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는 독일의 화학자이다. 그는 192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뮌헨 대학교의 화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빌란트는 유기 화학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담즙산과 두꺼비 독 연구에 기여했다. 나치 시대에는 유대인 학생들을 보호하려 노력했고, 딸 에바 빌란트는 페오도어 뤼넨과 결혼했다. 1964년부터 그의 이름을 딴 하인리히 빌란트 상이 수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화학자 - 펠릭스 호프만
펠릭스 호프만은 바이엘사 연구원으로 아스피린과 헤로인을 합성한 독일 화학자이며, 특히 아스피린은 아르투어 아이헨그륀의 지휘 아래 합성되어 진통, 해열, 항염증제로 널리 쓰였으나, 아이헨그륀의 역할 축소 및 호프만의 공로 과장 논란이 존재한다. - 독일의 화학자 - 게르하르트 에르틀
게르하르트 에르틀은 고체 표면에서의 화학 반응 연구에 기여한 독일의 물리화학자로, 200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고, 하버-보슈 공정 등 분자 메커니즘 규명과 표면화학 연구 방법론 정립에 기여했으며, 자서전을 출판하기도 했다. - 독일의 노벨상 수상자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독일의 노벨상 수상자 - 귄터 그라스
1999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귄터 그라스는 『양철북』을 비롯한 단치히 삼부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즘의 영향을 다룬 독일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조각가이며, 무장친위대 복무 논란에도 불구하고 나치 과거 청산과 사회 정의를 위해 활동하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뮌헨 대학교 동문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뮌헨 대학교 동문 - 펠릭스 호프만
펠릭스 호프만은 바이엘사 연구원으로 아스피린과 헤로인을 합성한 독일 화학자이며, 특히 아스피린은 아르투어 아이헨그륀의 지휘 아래 합성되어 진통, 해열, 항염증제로 널리 쓰였으나, 아이헨그륀의 역할 축소 및 호프만의 공로 과장 논란이 존재한다.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
출생 | 1877년 6월 4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바덴 프For츠하임 |
사망 | 1957년 8월 5일 |
사망지 | 서독 바이에른주 슈타른베르크 |
국적 | 독일 |
학력 및 경력 | |
분야 | 화학 |
소속 | 뮌헨 공과대학교 (1913–1921)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1921–1925) 뮌헨 대학교 (1925–) |
모교 | 뮌헨 대학교 |
지도 교수 | 요하네스 틸레 |
지도 학생 | 롤프 후이스겐 레오폴트 호르너 |
업적 | |
주요 업적 | 아담사이트 담즙산 연구 바비어-빌란트 분해 빌란트-굼리히 알데히드 빌란트 자리옮김 빌란트 테스트 |
수상 | |
수상 | 오토 한 화학 및 물리학상 (1955년) 과학 및 예술 분야의 푸르 르 메리트 훈장 (1952년) 괴테 메달 (1942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 (1931년)카러, P.(1958). 하인리히 빌란트 1877-1957. 《왕립 학회 회원 전기 회고록》 4: 341–352. 노벨 화학상 (1927년) |
2. 생애
1914년 유기 화학 조교수가 되었고, 뮌헨 국립연구소의 유기 부문 책임자가 되었다. 1917년 카이저 빌헬름 물리 화학·전기 화학 연구소에 근무했다. 1913년부터 뮌헨 공과대학교, 1921년부터 루트비히 가터만영어을 이어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1925년부터 뮌헨 대학교의 화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1915년부터 1920년 말까지 베링거인겔하임의 고문을 맡았으며, 이 기간 동안 동사의 첫 과학 부서를 설립했다. 나치 독일 시대에는 뉘른베르크법(우생학에 기초한 법률)의 적용으로부터 유대인(특히 학생)을 개인적인 고문으로서 보호했다. 그 중에는 백장미단에서 운동을 했던 한스 콘라트 라이펠트영어가 있다.
