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피아의 제우스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피아의 제우스상은 기원전 5세기 후반에 올림피아에 세워진 제우스 신전에 안치된 거대한 조각상으로,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힌다. 나무 골조에 상아와 금판을 덧씌운 크리셀레판틴 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앉은 자세의 높이가 약 12미터에 달했다. 조각상은 승리의 여신 니케의 황금 조각상을 오른손에, 독수리가 앉은 홀을 왼손에 들고 있었으며, 화려하게 장식된 왕좌에 앉아 있었다. 기원전 1세기에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제우스상이 일어선다면 신전 지붕을 뚫을 것이라고 묘사했고, 2세기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조각상의 상세한 모습을 기록했다. 로마 장군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는 이 조각상을 보고 경외감을 느꼈으며, 391년 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이교 숭배가 금지되면서 신전은 폐쇄되었고, 조각상은 콘스탄티노플로 옮겨졌다가 475년 화재로 파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50년대 올림피아에서 피디아스의 작업장이 발견되면서 제우스상 제작 시기가 확인되었다.
2. 구조
기원전 5세기경, 올림피아에 제우스 신전이 건설되었다. 제우스상은 이 신전 안에 안치되었으며, 신전 통로 너비와 거의 같은 크기였다. 앉은 자세였지만 높이가 약 12미터에 달해, 스트라본은 "제우스가 일어서면 지붕을 뚫을 것이다"라고 기록했다.[3]
제우스상은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의 아테나 파르테노스 상을 만든 조각가 피디아스가 제작했다.[2]
2. 1. 재료 및 형태
제우스 신상은 나무로 된 골조 위에 상아와 금판을 덮어씌운 크리셀레판틴 조각이었다.[4] 상아는 피부를, 금은 의복과 장식품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신상의 표면에는 알티스 숲의 습기로 인해 상아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올리브유를 발랐다.[14] 신상 앞에는 검은 타일로 포장된 연못이 있었고, 여기에는 올리브유가 담겨 있었다. 이 연못은 반사 연못 역할을 하여 조각상의 높이를 두 배로 보이게 했다.[7]
파우사니아스의 기록에 따르면, 제우스는 월계관을 쓰고 유리로 된 긴 로브를 걸치고 있었으며, 로브에는 동물과 백합 문양이 새겨져 있었다.[5] 오른손에는 승리의 여신 니케의 작은 크리셀레판틴 조각상을 들고 있었고,[5] 왼손에는 여러 금속으로 장식되고 독수리가 앉아 있는 홀을 들고 있었다.[5]
왕좌는 금, 보석, 흑단, 상아로 화려하게 장식되었으며,[5] 그림과 세공된 이미지로 장식되어 있었다. 제우스 신상의 발은 금으로 된 샌들을 신고 있었고, 발 받침대에는 아마조노마키 부조가 새겨져 있었다.[6] 왕좌 아래 통로는 그림이 그려진 칸막이로 막혀 있었다.[6]
2. 2. 반사 연못
신상 주재료인 상아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신관들은 주기적으로 신상에 올리브유를 발랐다. 신상 앞에는 검은색 타일을 깐 연못이 있었고, 이 연못에는 올리브유가 채워져 있었다. 이 연못은 신상을 반사시켜서 제우스 신상의 크기를 더욱 더 크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를 유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7] 이 저수지는 반사 연못 역할을 하여 조각상의 높이를 두 배로 만들었다.[7]
3. 역사
기원전 5세기 후반, 올림픽 경기를 주최하던 엘리스인들은 아테네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조각가 피디아스에게 제우스 신상 제작을 의뢰했다.[22] 피디아스는 이전에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에 아테나 파르테노스 신상을 제작한 경험이 있었다.
