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베무스 파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베무스 파팜(Habemus Papam)은 새 교황 선출 후 부제급 원로 추기경이 로마 가톨릭 신자들에게 선포하는 라틴어 공식으로, "우리에게 교황이 있다"는 뜻이다. 이 선언은 1417년 교황 마르티노 5세 선출 이후 공식화되었으며, "Annuntio vobis gaudium magnum: Habemus Papam!" (매우 기쁜 소식을 발표합니다: 새 교황이 선출되었습니다!)라는 문구로 시작한다. 선언문은 교황의 이름과 성, 그리고 교황명을 발표하며, 2005년 교황 베네딕토 16세 선출 시에는 여러 언어로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이라는 인사말이 추가되었다. 교황 선출 시 교황의 세례명은 대격, 성은 변화 없는 형태로 발표되며, 교황명은 속격 또는 대격으로 발표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베무스 파팜 | |
---|---|
하베무스 파팜 | |
내용 | |
내용 | Annuntio vobis gaudium magnum; habemus Papam (기쁜 소식을 전합니다. 우리는 교황을 모시게 되었습니다.) |
이어서 | Eminentissimum ac Reverendissimum Dominum, Dominum [교황의 세례명] Sanctae Romanae Ecclesiae Cardinalem [교황의 성], qui sibi nomen imposuit [교황의 이름]. (가장 높으시고 가장 존경하올 분, 거룩한 로마 교회의 추기경 [교황의 성]이신 [교황의 세례명] 주교님께서 [교황의 이름](을)를 선택하셨습니다.) |
주석 | 교황의 세례명은 세례명 문서 참고 교황의 이름은 교황 목록 문서 참고 |
기원 | |
기원 | 1484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교황 인노첸시오 8세 때부터 사용되었다고 한다. |
역할 | |
역할 | 이 발표는 바티칸의 성 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서 선임 추기경이 발표한다. 새 교황의 이름과 그가 선택한 교황명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
2. 선언문
새 교황이 선출된 후 부제급 원로 추기경이 군중에게 알리는 선언문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42][43]
하베무스 파팜 발표문은 루카 복음서 2장 10-11절의 천사가 목자들에게 나타나 메시아 탄생을 알리는 내용에서 영감을 받았다.
:Annuntio vobis gaudium magnum:
:Habemus Papam!
:Eminentissimum ac reverendissimum Dominum,
:Dominum, [이름]
:Sanctæ Romanæ Ecclesiæ Cardinalem, [성]
:Qui sibi nomen imposuit. [교황명]
이를 한국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매우 기쁜 소식을 발표하겠습니다:
:새 교황이 선출되었습니다!
:지극히 탁월하시고 공경하올 분,
:거룩한 로마 교회의 추기경 [본래 이름]이십니다.
:이분은 자신을 [교황 이름]로 명명하셨습니다.
2005년 4월 19일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선출되었을 때는, 부제급 원로 추기경이 5개 국어로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이라는 인사말을 먼저 한 다음에 하베무스 파팜을 선포했다.[42][43]
::“Fratelli e sorelle carissimi.” (이탈리아어)
::“Queridísimos hermanos y hermanas.” (스페인어)
::“Bien chers frères et sœurs.” (프랑스어)
::“Liebe Brüder und Schwestern.” (독일어)
::“Dear brothers and sisters.” (영어)
새로 선출된 교황의 이름을 발표할 때, 새 교황의 세례명은 대격으로 라틴어로 발표된다(예: ''Carolum'',[6][7] ''Iosephum'',[3][4] ''Georgium Marium''[8][9]). 하지만 새 교황의 성은 변화하지 않는 형태로 발표된다(예: ''Wojtyła'',[6][7] ''Ratzinger'',[3][4] ''Bergoglio''[8][9]).
