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늘의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늘의 전쟁은 기독교에서 천사들이 신에게 반역하여 벌어진 전쟁을 의미하며, 주로 성경의 요한 묵시록에 묘사되어 있다. 다니엘서와 요한 묵시록에서는 대천사 미카엘이 용, 즉 사탄과 그의 천사들과 싸워 승리하는 내용이 등장하며, 이로 인해 사탄과 그의 추종자들이 하늘에서 쫓겨난다. 이 사건은 다양한 예술 작품과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존 밀턴의 《실낙원》과 같은 작품에서 루시퍼의 반역 이야기로 재해석되기도 했다. 또한, 사해 문서와 같은 성경 외 문헌에서도 유사한 개념이 발견되며, 현대에는 종말론적, 영적 전쟁의 비유로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전쟁 - 티타노마키아
    티타노마키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포스 신들이 티탄 신들과 벌인 10년간의 전쟁으로, 제우스가 크로노스와 티탄 신들을 물리치고 올림포스 신들의 지배를 확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신화의 전쟁 - 에시르-바니르 전쟁
    북유럽 신화에서 에시르-바니르 전쟁은 굴베이그 사건으로 시작되어 장기간 지속된 에시르 신족과 바니르 신족 간의 전쟁으로, 휴전과 인질 교환으로 종결되었으며 바니르 신족의 에시르 합류를 통해 문화 융합과 새로운 신화 탄생에 기여했다.
  • 기독교 우주론 - 낙원
    낙원은 여러 종교와 문화에서 이상적인 장소를 의미하며, 고대 이란어에서 유래하여 에덴동산, 천국, 정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기독교 우주론 - 영생 (기독교)
    영생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며 믿음을 통해 얻는 하나님의 선물로, 다양한 교파들이 각기 다른 교리를 가지고 있다.
  • 미카엘 (대천사) - 순니바
    순니바는 아일랜드 왕국의 상속자였으나 바이킹 침략을 피해 노르웨이 셀랴 섬에 정착 후 순교한 성인으로, 그녀와 추종자들의 이야기는 문헌을 통해 전해지며 노르웨이에서 숭배받고 있다.
  • 미카엘 (대천사) - 마이클 (1996년 영화)
    노라 에프론 감독의 판타지 영화 마이클은 타블로이드 신문 기자들이 아이오와주의 한 마을에서 날개 달린 대천사 미카엘을 만나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엉뚱한 설정과 배우들의 연기로 주목받으며 흥행에 성공했다.
하늘의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충돌 정보
전투 이름천상의 전쟁
피터르 브뤼헐의 그림 반역 천사의 추락(1562년) 벨기에 왕립 미술관 소장
날짜불명
장소천국
결과미카엘이 이끄는 천사 군단이 승리함
사탄이 이끄는 타락천사들이 지상으로 추락함
교전 세력
교전 1충성 천사
교전 2반역 천사
지휘관
지휘관 1미카엘
지휘관 2사탄
천사 군단en:Heavenly host
타락천사타락천사

2. 성경에서의 묘사

요한 묵시록은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 하느님께서 머지않아 반드시 일어날 일들을 당신 종에게 보여 주시려고 그리스도께 알리셨고, 그리스도께서 당신 천사를 보내시어 당신 종 요한에게 알려 주신 계시입니다."[33]라는 말로 시작하며, 하늘의 전쟁에 대한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

요한 묵시록 12장 7절에서 10절(NIV)에 따르면, 하늘에서 미카엘과 그의 천사들이 용과 싸우는 전쟁이 벌어졌다. 용과 그의 부하들도 맞서 싸웠지만 역부족이었고, 결국 하늘에서 그들의 자리를 잃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 큰 용, 즉 온 세상을 속이는 악마 또는 사탄이라고 불리는 옛 뱀이 땅으로 내쫓겼고, 그의 천사들도 함께 쫓겨났다.[34]

2. 1. 히브리 성경

다니엘서는 대천사 미카엘이 이스라엘의 수호천사로서 페르시아그리스의 수호천사인 타락천사에 맞서 싸우는 묵시적 표현을 담고 있다.[20] 당시에는 별들을 살아있는 천상의 존재로 여겼다.[20][21]