신상은 신전 너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거대했다. 기원전 1세기경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만약 제우스가 일어선다면, 지붕을 뚫어버릴 것이다."라고 기록했다.[23] 제우스 신상은 목재 구조 위에 금과 상아를 덮은 크리셀레판틴 조각이었다. 현재 남아있는 금속 모형은 없지만,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의 동전이나 보석에 새겨진 모습을 통해 그 원형을 추정할 수 있다.[24]
2세기경 파우사니아스는 제우스 신상에 대해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그에 따르면, 신상은 월계관을 쓰고 유리로 된 긴 로브를 두르고 있었으며, 동물과 영웅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 오른손에는 승리의 여신 니케의 황금 신상을 들고 있었고, 옆에는 황금 독수리가 있었다. 왕좌는 황금, 보석, 흑단 등으로 꾸며져 있었고,[25] 영웅과 신화 속 이야기들이 새겨져 있었다. 제우스 신상은 금 샌들을 신고 있었는데, 발 받침대에는 아마조네스 여전사들이 조각되어 있었다. 신상 아래 통로는 그림이 그려진 벽으로 막혀 있었고, 허락받은 자만 출입할 수 있었다.[26]
신상에 주기적으로 올리브유를 발랐던 이유는 상아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였다. 신상 앞에는 검은색 타일로 된 연못이 있었는데, 이 연못에는 올리브유가 채워져 있었다. 이 연못은 신상을 반사시켜 크기를 더 크게 보이게 하는 효과를 냈을 것으로 추정된다.[27]
신상의 압도적인 위용에 많은 사람들이 경외심을 느꼈다. 리비우스는 로마 장군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가 신상을 보고 "마치 신을 직접 본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라고 기록했고,[28] 한 그리스인은 "이 신상을 흘끗 보는 것만으로도 모든 세속적인 갈등이 사라진다"라고 적었다.[29]
3. 1. 영감의 원천
스트라본에 따르면, 피디아스는 제우스 신상의 디자인을 어떻게 구상했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올림포스 산에 직접 올라가 제우스 신을 알현했다거나, 제우스 신이 직접 지상으로 내려와 그에게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등의 소문이 돌았으나, 피디아스는 호메로스의 일리아드를 참고하여 만들었다고 밝혔다.[30]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피디아스가 신상 제작을 거의 끝낸 후 제우스 신에게 이 신상이 마음에 드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도를 드렸을 때, 곧바로 하늘에서 거대한 낙뢰가 지상으로 내려꽂혔다고 한다. 이후 그 자리에 거대한 청동 항아리가 놓여졌다고 한다.[31]
3. 2. 종교적 의미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피디아스가 신상 제작을 거의 마친 후 제우스 신에게 기도를 드리자 하늘에서 번개가 떨어졌다고 한다.[31] 이는 제우스 신이 신상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는 신호로 해석되었다. 후에 그 자리에 청동 항아리가 놓여졌다고 한다.[31]
4. 파괴
로마 황제 칼리굴라는 그리스의 신상들의 머리 부분을 자신의 것으로 바꾸도록 명령했는데, 여기에는 올림피아의 제우스상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41년 칼리굴라가 암살되면서 실행되지 못했다.[15][16]
391년,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기독교를 국교로 정하고 이교 숭배를 금지하면서 올림피아의 신전도 폐쇄되었다. 제우스상이 언제 어떻게 파괴되었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11세기 비잔틴 제국의 역사가 게오르기오스 케드레노스는 제우스상이 콘스탄티노플로 옮겨졌다가 475년 라우수스 궁전 화재로 소실되었다는 전승을 기록했다.[17] 그러나 425년 화재로 신전과 함께 사라졌을 가능성도 있으며,[17] 2세기 후반 루키아누스는 ''티몬''에서 제우스상이 이미 손상되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8][19]
기원전 2세기경 로마의 장군 루키우스 아에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는 마케도니아 정복 당시 이 조각상을 보고 큰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 394년 제우스상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졌으나, 이후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1958년에는 제우스상 제작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공방이 발견되어 연구에 진전을 가져왔다.
