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라주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라주쿠는 신주쿠와 시부야 사이에 위치한 지역으로, 랜드마크로는 NHK 본사, 메이지 신궁, 요요기 공원이 있다. 에도 시대에는 작은 역참이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하라주쿠역 개업과 메이지 신궁 건립으로 발전했다. 1960년대에는 패션 중심지로 부상했으며, 1970년대에는 패션 잡지를 통해 세련된 거리로 소개되었다. 1980년대에는 다케시타 거리가 10대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고, 1990년대 이후에는 국제 패스트 패션 브랜드와 우라하라주쿠가 등장했다. 현재는 패션과 외식의 중심지이자 일본 거리 패션의 중심지로, 오모테산도, 다케시타 거리, 메이지 신궁 등이 주요 시설로 자리 잡고 있다. 야마노테선 하라주쿠역과 메트로 메이지진구마에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메이지도리, 오모테산도 등의 주요 도로가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부야구의 지리 - 센다가야
센다가야는 도쿄도 시부야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신주쿠교엔 국립정원의 일부를 포함한 여섯 개의 초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피스 빌딩과 주택가가 혼재하고 도쿄 체육관, 국립노가쿠당, 일본 공산당 본부 등의 시설과 여러 철도역이 위치한, 메이지 유신 이후 도쿠가와 종가와 텐쇼인이 거주했던 역사적 배경을 가진 문교지구이다. - 시부야구의 지리 - 요요기
요요기는 도쿄도 시부야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넓게는 메이지 신궁과 요요기 공원을 포함하고 좁게는 요요기 5정목만을 의미하며, 교통 요충지로서 JR 동일본 본사와 메이지 신궁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고 전국 시대부터 존재해 온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다. - 하라주쿠 - 진구마에
진구마에는 도쿄도 시부야구에 위치하며 문화교육지구로 지정된 지역으로, 패션과 문화의 중심지인 오모테산도, 하라주쿠와 인접해 고급 브랜드 매장, 상점, 미술관, 신사, 사찰, 기업 본사 및 교육기관이 밀집되어 있고 2023년 1월 기준 약 12,384명이 거주한다. - 하라주쿠 - 오모테산도
오모테산도는 도쿄의 하라주쿠와 아오야마를 잇는 거리로, 메이지 신궁 참배로에서 고급 브랜드 매장과 독특한 건축물이 있는 패션 중심지로 발전하여 다양한 문화와 쇼핑을 즐길 수 있는 명소이자 성 패트릭의 날 퍼레이드 개최지이다. - 진구마에 - 센다가야정
센다가야정은 1889년 센다가야촌으로 성립되어 1907년 정으로 승격되었으나 1932년 도쿄시에 편입되어 시부야구의 일부가 된, 현재 신주쿠구와 시부야구에 걸쳐있는 지역이다. - 진구마에 - 유니버설 뮤직 (일본)
유니버설 뮤직 (일본)은 1927년 설립되어 독일 그라모폰의 음반 판매를 시작으로, EMI 뮤직 재팬 인수를 통해 일본 음악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소녀시대, 몬스타엑스, 블랙핑크, 방탄소년단, (여자)아이들, King & Prince 등 다양한 아티스트의 음반을 발매하는 음반 회사이다.
하라주쿠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진구마에 1초메 ~ 4초메 |
지리적 구분 | 도시 지역 |
원어 이름 | 原宿 |
로마자 표기 | Harajuku |
위치 | 도쿄도시부야구 |
이미지 | |
![]() | |
국가 정보 | |
국가 | 일본 |
도시 | 도쿄도 |
특별구 | 시부야구 |
관련 정보 | |
일본 관광청 안내 | 일본 관광청 공식 안내 |
타임 아웃 도쿄 | 타임 아웃 도쿄: 하라주쿠에서 할 일 50가지 |
2. 역사
1945년 태평양 전쟁 말기, 도쿄 대공습으로 하라주쿠 지역 대부분이 불탔다.[9] 종전 후, 요요기 연병장(현재 요요기 공원 일대)에 미 공군 병영인 워싱턴 하이츠가 건설되었고, 오모테산도를 따라 키디랜드 등 미군 장병과 그 가족을 위한 상점들이 영업을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군들과 그 가족들이 하라주쿠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이 지역은 젊은이들이 다른 문화를 경험하기 위해 몰려드는 곳이 되었다.