지난 세기 동안, 새 교황명은 종종 "…의 이름을 사용하는"으로 번역되는 라틴어 속격으로 주어졌다(예: ''Ioannis vigesimi tertii'',[15] ''Ioannis Pauli primi''[18]). 하지만 1963년과 2013년에 교황 바오로 6세와 교황 프란치스코의 재위명이 각각 ''Paulum sextum''[16][17] 및 ''Franciscum''[8][9]로 발표되었듯이, "…의 이름을 사용하는"으로 번역되는 대격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교황명이 처음 사용되는 경우, 발표 시 숫자 "첫 번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1세의 선출에서는 숫자 ''primi'' (첫 번째)가 사용되었다(페리클레 추기경 펠리치는 교황명을 ''Ioannis Pauli primi''로 발표했다).[18] 하지만 교황 프란치스코의 선출에서는 숫자가 언급되지 않았다(장루이 추기경 토랑은 교황명을 단순히 ''Franciscum''으로 발표했다).[9]
새 재위명이 바로 전임자가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경우, 교황명에 숫자가 존재하는 경우 숫자를 생략할 수 있다. 1978년 10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재위명은 그의 바로 전임자가 교황 요한 바오로 1세였기 때문에 숫자 없이 단순히 ''Ioannis Pauli''로 발표되었다.[6][7] 1939년에도 교황 비오 12세의 선출에 따라 그의 재위명은 그의 바로 전임자가 교황 비오 11세였기 때문에 단순히 ''Pium''으로 발표되었다.[12][13][14]
3. 역사
''하베무스 파팜'' 공식은 1417년 오도 콜론나가 교황 마르티노 5세로 선출되면서 채택되었다. 당시 마르티노 5세 이전에는 대립 교황 요한 23세, 대립 교황 베네딕토 13세, 교황 그레고리오 12세 등 교황 자리를 주장하는 세 명이 있었다. 처음 두 사람은 공의회에 의해 폐위되었고, 그레고리오 12세는 이미 소집된 공의회를 정식으로 소집하고 후임자 선출을 포함한 공의회의 행위를 승인한 후 퇴위했다. 두 명의 경쟁자가 폐위되고 세 번째 경쟁자가 사임한 지 2년 후, 공의회는 새 교황을 선출했다. 따라서 이 발표는 "(마침내) 우리에게 교황이 있다(그리고 단 한 명!)"으로 해석될 수 있다.[5]
''하베무스 파팜''은 처음부터 엄격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여러 해 동안 형태가 변형되었다. 다음은 1484년 교황 인노첸시오 8세 선출 이후 발표된 내용을 정리한 표이다.날짜 수석 부제 선출된 교황 발표 내용 (번역) 1484년 8월 29일 프란체스코 피콜로미니 인노첸시오 8세 여러분께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존경받는 멜피토의 추기경이 최고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스스로 인노첸시오 8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19] 1503년 11월 1일 라파엘레 산소니 리아리오 율리오 2세 우리는 교황을 모셨습니다. 가장 존경받는 주님이자,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의 추기경, 율리오 2세로 불립니다.[20] 1513년 3월 11일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레오 10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존경받는 조반니 데 메디치, 산타 마리아 인 도메니카 성당의 추기경 부제, 레오 10세로 불립니다.[21] 1534년 10월 13일 인노첸초 치보 바오로 3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존경받는 알렉산데르, 오스티아 주교이자 파르네세 추기경, 바오로 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2] 1644년 9월 15일 프란체스코 바르베리니 인노첸시오 10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조반니 바티스타 파밀리, 인노첸시오 10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3] 1655년 4월 7일 지안자코모 테오도로 트리불치오 알렉산데르 7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파비오, 성 로마 교회 키지 추기경, 알렉산데르 7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4] 1676년 9월 21일 프란체스코 마이달치니 인노첸시오 11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존경받는 베네데토, 산토노프리오의 추기경, 오데스칼키, 인노첸시오 11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5] 1721년 5월 8일 베네데토 파밀리 인노첸시오 13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미켈란젤로, 산티 퀴리코 에 줄리타 성당의 추기경, 콘티, 인노첸시오 1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6] 1724년 5월 29일 베네데토 파밀리 베네딕토 13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빈첸초 마리아 추기경 오르시니, 포르토 에 산타 루피나 교외 교구 주교, 베네딕토 1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7] 1730년 7월 12일 로렌초 알티에리 클레멘스 12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로렌초 추기경 코르시니, 성 로마 교회 투스쿨라눔 주교, 클레멘스 12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8] 1740년 8월 17일 카를로 마리아 마리니 베네딕토 