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프레도 오타비아니는 로마에서 태어난 가톨릭 추기경으로, 제빵사의 아들이었다. 그는 철학, 신학, 교회법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16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교황청 성무성성의 부장관, 신앙교리성 장관을 역임했으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보수주의자들을 이끌었다. 또한, 교황 바오로 6세에게 미사 개혁을 비판하는 서한을 보낸 '오타비아니 개입'으로 알려져 있다. 오타비아니는 1979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참가자 -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마무리하고 교회 개혁을 추진한 교황으로, 교황청 개혁과 전례 개혁을 단행하고 교회 일치 운동에 기여했으나, 인공 피임 금지 회칙과 교회 개혁 논란으로 복잡한 시기를 겪었으며 시복 및 시성되었다.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참가자 -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제265대 교황으로 재임하며, 가톨릭 교리를 수호하고 교회 일치와 종교 간 대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보수적인 신념과 스캔들 대처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이탈리아의 추기경 - 에르콜레 콘살비
    에르콜레 콘살비는 이탈리아 출신의 추기경이자 국무성성 장관으로, 나폴레옹과의 정교 협약 체결 및 빈 회의 참여를 통해 교황령 영토 회복에 기여했으며, 내정 개혁을 추진하다 실각하고 사망했다.
  • 이탈리아의 추기경 - 쥘 마자랭
    쥘 마자랭은 이탈리아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하며 30년 전쟁 종식과 프랑스-스페인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프롱드의 난을 진압하여 루이 14세의 절대왕정 기반을 다진 추기경이자 정치가이다.
  • 1890년 출생 - 최남선
    최남선은 1890년에 태어나 1957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문인이자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학자이며, 《소년》을 창간하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현대 한국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3·1 운동 독립선언서 기초, 친일 행적, 단군 연구, 《단군론》, 《불함문화론》 저술 등의 활동을 했다.
  • 1890년 출생 - 김창영 (1890년)
    김창영은 일제강점기 경찰 및 관료, 만주국 관리로서 항일 무장 세력 탄압과 귀순 공작에 참여하고 금산군수와 전라남도 참여관을 지냈으며, 광복 후 경성부부윤을 역임했으나 반민특위에 체포되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처벌받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6년의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로마자 표기Alfredo Ottaviani
출생일1890년 10월 29일
출생지이탈리아 로마
사망일1979년 8월 3일
사망지이탈리아 로마
매장지바티칸 시국 산 살바토레 인 오씨부스 교회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국적이탈리아
부모엔리코 오타비아니
팔미라 카탈리니
모토lang: la
Semper Idem (언제나 동일하게)
문장
서명
성직자 정보
직함추기경
추기경 서임1953년 1월 12일
추기경 서임자교황 비오 12세
추기경 계급추기경 부제 (1953년–1967년)
추기경 사제 (1967년–1979년)
사제 서품1916년 3월 18일
주교 성성1962년 4월 19일
주교 성성자교황 요한 23세
관구산타 마리아 인 돔니카 성당 추기경 사제
이전 직책산타 마리아 인 돔니카 성당 추기경 부제 (1953년–1967년)
교황청 성무성성 차관 (1953년–1959년)
교황청 성무성성 장관 (1959년–1966년)
베뢰아 명예 대주교 (1962년)
교리성 장관 대리1966년 2월 9일
임기 종료1968년 1월 8일
이전주세페 피차르도
이후프란요 셰페르

2. 일대기

오타비아니는 로마에서 제빵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트라스테베레에 있는 기독교 학교 형제단과 산타폴리나레 교황청립 대학교에서 공부하여 철학, 신학, 교회법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1916년 3월 18일 사제로 서품되었다. 1953년 1월 12일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교황청 성무성성 부장관 및 산타 마리아 인 돔니카 성당 부제급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으며, 사목표어는 ''Semper Idem''(항상 똑같이)이다.