1958년 중앙 아파트가 건설되어 패션 디자이너, 모델, 사진가들이 이곳을 차지하였다. 1964년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하라주쿠 지역은 더욱 발전하였으며, 올림픽 이후에는 "하라주쿠족"이라 불리는 젊은이들이 나타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면서 하라주쿠는 젊은이들의 패션 중심지로 성장했다.
2. 1. 에도 시대 이전
에도 시대 이전, 하라주쿠로 알려지게 된 지역은 가마쿠라 가도에 위치한 작은 역참이었다.[1] 고산내전 당시 미나모토노 요시이에가 이 지역에 군사를 집결시켰다고 하며, 이곳의 언덕은 세이조로이사카(현 신궁마에 2 정목)라고 불린다.[1] 1582년 본노지의 변에서 사카이에서 미카와까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무사히 호송한 보상으로, 1590년 이가 닌자에게 온덴무라(隠田村)와 하라주쿠무라(原宿村)가 하사되었다고 전해진다.농민들의 생계는 주로 시부야 강의 물레방앗간을 이용한 쌀 정미와 곡물 제분에 의존했다. 그러나 토지 품질이 좋지 않아 생산량이 부족했고 마을은 번영하지 못했다. 지역 농민들은 운을 개척하기 위해 지역 신사에서 기우제를 자주 지냈다고 한다. '탄자와 오야마아후리 신사'와 '하루나산 당일치기 참배'에 관한 이야기도 남아 있다.

2. 2. 메이지 시대 이후
1868년 메이지 시대 초기, 하라주쿠 마을 주변은 막부 소유였다. 같은 해 11월, 하라주쿠 마을을 포함한 시부야의 마을들은 도쿄 부의 관할이 되었다.1906년, 야마노테 선 확장으로 하라주쿠역이 개통되었다. 1919년에는 메이지 신궁 건립에 맞춰 오모테산도가 정비되었다.
1943년에는 일본 제국 해군 원수 후작 도고 헤이하치로를 기리는 도고 신사가 건립되었다.
1945년 태평양 전쟁 말기, 도쿄 대공습으로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이 불탔다.[9] 종전 후, 요요기 연병장(현재 요요기 공원 일대)에 미 공군 병영인 워싱턴 하이츠가 건설되었고, 오모테산도를 따라 키디랜드, 오리엔탈 바자, 후지 도리이 등 미군 장병과 그 가족을 위한 상점들이 영업을 시작했다.

2. 3. 1960년대
1964년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하라주쿠 지역은 더욱 발전하였다. 올림픽 이후, "하라주쿠족"이라 불리는 젊은이들이 나타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면서 하라주쿠는 젊은이들의 패션 중심지로 성장했다.1965년, 일본 주소 체계 변경으로 하라주쿠 지역의 공식 명칭은 진구마에로 바뀌었지만, JR 동일본 하라주쿠 역의 이름 덕분에 하라주쿠라는 이름은 계속 사용되었다. 1965년 이전에는 온덴이 메이지 거리와 시부야 강 근처의 저지대를, "하라주쿠"는 오모테산도 북쪽 끝, 아오야마 주변 고지대(현재 진구마에 2블록), 진구마에 3블록 대부분, 진구마에 1블록의 도고 신사 뒤편 고지대를 가리켰다. 하라주쿠 역에서 다케시타 거리 주변은 "다케시타초"라고 불렸다.
1960년대에는 주소 표시 실시에 따라 시부야구의 「타케시타초」, 「온다 1~3정목」, 「하라주쿠 1~3정목」은 모두 「진구마에」로 변경되었다.
1966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메이지도리와 오모테산도의 진구마에 교차로 부근에 개점한 「드라이브인·루트5[10]」에 밤마다 차를 타고 모여드는 부유한 가정의 자녀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하라주쿠족」이라고 불렸지만, 오모테산도를 질주하는 자동차 소음[10]과 무단 침입 등 풍기 문란 행위로 지역 주민과 문제가 되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지역 유지들에 의해 「생활 환경을 지키는 모임」이 결성되었다.[10]
1962년 구분소유법 시행에 따른 "제1차 맨션 붐"으로 고급 맨션이 잇따라 건설되었다.[11] 도심부에서는 디벨로퍼에 의한 고급 맨션 건설이 집중되었는데,[11] 하라주쿠·시부야 지역이 그 중심지였다.[11]
하라주쿠 초기 맨션으로는 1958년 제일생명주택(현재의 상호주택)의 아파트먼트 「하라주쿠 아파트먼츠」, 1960년 하라주쿠 센트럴 아파트[9], 1965년 코프 올림피아[11] 등이 있다. 같은 해, 후지 아파트 분양의 「그린·판타지아」, 「파크·하이츠」, 1966년 「코프·올림피아·아넥스」 등 전관 집중 냉난방 딜럭스·맨션이 오모테산도를 따라 늘어섰고, 이 호화로운 맨션 군을 배경으로 잡지 촬영도 이루어졌다.