14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프로스페로, 예루살렘의 성 십자가, 람베르티니 추기경, 성 로마 교회 사제, 볼로냐 대주교, 베네딕토 14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9] 1775년 2월 15일 알레산드로 알바니 비오 6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조반니 안젤로, 산토노프리오의 성 로마 교회 사제 추기경, 브라스키, 비오 6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30] 1823년 9월 28일 파브리치오 루포 레오 12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안니발레,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의 성 로마 교회 사제 추기경, 델라 겐가, 레오 12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31] 1831년 2월 2일 주세페 알바니 그레고리오 16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마우로, 성 로마 교회 사제 추기경, 카펠라리, 그레고리오 16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32][33] 1846년 6월 16일 토마소 리아리오 스포르차 비오 9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조반니 마리아 마스타이 페레티, 성 로마 교회 사제 추기경, 비오 9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34] 1878년 2월 20일 프로스페로 카테리니 레오 13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조아키노 페치, 레오 1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35] 1903년 8월 4일 루이지 마키 비오 10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주세페 사르토 추기경, 비오 10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 [38][39] 1914년 9월 3일 프란체스코 살레시오 델라 볼페 베네딕토 15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자코모 델라 키에사 추기경, 베네딕토 15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40] 1922년 2월 6일 가에타노 비즐레티 비오 11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아킬레 라티 추기경, 비오 11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41] 1939년 3월 2일 카밀로 카차 도미니오니 비오 12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에우제니오, 성 로마 교회 파첼리 추기경, 비오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12][13][14] 1958년 10월 28일 니콜라 카날리 요한 23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안젤로 주세페, 성 로마 교회 론칼리 추기경, 요한 2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15] 1963년 6월 21일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바오로 6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조반니 바티스타, 성 로마 교회 몬티니 추기경, 바오로 6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16] 1978년 8월 26일 페리클레 펠리치 요한 바오로 1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알비노, 성 로마 교회 루치아니 추기경, 요한 바오로 1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18] 1978년 10월 16일 요한 바오로 2세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카롤, 성 로마 교회 보이티와 추기경, 요한 바오로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6] 2005년 4월 19일 호르헤 메디나 베네딕토 16세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요제프, 성 로마 교회 라칭거 추기경, 베네딕토 16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4] 2013년 3월 13일 장루이 토랑 프란치스코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호르헤 마리오, 성 로마 교회 베르골리오 추기경, 프란치스코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9]
20세기 이후 발표 형식에는 몇 가지 주요 변화가 있었다. 2005년 교황 베네딕토 16세 선출 당시에는 5개 국어로 된 인사말이 추가되었고, 교황명 발표 형식에 있어서도 속격과 대격이 혼용되는 등 변화가 있었다.
3. 1. 기원
루카 복음서 (2:10–11)는 천사가 목자들에게 나타나 메시아의 탄생을 알리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하베무스 파팜 발표문은 이 구절에서 영감을 받았다."두려워하지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큰 기쁨이 될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오늘 다윗의 고을에서 너희를 위하여 구세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님이시다."
