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의 줄다리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줄다리기는 농업 축제와 정월 대보름 행사의 일부로, 풍년 기원 의식, 다산 기원, 용과 비의 연관성을 갖는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줄다리기에 사용되는 짚 로프는 최대 200m, 지름 1m에 달하며, 동팀은 숫줄(수컷 로프), 서팀은 암줄(암컷 로프)을 잡고, 두 로프는 비녀목이라는 나무 기둥으로 연결된다. 축제 전날부터 의례가 시작되며, 고유, 고사 등의 의식을 거쳐 경기 진행 및 결과가 나타난다. 당진 기지시, 영산, 밀양 백중놀이 등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의 줄다리기가 있으며, 영산 줄다리기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게임 - 오징어 (놀이)
    오징어 놀이는 땅에 오징어 모양 경기장을 그려 공격과 수비로 나뉘어 진행하는 한국 전통 놀이로, 지역별로 다양한 이름과 규칙을 가지며,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제목으로도 사용되어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 한국의 스포츠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한국의 스포츠 - 남북 단일팀
    남북 단일팀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들로 구성되어 국제 스포츠 대회에 참가하며, 1991년 처음 결성된 이후,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팀을 시작으로 다양한 종목에서 구성되어 남북 관계의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줄다리기
스포츠 정보
하이! 서울 페스티벌에서 줄다리기 밧줄이 빈여목에 묶여 있다
별칭줄다리기
국가/지역한국
특히 당진과 영산
최초 기록1500년경
클럽해당사항 없음
접촉비접촉
줄다리기 팀
성별남녀 모두 가능
종목팀 스포츠
전통 스포츠
야외 스포츠
장비볏짚 밧줄
빈여목 말뚝
장소야외
올림픽올림픽 종목 아님

2. 문화적 중요성

줄다리기는 단순한 민속놀이를 넘어 한국 농경 사회의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여러 농업 관련 축제, 특히 정월 대보름과 같은 명절에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았다.[1] 줄다리기는 단순한 승부를 넘어 한 해의 풍년을 예측하고 기원하며, 공동체의 다산(多産)과 풍요를 바라는 염원이 담긴 의식적 성격을 띤다.[1][2][4]

2. 1. 풍농 기원 의식

줄다리기는 여러 농업 축제의 중요한 부분이며, 특히 정월 대보름 축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행사이다.[1]

많은 한국 농촌의 민속 전통처럼, 줄다리기는 미래의 일, 특히 농사의 풍흉을 예측하는 의식으로 여겨졌다. 마을을 동쪽과 서쪽 두 편으로 나누어 벌이는 줄다리기 시합의 결과는 그해 가을 수확량의 풍족함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줄다리기나 이와 유사한 민속 경기는 남부의 쌀 재배 지역에서 성행하였다.[1][2]

줄다리기에 사용되는 밧줄은 흔히 용을 닮았다고 여겨지는데, 이는 동아시아에서 용과 비를 연관 짓는 보편적인 믿음과 연결된다. 그 결과, 역사적으로 가뭄이 들었을 때 비를 기원하며 줄다리기나 유사한 의식을 거행하기도 했다.[4] 또한, 줄다리기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밧줄을 연결하는 방식(하나의 작은 고리를 다른 하나의 더 큰 고리에 끼우는 형태)은 성적인 결합을 연상시키며, 이는 줄다리기가 풍요와 다산(多産)을 기원하는 의미와도 관련 있음을 보여준다.[1]

2. 2. 다산과의 연관성

줄다리기에 사용되는 두 개의 밧줄을 연결하는 방식, 즉 한 밧줄의 작은 고리가 다른 밧줄의 더 큰 고리를 통과하도록 끼우는 모습은 성관계를 연상시킨다. 이러한 상징성 때문에 줄다리기는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의미와 연결되기도 한다.[1]

