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대각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각선보다 먼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대각선(丿|별중국어)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각선(乀|불중국어)보다 먼저 쓰여진다(예: 文|문중국어).
이것은 대칭 대각선에 대한 것이다; 戈|과중국어와 같이 비대칭 대각선의 경우, 다른 규칙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각선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대각선보다 먼저 쓰일 수 있다.
'''5. 수직 대칭 글자에서는 중앙이 바깥쪽보다 먼저'''
수직 대칭 글자에서는 중앙 구성 요소가 왼쪽 또는 오른쪽의 구성 요소보다 먼저 쓰여진다. 왼쪽의 구성 요소는 오른쪽의 구성 요소보다 먼저 쓰여진다(예: 兜|두중국어 및 承|승중국어).
'''6. 덮개가 내용물보다 먼저'''
바깥쪽 덮개 구성 요소가 안쪽 구성 요소보다 먼저 쓰여진다; 덮개 안의 아래쪽 획은 있는 경우 마지막에 쓰여진다(예: 日|일중국어 및 口|구중국어). (일반적인 기억법은 "사람을 먼저 안에 넣고, 문을 닫아라"이다.) 덮개는 同|동중국어 및 月|월중국어과 같이 아래쪽 획이 없을 수도 있다.
'''7. 왼쪽 세로 획이 덮개보다 먼저'''
왼쪽 세로 획이 덮개 획보다 먼저 쓰여진다. 다음 두 예에서, 가장 왼쪽의 세로 획(|)이 먼저 쓰여지고, 그 다음 맨 위 및 맨 오른쪽 선(┐)이 (한 획으로 쓰여집니다) 쓰여진다: 日|일중국어 및 口|구중국어.
'''8. 아래쪽 덮개는 마지막에'''
아래쪽 덮개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마지막에 쓰여진다: , 建|건중국어, 凶|흉중국어.
'''9. 점과 작은 획은 마지막에'''
작은 획은 일반적으로 마지막에 쓰여진다(다음과 같은 작은 "점"처럼): 玉|옥중국어, 求|구중국어, .
'''10. 세로 획이 오른쪽 아래 대각선보다 먼저'''
세로 획은 교차하는 오른쪽 아래 대각선 획(㇀, ''ti'')보다 먼저 쓰여진다(예: 物, 软, 打).
6. 표현 방법
획순은 문자 이미지, 획 번호 매기기, 색상 코딩,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8] 획순은 종이나 공중에 문자를 쓰는 방식으로 직접 설명되기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