성 제롬이 번역한 라틴어 성경인 불가타 성경에서는 ''Evangelizo vobis gaudium magnum''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으며, 이전 번역에서는 ''annuntio''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하베무스 파팜 공식은 1417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오도 콜론나가 교황 마르티노 5세로 선출되면서 채택되었다. 당시 마르티노 5세 이전에는 대립 교황 요한 23세(공의회를 소집하고 대부분의 추기경 선거인을 임명), 대립 교황 베네딕토 13세(서방 분열 발생 전 추기경으로 임명된 유일한 인물), 교황 그레고리오 12세 등 세 명이 교황 자리를 주장하고 있었다. 공의회는 처음 두 사람을 폐위시켰고, 그레고리오 12세는 이미 소집된 공의회를 정식으로 소집하고 후임자 선출을 포함한 공의회의 행위를 승인한 후 퇴위했다. 두 명의 경쟁자가 폐위되고 세 번째 경쟁자가 사임한 지 2년 후, 공의회는 새 교황을 선출했다. 따라서 이 발표는 "(마침내) 우리에게 교황이 있다(그리고 단 한 명!)"으로 해석될 수 있다.[5]
하베무스 파팜 공식은 1484년 조반니 바티스타 치보가 인노첸시오 8세로 선출된 것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기 이전에 이미 채택되었다.
3. 2. 공식 채택
오도 콜론나가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여러 국가의 추기경과 대표들에 의해 교황 마르티노 5세로 선출된 1417년에 이 공식이 채택된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마르티노 5세 이전에는 대립 교황 요한 23세(공의회를 소집하고 대부분의 추기경 선거인을 임명했다), 대립 교황 베네딕토 13세(서방 분열이 발생하기 전에 추기경으로 임명된 유일한 인물) 및 교황 그레고리오 12세 등 세 명이 교황 자리를 주장하고 있었다. 처음 두 사람은 공의회에 의해 폐위되었고,[5] 그레고리오 12세는 이미 소집된 공의회를 정식으로 소집하고 그의 후임자 선출을 포함한 공의회의 행위를 승인한 후 퇴위했다. 처음 두 명의 경쟁자가 폐위되고 세 번째 경쟁자가 사임한 지 2년 후, 공의회는 새 교황을 선출했다. 따라서 이 발표는 "(마침내) 우리에게 교황이 있다(그리고 단 한 명!)"으로 해석될 수 있다.[5]
''하베무스 파팜'' 공식은 조반니 바티스타 치보가 인노첸시오 8세라는 이름으로 선출된 것을 알리기 위해 사용된 1484년 이전에 채택되었다.
3. 3. 초기 형태 (1484년 이전)
루카 복음서(2:10-11)에서 영감을 받은 이 발표문의 내용은 천사가 목자들에게 나타나 메시아의 탄생을 알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두려워하지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큰 기쁨이 될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오늘 다윗의 고을에서 너희를 위하여 구세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님이시다."
성 제롬이 번역한 라틴어 성경인 불가타 성경에서는 ''Evangelizo vobis gaudium magnum''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으며, 이전 번역에서는 ''annuntio''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이 공식은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여러 국가의 추기경과 대표들에 의해 새 교황으로 선출된 오도 콜론나가 선출된 1417년에 채택되었다. 당시 마르티노 5세 이전에는 대립 교황 요한 23세(공의회를 소집하고 대부분의 추기경 선거인을 임명했다), 대립 교황 베네딕토 13세(서방 분열이 발생하기 전에 추기경으로 임명된 유일한 인물) 및 교황 그레고리오 12세와 같이 교황 자리를 주장하는 세 명이 있었다. 처음 두 사람은 공의회에 의해 폐위되었고,[5] 그레고리오 12세는 이미 소집된 공의회를 정식으로 소집하고 그의 후임자 선출을 포함한 공의회의 행위를 승인한 후 퇴위했다. 경쟁자 두 명이 폐위되고 세 번째 경쟁자가 사임한 지 2년 후, 공의회는 새 교황을 선출했다. 따라서 이 발표는 "(마침내) 우리에게 교황이 있다(그리고 단 한 명!)"으로 해석될 수 있다.[5]
''하베무스 파팜'' 공식은 조반니 바티스타 치보가 인노첸시오 8세라는 이름으로 선출된 것을 알리기 위해 사용된 1484년 이전에 채택되었다.