הֵילֵל|헤일렐he(Lucifer|루시퍼la)은 샛별을 가리키는 단어였는데, 라틴어로 ''루시퍼''로 번역되었다. 악마에게 아침별 이야기를 적용하면서 "루시퍼"는 그에게 고유 명사로 대중적으로 적용되었다. 아침별(금성)의 라틴어 이름인 ''루시퍼''(문자 그대로 "빛을 든 자" 또는 "빛을 가져오는 자")는 대중적인 이야기에서 악마에게 자주 주어진다. 다른 모든 별보다 더 밝게 나타나지만 밤에는 보이지 않는 아침별의 광채는, 그의 자만심에 이끌려 신들의 북쪽 산에서 별 신들 중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하려 했던 에타나와 주의 바빌로니아 이야기를 비롯한 신화를 낳았을 수 있다. 그러나 바빌로니아 올림푸스의 최고 통치자에 의해 내던져졌다.[20]

''유대 백과사전''은 아침별에 관한 신화가 기원전 1세기에 사탄에게 전해졌다고 언급하며, ''아담과 하와의 생애''와 슬라브 에녹서 29:4, 31:4를 인용하는데, 여기서 사탄-사타니엘은 대천사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그는 "땅 위의 구름보다 자신의 왕좌를 더 높이 만들어 '나의 권능'을 높이려고"했기 때문에, 사탄-사타니엘은 그의 천사들과 함께 내던져졌고, 그 이후로 그는 심연 위에서 계속해서 공중을 날아다닌다. 유대교 사상에 따르면, ''이사야''의 구절은 신과 경쟁하려는 바빌론 왕의 운명을 예언하는 데 사용되었다.[22]

일부 학자들은 특정 사해 문서에서 하늘의 전쟁 개념을 식별하는데, ''빛의 아들들의 어둠의 아들들에 대한 전쟁''(전쟁 두루마리; 1QM 및 4Q491–497), 안식일 제물의 노래의 노래 5 (4Q402), 그리고 멜기세덱 문서 (11Q13)가 그것이다.

Menahem Mansoor에 따르면, 전쟁 두루마리에서 빛의 천사들은 빛의 군주인 미카엘과 동일시되며, 어둠의 천사들은 벨리알과 동일시되며 하늘에서 싸울 것이고, 빛의 아들들은 땅에서 어둠의 아들들과 싸울 것이며, 두루마리에 묘사된 일곱 번의 전투 중 마지막 전투에서 빛의 아들들을 도와 최종 승리를 거둘 것이다.[23]

제임스 R. 다빌라는 안식일 제물의 노래 5가 "11Q13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하며, 전쟁 규범과 요한 계시록에 나오는 대천사 미카엘에 대한 전통과 유사한 종말론적 하늘의 전쟁"을 묘사한다고 말한다.[24] 그는 멜기세덱이 멜기세덱 문서와 안식일 제물의 노래 다섯 번째 노래 모두에 언급되어 있으며, 미래주의적 의미에서 대천사 미카엘과 갈등에 연루된 신성한 전사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Fred L. Horton은 멜기세덱 문서(11Q13)가 하늘의 전쟁에 관한 것이라는 점을 부정한다. 그는 "11Q 멜기세덱의 현존하는 부분에는 천상의 존재들이 천상 회의에 반역한다는 암시는 전혀 없으며, 유일한 반대 정신은 전통적인 벨리알"이라고 언급했다.[25] 그러나 다빌라는 이 문서가 원래 종말론적 하늘의 전쟁에 관한 것이었으며, 멜기세덱이 천사 대제사장이며 군사적 구원자였다는 견해를 제시한다.[26]

2. 2. 신약성경

Revelation of Jesus Christ영어는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 하느님께서 머지않아 반드시 일어날 일들을 당신 종에게 보여 주시려고 그리스도께 알리셨고, 그리스도께서 당신 천사를 보내시어 당신 종 요한에게 알려 주신 계시입니다.”[33]라는 말로 시작되는 요한 묵시록에 포함된 하늘의 전쟁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때에 하늘에서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미카엘과 그의 천사들이 용과 싸운 것입니다. 용과 그의 부하들도 맞서 싸웠지만, 당해 내지 못하여, 하늘에는 더 이상 그들을 위한 자리가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그 큰 용, 그 옛날의 뱀, 악마라고도 하고, 사탄이라고도 하는 자, 온 세계를 속이던 그자가 떨어졌습니다. 그가 땅으로 떨어졌습니다. 그의 부하들도 그와 함께 떨어졌습니다.[34]

요한 계시록 12장 7절에서 10절(NIV)에 따르면, 하늘에 전쟁이 벌어졌고 미카엘과 그의 천사들이 용과 싸웠고, 용과 그의 천사들도 맞서 싸웠으나, 용은 이길 힘이 없었고 그들은 하늘에서 자리를 잃었다. 그 큰 용, 곧 온 세상을 속이는 악마 또는 사탄이라고 불리는 옛 뱀이 땅으로 내쫓겼고, 그의 천사들도 그와 함께 땅으로 내쫓겼다.

