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수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수대는 바다의 깊이에 따라 구분되는 수평 층으로, 표해수대, 중층해수대, 심해수대, 심해저대, 초심해저대로 나뉜다. 표해수대는 광합성이 일어나는 얕은 층으로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중층해수대는 희미한 빛이 도달하는 층으로 종속 영양 세균과 생물 발광 생물이 많다. 심해수대는 햇빛이 전혀 없는 암흑의 층으로, 유기물 부스러기에 의존하거나 다른 생물을 포식하는 생물이 살며, 심해저대는 극소수의 생물이 서식하는 깊은 층이다. 초심해저대는 해구의 최심부에 해당하며, 극도로 제한된 생물이 존재한다. 해양 생태계는 식물 플랑크톤을 기반으로 하며, 해수 무척추동물, 원해 어류, 파충류, 조류 등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다 - 해외
    해외는 대한민국 이외의 지역을 의미하며, 각 국가 및 문화권에 따라 범위가 다르게 인식되고, 역사적으로 대륙 간 이동 수단 발달과 현대 비행기 발달로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었다.
  • 바다 - 수반구
    수반구는 남위 47도 13분, 동경 178도 28분을 중심으로 해양 면적이 넓고 태평양, 인도양, 남극해와 남극 대륙, 오세아니아, 아시아, 아메리카 일부를 포함하며 국제 해양 교통과 자원 개발의 중심지로서 국제 관계 및 대한민국의 경제와 안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해양학 - 심해
    심해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로, 태양광이 희박하고 높은 수압, 낮은 수온, 부족한 영양분 등 극한 환경을 가지며, 독특한 심해 생물과 생태계가 존재하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탐사를 통해 새로운 종과 자원이 발견되고 있다.
  • 해양학 - 해령
    해령은 대양 중앙부를 따라 뻗은 거대한 해저 산맥으로, 판이 갈라지면서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는 곳이며, 활발한 화산 활동과 높은 지각 열류량을 보인다.
해수대
개요
정의바다의 수면이나 해저 근처가 아닌, 해양의 수역
어원그리스어 "πέλαγος" (pélagos, "열린 바다")에서 유래
구역
수심에 따른 구분유광층: 햇빛이 투과하는 표층 (약 200m까지)
중심해층: 유광층 아래, 햇빛이 희미하게 도달하는 중간층
무광층: 햇빛이 전혀 도달하지 않는 심해층
거리 및 위치에 따른 구분연안대: 해안에 인접한 구역
원양: 연안에서 멀리 떨어진 구역
생태계
주요 생물플랑크톤: 부유하는 미세한 식물 및 동물
부유영양생물: 물고기, 해양 포유류, 두족류 등
먹이 사슬햇빛 -> 플랑크톤 -> 부유영양생물 -> 상위 포식자
중요성
생물 다양성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 제공
탄소 순환대기 중 이산화 탄소 흡수 및 저장
어업 자원중요한 어업 자원 제공

2. 해수대의 층위

바다의 깊이에 따라 해수대는 여러 수평층으로 구분된다. 각 층은 빛의 투과량, 수온, 수압 등 환경 조건이 다르며, 이에 따라 서식하는 생물의 종류와 분포도 달라진다.

해수대의 층위별 수위에 대한 그림


바다는 깊이에 따라 5개의 영역으로 나뉘며,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다음과 같다.

  • 표해수대(Epipelagic Zone): 광합성이 가능한 200m 수심까지의 해수 표면이다. 플랑크톤, 모자반, 해파리, 참치, 상어, 돌고래 등 대다수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 중층해수대(Mesopelagic Zone): 종속 영양성 원핵생물이 많이 발견되며, 황새치, 오징어, 늑대고기과, 갑오징어 등이 서식한다. 생물 발광을 하는 생물이 많다.
  • 심해수대(Bathypelagic Zone): 수심 1000m에서 4000m 사이의 햇빛이 없는 영역이다. 생물 발광 생물체 외에는 생물이 거의 없다. 대왕오징어, 그림포테우티스 등이 발견되며, 향유고래가 이곳까지 잠수하기도 한다.
  • 심해저대(Abyssopelagic Zone): 극소수 생물만이 존재하는 차갑고 어두운 영역이다. 오징어, 극피동물, 바다거미 등이 서식한다.
  • 초심해저대(Hadopelagic Zone): 6000m 또는 6500m 이상 깊이의 바다로, 일반적으로 해구에 위치한다.