3. 줄다리기의 장비

줄다리기의 핵심 장비는 거대한 볏짚 밧줄이다. 이 밧줄은 재배 지역의 주식인 볏짚으로 만들어져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제작 과정 자체가 공동체 행사로 이루어진다.[6] 밧줄은 매우 크고 무거울 수 있으며[3], 각 팀이 잡는 두 개의 줄(동쪽 팀의 숫줄한국어과 서쪽 팀의 암줄한국어[1])로 구성된다. 이 두 줄은 비녀목이라 불리는 나무 기둥으로 연결된다.[4][5] 밧줄이 매우 굵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직접 잡지 않고, 주 밧줄에 연결된 작은 보조 밧줄들을 손잡이로 사용한다.[4][5]

3. 1. 밧줄의 규모

줄다리기에 사용되는 볏짚 밧줄은 길이가 최대 200m, 지름이 1m에 달하며, 무게는 40ton에 육박할 수 있다.[3] 밧줄은 꼬아 만든 볏짚으로 만들어지는데, 은 줄다리기가 행해지는 지역의 주식 곡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재료 선택은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밧줄 제작 과정은 쌀 재배의 공동체적 성격을 반영하는 공동체 행사로 이루어진다.[6]

줄다리기에는 각 팀당 하나씩, 총 두 개의 밧줄이 사용된다. 이 두 밧줄은 길이가 약 3m인 '''비녀목'''이라고 불리는 나무 기둥이나 토막으로 서로 연결된다.[4][5] 동쪽 팀이 잡는 밧줄은 '''숫줄'''("수컷 밧줄")이라고 하고, 서쪽 팀이 잡는 밧줄은 '''암줄'''("암컷 밧줄")이라고 부른다.[1] 밧줄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직접 잡기 어려우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작은 보조 밧줄들을 주 밧줄에 여러 개 연결하여 잡는다.[4][5]

3. 2. 밧줄의 제작

줄다리기에 사용되는 밧줄은 볏짚을 꼬아 만든다. 줄다리기가 행해지는 지역의 주식 곡물이기 때문에 볏짚을 사용하는 것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6] 밧줄의 제작 과정 자체가 재배의 공동체적 성격을 반영하는 공동체 행사로 여겨진다.[6]

밧줄은 길이가 최대 200m, 지름이 1m에 달하며, 무게는 최대 40ton에 육박할 수 있다.[3] 줄다리기에는 각 팀당 하나씩, 총 두 개의 밧줄이 사용된다. 이 두 밧줄은 길이가 약 3m인 '비녀목'이라는 나무 기둥이나 토막으로 연결된다.[4][5] 동쪽 팀이 잡는 줄은 '숫줄한국어'(수컷 줄), 서쪽 팀이 잡는 줄은 '암줄한국어'(암컷 줄)이라고 부른다.[1]

밧줄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직접 잡기는 어렵다. 따라서 작은 보조 밧줄들을 큰 원줄에 여러 개 연결하여 손잡이로 사용한다.[4][5]

3. 3. 암줄과 수줄

줄다리기에는 각 팀당 하나씩, 총 두 개의 로프가 사용된다.[4][5] 이 두 로프는 길이가 약 3m인 '비녀목'이라는 나무 기둥이나 토막으로 연결된다.[4][5] 동쪽 팀이 잡는 로프는 숫줄(수컷 로프)이라 하고, 서쪽 팀이 잡는 로프는 암줄(암컷 로프)이라 한다.[1] 로프는 매우 굵어서 직접 잡기 어렵기 때문에, 선수들은 주 로프에 작은 보조 로프들을 연결하고 그 끝을 풀어헤쳐 손잡이로 사용한다.[4][5]

3. 4. 비녀목

줄다리기에서는 각 팀이 사용하는 두 개의 큰 밧줄이 사용되는데, 동쪽 팀이 잡는 로프는 ''숫줄''(수컷 로프)이라 하고 서쪽 팀이 잡는 로프는 ''암줄''(암컷 로프)이라고 부른다.[1] 이 두 개의 로프는 직접 연결되지 않고, 약 3m 길이의 나무 기둥이나 토막인 ''비녀목''을 사용하여 연결된다.[4][5] 비녀목은 숫줄과 암줄을 하나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여 양 팀이 서로 힘을 겨룰 수 있게 한다.

