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군항공사령부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군항공사령부(대한민국)는 대한민국 해군의 항공 전력을 통합 지휘하는 사령부이다. 1951년 해군 항공대로 시작하여 해병대 항공부대와의 통합 및 해체를 거쳐 1986년 제6항공전단으로 개편되었으며, 이후 해상 초계, 해상 작전, 탐색 및 구조, 국제 협력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주요 장비로는 P-8 포세이돈, P-3C 오라이온, UH-60 블랙호크, UH-1H, 웨스틀랜드 링스 등이 있으며, 포항, 진해, 제주, 동해, 목포 등에 전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경상북도 포항시에 해군6전단 항공역사관과 몰개월 비행기공원을 운영하며 민·관·군의 협력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의 사령부 - 해군작전사령부
    해군작전사령부는 1952년 해군 1함대사령부로 창설되어 1986년 재창설된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사령부로서,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주요 작전을 지휘했으며 부산에 위치하고, 예하에 함대사령부, 잠수함사령부, 항공사령부 등을 두고 제7기동전단을 포함한 주요 전단을 지휘한다.
  • 대한민국 해군의 사령부 - 해군군수사령부
    해군군수사령부는 1974년 창설되어 해군의 군수 지원을 수행하며 보급창, 병기탄약창, 정비창, 정보통신전대 등을 예하에 두고 각 부대는 해군의 보급, 병기 및 탄약 관리, 장비 정비, 정보통신망 운영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해군항공사령부 (대한민국)
개요
대한민국 해군 제6항공전단
대한민국 해군 제6항공전단
이름해군항공사령부
원어 이름海軍航空司令部
별명6전단
창설 및 해체
해군 항공대1957년 7월 15일 ~ 1973년 3월 31일
해병대 제1상륙사단 항공관측대1958년 3월 1일 ~ 1973년 3월 31일
해군 항공대 (통합)1973년 5월 1일 ~ 현재
일반 정보
병과군사항공
종류해군 항공대
규모사령부
명령 체계해군작전사령부
본부포항경주공항
장비문단 참조
지휘부
사령관[[파일:Flag of the ROK Navy Rear Admiral Lower Half (OF-6).svg|30px]] 준장 하성욱 (해사 47기)
지휘관 명칭사령관
장비
해군 6항공전단 P-3C 해상초계기
해군항공사령부의 P-3C 오라이온 해상초계기 모습

2. 창설 배경 및 역사

한국 전쟁이 끝나갈 무렵인 1951년 4월, 진해 해군기지에서 항공반이 처음 조직되었다. 같은 해 8월에는 노스아메리칸 T-6 텍산을 개조한 대한민국 최초의 독자적인 개조 항공기 '해취호'(海鷲號)가 취역했다. 1957년 7월 15일에는 정식으로 항공대가 창설되었다.[2][3]

한국 전쟁 휴전 후, 해병대는 상륙사단 창설과 함께 항공대 설치를 계획하고 항공 인력 양성을 시작했다. 1958년 3월 1일, 제1상륙사단에 항공관측대가 8대의 항공기로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1971년 5월 5일에는 해병대사령부 직할 항공대가 창설되어 전력이 강화되었다.[4]

1973년 국방부훈령 제157호에 따라 해병대사령부가 해체되면서 해병대 항공부대는 김해공항에서 해군 항공대로 통합 창설되었다. 이때 항공 인력 125명과 항공기 23대도 해군으로 이관되었다.[4][2][5] 1978년 통합된 항공대는 포항공항으로 기지를 이전했으며, 1986년 제6항공전단으로 개편되었다.[4][2][5]

2. 1. 해군 항공대 (통합 이전)

한국 전쟁이 일단락되어 가던 1951년 4월 진해 해군기지에서 항공반이 처음 조직되었다. 같은 해 8월에는 노스아메리칸 T-6 텍산을 개조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독자적인 개조 항공기인 '해취호'(海鷲號)를 취역시켰다. 이는 육군공군이 타국에서 들여온 항공기로 운용 역사를 시작한 것과는 다른 출발이었다. 1957년 7월 15일 정식으로 항공대가 창설되었다.[2][3]

2. 2. 해병대 항공부대 (통합 이전)

한국 전쟁 휴전 이후, 해병대는 상륙사단 창설과 함께 항공대 설치를 계획하고 조종사 등 항공 인력 양성에 착수했다. 1958년 3월 1일, 8대의 항공기로 제1상륙사단 항공관측대가 창설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최초의 국외 파병 항공부대로, 1955년 발발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1971년 5월 5일에는 해병대사령부 직할 항공대가 창설되어 전력이 증강되었다.[4]

2. 3. 통합 및 재창설

1973년 국방부훈령 제157호에 따라 해병대 사령부가 해체되면서, 해병대 항공부대는 1973년 5월 1일 김해공항에서 해군 항공대로 통합 창설되었다. 항공 인력 125명과 항공기 23대도 해군으로 이관되었다.[4][2][5] 1978년 통합된 항공대는 포항공항으로 기지를 이전했으며, 1986년 제6항공전단으로 개편되었다. 현재 UH-1H, UH-60 블랙 호크 해상기동 헬리콥터, P-3C 오라이온 해상 초계기, 웨스틀랜드 링스 해상작전 헬리콥터 등을 운용하고 있다.[4][2][5]

3. 주요 임무 및 역할

이전 결과물이 없으므로,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편제 및 장비

해군항공사령부는 제6항공전단을 주축으로 다양한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

제61해상항공전대는 P-3, P-8 포세이돈 해상초계기를, 제62해상항공전대는 AW-159, 링스 해상작전헬기를, 제63해상항공전대는 UH-60 기동헬기와 S-100, CARV-II 무인기를 운용한다.