3. 해석

다니엘서는 대천사 미카엘이 이스라엘의 수호천사로서 페르시아그리스의 수호천사인 타락천사에 맞서 싸우는 묵시적 표현을 담고 있다.[33] 요한 묵시록은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 하느님께서 머지않아 반드시 일어날 일들을 당신 종에게 보여 주시려고 그리스도께 알리셨고, 그리스도께서 당신 천사를 보내시어 당신 종 요한에게 알려 주신 계시입니다.”라는 말로 시작하며, 하늘의 전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34]

> 그때에 하늘에서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미카엘과 그의 천사들이 용과 싸운 것입니다. 용과 그의 부하들도 맞서 싸웠지만, 당해 내지 못하여, 하늘에는 더 이상 그들을 위한 자리가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그 큰 용, 그 옛날의 뱀, 악마라고도 하고, 사탄이라고도 하는 자, 온 세계를 속이던 그자가 떨어졌습니다. 그가 땅으로 떨어졌습니다. 그의 부하들도 그와 함께 떨어졌습니다.

이사야 14장 4-17절에서는 "아침의 아들"(הֵילֵל בֶּן-שָׁחַר|헬렐 벤 샤하르he)이 "하늘에서 떨어져" "땅으로 내던져졌다"고 언급하는데, 여기서 히브리어 단어는 샛별을 가리키는 말로, 라틴어로는 ''루시퍼''로 번역되었다. 이 ''루시퍼''는 악마에게 고유 명사처럼 대중적으로 적용되었다.[20]

''유대 백과사전''은 아침별에 관한 신화가 기원전 1세기에 사탄에게 전해졌다고 언급하며, ''아담과 하와의 생애''와 슬라브 에녹서 29:4, 31:4를 인용한다. 여기서는 사탄-사타니엘이 대천사 중 한 명으로 묘사되며, "땅 위의 구름보다 자신의 왕좌를 더 높이 만들어 '나의 권능'을 높이려고"했기 때문에 그의 천사들과 함께 내던져졌고, 그 이후로 심연 위에서 계속해서 공중을 날아다닌다고 한다.[22]

일부 학자들은 사해 문서에서 하늘의 전쟁 개념을 찾기도 한다. ''빛의 아들들의 어둠의 아들들에 대한 전쟁''(전쟁 두루마리; 1QM 및 4Q491–497), 안식일 제물의 노래의 노래 5 (4Q402), 그리고 멜기세덱 문서 (11Q13)가 그것이다.

메나헴 만수르(Menahem Mansoor)에 따르면, 전쟁 두루마리에서 빛의 천사들은 빛의 군주인 미카엘과 동일시되며, 어둠의 천사들은 벨리알과 동일시된다.[23] 제임스 R. 다빌라는 안식일 제물의 노래의 노래 5가 11Q13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하며, 전쟁 규범과 요한 계시록에 나오는 대천사 미카엘에 대한 전통과 유사한 종말론적 하늘의 전쟁을 묘사한다고 말한다.[24] 그는 멜기세덱이 멜기세덱 문서와 안식일 제물의 노래의 다섯 번째 노래 모두에 언급되어 있으며, 미래주의적 의미에서 대천사 미카엘과 갈등에 연루된 신성한 전사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멜기세덱 문서(11Q13)가 하늘의 전쟁에 관한 것이라는 점은 프레드 L. 호튼(Fred L. Horton)에 의해 부정되기도 한다.[25] 그러나 다빌라의 견해는 이 문서가 원래 종말론적 하늘의 전쟁에 관한 것이었으며, 멜기세덱이 천사 대제사장이며 군사적 구원자였다는 것이다.[26]

3. 1. 다양한 해석

다니엘서는 대천사 미카엘이 이스라엘의 수호천사로서 페르시아그리스의 수호천사인 타락천사에 맞서 싸우는 묵시적 내용을 담고 있다.[33] 요한 묵시록은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 하느님께서 머지않아 반드시 일어날 일들을 당신 종에게 보여 주시려고 그리스도께 알리셨고, 그리스도께서 당신 천사를 보내시어 당신 종 요한에게 알려 주신 계시입니다.”라는 말로 시작하며, 하늘의 전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34]