1959년 11월 7일 바티칸 교리 수호 기관인 성무성성 장관으로 승진하였다. 1962년 4월 5일 ''베뢰아'' 명의 대주교로 임명되었고, 1963년에는 명예직을 사임하였다. 4월 19일 교황 요한 23세 주교 축성 때 주세페 피차르도 추기경, 베네토 알로이시 마셀라 추기경과 함께 공동 주교 축성자로 지명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 동안 오타비아니는 교황청보수주의자 지도자로, 성령회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와 함께 활동하였다. 종교 자유 문제를 놓고 아우구스틴 베아 추기경과 격렬하게 논쟁했고, 정교 분리와 종교적 관용에 반대했다. 에르네스토 루피니 추기경이 중재해야 할 정도로 분위기가 험악했으며, 오타비아니는 이러한 심각한 토론에 실망했다. 또한 전례 토론에서 가톨릭 신학의 성경성전을 전례 개혁 원천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일 요제프 프링스 추기경의 개입으로 공의회가 신속한 움직임을 보인 것에 대항했다. 프링스는 훗날 신앙교리성 장관과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되는 요제프 라칭거 사제로부터 조언을 받았다.

1963년 교황 선거에서 추기경 선거인단 일원이었던 오타비아니는 조반니 바티스타 몬티니를 교황 바오로 6세로 선출하는데 참여했다. 선거 기간 동안 부제급 추기경들의 우두머리였으며, 6월 30일 바오로 6세 즉위 미사 때 삼중관을 씌워 주었다.

1965년 성무성성이 신앙교리성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신앙교리성 부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67년 6월 26일 사제급 추기경으로 승진, 1968년 1월 6일 부장관 지위를 사직하였다.

1969년 9월 25일 안토니오 바치 추기경과 함께 바오로 6세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4월 3일 공포된 로마 전례 미사 개정을 비판하는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 지도 신학 모임을 지지하는 내용이었다. 이 편지는 ''노부스 오르도'' 미사에 반대하는 전통주의자들 측에서 자주 인용한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오타비아니는 로마에서 제빵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트라스테베레에 있는 기독교 학교 형제단과 산타폴리나레 교황청립 대학교에서 공부하였으며, 철학, 신학, 교회법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16년 3월 18일 사제로 서품되었다.

2. 2. 사제 서품과 교황청 경력

1916년 3월 18일 사제 서품을 받았다.[31] 1953년 1월 12일,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교황청 성무성성의 서기이자 부제급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31] 그의 주교 모토는 "Semper idem"(항상 동일하다)이다.[31]

1959년 11월 7일, 성무성성의 서기로서 바티칸의 주요 교의 보호자로 지명되었다.[31] 1962년 4월 5일에는 베로에아(Berrhoea)의 명의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며,[31] 같은 해 4월 19일에는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주교 서품을 받았다.[31]

1965년 성무성성이 신앙교리성으로 재편 및 개칭되자, 오타비아니는 장관 대리로 임명되었다.[31] 1967년 6월 26일에 사제급 추기경으로 승진했으며,[31] 1968년 1월 6일에 장관 대리직에서 사임했다.[31]

3. 성무성성/신앙교리성 활동

1953년 1월 12일, 교황 비오 12세는 오타비아니를 성무성성의 서기(Pro-Secretary)이자 산타 마리아 인 돔니카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으로 임명했다.[31] 1959년 11월 7일에는 성무성성 서기로서 바티칸의 주요 교리 수호자로 지명되었고,[31] 1962년 4월 5일 베로에아(Berrhoea)의 명의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4월 19일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주교로 서품되었다.[31]

1965년 성무성성이 신앙교리성으로 재편되면서 오타비아니는 신앙교리성의 장관 대리로 임명되었다.[9] 1967년 6월 26일 사제급 추기경으로 승진하였으며, 1968년 1월 6일 장관 대리직에서 사임했다.[9] 그는 장관 대리로서 자신을 전통 교리를 보호하는 "경찰"이라고 묘사했다.[9]

1969년 9월 25일, 안토니오 바치 추기경과 함께 교황 바오로 6세에게 로마 전례 미사 개정을 비판하는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 지도 하의 신학 모임을 지지하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이 편지는 노부스 오르도 미사에 반대하는 전통주의자들 사이에서 자주 인용된다.

