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르모디우스와 아리스토게이톤의 조각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르모디우스와 아리스토게이톤의 조각상은 아테네 민주주의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조각상이다. 조각가 안테노르가 제작한 청동상은 페르시아 전쟁 중 약탈당했다가 반환되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이후 크리토스와 네시오테스가 제작한 조각상은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 대리석으로 복제되었으며, 현재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보존된 것이 가장 상태가 좋다. 이 조각상은 고졸기 엄격 양식을 따른 원본을 로마 시대에 신아티카 양식으로 부활시킨 것으로, 두 영웅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세기 조각 작품 - 리아체 청동상
리아체 청동상은 1972년 이탈리아 리아체 해안에서 발견된 기원전 5세기경의 고대 그리스 조각 두 구로, 초기 양식에서 초기 고전 양식으로의 과도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으며 발견 경위와 제작 시기 등에 대한 논쟁이 있고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복원되었다. - 기원전 5세기 조각 작품 - 원반 던지는 사람
원반 던지는 사람은 미론이 제작한 조각상으로, 원반을 던지기 직전의 운동선수의 역동적인 모습과 인체의 균형, 조화, 운동감을 표현한 작품이며, 원본은 소실되었지만 로마 시대의 대리석 복제품을 통해 그 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 - 도난 미술품 - 인상, 해돋이
클로드 모네가 1872년 르아브르 항구의 해돋이를 묘사한 유화 작품인 "인상, 해돋이"는 1874년 전시회에서 인상주의라는 용어가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현재 파리 마르모탕 모네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도난 미술품 - 모나리자
모나리자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1503년 또는 1504년 경에 그린 초상화로, 리사 델 조콘도를 모델로 하여 제작되었으며, 스푸마토 기법과 상상의 풍경을 특징으로 하며,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 고대 그리스의 조각품 - 사모트라케의 니케
사모트라케의 니케는 기원전 3세기경 제작된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조각상으로, 날개 달린 승리의 여신 니케를 묘사한 대리석 조각상이며, 군함 선수 형상의 기단 위에 선 역동적인 자세와 섬세한 드레이프 표현이 특징이다. - 고대 그리스의 조각품 - 올림피아의 제우스상
올림피아의 제우스상은 피디아스가 제작한 높이 약 12미터의 크리셀레판틴 조각상으로,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에 안치되었으며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소실되어 실물로 존재하지 않는다.
하르모디우스와 아리스토게이톤의 조각상 | |
---|---|
작품 정보 | |
![]() | |
제목 | 하르모디우스와 아리스토게이톤 |
다른 이름 | 참주 살해자들 티라노크토노이 (Τυραννοκτόνοι) |
유형 | 조각상 |
주제 | 하르모디우스 아리스토게이톤 |
소장 |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 (가장 잘 알려진 로마 시대 복제품) 기타 여러 박물관 |
창작 시기 | 기원전 477-476년 (원작 추정) |
창작자 | 안테노르 (원작), 크리티오스와 네시오테스 (재건) |
시대 | 고대 그리스 |
양식 | 초기 고전 |
높이 | 약 1.95 미터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 복제품 기준) |
역사적 배경 | |
사건 |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아들 히파르코스 암살 |
장소 | 아테네 |
동기 | 개인적인 원한과 정치적 자유 |
결과 | 아테네에서 페이시스트라토스 가문의 참주 정치 종식에 기여 |
작품 설명 | |
묘사 | 하르모디우스: 칼을 들고 공격적인 자세, 젊고 수염이 없음 아리스토게이톤: 칼을 들고 방어적인 자세, 수염이 있음 |
상징성 | 아테네 민주주의의 상징, 자유와 용기의 상징 |
중요성 | 아테네 인들에게 자유를 위한 투쟁의 상징 민주주의 이상을 구현하는 조각상으로 숭배 |
복제품 정보 | |
로마 시대 복제품 |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 소장 (가장 유명) 다양한 변형 존재 |
현대 복제품 |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앞 설치 미국 등 여러 장소에 복제품 존재 |
기타 정보 | |
참고 문헌 | (다수의 학술 서적 및 논문 존재 - 문서 참조) |
관련 링크 | |
관련 정보 | 관련 미디어 자료 |
2. 역사