제65군수전대는 항공기 정비 및 군수 지원을, 제66기지방호전대는 기지 방호, 제609교육훈련전대는 조종사 양성 및 승무원 교육 훈련을 담당한다.

4. 1. 제6항공전단 편제

제6항공전단 편제[1]
부대예하 부대위치
제61해상항공전대제611비행대대 (P-3), 제613비행대대 (P-3), 제617비행대대 (P-8), 전대본부포항시
제615비행대대 (P-3)제주특별자치도
제62해상항공전대제622비행대대 (AW-159), 1함대항공대 (AW-159)평택시, 동해시, 울릉군
제627비행대대 (Lynx), 제629비행대대 (Lynx), 제625정비대대, 제620기지대대, 전대본부, 3함대항공대 (Lynx)진해, 제주특별자치도, 목포시
제63해상항공전대제631비행대대 (UH-60), 제639비행대 (CARV-II), 전대본부포항시
제633비행대대 (UH-60)논산시
제637비행대 (S-100)진해
제65군수전대제651정비대대, 제653정비대대, 제655정비대대, 보급지원대대, 무기지원대대, 전대본부포항시
제66기지방호전대공병대대, 군사경찰대대, 근무지원대, 의무대, 운항관제대, 화생방지원대, 전대본부포항시
제609교육훈련전대제1비행교육대대, 전대본부목포시
제2비행교육대대, 해상생환훈련대포항시


4. 2. 주요 항공기

P-8 포세이돈, P-3C 오라이온, UH-60 블랙호크, UH-1H, 웨스틀랜드 링스 항공기를 운용한다.

6항공전단의 링스 헬리콥터

5. 안보 역사관 및 공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에는 '해군6전단 항공역사관'과 '몰개월 비행기공원'이 있다. 이들은 군사지역이 아닌 민간지역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며, 해군 6전단이 계획하고 지역주민이 동의하며, 포항시가 예산을 지원하여 탄생해 민·관·군의 협력 사례로 꼽힌다.[9][10]

해군6전단 항공역사관은 2013년 7월 30일에, 몰개월 비행기공원은 2013년 11월 1일에 개장하였다.

5. 1. 해군6전단 항공역사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에 '해군6전단 항공역사관'과 '몰개월 비행기공원'이 있다. 군사지역이 아닌 민간지역에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해군 6전단이 계획하고, 지역 주민이 동의했으며, 포항시가 예산을 지원하여 만들어져 민·관·군의 협력 사례로 꼽힌다.[9][10]

'해군6전단 항공역사관'은 2013년 7월 30일에 문을 열었다. 해군 항공의 역사를 다시 조명하고, 지역 주민들의 안보 의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1층은 '해군과 6항공전단의 홍보실', 2층은 '해군 항공 역사실'과 '항공 순직자 추모관'으로 이루어져 있다.[10]

역사관 옆에는 '몰개월 비행기공원'이 있다. 이 공원은 2013년 11월 1일에 개장한 안보 공원으로, 청림동의 옛 지명인 몰개월을 따서 이름 지어졌다. 항공 순직자 추모비, 항공기 야외 전시장, 샘터, 휴식 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9][10]

5. 2. 몰개월 비행기공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에 '해군6전단 항공역사관'과 '몰개월 비행기공원'이 있다. 군사지역이 아닌 민간지역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해군항공사령부(당시 6전단)가 계획하고, 지역주민이 동의하고, 포항시가 예산을 지원하여 탄생해, 민·관·군의 협력 사례로 꼽힌다.[9][10]

몰개월 비행기공원은 2013년 11월 1일에 개장한 안보 공원이다. 몰개월은 청림동의 옛 지명이다. 공원은 항공 순직자 추모비, 항공기 야외 전시장, 샘터, 휴식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9][10]

참조

[1] 뉴스 ‘해군 항공’ 바다의 눈으로 비행 중" http://www.donga.com[...] 주간동아 2013-08-10
[2] 뉴스 우리 바다 수호하는 첨병…해군 6항공전단 창설 60주년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07-14
[3] 뉴스 해취호, 해체 직전 AT-6 근간으로 제작한 최초의 항공기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9-04-10
[4] 뉴스 김관용의 軍界一學)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이어 상륙공격헬기 사업 시작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2019-01-20
[5] 뉴스 해군 6항공전단 전단 창설 35주년 http://ph.nocutnews.[...] 포항노컷 2019-07-15
[6] 뉴스 해군 초계기, 내일부터 오룡호 실종자 본격 수색 http://news.kbs.co.k[...] KBS 2014-12-07
[7] 뉴스 해군 해상초계기, 에어아시아기 수색 지원 출발 http://news.kbs.co.k[...] KBS 2014-12-30
[8] 뉴스 해군 "해상초계기 20년 무사고…지구 800바퀴 비행 기록" https://www.ajunews.[...] 아주경제 2015-04-12
[9] 뉴스 해군6항공전단 ‘몰개월 비행기공원’ 새단장 http://www.idaegu.co[...] 대구신문 2015-09-07
[10] 뉴스 진짜 전투기를 만나자! 포항 항공역사관 http://www.olivenote[...] 올리브노트 2018-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