3. 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에서 오타비아니는 교황청보수주의자들의 지도자였으며, 성령회의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와 함께 활동하였다. 요제프 프링스 추기경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빠른 진행에 반대했는데, 그는 당시 사제였고 훗날 신앙교리성 장관과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되는 요제프 라칭거의 조언을 받았다.

오타비아니는 1963년 교황 선거에 참석하여 조반니 바티스타 몬티니를 교황 바오로 6세로 선출하는데 기여했다. 그는 또한 선거 기간 동안 부제급 추기경들의 우두머리였으며, 6월 30일 바오로 6세 즉위 미사 때 그의 머리에 삼중관을 씌워 주었다.

3. 1. 1. 종교 자유 논쟁

알프레도 오타비아니는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반대하고 모든 종교에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것에 반대했지만, 가톨릭이 아닌 종교의 공개적인 표현이 가능하다면 종교적 관용을 지지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종교 자유라는 주제를 놓고 아우구스티누스 베아 추기경과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이들의 대립은 너무 격렬해져 에르네스토 루피니 추기경이 개입해야 했고, 그는 이러한 "심각한 논쟁"에 실망감을 표했다. 오타비아니는 또한 전례[1][2]계시의 원천[3]에 대해서도 논쟁했다.

3. 1. 2. 전례 개혁 반대

알프레도 오타비아니는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반대하고 모든 종교에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것에 반대했지만, 가톨릭이 아닌 종교의 공개적인 표현이 가능하다면 종교적 관용을 지지했다. 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 동안 교황청 내 보수파의 지도자로, 성령회의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 등과 함께 활동했다. 공의회 예비 회의가 끝날 무렵, 오타비아니는 종교의 자유라는 주제에 대해 아우구스티누스 베아 추기경과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그는 정교 분리와 모든 종교에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것에 반대하면서, 가능한 한 비가톨릭 종교의 공개적인 표현을 억제하는 종교적 관용을 지지했다.

그는 전례에 대한 토론[1][2]과 가톨릭 신학에서 성경과 성전으로 이해되는 계시의 원천[3]에 대해서도 논쟁했다.

1962년 10월 30일 회의에서 미사 변경에 대해 논의할 때, 모든 연사에게 부과된 10분 제한 시간을 초과했다. 오타비아니가 이 시간을 넘어서자 공의회 의장단의 수석인 외젠 티세랑 추기경은 그날의 공의회 의장인 베르나르두스 요하네스 알프링크 위트레흐트 추기경에게 시계를 보여주었다. 오타비아니는 자신의 주제에 몰두하여 제안된 변경 사항을 비난하며 "수 세기 동안 승인되었고 지금은 매우 익숙해진, 그렇게 존경스러운 의식에 변경 사항을 도입함으로써 그리스도교 신자들 사이에 경이로움이나 어쩌면 스캔들을 불러일으키려는 것인가? 거룩한 미사의 의식은 각 세대의 변덕에 따라 다시 만들 천 조각처럼 취급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7] 그가 15분에 도달했을 때, 알프링크는 경고 벨을 울렸다. 오타비아니가 계속 말하자, 알프링크는 기술자에게 신호를 보내 마이크를 껐다. 마이크를 두드려 꺼졌음을 확인한 후, 반맹인 오타비아니는 굴욕감에 자리에 앉았다.[8][7]

3. 2. 1963년 콘클라베

오타비아니는 교황 선거에 추기경 자격으로 참석하여 조반니 바티스타 몬티니를 교황으로 선출하는데 투표하였다. 그는 또한 선거 기간 동안 수석 부제 추기경이었으며, 선출 발표를 하고 1963년 6월 30일 대관하여 삼중관을 씌워 주었다.[31]