3. 4. 1484년 이후의 변천사
'하베무스 파팜' 공식은 1484년 교황 인노첸시오 8세 선출을 알리기 위해 처음 사용된 이후, 여러 형태로 변화해 왔다. 이 공식은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교황 마르티노 5세가 선출된 1417년에 채택되었는데, 이는 당시 교황 자리를 두고 경쟁하던 세 명의 대립 교황이 모두 물러난 후의 일이었다. 따라서 이 발표는 "(마침내) 우리에게 교황이 있다(그리고 단 한 명!)"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5]
1484년 이후 발표된 내용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날짜 | 수석 부제 | 선출된 교황 | 발표 내용 (번역) |
---|---|---|---|
1484년 8월 29일 | 프란체스코 피콜로미니 | 인노첸시오 8세 | 여러분께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존경받는 멜피토의 추기경이 최고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스스로 인노첸시오 8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19] |
1503년 11월 1일 | 라파엘레 산소니 리아리오 | 율리오 2세 | 우리는 교황을 모셨습니다. 가장 존경받는 주님이자,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의 추기경, 율리오 2세로 불립니다.[20] |
1513년 3월 11일 |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 레오 10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존경받는 조반니 데 메디치, 산타 마리아 인 도메니카 성당의 추기경 부제, 레오 10세로 불립니다.[21] |
1534년 10월 13일 | 인노첸초 치보 | 바오로 3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존경받는 알렉산데르, 오스티아 주교이자 파르네세 추기경, 바오로 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2] |
1644년 9월 15일 | 프란체스코 바르베리니 | 인노첸시오 10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조반니 바티스타 파밀리, 인노첸시오 10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3] |
1655년 4월 7일 | 지안자코모 테오도로 트리불치오 | 알렉산데르 7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파비오, 성 로마 교회 키지 추기경, 알렉산데르 7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4] |
1676년 9월 21일 | 프란체스코 마이달치니 | 인노첸시오 11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존경받는 베네데토, 산토노프리오의 추기경, 오데스칼키, 인노첸시오 11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5] |
1721년 5월 8일 | 베네데토 파밀리 | 인노첸시오 13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미켈란젤로, 산티 퀴리코 에 줄리타 성당의 추기경, 콘티, 인노첸시오 1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6] |
1724년 5월 29일 | 베네데토 파밀리 | 베네딕토 13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빈첸초 마리아 추기경 오르시니, 포르토 에 산타 루피나 교외 교구 주교, 베네딕토 1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7] |
1730년 7월 12일 | 로렌초 알티에리 | 클레멘스 12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로렌초 추기경 코르시니, 성 로마 교회 투스쿨라눔 주교, 클레멘스 12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8] |
1740년 8월 17일 | 카를로 마리아 마리니 | 베네딕토 14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프로스페로, 예루살렘의 성 십자가, 람베르티니 추기경, 성 로마 교회 사제, 볼로냐 대주교, 베네딕토 14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29] |
1775년 2월 15일 | 알레산드로 알바니 | 비오 6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조반니 안젤로, 산토노프리오의 성 로마 교회 사제 추기경, 브라스키, 비오 6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30] |
1823년 9월 28일 | 파브리치오 루포 | 레오 12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안니발레,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의 성 로마 교회 사제 추기경, 델라 겐가, 레오 12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31] |