패션 관련으로는 1959년 하라주쿠 최초의 모델 클럽인 「에디·아랍·모델·프로덕션」(현·이이프로모션)이 발족하고, 1966년 하라주쿠 최초의 본격적인 부티크인 「마드무아젤 농농」이 개점했다. 1967년에는 진구마에 교차로 북쪽 메이지도리를 따라 세련된 끽다점이나 액세서리점 등이 개점하고, 니트 제품의 「gim」이나 양말의 「몬도」도 우라하라주쿠 지역에서 탄생했다.
2. 4. 1970년대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패션을 중심으로 한 청년 문화는 신주쿠에서 하라주쿠, 그리고 시부야 방면으로 이동해갔다. 1970년에 창간된 『an・an(앙앙)』과 이듬해 창간된 여성 패션잡지 『non-no(논노)』는 모두 하라주쿠를 세련된 거리로 소개했고, 이내 이러한 잡지를 들고 하라주쿠를 거니는 젊은 여성들을 안논족(アンノン族)이라고 부르게 되었다.[9]1971년, 시부야구(渋谷区) 동고진자(東郷神社)가 운영하는 유럽의 패션 의류, 액세서리, 가구 등을 판매하는 복합 상업시설인 「파레 프랑스(パレフランス)」가 다케시타도오리(竹下通り) 출구 부근 메이지도오리(明治通り)변에 준공되었다.[9] 이듬해에는 당시 영단 지하철(営団地下鉄)인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千代田線)이 전면 개통되고 메이지진구마에역(明治神宮前駅)이 설치되었다.[9] 1976년경부터는 메인 거리에서 벗어난 다케시타도오리까지 패션의 물결이 밀려들기 시작했다.[9]
1978년, 패션 빌딩 「라포레 하라주쿠(ラフォーレ原宿)」가 개업하면서 이 무렵 하라주쿠는 패션·의류의 중심지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맨션에는 디자인 사무소 등이 몰려들었다. 그중에서도 하라주쿠 센트럴 아파트는 디자이너, 사진작가 등의 크리에이터들이 사무실을 차리고 문화를 이끌었다. 이 아파트 1층에 있던 「喫茶 레온(喫茶レオン)」은 아사이 신페이(浅井慎平), 타모리(タモリ), 아쓰미 기요시(渥美清), 이타미 주조(伊丹十三), 미야가와 카즈미(操上和美) 등 연예인과 예술가 또는 크리에이터, 부유한 사람들부터 쿨스(クールス)와 같은 불량배 그룹까지 모이는 장소로서 70년대에 주목을 받았다. 또한 오가와 히토미(大川ひとみ)는 1970년 하라주쿠 센트럴 아파트 안 작은 상점에서 로리타 패션의 원류인 「MILK(ミルク)」를 시작했다.
2. 5. 1980년대
1970년대 패션에 열광하는 청소년 문화는 신주쿠에서 하라주쿠와 시부야로 이동했다. 1978년 라포레 하라주쿠(Laforet Harajuku)라는 패션 건물이 문을 열면서 하라주쿠는 패션과 소매 중심지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3]1980년대에는 다케시타 거리가 다케노코조쿠(竹の子族)라고 불리는 10대 거리 댄스 그룹으로 유명해졌다.[3] 여성 아이돌 가수들이 예능 잡지 등에서 착용하는 의상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고, '문화야 잡화점(文化屋雑貨店)'이 개점했을 때는 화제가 되었다.
1982년~1984년, 일본 최초의 라이브 바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ピテカントロプスエレクトス)"가 쿠와하라 시게이치(桑原茂一)에 의해 운영되었고, 스네이크맨쇼(スネークマンショー) 등의 히트작이 탄생했다.