3. 3. 신앙교리성으로의 개편 이후

1965년 성무성성이 신앙교리성으로 재편되면서 오타비아니는 신앙교리성의 장관 대리로 임명되었다.[9] 1967년 6월 26일 사제급 추기경으로 승진하였으며, 1968년 1월 6일 장관 대리직에서 사임했다.[9] 오타비아니는 장관 대리로서 자신을 전통 교리를 보호하는 "경찰"이라고 묘사했다.[9]

1968년 1월 8일, 오타비아니는 교회의 중앙 행정부에서 사임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사임을 수락하고 유고슬라비아 출신의 프란요 세페르 추기경을 신앙 교리성 임시 장관으로 임명했다. 이 사건은 AP 통신에 의해 "중대한 전환점"으로 여겨졌으며, "한때 가톨릭 추기경을 투옥했던 공산주의 국가 출신의 고위 성직자"로 대체되었다는 점을 언급했다. "극적으로, 그것은 5억 명의 회원을 둔 교회가 경직된 보수주의에서 현대주의의 새로운 실험과 공산주의 국가와의 관계 변화로 이동했음을 의미했다."[9]

1969년 9월 25일 안토니오 바치 추기경과 함께 그는 바오로 6세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그해 4월 3일에 이미 공포된 로마 전례 미사의 개정을 비판하는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의 지도를 받는 신학 모임을 지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편지는 ''노부스 오르도'' 미사에 반대하는 전통주의자들 측에서 자주 인용하고 있다.

1970년, 바오로 6세가 교황 선거에서 투표권을 80세 미만의 추기경으로 제한했을 때, 이미 80세였던 오타비아니는 교황의 조치가 "수 세기 동안 이어진 전통을 무시하는 행위"이며 "그의 전문적이고 재능 있는 고문단의 대부분을 버리고 있다"고 말했다.[10]

4. '오타비아니 개입'

1969년 9월 25일, 오타비아니 추기경과 안토니오 바치 추기경은 교황 바오로 6세에게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의 지도를 받는 신학 모임이 작성한 새로운 미사 규정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지지하는 편지를 보냈다. 이 연구는 1969년 4월 3일에 공포되었지만 1970년에 완전하게 시행된 개정된 로마 미사 전례서의 두 부분, 즉 새로운 미사 형식과 새로운 ''미사 전례 지침''을 비판했다.[13] 이 편지는 ''오타비아니 개입''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노부스 오르도 미사에 반대하는 전통주의자들 측에서 자주 인용하고 있다.

4. 1. 서한의 내용과 배경

1962년 12월의 오타비아니


1969년 9월 25일, 오타비아니와 안토니오 바치 추기경은 교황 바오로 6세에게 새로운 미사 형식과 새로운 ''미사 전례 지침''을 비판하는 신학자 그룹의 연구를 지지하는 서한을 보냈다. 이 서한은 오타비아니 개입으로 널리 알려졌다. 해당 서한은 1969년 4월 3일에 공포되었지만 1970년에야 완전하게 시행된 개정된 로마 미사 전례서의 두 부분을 다루고 있다.[13]

같은 날 오타비아니 추기경과 안토니오 바치 추기경은 르페브르 대주교의 지도 아래 신학자 그룹이 작성한 "새로운 미사의 비판적 연구"(영어: The Critical Study of the New Order of Mass)를 지지하는 편지를 교황 바오로 6세에게 보냈다. 이 연구는 새로운 미사(Novus Ordo Missaela)와 새로운 "로마 미사 전례서 총칙"(라틴어: Institutio Generalis)을 비판했다. 미사 전례서 개정의 두 부분은 같은 해 4월 3일에 공포되었지만, 실제로 완전하게 적용된 것은 1970년이었다. 이 편지는 '새로운 미사의 비판적 연구'(오타비아니의 개입)로 알려져 있으며, 로마 전례 미사 개정에 대한 반대를 지지했다.