1831년 2월 2일 | 주세페 알바니 | 그레고리오 16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마우로, 성 로마 교회 사제 추기경, 카펠라리, 그레고리오 16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32][33] |
1846년 6월 16일 | 토마소 리아리오 스포르차 | 비오 9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조반니 마리아 마스타이 페레티, 성 로마 교회 사제 추기경, 비오 9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34] |
1878년 2월 20일 | 프로스페로 카테리니 | 레오 13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조아키노 페치, 레오 1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35] |
1903년 8월 4일 | 루이지 마키 | 비오 10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주세페 사르토 추기경, 비오 10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 [38][39] |
1914년 9월 3일 | 프란체스코 살레시오 델라 볼페 | 베네딕토 15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자코모 델라 키에사 추기경, 베네딕토 15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40] |
1922년 2월 6일 | 가에타노 비즐레티 | 비오 11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아킬레 라티 추기경, 비오 11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41] |
1939년 3월 2일 | 카밀로 카차 도미니오니 | 비오 12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에우제니오, 성 로마 교회 파첼리 추기경, 비오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12][13][14] |
1958년 10월 28일 | 니콜라 카날리 | 요한 23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안젤로 주세페, 성 로마 교회 론칼리 추기경, 요한 2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15] |
1963년 6월 21일 |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 바오로 6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조반니 바티스타, 성 로마 교회 몬티니 추기경, 바오로 6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16] |
1978년 8월 26일 | 페리클레 펠리치 | 요한 바오로 1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알비노, 성 로마 교회 루치아니 추기경, 요한 바오로 1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18] |
1978년 10월 16일 | 요한 바오로 2세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카롤, 성 로마 교회 보이티와 추기경, 요한 바오로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6] | |
2005년 4월 19일 | 호르헤 메디나 | 베네딕토 16세 |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요제프, 성 로마 교회 라칭거 추기경, 베네딕토 16세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4] |
2013년 3월 13일 | 장루이 토랑 | 프란치스코 | 여러분에게 큰 기쁨을 알려드립니다. 교황이 탄생했습니다. 가장 훌륭하고 존경받는 주님, 호르헤 마리오, 성 로마 교회 베르골리오 추기경, 프란치스코라는 이름을 선택했습니다.[9] |
3. 4. 1. 교황명 발표 형식의 변화
새 교황이 선출된 후 부제급 원로 추기경이 군중에게 알리는 선언문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42][43]:매우 기쁜 소식을 발표하겠습니다:
:새 교황이 선출되었습니다!
:지극히 탁월하시고 공경하올 분,
:거룩한 로마 교회의 추기경 [본래 이름]이십니다.
:이분은 자신을 [교황 이름]로 명명하셨습니다.
2005년 4월 19일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선출되었을 때에는 부제급 원로 추기경이 5개국어로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이라는 인사말을 먼저 말한 다음에 하베무스 파팜을 선포했다.[42][43]
::Fratelli e sorelle carissimi.it
::Queridísimos hermanos y hermanas.es
::Bien chers frères et sœurs.프랑스어
::Liebe Brüder und Schwestern.de
::Dear brothers and sisters.영어