: 그때에 하늘에서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미카엘과 그의 천사들이 용과 싸운 것입니다. 용과 그의 부하들도 맞서 싸웠지만, 당해 내지 못하여, 하늘에는 더 이상 그들을 위한 자리가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그 큰 용, 그 옛날의 뱀, 악마라고도 하고, 사탄이라고도 하는 자, 온 세계를 속이던 그자가 떨어졌습니다. 그가 땅으로 떨어졌습니다. 그의 부하들도 그와 함께 떨어졌습니다.

기독교 전통은 천사가 하느님에 의해 하늘에서 쫓겨나는 이야기를 다루며, 이 벌은 주로 사탄에게 내려진 것으로 묘사된다. 이 모티프를 요한계시록의 구절과 연결하여, 사탄이 하늘에서 쫓겨나는 사건은 천사들 간의 전쟁에서 대천사 미카엘에게 승리의 공이 돌아갔다. 이들 중 3분의 1은 사탄 편에 섰다고 여겨지는데, 이는 별들이 쫓겨나는 사건이 "하늘의 전쟁"이 시작되기 전에 일어난 것으로 묘사되기 때문이다.

해설자들은 사탄의 반역에 대해 다양한 동기를 제시했다.

  • 인류 창조 시 인류에게 굴복하기를 거부 (아르메니아, 조지아, 라틴어 버전의 ''아담과 하와의 생애''에서처럼).[3] 이슬람교 전통에서도 이블리스가 아담에게 굴복하지 않는다.[4]
  • 반역을 통해 하느님으로부터 점차 멀어짐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의 생각).[5]
  • 모든 존재가 그의 아들, 즉 메시아에게 복종해야 한다는 하느님의 선언 (밀턴의 ''실낙원''에서처럼).[6]


조나단 에드워즈는 "구원에서 드러난 지혜"라는 설교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사탄과 그의 천사들은 하늘에서 하느님을 거역하고, 그의 힘으로 그와 겨루려 자만했다. 그리고 하느님께서 그의 전능하신 힘으로 사탄의 힘을 이기시고, 그의 모든 군대와 함께 번개처럼 그를 하늘에서 지옥으로 내쫓으셨을 때, 사탄은 여전히 교활함으로 승리하길 희망했다[.][7]

''가톨릭 백과사전''(1911)의 "대천사 성 미카엘" 항목에서 프레데릭 홀벡은 "성 요한은 종말론 시대의 큰 갈등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는 또한 시작 때 하늘에서의 전투를 반영한다"고 썼다. 그는 미카엘의 이름이 "적과 그의 추종자들에 맞서 하늘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선한 천사들의 함성이었다"고 덧붙였다.[8]

몇몇 현대 성경 해설자들은 요한계시록 12:7-13에 나오는 "하늘의 전쟁"을 종말론적 종말의 비전 또는 영적 전쟁에 대한 언급으로 보며, 밀턴의 ''실낙원''에서처럼 "원시 시대에 하느님을 거역한 천사로서 사탄/루시퍼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고 본다.[9][10][11][12] 일부 해설자들은 ''하늘의 전쟁''을 "문자 그대로"가 아닌, 땅에서의 사건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았다.[13][14]

3. 2. 특정 교파의 해석

다니엘서는 대천사 미카엘이 이스라엘의 수호천사로서 페르시아그리스의 수호천사에 맞서 싸우는 묵시적 표현을 담고 있다. 페르시아와 그리스의 수호천사는 타락천사이다.[33] 요한 묵시록은 하늘의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는데, 미카엘과 그의 천사들이 용과 그의 부하들과 싸웠으나, 용은 당해내지 못하고 하늘에서 쫓겨났다고 묘사한다.[34]

기독교 전통에서 천사적 존재가 하느님에 의해 하늘에서 쫓겨나는 이야기는 종종 사탄에게 가해지는 처벌로 묘사된다. 이 사건은 천사들 간의 전쟁에서 대천사 미카엘이 사탄을 쫓아낸 것으로 묘사되며, 사탄 편에는 천사의 3분의 1이 가담했다고 여겨진다.