4. 2. 전통주의자들의 지지



1969년 9월 25일, 오타비아니와 안토니오 바치 추기경은 새로운 미사 형식과 새로운 ''미사 전례 지침''을 비판하는 신학자 그룹의 연구를 지지하는 서한을 교황 바오로 6세에게 보냈다. 이는 1969년 4월 3일에 공포되었지만 실제로는 1970년에 완전하게 시행된 개정된 로마 미사 전례서의 두 부분이다.[13] 이 서한은 오타비아니 개입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오타비아니 추기경과 안토니오 바치 추기경은 르페브르 대주교의 지도 아래 신학자 그룹이 작성한 '새로운 미사의 비판적 연구'(오타비아니의 개입)를 지지하며, 새로운 미사(Novus Ordo Missaela)와 새로운 "로마 미사 전례서 총칙"(Institutio Generalisla)에 대한 비판을 담은 편지를 교황 바오로 6세에게 보냈다. 이 편지는 로마 전례 미사 개정에 대한 반대를 지지하는 내용이었다. 미사 전례서 개정의 두 부분은 1969년 4월 3일에 공포되었지만, 실제로 완전히 시행된 것은 1970년이었다.

5. 은퇴와 죽음

1969년 9월 25일 안토니오 바치 추기경과 함께 교황 바오로 6세에게 로마 전례 미사의 개정을 비판하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는데, 이는 노부스 오르도 미사에 반대하는 전통주의자들 사이에서 자주 인용된다.[9]

1970년, 교황 선거에서 투표권을 80세 미만의 추기경으로 제한한 교황 바오로 6세의 조치에 대해 오타비아니는 "수 세기 동안 이어진 전통을 무시하는 행위"이며 "그의 전문적이고 재능 있는 고문단의 대부분을 버리고 있다"고 비판했다.[10]

오타비아니는 1979년 8월 3일에 사망했다.[11]

6. 영향과 유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 동안 오타비아니는 교황청보수주의 세력의 지도자였다. 성령회의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와 함께 활동하며 종교의 자유 문제를 놓고 아우구스틴 베아 추기경과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오타비아니는 정교 분리와 종교적 관용에 반대했으며, 전례에 대한 토론에서는 가톨릭 신학의 성경성전을 전례 개혁의 원천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969년 9월 25일 안토니오 바치 추기경과 함께 교황 바오로 6세에게 로마 전례 미사의 개정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편지를 보냈는데, 이 편지는 ''노부스 오르도'' 미사에 반대하는 전통주의자들 사이에서 자주 인용되고 있다.

6. 1. 금서 목록 관련 활동

오타비아니는 성성성성청 서기로서 다수의 서적 금지령에 대한 책임을 졌으며, 해당 서적들은 새로운 판의 ''금서 목록''에 포함되었을 것이다. 1948년에 마지막 판이 출판된 ''금서 목록''은 1966년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폐지되었다.

6. 1. 1. 파우스티나 코발스카

1959년 3월 6일, 성성은 "파우스티나 수녀가 제안한 형태의 이미지와 하느님의 자비에 대한 신심을 장려하는 저술"의 유통을 금지하는 통지를 발표했다.[26] 파우스티나 코발스카는 일기에서 예수 그리스도와의 대화를 기록한 폴란드 수녀였다.[27] 적어도 2002년부터[28] 성성의 부정적인 판단은 일기의 잘못된 프랑스어[27] 또는 이탈리아어 번역 사용으로 인한 오해에 기초한 것으로 주장되었다. 그러나 당시의 금지는 "심각한 신학적 유보—예를 들어, 예수께서 성사만이 제공할 수 있는 특정 신심 행위에 대해 죄의 완전한 사면을 약속하셨다는 파우스티나의 주장, 또는 바티칸 평가자들이 파우스티나 자신에게 과도하게 집중한다고 느낀 점" 때문이었다.[28] 알프레도 오타비아니의 승인하에 크라쿠프의 카롤 보이티와 대주교는 1965년에 파우스티나의 생애와 덕성에 대한 정보 수집 절차를 시작했고,[27][28] 그녀의 저술에 대한 금지는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1978년에 철회되었다.[28]

6. 1. 2. 마리아 발토르타

오타비아니는 병상에 있던 마리아 발토르타의 저술을 비판했는데, 그녀는 예수마리아의 환시를 보았다고 전해진다.