1977년부터 일요일에는 지역 도로를 폐쇄하여 보행자 천국(歩行者天国, 호코텐)이 설치되었다. 이로 인해 요요기 공원 입구 근처에서 록큰롤러와 다른 신예 밴드들의 즉흥적인 야외 공연을 보려는 사람들이 급증했다. 절정기에는 하루 최대 10만 명의 인파가 모이기도 했다. 다케노코조쿠의 영향으로 다케시타도오리(竹下通り)가 발전했고, 1980년대 후반에는 연예인 상품점(タレントショップ)이 증가했다. 그러나 1998년 8월 31일을 기해 하라주쿠의 보행자 천국은 폐지되었다.[3]
2. 6. 1990년대 이후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갭(Gap Inc.), 포에버 21(Forever 21), 유니클로(Uniqlo), 탑샵(Topshop), H&M 등 국제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플래그십 스토어들이 오모테산도에 대거 문을 열었다. 동시에 진구마에 3, 4초메의 기존 주택가로 새로운 독립 패션 트렌드 상점들이 확산되면서 이 지역은 우라하라주쿠("하라주쿠 뒷골목")로 알려지게 되었다.2006년에는 오모테산도 힐스(表参道ヒルズ)가 오모테산도에 있는 도준카이 아오야마 아파트를 대체하며 문을 열었다.
2008년에는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東京メトロ副都心線)이 개통되어 하라주쿠를 시부야와 이케부쿠로와 연결하는 대체 지하철 접근 방식을 제공했다.

2010년 이후로는 패션뿐만 아니라 팝콘(ポップコーン), パンケーキ), タピオカミルクティー) 등 해외 음식 유행의 국내 주요 발신지 역할도 더욱 커지고 있다.
2020년에는 하라주쿠 아파트먼츠와 하라주쿠 다이이치 맨션즈 등 여러 부지가 재개발되어 하라주쿠 역전에 위즈 하라주쿠(ウィズ原宿)가 개업했다.[12]
3. 지역 특징
하라주쿠는 신주쿠와 시부야 사이에 있으며, NHK 본사, 메이지 신궁, 요요기 공원이 지역 랜드마크이다.
이 지역에는 오모테산도와 다케시타 거리라는 두 개의 주요 쇼핑가가 있다. 다케시타 거리는 젊은이들을 겨냥해 고딕 로리타, 비주얼 케이, 로커빌리, 힙합, 펑크 (punk) 의상들과 패스트 푸드 등을 판매하는 많은 작은 상점들이 있다. 오모테산도는 루이비통, 샤넬, 프라다와 같은 고가 패션 상점들이 입점하면서 "도쿄의 샹젤리제"로 불리기도 한다. 2006년에는 모리 건설이 바우하우스식 아파트였던 도준카이아오야마 아파트를 철거하고 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쇼핑몰 오모테산도 힐스로 대체했다. "우라-하라"로 알려진 하라주쿠의 뒷골목은 BAPE, 언더커버와 같은 브랜드의 상점들이 있는 일본 패션의 중심지이다.
하라주쿠는 자체적으로도 유명한 패션과 외식의 중심지이지만, 일본 거리 패션과 관련 하위 문화 팬들과 애호가들의 집결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진구바시는 하라주쿠 역과 메이지 신궁 입구 사이의 보행자 다리로, 일요일에는 더욱 화려한 스타일을 선보이는 집결지 역할을 했다.[6]
다른 주요 명소는 다음과 같다.
- 메이지 신궁: 메이지 천황과 쇼켄 황후의 영혼을 모신 곳이다.
- 요요기 공원
- 요요기 국립 체육관: 1964년 하계 올림픽 수영 및 다이빙 경기를 개최하기 위해 단게 겐조가 설계했다.
- 오모테산도
- 우라하라주쿠
- 라포레 하라주쿠
- 오모테산도 힐즈
- 도고 신사
- 우키요에 오타 기념 미술관
- 네즈 미술관
1965년 이전에는 현재 "하라주쿠"로 인식되는 지역 중 메이지도리와 구 시부야가와(현재 캣 스트리트) 주변은 "온덴(穏田)"이라고 불렸고, "하라주쿠"는 오모테산도 북쪽, 현재 진구마에(神宮前) 2초메 지역 중 아오야마 쪽 대지 부분, 진구마에 3초메의 대부분, 진구마에 1초메 중 토고진자 뒤편 대지 부분 등에 한정되었다. 하라주쿠역(原宿駅)에서 타케시타도리(竹下通り) 주변은 "타케시타마치(竹下町)"라고 불렸다. 1965년 이후 이 일대 지명은 "진구마에"로 통일되었고, "하라주쿠" 지명은 사라졌다.