새로 선출된 교황의 이름을 발표할 때, 세례명은 대격으로 라틴어로 발표된다(예: ''Carolum'',[6][7] ''Iosephum'',[3][4] ''Georgium Marium''[8][9]). 하지만 성은 변화하지 않는 형태로 발표된다(예: ''Wojtyła'',[6][7] ''Ratzinger'',[3][4] ''Bergoglio''[8][9]).
지난 세기 동안, 새 교황명은 종종 "…의 이름을 사용하는"으로 번역되는 라틴어 속격으로 주어졌다(예: ''Ioannis vigesimi tertii'',[15] ''Ioannis Pauli primi''[18]). 하지만 1963년과 2013년에 교황 바오로 6세와 교황 프란치스코의 재위명이 각각 ''Paulum sextum''[16][17] 및 ''Franciscum''[8][9]로 발표되었듯이, "…의 이름을 사용하는"으로 번역되는 대격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이름이 속격으로 변형되는 경우, 그 이름은 "''nomen''"이라는 명사의 보어로 간주되는 반면, 이름이 대격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는 대격의 직접 목적어 보어 ''nomen''의 동격으로 간주된다. 두 가지 형태 모두 동일하게 정확하다. 하지만, 니콜라 플로키니, 피에라 구이도티 바치, 그리고 ''Maiorum Lingua'' 매뉴얼과 같은 특정 라틴어 문법학자들에 따르면, 대격이 더 정확한 형태이다.[10]
교황 바오로 6세의 선출 발표 중에는, 수석 부제 알프레도 오타비아니는 공식에서 일반적으로 "그리고"를 의미하는 단어인 ''ac'' 대신 접속사 ''et'' (또한 "그리고"를 의미함)을 사용했다(그는 ''Eminentissimum ac reverendissimum'' 대신 ''Eminentissimum et reverendissimum''이라고 말했다).[16][17]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선출 발표 중에는, 그의 재위명이 메디나 추기경에 의해 속격으로 변형되었다(그는 ''Benedicti decimi sexti''라고 말했다).[3][4] 그러나 교황청 웹사이트에서, Habemus Papam 공식을 복사하여 그의 선출을 발표하는 페이지에는 베네딕토의 재위명이 대격(즉, ''Benedictum XVI'')으로 변형되어 있다.[11]
교황명이 처음 사용되는 경우, 발표 시 숫자 "첫 번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1세의 선출에서는 숫자 ''primi'' (첫 번째)가 사용되었다(페리클레 추기경 펠리치는 교황명을 ''Ioannis Pauli primi''로 발표했다).[18] 하지만 교황 프란치스코의 선출에서는 숫자가 언급되지 않았다(장루이 추기경 토랑은 교황명을 단순히 ''Franciscum''으로 발표했다).[9]
새 재위명이 바로 전임자가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경우, 교황명에 숫자가 존재하는 경우 숫자를 생략할 수 있다. 1978년 10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재위명은 그의 바로 전임자가 교황 요한 바오로 1세였기 때문에 숫자 없이 단순히 ''Ioannis Pauli''로 발표되었다.[6][7] 1939년에도 교황 비오 12세의 선출에 따라 그의 재위명은 그의 바로 전임자가 교황 비오 11세였기 때문에 단순히 ''Pium''으로 발표되었다.[12][13][14] 교황 비오 12세의 선출 발표에서, 그의 재위명은 교황 바오로 6세[16][17]와 교황 프란치스코의 선출[8][9]에 대한 후속 발표와 마찬가지로 대격으로 변형되었다.[12][13][14]
3. 4. 2. 20세기 이후의 주요 변화
2005년 4월 19일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선출되었을 때, 부제급 원로 추기경은 하베무스 파팜 선포에 앞서 5개 국어로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이라는 인사말을 먼저 했다.[42][43]:Fratelli e sorelle carissimi.|형제자매 여러분.it
:Queridísimos hermanos y hermanas.|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es
:Bien chers frères et sœurs.|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프랑스어
:Liebe Brüder und Schwestern.|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de
:Dear brothers and sisters.|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영어
새로 선출된 교황의 이름을 발표할 때, 세례명은 대격으로 라틴어로 발표되지만(예: ''Carolum'',[6][7] ''Iosephum'',[3][4] ''Georgium Marium''[8][9]), 성은 변화하지 않는 형태로 발표된다(예: ''Wojtyła'',[6][7] ''Ratzinger'',[3][4] ''Bergoglio''[8][9]).