카린치와 베아는 세르비트회 사제들과 교황 비오 12세의 만남을 주선했고, 이 행사는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 발표되었다.[29]

발토르타의 공책은 1956년 미켈레 피사니에 의해 ''하느님의 사람의 시''로 출판되었다.

교황 비오 12세 사후 1년 뒤, 오타비아니는 이 작품을 새로 임명된 교황 요한 23세에게 제출한 도서 목록에 포함시켰고, 교황 요한 23세는 1960년 1월 이 목록에 있는 모든 책을 금지하는 칙령에 서명했다.[30]

참조

[1] 간행물 The Cardinal's Setback https://web.archive.[...] Time 1962-11-23
[2] 웹사이트 What Went Wrong With Vatican II http://www.ewtn.com/[...] EWTN 1998
[3] 웹사이트 Council Reminiscences http://vatican2voice[...] Vatican II – Voice of the Church 2007-01-22
[4] 서적 Pope Benedict XVI: A Biography of Joseph Ratzinger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1-09-01
[5] 논문 "`Presidential Address: The Uncertain Future of Collegiality" https://ejournals.bc[...] Proceedings of the Catholic Th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85
[6] 서적 My Brother, the Pope
[7] 웹사이트 What Went Wrong with Vatican II: The Catholic Crisis Explained http://www.ewtn.com/[...]
[8] 뉴스 Cardinal Ottaviani Boycotting Council https://news.google.[...] St. Petersburg Times 1962-11-12
[9] 뉴스 Prelate Resigns Post http://stanforddaily[...] The Stanford Daily 1968-01-08
[10] 뉴스 Ottaviani Deplores Papal Action Barring Vote of Aged Cardinal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1-09
[11] 뉴스 Alfredo Ottaviani, 88; Cardinal Who Headed Vatican's Holy Offic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1-10
[12] 서적 I Remember: An Autobiographical Interview With Meinold Krauss Crossroad Publishing 1985
[13] 웹사이트 Cardinal Ottaviani to Pope Paul VI https://www.ewtn.com[...]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뉴스 Hide sex abuse, secret Vatican paper instructs http://www.theage.co[...] The Age 2003-08-07
[20] 웹사이트 1962 Vatican Document http://www.advancedc[...]
[21] 웹사이트 Row over Vatican order to conceal priests' sex abuse https://www.theguard[...] 2003-08-18
[22] 웹사이트 CBS News http://www.cbsnews.c[...] 2008-08-27
[23] 뉴스 Manila Times https://web.archive.[...] Manila Times 2008-04-30
[24] 문서
[25] 문서
[26] 간행물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1959
[27] 서적 Faustina https://books.google[...] Our Sunday Visitor 1998
[28] 웹사이트 A saint despite Vatican reservations http://natcath.org/N[...] 2021-12-01
[29] 간행물 L'Osservatore Romano 1948-02-27
[30] 서적 Libro di Azaria Edizioni Pisani 1972
[31]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Priestly Society of St. Pius X in the Heart of the Church http://www.sspx.org/[...] SSPX 1982-01
[32] 간행물 The Cardinal's Setback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62-11-23
[33] 웹사이트 What Went Wrong With Vatican II http://www.ewtn.com/[...] EWTN 1998
[34] 웹사이트 Council Reminiscences http://vatican2voice[...] Vatican II - Voice of the Church 2007-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