딸 에바 빌란트는 1937년 5월 14일 빌란트의 조수였던 페오도르 뤼넨과 결혼했다.[6] 뮌헨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77년 6월 4일, 독일의 포르츠하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테오도어 빌란트(1846-1928)는 약사이자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포르츠하임에 금은 정련소를 소유하고 있었다. 빌란트는 베링거인겔하임의 창립자인 알베르트 베링거의 아내인 헬렌 베링거의 사촌이었다. 백장미단에서 활동했던 한스 콘라트 라이펠트( 한스 콘라트 라이펠트영어)는 빌란트의 제자였다.2. 2. 경력
1901년 빌란트는 요하네스 틸레 밑에서 공부하며 뮌헨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2][3] 1904년 교수 자격을 취득한 후에도 대학에서 계속 강의를 했으며, 1907년부터 베링거 인겔하임의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1914년에는 유기 화학 특별 강좌의 부교수가 되었고, 뮌헨 주립 연구소 유기 화학 부서의 책임자가 되었다. 1917년부터 1918년까지 빌란트는 정규 군 복무를 대신하여 프리츠 하버가 이끌던 달렘의 (KWI) 카이저 빌헬름 물리 화학 및 전기 화학 연구소에서 일했다.[6] 그곳에서 그는 무기 연구에 참여하여, 겨자 가스의 새로운 합성 경로를 발견했고, 아담사이트의 최초 합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913년부터 1921년까지 뮌헨 공과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했다. 그 후 루드비히 가터만의 후임으로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로 옮겨갔다 (그는 또한 가터만의 유명한 요리책에 대한 책임을 맡았다).[5] 프라이부르크에서 그는 두꺼비 독과 담즙산 연구를 시작했다. 베링거 인겔하임과 협력하여 모르핀과 스트리크닌과 같은 합성 알칼로이드를 연구했다.
1925년 빌란트는 리하르트 빌슈테터의 후임으로 뮌헨 대학교 화학 교수가 되었다.[4][5]
1941년, 빌란트는 세계에서 가장 독성이 강한 버섯 중 하나인 ''광대버섯''의 주요 활성 성분인 알파-아마니틴을 분리했다.[5]
빌란트는 뉘른베르크법 이후 "인종적으로 부담스러운" 사람, 특히 유대인 학생들을 보호하려 성공적으로 노력했다. "인종적으로 부담스러워" 퇴학당한 학생들은 하인리히 빌란트의 연구 그룹에서 화학자나 "Gäste des Geheimrats"(추밀원의 손님)으로 머물 수 있었다. 빌란트의 제자였던 한스 콘라트 라이펠트는 쿠르트 후버의 미망인 클라라 후버를 위해 돈을 모금하다 사형 선고를 받았다.
2. 3. 나치 시대와 유대인 학생 보호
빌란트는 뉘른베르크법 이후 "인종적으로 부담스러운" 사람, 특히 유대인 학생들을 보호하려 성공적으로 노력했다. "인종적으로 부담스러워" 퇴학당한 학생들은 하인리히 빌란트의 연구 그룹에서 화학자나 "Gäste des Geheimrats"(추밀원의 손님)으로 머물 수 있었다.[5] 빌란트의 제자였던 한스 콘라트 라이펠트는 쿠르트 후버의 미망인 클라라 후버를 위해 돈을 모금하다 사형 선고를 받았다.2.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테오도어 빌란트 | 1846년 | 1928년 | 약사, 화학 박사, 금은 정련소 소유 |
사촌 | 헬레네 뵈링거 | 베링거인겔하임 창립자 알베르트 베링거의 아내 | ||
딸 | 에바 빌란트 | 1937년 5월 14일 페오도어 리넨과 결혼[6] |
3. 수상 경력
4. 하인리히 빌란트 상
1964년부터 매년 하인리히 빌란트상이 수여되고 있다. 이 상은 처음에는 지질 및 관련 물질의 화학, 생화학, 생리학, 임상 의학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화학, 생화학, 생리학 분야의 생물학적 활성 분자 및 시스템에 대한 탁월한 연구와 그 임상적 중요성에 대해 수여된다. 하인리히 빌란트상은 가장 권위있는 국제 과학상 중 하나이며 50년이 넘는 성공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베링거 잉겔하임에서 후원했고, 2011년부터는 베링거 잉겔하임 재단에서 수여하고 있다. 수상자는 항상 독립적인 이사회에서 선정된다. 2014년부터는 100000EUR의 상금이 수여된다.[7]
참조
[1]
간행물
Heinrich Wieland 1877-1957
[2]
간행물
Remembering Heinrich Wieland (1877-1957) portrait of an organic chemist and founder of modern biochemistry
https://zenodo.org/r[...]
[3]
문서
Heinrich Wieland
1928-12-12
[4]
웹사이트
Heinrich Wieland - Biography
http://nobelprize.or[...]
[5]
간행물
Prof. H. O. Wieland
[6]
간행물
Interconnections and Independence: Heinrich Wieland (1877–1957) and His Era
https://onlinelibrar[...]
2007-12-10
[7]
웹사이트
Heinrich Wieland Prize
http://www.heinrich-[...]
Boehringer Ingelheim Stiftung
2017-06-02
[8]
간행물
Interconnections and independence: Heinrich Wieland (1877-1957) and his era
https://pubmed.ncbi.[...]
2007
[9]
저널
Heinrich Wieland 1877-195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