4. 1. 칼리굴라의 파괴 시도
수에토니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로마 황제 칼리굴라는 세상의 모든 아름다운 신상의 머리를 잘라 자신의 머리로 바꾸려 했고, 올림피아의 제우스상도 예외는 아니었다.[32] 그러나 칼리굴라가 이 계획을 실행하기 전에 암살당하면서 수포로 돌아갔다. 그의 죽음이 제우스 신상에 의해 예언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신상에서 갑자기 웃음소리가 터져나오더니, 주위의 가건물들이 무너지고 인부들이 공포에 떨었다."''라는 기록이 그 소문의 근원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33]4. 2. 콘스탄티노플 대화재
391년,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이교도 숭배를 금지하고 사원들을 폐쇄했다. 올림피아의 신전도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조각상이 언제, 어떻게 파괴되었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11세기 비잔틴 역사가 게오르기오스 케드레노스는 이 조각상이 콘스탄티노플로 옮겨져 475년 라우수스 궁전의 대화재로 파괴되었다는 전승을 기록하고 있다.[17]5. 피디아스의 작업장
1954년 올림피아에서 제우스 신상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었을 작업장이 발견되었다. 고고학자들은 금, 상아, 보석들을 깎고 조각하는 데 사용한 끌과 연장들을 발견하였다. 유리로 된 신상의 옷을 만들기 위한 장치들도 많이 발견되었다.[34] 1954년에서 1958년 사이의 발굴 조사에서는 금과 상아 가공 도구, 상아 조각, 귀금속, 테라코타 틀 등이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테라코타 틀은 유리판을 만들고, 자연스럽게 드리워지고 접힌 유리판으로 제우스상의 옷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그 후 금도금되었다.[20] 작업장에서는 "나는 피디아스의 것이다"라고 새겨진 컵도 발견되었지만,[20] 이는 위조품으로 추정되고 있다.[35][21]
6. 현대의 평가 및 의의
올림피아의 제우스상은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웅장하고 아름다운 예술 작품이었다. 이 신상은 당시 그리스인들의 종교적 신념과 예술적 역량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비록 지금은 사라졌지만, 제우스상에 대한 기록과 연구는 고대 그리스 문화와 예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6. 1.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의 경외
기원전 2세기 로마의 장군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는 마케도니아 정복 당시 제우스 신상을 보고 "마치 신을 직접 본 것처럼 마음이 감동했다"고 리비우스가 기록했다.[28] 이는 제우스 신상이 종교적, 예술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졌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6. 2. 디오 크리소스토모스의 찬사
1세기 그리스의 연설가 디오 크리소스토모스는 제우스상을 한 번만 보면 세상의 모든 고민을 잊게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9] 이는 제우스 신상이 단순한 조각상을 넘어, 사람들에게 정신적 위안과 평화를 주는 존재였음을 시사한다.참조
[1]
웹사이트
Phidias
http://www.britannic[...]
2014-09-03
[2]
서적
The Statue of Zeus at Olympia: New Approach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3]
문서
8.3.30
https://www.perseus.[...]
[4]
간행물
The Pheidian Zeus at Olympia
1966-04-01
[5]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6]
서적
The Statue of Zeus at Olympia: New Approach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7]
서적
The Statue of Zeus at Olympia: New Approach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8]
서적
Ab Urbe Condita
https://en.wikisourc[...]
[9]
웹사이트
Or. 12.51
https://penelope.uch[...]
[10]
문서
8.3.30
http://data.perseus.[...]
[11]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12]
서적
Sex in the Ancient World from A to Z
Routledge
[13]
서적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data.perseus.[...]
[15]
문서
Gaius
[16]
문서
Gaius
[17]
문서
note 1, citing Georgius Cedrenus, Historiarum Compendium §322c, in Corpus Scriptorum Historiae Byzantinae 34, vol. I, p. 564
[18]
문서
Timon
[19]
서적
Timon the Misanthrope
[20]
웹사이트
The Workshop of Pheidias
http://penelope.uchi[...]
2013-07-31
[21]
웹인용
Museology, Classics and Lies: 3 Case Studies from the Museum of Olympia
https://medium.com/o[...]
2018-10-25
[22]
서적
The Statue of Zeus at Olympia: New Approach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3]
문서
8.3.30
https://www.perseus.[...]
[24]
간행물
The Pheidian Zeus at Olympia
1966-04-01
[25]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26]
서적
The Statue of Zeus at Olympia: New Approach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7]
서적
The Statue of Zeus at Olympia: New Approach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8]
서적
Ab Urbe Condita
https://en.wikisourc[...]
[29]
웹사이트
Or. 12.51
https://penelope.uch[...]
[30]
문서
8.3.30
http://data.perseus.[...]
[31]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data.perseus.[...]
[32]
문서
Gaius
[33]
문서
Gaius
[34]
웹사이트
The Workshop of Pheidias
http://penelope.uchi[...]
2013-07-31
[35]
웹인용
Museology, Classics and Lies: 3 Case Studies from the Museum of Olympia
https://medium.com/o[...]
2018-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