2. 1. 표해수대 (Epipelagic Zone)

'''표해수대'''(epipelagic zone, 表海水帶)는 광합성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빛이 들어오는 해수면으로부터 수심 200m까지의 해수 표면을 말한다. 바다에서 발생하는 거의 모든 일차생산량이 이 해수대에서 발생한다. 그 결과, 플랑크톤, 모자반, 해파리, 참치, 상어, 돌고래 등 대다수의 해양 동식물이 여기에 밀집되어 있다.[1]

한국 연안의 표해수대는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는 중요한 어장이다.

2. 2. 중층해수대 (Mesopelagic Zone)

종속 영양성 원핵생물은 중층 해양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15] 이 층에 서식하는 주요 어패류는 황새치, 오징어, 늑대고기과, 갑오징어 등이다. 중층 해양 생물에는 생물 발광을 하는 것이 비교적 많다.[16] 또한, 야간에 먹이를 찾아 해수면 표층까지 올라가는 생물도 있다.[6]

2. 3. 심해수대 (Bathypelagic Zone)

심해수대는 수심 1000m에서 4000m 사이의 층으로, 햇빛이 전혀 도달하지 않는 암흑의 영역이다. 이 이름은 그리스어 "βαθύς(바뒤스, 깊은)"에서 유래되었다. 이 깊이의 바다는 생물 발광하는 아귀와 같은 생물체를 제외하고는 암흑이다. 식물은 이곳에서 살지 않는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위쪽 구역에서 떨어지는 "마린 스노우"로 알려진 유기물 부스러기로 생존하거나 날도래와 같이 이 구역의 다른 거주자들을 잡아먹으며 생존한다. 이 구역에서는 대왕오징어, 작은 오징어, 그림포테우티스 ("덤보 문어")등이 발견된다. 향유고래는 대왕오징어를 사냥하기 위해 이곳까지 잠수하기도 한다.[1]

2. 4. 심해저대 (Abyssopelagic Zone)

심해저대는 ἄβυσσος|아비소스|밑바닥이 없는grc에서 파생된 이름인데, 이는 깊은 바다가 정말로 끝이 없다고 믿었던 시대의 잔재이다. 차가운 온도, 높은 압력, 완전한 어둠 속에서 사는 극소수의 생물 중에는 여러 종류의 오징어, 극피동물(예: 바구니별, 헤엄치는 해삼, Scotoplanes|스코토플라네스|바다 돼지영어) 및 바다거미를 포함한 해양 절지동물이 있다. 이 깊이의 많은 종은 투명하고 눈이 없다.[6]

2. 5. 초심해저대 (Hadopelagic Zone)

초심해저대는 그리스 신화하데스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6000m 또는 6500m 이상 깊이의 바다를 가리킨다. 이 깊이는 일반적으로 해구에 위치하며, 수면 아래 6000m보다 깊은 층은 해구의 최심부에만 존재한다. 명칭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저승인 하데스에서 유래했다.

3. 해양 생태계

해양 생태계는 식물 플랑크톤을 기반으로 하며, 이들은 광합성 과정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생산한다. 햇빛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안이나 연안 해역을 포함하는 상층의 햇빛이 비치는 표해수층에 서식한다. 용존 산소가 감소하고, 수압이 증가하며, 온도가 낮아지고, 먹이가 부족해지고, 빛이 감소하여 마침내 사라짐에 따라 표해수층 아래의 더 깊은 층에서는 생물 다양성이 현저하게 감소한다.[18]

섬네일

3. 1. 해양 무척추동물

해수 무척추동물의 예로는 크릴, 요각류, 해파리, 오징어 유생, 바다벼룩류, 윤충류, 물벼룩류 등이 있다.[8][9]

쏜슨의 법칙에 따르면 저위도에 서식하는 저서성 해양 무척추동물은 널리 분산되는 해양 유생으로 발달하는 많은 수의 알을 낳는 경향이 있는 반면, 고위도에서는 이러한 생물이 더 적고 더 큰 난황영양 (난황 섭취) 알과 더 큰 새끼를 낳는 경향이 있다.[19][20]