지난 세기 동안, 새 교황명은 종종 "…의 이름을 사용하는"으로 번역되는 라틴어 속격으로 주어졌다(예: ''Ioannis vigesimi tertii'',[15] ''Ioannis Pauli primi''[18]). 하지만 1963년과 2013년에 교황 바오로 6세와 교황 프란치스코의 재위명이 각각 ''Paulum sextum''[16][17] 및 ''Franciscum''[8][9]로 발표되었듯이, 대격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이름이 속격으로 변형되는 경우, 그 이름은 "''nomen''"이라는 명사의 보어로 간주되는 반면, 이름이 대격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는 대격의 직접 목적어 보어 ''nomen''의 동격으로 간주된다. 두 가지 형태 모두 동일하게 정확하나, 니콜라 플로키니, 피에라 구이도티 바치, 그리고 ''Maiorum Lingua'' 매뉴얼과 같은 특정 라틴어 문법학자들에 따르면, 대격이 더 정확한 형태이다.[10]
교황 바오로 6세 선출 발표 중, 수석 부제 알프레도 오타비아니는 공식에서 일반적으로 "그리고"를 의미하는 단어인 ''ac'' 대신 접속사 ''et'' (또한 "그리고"를 의미함)을 사용했다(그는 ''Eminentissimum ac reverendissimum'' 대신 ''Eminentissimum et reverendissimum''이라고 말했다).[16][17]
교황 베네딕토 16세 선출 발표 중, 그의 재위명은 메디나 추기경에 의해 속격으로 변형되었다(그는 ''Benedicti decimi sexti''라고 말했다).[3][4] 그러나 교황청 웹사이트에서, Habemus Papam 공식을 복사하여 그의 선출을 발표하는 페이지에는 베네딕토의 재위명이 대격(즉, ''Benedictum XVI'')으로 변형되어 있다.[11]
교황명이 처음 사용되는 경우, 발표 시 숫자 "첫 번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선출에서는 숫자 ''primi'' (첫 번째)가 사용되었다(페리클레 추기경 펠리치는 교황명을 ''Ioannis Pauli primi''로 발표했다).[18] 하지만 교황 프란치스코 선출에서는 숫자가 언급되지 않았다(장루이 추기경 토랑은 교황명을 단순히 ''Franciscum''으로 발표했다).[9]
새 재위명이 바로 전임자가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경우, 교황명에 숫자가 존재하는 경우 숫자를 생략할 수 있다. 1978년 10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재위명은 그의 바로 전임자가 교황 요한 바오로 1세였기 때문에 숫자 없이 단순히 ''Ioannis Pauli''로 발표되었다.[6][7] 1939년에도 교황 비오 12세의 선출에 따라 그의 재위명은 그의 바로 전임자가 교황 비오 11세였기 때문에 단순히 ''Pium''으로 발표되었다.[12][13][14] 교황 비오 12세의 선출 발표에서, 그의 재위명은 교황 바오로 6세[16][17]와 교황 프란치스코의 선출[8][9]에 대한 후속 발표와 마찬가지로 대격으로 변형되었다.[12][13][14]
4. 선언 사례
새 교황이 선출되면 부제급 원로 추기경이 군중에게 알리는 선언문 형식은 다음과 같다.[42][43]
:"매우 기쁜 소식을 발표하겠습니다. 새 교황이 선출되었습니다!"
:"지극히 탁월하시고 공경하올 분, 거룩한 로마 교회의 추기경 (본래 이름)이십니다. 이분은 자신을 (교황 이름)로 명명하셨습니다."
2005년 4월 19일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선출되었을 때는, 부제급 원로 추기경이 5개 국어(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로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이라는 인사말을 먼저 한 다음에 하베무스 파팜을 선포했다.[42][43]
새 교황의 세례명은 대격으로 라틴어로 발표되지만(예: ''Carolum'',[6][7] ''Iosephum'',[3][4] ''Georgium Marium''[8][9]), 새 교황의 성은 변화하지 않는 형태로 발표된다(예: ''Wojtyła'',[6][7] ''Ratzinger'',[3][4] ''Bergoglio''[8][9]). 새 교황명은 라틴어 속격으로 주어지기도 하고(예: ''Ioannis vigesimi tertii'',[15] ''Ioannis Pauli primi''[18]), 교황 바오로 6세와 교황 프란치스코의 재위명처럼 대격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Paulum sextum''[16][17] 및 ''Franciscum''[8][9]).
교황명이 처음 사용되는 경우, 발표 시 숫자 "첫 번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교황 요한 바오로 1세의 선출에서는 숫자 ''primi''(첫 번째)가 사용되었지만,[18] 교황 프란치스코의 선출에서는 숫자가 언급되지 않았다.[9] 새 재위명이 바로 전임자가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경우, 교황명에 숫자가 존재하는 경우 숫자를 생략할 수 있다. 1978년 10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재위명은 그의 바로 전임자가 교황 요한 바오로 1세였기 때문에 숫자 없이 단순히 ''Ioannis Pauli''로 발표되었다.[6][7] 1939년에도 교황 비오 12세의 선출에 따라 그의 재위명은 그의 바로 전임자가 교황 비오 11세였기 때문에 단순히 ''Pium''으로 발표되었다.[12][13][14]
4. 1. 주요 교황 선출 사례
(대격)(미변화)
(라틴어로 발표됨)
라틴어 활용
숫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