사탄의 반역 동기는 여러 가지로 해석되는데, 인류에게 굴복하기를 거부한 것,[3] 하느님으로부터 점차 멀어진 것,[5] 메시아에게 복종해야 한다는 하느님의 선언에 반발한 것[6] 등이 있다. 조나단 에드워즈는 사탄이 하느님께 대항하여 자만했으나, 하느님께서 사탄을 하늘에서 지옥으로 내쫓으셨다고 말한다.[7]

''가톨릭 백과사전''에서는 프레데릭 홀벡이 성 요한이 종말론 시대의 큰 갈등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는 하늘에서의 전투를 반영한다고 썼다. 미카엘의 이름은 선한 천사들의 함성이었다고 덧붙였다.[8]

현대 성경 해설자들은 요한계시록 12:7-13에 나오는 "하늘의 전쟁"을 종말론적 종말의 비전 또는 영적 전쟁에 대한 언급으로 보기도 하고,[9][10][11][12] 땅에서의 사건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13][14]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요한 계시록 12장이 인간의 전세에서 실제로 일어난 사건에 관한 것이라고 가르친다. 모세서는 하늘에서의 전쟁과 사탄의 기원을 언급하며,[15] 사탄과 하늘 천사 중 3분의 1을 포함하는 이야기가 되었다.[16]

후기 성도 교회는 하늘에서의 전쟁이 엘로힘이 세운 구원의 계획에 대한 선택의지에 대한 반역으로 시작되었다고 믿는다. 루시퍼는 선택의지를 부정하는 수정된 계획을 제안했고, 그와 그의 추종자들은 하늘에서 쫓겨났다.[17][18]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의 신학에서, 대쟁투 주제는 우주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사탄 사이의 전투를 의미하며, 이는 지구상에서도 전개된다. 엘렌 G. 화이트는 이 개념을 확장하여 종교적 갈등의 은유로 재해석했다.

4. 예술에서의 묘사

모티프인 사탄과 그의 천사들의 타락은 기독교 천사학과 기독교 미술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타락한 천사들(하나님께 반역하여 지상에 갇히는 벌을 받은 존재)에 대한 개념은 널리 퍼져 있다.[27]

요한계시록에 묘사된 사건들을 의역한 미카엘 축일을 위한 합창 응창인 ''Factum est Silentium''은 다음과 같다.

하늘에 침묵이 있었으니,
용이 대천사 미카엘과 전쟁을 벌였을 때.
하늘에 침묵이 있었으니
용이 대천사 미카엘과 싸웠을 때.



이 응창은 펠리체 아네리오, 리처드 데링, 멜키오르 프랑크, 알레산드로 그란디, 코스탄초 포르타를 포함한 여러 작곡가들에 의해 합창 모테트로 작곡되었다.[29][30] 1621년 독일 시인이자 찬송가 작가인 프리드리히 슈페가 쓴 찬송가 ''"Unüberwindlich starker Held"''("무적의 강한 영웅") 역시 대천사 미카엘이 용을 극복하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31] 바흐의 칸타타 Es erhub sich ein Streit, BWV 19는 이 주제에 관한 것이다.

4. 1. 회화

피터 폴 루벤스의 천국의 전쟁, 1619년


샤를 르 브룅의 ''반역 천사들의 타락'', 1680년 이후


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의 Die Bibel in Bildern (계시록) 판화, 미카엘과 용, 1860년.


천국의 전쟁은 피터 폴 루벤스, 귀도 레니, 제이콥 엡스타인을 포함한 많은 저명한 예술가들에 의해 그림과 조각으로 묘사되었다.

4. 2. 문학

아나톨 프랑스는 1914년 소설 ''La Révolte des Anges''에서 기독교적 내용을 각색하여 반란과 혁명 운동에 대한 우화를 만들었다.[28]

밀턴의 ''실낙원''(1674)에서 천사 루시퍼는 인간의 타락 전에 신에 대항하는 반란을 이끈다. 몰렉과 벨리알과 같은 이교 신을 포함한 천사 중 3분의 1이 에 의해 하늘에서 쫓겨난다.[28]

4. 3. 음악

미카엘 축일을 위한 합창 응창인 ''Factum est Silentium''은 과 에 묘사된 사건들을 의역한 것이다.

''하늘에 침묵이 있었으니, 용이 대천사 미카엘과 전쟁을 벌였을 때.''

''수많은 천사들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구원, 영광, 그리고 권능이 전능하신 하느님께 있도다. 수많은 천사들이 그를 섬기고 수십만의 천사들이 그를 보좌하더라. 알렐루야.''