1970년경까지 일본(日本)에서 "젊은이들의 거리"는 신주쿠(新宿)였다. 1969년 베트남 전쟁(ベトナム戦争) 반전 운동으로 신주쿠역 서구 지하 광장(新宿駅西口地下広場)에서 행해지던 포크송(フォークソング) 집회가 경찰에 의해 강제 해산되고, 젊은이들과 기동대가 충돌하면서 신주쿠에 젊은이들이 모이기 어려워졌다. 동시에 젊은이들 사이에서 신주쿠가 기피되기 시작했다.
1973년 시부야(渋谷)에 파르코(PARCO)가 개점하고, 시부야 코엔도리(渋谷公園通り)가 재개발되면서 일본 "젊은이 문화"의 역사가 크게 변화했다. 그 흐름은 "신주쿠에서 시부야, 또는 시부야구 일대"(하라주쿠, 오모테산도, 다이칸야마(代官山), 우라하라주쿠(裏原宿))로 변화해 갔다. 이는 정치적 색채가 강한 카운터컬처(カウンターカルチャー)에서 상업주의적 색채가 강한 서브컬처(サブカルチャー)로의 변질이기도 했다.[8]
인접한 오모테산도・아오야마 지역과 함께 도쿄를 대표하는 "패션과 유행의 발신지"로 알려져 있다. DC브랜드(DCブランド) 붐, 우라하라(裏原)계 붐 등과 함께 오랫동안 일본 패션계를 이끌어 왔다.
타케시타도리(竹下通り), 메이지도리와 오모테산도 및 우라하라주쿠(裏原宿)를 잇는 캣 스트리트 등을 중심으로 패션 관련 점포가 광범위하게 있으며, 그 범위는 다른 도쿄 번화가처럼 역 주변이나 주요 도로변에만 그치지 않는다. 우라하라주쿠(裏原宿) 주변 골목길에 점포를 두고 있는 브랜드나 미용실도 많다. 여중생・여고생을 위한 저렴한 브랜드부터 헌옷(古着) 가게, 셀렉트숍(セレクトショップ), 럭셔리(ラグジュアリー) 브랜드의 기함점, 패스트패션(ファストファッション)의 대형 점포 등 다양한 의류 매장이 있다. 모드, 스트릿, 아메리칸 캐주얼, 로리타 등 다양한 장르가 있으며, 도쿄 패션의 중심지이다. 오모테산도는 하이브랜드의 대형 기함점이 다수 집적되어 있는 반면, 하라주쿠(특히 타케시타도리(竹下通り) 주변)는 여중생・여고생을 위한 저가 브랜드가 중심이며, 지역에 따라 가격대와 거리 분위기가 다르다.
도쿄를 대표하는 쇼핑의 거리이지만, "패션의 거리"가 되기 이전에는 조용한 주택가였으며, 현재도 골목길에는 의류 및 미용실 점포와 주택이 혼재되어 있다.
4. 주요 시설
하라주쿠는 신주쿠와 시부야 사이에 있으며, NHK 본사, 메이지 신궁, 요요기 공원이 이 지역의 랜드마크이다.
이 지역에는 오모테산도와 다케시타 거리라는 두 개의 주요 쇼핑가가 있다. 다케시타 거리는 젊은이들을 겨냥해 고딕 로리타, 비주얼 케이, 로커빌리, 힙합, 펑크(punk) 의상들과 패스트 푸드 등을 판매하는 많은 작은 상점들이 있다.[6] 오모테산도는 루이비통, 샤넬, 프라다와 같은 고가 패션 상점들이 입점하면서 "도쿄의 샹젤리제"로 불리기도 한다. 2006년에는 모리 건설이 1927년에 세워진 도준카이아오야마 아파트를 철거하고 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쇼핑몰 오모테산도 힐스로 대체했다. "우라-하라"로 알려진 하라주쿠의 뒷골목은 젊은이들을 위한 일본 패션의 중심지이다.[6]
진구바시는 하라주쿠 역과 메이지 신궁 입구 사이의 보행자 다리로, 일요일에는 더욱 화려한 스타일을 선보이는 집결지 역할을 했다.[6]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메이지 신궁: 메이지 천황과 쇼켄 황후의 영혼을 모신 곳이다.
- 요요기 공원
- 요요기 국립 체육관: 1964년 하계 올림픽 수영 및 다이빙 경기를 개최하기 위해 단게 겐조가 설계했다.