아테네 민주주의가 확립된 것을 기념하여 조각가 안테노르에게 제작을 의뢰하여, 아테네의 아고라에 처음 세워졌다. 그러나 이 청동상은 페르시아 전쟁이 발발하고 480년 아테네를 점령한 페르시아군이 약탈하여 페르시아 제국 수도 수사로 옮겨졌다.[5] 이후 어느 시점에 다시 아테네로 반환되었는데, 이때 이것을 명령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헬레니즘 제국 시기 역사학자였던 아리아누스는 알렉산더 대왕이, 고대 로마의 역사학자인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셀레우코스 1세가 반환을 명령했다고 기록한 한편,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아테네를 점령했던 안티오코스 4세 본인이 도로 갖다놓았다고 기록하고 있다.[5] 다만 어찌 되었든 아테네 반환 이후 청동상에 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고, 지금은 동상 자체도 전해지지 않고 있다.[5][1]
아테네 민주주의가 수립된 후, 아테네 시민들은 페르시아군이 약탈해간 안테노르의 청동상을 대신하기 위해 크리토스와 네시오테스에게 새로운 조각상 제작을 의뢰했다. 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크리토스와 네시오테스의 청동상은 기원전 477년~476년에 세워졌다.[6][1] 이들 동상은 서기 2세기경에도 아테네 아고라에 나란히 서 있었다고 파우사니아스는 전한다.[6] 크리토스와 네시오테스의 원본 동상 역시 사라졌지만,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 대리석으로 널리 복제되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상태가 온전한 조각상은 이탈리아 로마의 빌라 아드리아나에서 출토되어 현재 나폴리의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
2. 1. 안테노르의 청동상
아테네 민주주의가 확립된 것을 기념하여 조각가 안테노르에게 제작을 의뢰하여, 아테네의 아고라에 처음 세워졌다. 그러나 이 청동상은 페르시아 전쟁이 발발하고 480년 아테네를 점령한 페르시아군이 약탈하여 페르시아 제국 수도 수사로 옮겨졌다.[5] 이후 어느 시점에 다시 아테네로 반환되었는데, 이때 이것을 명령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헬레니즘 제국 시기 역사학자였던 아리아누스는 알렉산더 대왕이, 고대 로마의 역사학자인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셀레우코스 1세가 반환을 명령했다고 기록한 한편,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아테네를 점령했던 안티오코스 4세 본인이 도로 갖다놓았다고 기록하고 있다.[5] 다만 어찌 되었든 아테네 반환 이후 청동상에 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고, 지금은 동상 자체도 전해지지 않고 있다.[5][1]2. 2. 크리티오스와 네시오테스의 청동상
아테네 민주주의가 수립된 후, 아테네 시민들은 페르시아군이 약탈해간 안테노르의 청동상을 대신하기 위해 크리토스와 네시오테스에게 새로운 조각상 제작을 의뢰했다. 파로스 연대기에 따르면, 크리토스와 네시오테스의 청동상은 기원전 477년~476년에 세워졌다.[6][1] 이들 동상은 서기 2세기경에도 아테네 아고라에 나란히 서 있었다고 파우사니아스는 전한다.[6] 크리토스와 네시오테스의 원본 동상 역시 사라졌지만,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 대리석으로 널리 복제되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상태가 온전한 조각상은 이탈리아 로마의 빌라 아드리아나에서 출토되어 현재 나폴리의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3. 상세
나폴리에 소장된 대리석 복제상은 후기 고졸기 엄격양식 (Severe style)을 따른 원본 청동상을 고대 로마 시대에 이르러 신아티카 양식으로 부활시킨 것으로, 이상화된 두 영웅의 전신을 묘사하고 있다.[7][3] 깔끔 면도한 하르모디우스는 오른손을 높이 치켜든 채 앞쪽 방면으로 칼을 찌르고 있고 왼손에는 또다른 검을 들고 있다. 아리스토게이톤도 왼쪽 어깨에 클라미스 (망토)를 두른 채 함께 검을 휘두르는 모습이다.[7][3] 두 사람이 지니고 있는 네 자루의 검은 전부 칼날이 소실되고 손잡이만 남은 모습이다. 아리스토게이톤의 머리와 왼손, 오른팔 부분은 원본의 것이 아닌 복원된 것이다.[7][3]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하르모디우스의 대리석 두상이 남아 있는데 살짝 풍화된 상태이며, 머리 윗쪽 부분에 다른 조각부의 받침대가 남아 있는 모습이다.[8][4] 기셀라 리히터는 이를 두고 하르모디우스의 오른팔이 뒤쪽으로 손을 뻗어 아래쪽으로 검을 휘둘러 베는 자세로 복원하였다.[8]
4. 의의 및 평가
4. 1. 한국에서의 인식
참조
[1]
간행물
"Antenor's Tyrranoktones never enjoyed a great popularity; they never became so popular as the later group,"
1947
[2]
서적
Pausanias, I.8.5.
[3]
웹사이트
Gods and goddesses - The Classical Art Research Centre and The Beazley Archive
http://www.beazley.o[...]
[4]
논문
The Right Arm of Harmodios
1928-01
[5]
간행물
"Antenor's Tyrranoktones never enjoyed a great popularity; they never became so popular as the later group,"
1947
[6]
서적
Pausanias, I.8.5.
[7]
웹인용
Gods and goddesses - The Classical Art Research Centre and The Beazley Archive
http://www.beazley.o[...]
[8]
논문
The Right Arm of Harmodios
192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