3. 2. 원해 어류 (Pelagic Fish)

'''원해 어류'''는 해안, 대양, 호수의 수주에서 살지만, 바다나 호수 바닥, 또는 그 근처에서는 살지 않는 어류이다. 이들은 바닥이나 그 근처에 사는 저서 어류, 그리고 산호초 어류와 대조된다.[10][21]

원해 어류는 종종 이동성 사료 어류이며, 플랑크톤을 먹고, 사료 어류를 따라다니며 먹는 더 큰 포식 어류도 이에 해당한다. 이동성 사료 어류에는 청어, 멸치, 빙어, 미국 샤드 등이 있다. 사료 어류를 포식하는 더 큰 원해 어류에는 돛새치, 참치, 상어 등이 있다.

원해 어류의 종류
구분종류
소형 어류청어, 멸치, 빙어, 미국 샤드
대형 어류돛새치, 참치, 상어


3. 3. 원해 파충류 (Pelagic Reptiles)

황복뱀(`Hydrophis platurus`)은 바다뱀 65종 가운데 유일하게 평생을 해양(pelagic)에서 보내는 종이다. 바다에서 새끼를 낳으며, 육지에서는 무력하다. 이 종은 때때로 해수면의 얇은 유막을 따라 수천 마리씩 떼를 지어 모인다. 황복뱀은 세계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는 뱀 종이다.

많은 종의 바다거북은 일생의 처음 몇 년을 해양에서 보내며, 성숙해지면서 해안에 더 가까이 이동한다.

3. 4. 원해 조류 (Pelagic Birds)

원해 조류는 '대양 조류' 또는 바닷새라고도 불리며, 강이나 호수와 같은 제한된 수역보다는 열린 바다와 대양에서 서식한다. 원해 조류는 플랑크톤갑각류, 오징어 및 사료 어류를 먹고 산다. 예로는 큰바다오리, 황제펭귄, 검은등제비갈매기, 바다새류 (바다새과), 알바트로스, 풀머갈매기 등이 있다.

원양 알바트로스는 광대한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지구를 한 바퀴 돌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elagic (adj.) https://www.etymonli[...] 2020-02-17
[2] 논문 Surface Area and the Seabed Area, Volume, Depth, Slope, and Topographic Variation for the World's Seas, Oceans, and Countries
[3] 논문 The Volume of Earth's Ocean
[4] 웹사이트 Ocean's Depth and Volume Revealed http://www.ouramazin[...] 2010-05-19
[5] 논문 Temperature control of microbial respiration and growth efficiency in the mesopelagic zone of the South Atlantic and Indian Oceans.
[6] 웹사이트 The Open Ocean - MarineBio.org https://web.archive.[...]
[7] 서적 The Open Ocea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8] 서적 Treatise on Marine Ecology and Palaeoecolog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9] 논문 Types of larval development in marine bottom invertebrates, their distribution and ecological significance: a re-evaluation
[10] 서적 The Pacific Islands: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01
[11] 간행물 "Marine animal microbiomes: toward understanding host–microbiome interactions in a changing ocean"
[12] 논문 Surface Area and the Seabed Area, Volume, Depth, Slope, and Topographic Variation for the World's Seas, Oceans, and Countries
[13] 논문 The Volume of Earth's Ocean
[14] 웹사이트 Ocean's Depth and Volume Revealed http://www.ouramazin[...] 2010-05-19
[15] 논문 Temperature control of microbial respiration and growth efficiency in the mesopelagic zone of the South Atlantic and Indian Oceans. https://www.scienced[...]
[16] 웹사이트 The Open Ocean http://www.marinebio[...] 2009-09-20
[17] 간행물 "Marine animal microbiomes: toward understanding host–microbiome interactions in a changing ocean"
[18] 서적 The Open Ocea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9] 서적 Treatise on Marine Ecology and Palaeoecolog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 논문 Types of larval development in marine bottom invertebrates, their distribution and ecological significance: a re-evaluation
[21] 서적 The Pacific Islands: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