- 오모테산도
- 우라하라주쿠
- 라포레 하라주쿠
- 오모테산도 힐즈
- 도고 신사
- 우키요에 오타 기념 미술관
- 네즈 미술관
- 도준카이 아파트: 1927년 건물. 2005년에 오모테산도 힐스로 대체됨.
- 드라이브인 루트 5 (현재 라포레 하라주쿠)
- 팔각정 파빌리온 (현재 팔각형 건물)
- 팔레 프랑스
- 하라주쿠 중앙 아파트 (철거됨)
- 하나에모리 빌딩 (철거됨)
- 오모테산도 비브르
- 미쓰비시 UFJ 은행 오모테산도 지점
- P.G.C.D. 본사
- N's 게임 오모테산도 지점
- 리소나 은행 하라주쿠 지점 (현재 I.T.'S. 인터내셔널)
- 콕도 본사
- 교통국 병원 (현재 도쿄도 교통국)
- 카와이 몬스터 카페: 디자이너 마스다 세바스찬이 디자인했다.
- 타케시타도오리
- 캣스트리트
- 키디랜드 하라주쿠점
- 도큐 플라자 오모테산도 하라주쿠
- 하라주쿠 알타
- YM스퀘어 하라주쿠
- 니코앤드...
5. 교통
하라주쿠는 신주쿠와 시부야 사이에 있으며, 야마노테 선 하라주쿠역과 지요다 선, 후쿠토신 선의 메이지진구마에역이 있다.
5. 1. 철도
5. 2. 도로
하라주쿠의 주요 도로는 다음과 같다.
- 메이지도리(明治通り)
- 오모테산도(表参道)
- 가이엔니시도리(外苑西通り)
하라주쿠에는 오모테산도와 다케시타 거리라는 두 개의 주요 쇼핑가가 있다. 다케시타 거리는 젊은이들을 겨냥하여 고딕 로리타, 비주얼 케이, 로커빌리, 힙합, 펑크(punk) 의상과 패스트 푸드 등을 판매하는 작은 상점들이 많다. 오모테산도는 루이비통, 샤넬, 프라다 등 고가 패션 상점들이 입점하면서 "도쿄의 샹젤리제"라고 불릴 정도로 부상하고 있다. 2006년에는 모리 건설이 1927년에 세워진 도준카이아오야마 아파트를 철거하고 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쇼핑몰 오모테산도 힐스로 대체했다. "우라-하라"라고 알려진 하라주쿠의 뒷골목은 BAPE, 언더커버 등 일본 패션 브랜드 상점들이 있는 젊은이들을 위한 패션 중심지이다.
각 도로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메이지도리(明治通り): 東京都道305号芝新宿王子線
- 오모테산도(表参道): 東京都道413号赤坂杉並線
- 가이엔니시도리(外苑西通り): 東京都道418号北品川四谷線
참조
[1]
웹사이트
JNTO Official Guide
http://www.jnto.go.j[...]
Japanese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2014-03-25
[2]
웹사이트
Time Out Tokyo
https://web.archive.[...]
2014-03-25
[3]
웹사이트
0Terebi Last days of Harajuku Hokoten (Japanese only)
https://web.archive.[...]
0Terebi
2010-06-28
[4]
웹사이트
8 injured as man rams car into pedestrians in Harajuku in 'retaliation for execution'
https://japantoday.c[...]
[5]
웹사이트
Tokyo car attack: Driver hits New Year's revelers in Harajuku
https://www.cnn.com/[...]
2019-01-00
[6]
웹사이트
Lonely Planet Online Guide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4-03-28
[7]
웹사이트
Japan's wild, creative Harajuku street style is dead. Long live Uniqlo — Quartz
https://qz.com/90957[...]
2017-02-22
[8]
웹사이트
カウンターカルチャーからサブカルチャーへ、渋谷文化の歴史をたどる -vol.1-
https://www.fashions[...]
株式会社レコオーランド
2017-11-09
[9]
웹사이트
原宿竹下通りの歩み
http://www.takeshita[...]
原宿竹下通り商店会
2011-07-15
[10]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11]
웹사이트
分譲マンションの歴史
http://www.nomu.com/[...]
野村不動産アーバンネット株式会社
2011-12-22
[12]
웹사이트
原宿駅前新複合施設「ウィズ原宿」、6月5日から順次開業へ
https://www.shibukei[...]
[13]
간행물
大東京市全区町名便覧
https://dl.ndl.go.jp[...]
1932
[14]
간행물
住居表示が実施された件
1965-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