'''변형 1:'''

''용이 전쟁을 벌였고 미카엘이 그와 싸워 승리했다.''

''하늘에 침묵이 있었으니, 용이 대천사 미카엘과 싸웠을 때.''

''수천의 목소리가 들려오기를: 구원과 영광과 권능이 전능하신 하느님께 있으라. 수천의 천사들이 그를 섬기고 수십만의 천사가 그 앞에 서 있도다. 알렐루야.''

'''변형 1:'''

''뱀이 전쟁을 벌였고 미카엘이 그와 싸워 승리했다.''

이 응창은 펠리체 아네리오, 리처드 데링, 멜키오르 프랑크, 알레산드로 그란디, 코스탄초 포르타를 포함한 여러 작곡가들에 의해 합창 모테트로 작곡되었다.[29][30] 1621년 독일 시인이자 찬송가 작가인 프리드리히 슈페가 쓴 찬송가 ''"Unüberwindlich starker Held"''("무적의 강한 영웅") 역시 대천사 미카엘이 용을 극복하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31] 바흐의 칸타타 Es erhub sich ein Streit, BWV 19는 이 주제에 관한 것이다.

5. 기타 매체

워해머 40,000, 바빌론 5, 둠 시리즈에서 하늘의 전쟁을 직접 묘사하거나 문구로 언급했다.[32] 하늘의 전쟁은 Eternal Warriors가 개발하고 ValuSoft가 배급한 1999년 기독교 테마의 둠 클론 게임이다.[32]

참조

[1] 성경
[2] 서적 Devils, Women, and Jews: Reflections of the Other in Medieval Sermon Stories https://www.google.c[...]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7
[3] 웹사이트 Armenian http://micro5.mscc.h[...]
[4] 웹사이트 Quran http://www.cmje.org/[...]
[5]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6] 웹사이트 Paradise Lost: Book V (1667) http://darkwing.uore[...] 2008-06-29
[7] 서적 The Works of President Edwards: With a Memoir of His Life ... https://books.google[...] G. & C. & H. Carvill
[8] 백과사전 St. Michael the Archangel http://www.newadvent[...] 1911
[9] 서적 The People's New Testament Commentar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4
[10] 웹사이트 Revelation 12 Matthew Henry's Commentary on the Whole Bible http://mhcw.biblecom[...] 2008-07-28
[11] 웹사이트 Revelation 12 Jamieson-Fausset-Brown Bible Commentary http://jfb.biblecomm[...] 2008-06-19
[12] 웹사이트 Revelation 12 Matthew Henry's Commentary 2016-12-01
[13] 서적 One hundred and seventy-three sermons on several subjects J. Leathley 1751
[14] 서적 The World Lighted: A Study of the Apocalypse https://books.google[...] Funk & Wagnalls 1890
[15] 백과사전 War in Heaven http://contentdm.lib[...] Macmillan Publishing
[16] 성경
[17] 웹사이트 War in Heaven https://www.churchof[...]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2020-05-31
[18] 웹사이트 Plan of Salvation https://www.churchof[...]
[19] 웹사이트 Fundamental Beliefs http://www.adventist[...] Seventh-day Adventist Church 2006-09-15
[20] 웹사이트 Lucifer http://www.jewishenc[...] 2016-12-01
[21] 성경
[22] 웹사이트 Lucifer http://www.jewishenc[...] 2016-12-01
[23] 웹사이트 Mansoor 'seven battles described' – Google Search https://www.google.c[...]
[24] 서적 The Dead Sea scrolls as background to postbiblical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papers from an international conference at St. Andrews in 2001 https://archive.org/[...] Brill Publishers 2003
[25] 서적 The Melchizedek Tradition https://www.google.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6] 서적 Otherworldly and Eschatological Priesthood in the Dead Sea Scrolls https://www.google.c[...] Brill 2010
[27] 웹사이트 Fall of Angels http://www.jewishenc[...] 2016-12-01
[28] 웹사이트 Paradise Lost: Book 1 http://www.dartmouth[...] 2017-07-15
[29] 서적 Choral Repertoi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0] 서적 O Sing Unto the Lord: A History of English Church Mus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
[31] 웹사이트 Das St. Michaelslied von Friedrich Spee und "Der deutsche Michel" https://www.historic[...] 2017-10-03
[32] 웹사이트 The War in Heaven http://www.gamevorte[...] 2020-11-11
[33] 성경
[34]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