4. 줄다리기 의식

줄다리기는 여러 농업 축제의 중요한 부분이며, 특히 정월 대보름에 흔히 열린다.[1] 많은 한국 농촌의 민속 전통처럼, 줄다리기는 그 해의 수확량을 예측하는 의미를 지닌다. 마을을 동서로 나누어 벌이는 의례적인 시합의 결과는 농사의 풍년을 점치는 지표로 여겨졌기 때문에, 남부의 쌀 재배 지역에서 특히 성행했다.[1][2] 이는 줄다리기 밧줄이 용을 닮았다고 여겨 비와 연관 지었기 때문이며, 가뭄이 들었을 때 기우제처럼 줄다리기 의식을 열기도 했다.[4] 또한 두 밧줄을 연결하는 방식(하나의 작은 고리를 다른 하나의 큰 고리에 끼우는 것)은 성관계를 연상시켜 다산을 기원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1]

줄다리기 의식은 축제 전날 밤 고유(告由)를 시작으로,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비는 고사(告祀)로 이어진다.[1][4] 날이 밝으면 깃발과 의상을 갖추고 음악에 맞춰 밧줄을 행사장으로 운반하고 연결하는 과정을 거치며,[1][4] 본격적인 경기가 시작된다. 경기는 보통 짧게 끝나며, 풍년을 기원하며 서쪽 팀이 이기도록 연출되는 경우가 많았다.[1][2] 경기가 끝나면 승리 팀은 축하하고 패배 팀을 위로하며, 사용된 밧줄은 승리 팀이 가져가 을 나누어 가지는데, 이 짚에는 특별한 힘이 있다고 믿었다.[1][4] 주요 행사 전에는 아이들이 고삿줄다리기라는 작은 규모의 줄다리기를 하기도 한다.[1]

4. 1. 고유 (告由)

축제 전날 자정 무렵부터 줄다리기에 앞서 의례가 시작된다. 양 팀은 각자 밧줄을 손질하고 승리를 기원하는 기도를 올리는데, 이 의례를 고유(告由)라고 한다. 이 시간 동안 양 팀은 서로 밧줄을 훼손하려는 시도를 막고, 상대 팀 사람이 밧줄을 넘어가지 못하도록 지킨다. 특히 여자가 밧줄을 넘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어 더욱 경계했다. 만약 이를 어길 경우 가혹한 처벌이 따랐는데, 20세기 초에는 이러한 이유로 여자가 돌에 맞아 죽었다는 기록도 있다.[4]

4. 2. 고사 (告祀)

축제 전날 자정 무렵에 시작되는 ''고유''(告由) 의례가 끝나면, 동이 트기 전 축제 장소에 모여 마을의 안전과 번영을 기원하는 공동 의례인 ''고사''(告祀)를 지낸다. 이 과정에서 터주신에게 제물을 바친다.[1][4] 고사가 끝나면 두 팀은 각자의 깃발과 의상을 갖추고 타악기 연주에 맞춰 행렬을 이루며 밧줄을 행사장으로 운반한다.[1][4]

4. 3. 밧줄 운반 및 연결

동이 트면, 전날 밤의 의례를 마친 양 팀은 각자의 깃발과 의상을 갖추고 타악기 연주에 맞춰 행렬을 이룬다. 이 행렬을 통해 각 팀의 밧줄줄다리기가 열리는 행사장으로 운반한다. 행사장에 도착하여 두 밧줄을 연결할 때는 연출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이 논쟁은 상징적인 성적 측면을 띠며, 상대 팀에 대한 암시나 외설적인 조롱이 흔하게 나타난다.[1][4]

4. 4. 경기 진행 및 결과

두 밧줄이 ''비녀목'' 주위에서 묶이면 축하객들의 함성과 환호 속에 경기가 시작된다.[1] 실제 경기는 짧으며, 보통 한 번의 당기기로 승패가 결정되지만, 일부 경기는 3전 2선승제로 진행되기도 한다.[1] 서쪽 방향은 다산과 풍요의 개념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며 서쪽 팀이 승리하도록 경기를 조작하는 경우가 많다.[1][2] 승리한 팀은 팀 주장의 집에서 축하한 후, 패배한 팀 주장의 집으로 가서 위로를 건네는데, 이 모습은 종종 장례 행렬과 유사하게 보이기도 한다.[1] 사용된 두 밧줄은 모두 승리 팀이 가져가서 해체하여 판매하며, 밧줄에서 나온 은 특별한 보호 또는 영양 성분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진다.[4]

4. 5. 고삿줄다리기

''고삿줄다리기''("골목 줄다리기")라고 알려진 어린이 버전의 줄다리기는 주요 행사 전에 거리에서 자주 행해진다.[1]

5. 지역별 줄다리기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는 고유한 형태의 줄다리기가 전승되고 있다. 특히 당진의 기지시 줄다리기와 경상남도 영산 줄다리기는 그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6][5][7][8] 이 외에도 밀양 백중놀이에서는 게줄다리기한국어라는 독특한 방식의 줄다리기가 행해진다.[10]

5. 1. 기지시 줄다리기 (당진)

당진의 기지시 줄다리기는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두 가지 형태의 줄다리기 중 하나이다.[6][5][7][8] 기지시에서는 최소 500년 이상 이 줄다리기가 행해져 왔다.[3] 이곳의 줄다리기는 전통적인 동/서 팀 구분 대신 상류와 하류 팀으로 나누어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사용되는 밧줄은 지네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는 이 지역 마을들의 배열 방식을 닮았다고 전해진다.[6] 또한, 기지시에는 줄다리기 박물관이 있어 관련 자료를 접할 수 있다.[3]

5. 2. 영산 줄다리기 (경상남도)

경상남도 영산의 줄다리기는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와 함께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6][5][7][8] 영산 줄다리기는 다른 지역보다 늦게 열리는 편인데, 20세기 중반부터 기존의 음력 축제일 대신 3·1 운동을 기념하여 3월 1일에 열리고 있다.[4] 2009년에는 영산 줄다리기를 기념하는 특별 2만 기념 주화가 대한민국에서 발행되기도 했다.[9]

5. 3. 밀양 백중놀이의 게줄다리기

밀양 백중놀이에서는 밀양 고유의 독특한 줄다리기 형태인 게줄다리기를 볼 수 있다.[10] 이 방식에서는 참가자들이 중앙에 있는 고리에 밧줄로 연결되어 각자 모든 방향으로 줄을 잡아당긴다.[4][11]

5. 4. 기타 지역

한국의 줄다리기와 유사한 형태의 공동 줄다리기 경기는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등에서도 비슷한 경기가 열리는데, 이들 모두 풍요와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4]

참조

[1]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Korean Folk Culture http://folkency.nfm.[...]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3-04-23
[2] 웹사이트 Yeongsan juldarigi https://web.archive.[...] Arirang TV 2013-04-23
[3] 웹사이트 Gijisi Juldarigi Museum https://web.archive.[...] 2013-04-23
[4] 논문 Tug-of-War: Pulling the Rope for a Bumper Harvest https://web.archive.[...] 2013-04-23
[5]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Folk games and rite https://archive.toda[...] UNESCO 2013-04-23
[6] 웹사이트 Gijisijuldarigi, A Tug-Of-War Held to Pray for A Bountiful Harvest https://web.archive.[...] Arirang TV 2013-04-23
[7] 서적 One hundred cultural symbols of Korea https://books.google[...] Discovery Media 2013-04-23
[8] 서적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 Folk dramas, games, and rites https://books.google[...] Hollym International Corporation 2013-04-23
[9] 웹사이트 20,000 won: Traditional folk game series – Yeongsan Juldarigi(Tug-of-war game) http://www.coin-data[...] 2013-04-23
[10] 웹사이트 감내게줄당기기 http://encykorea.aks[...]
[11] 서적 Korean cultural insights https://archive.org/[...]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3-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