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생산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차 생산량은 독립영양 생물이 유기 화합물 내에서 화학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으로, 총 1차 생산량(GPP)과 순 1차 생산량(NPP)으로 구분된다. GPP는 생산자가 동화시킨 유기물의 총량이며, NPP는 GPP에서 생산자의 호흡량을 뺀 값으로, 생태계에서 생산자의 생장과 번식에 사용되는 에너지 양을 나타낸다. 일차 생산은 광합성이나 화학 합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햇빛이나 무기물의 화학 에너지를 사용한다. 육상 생태계에서는 관다발 식물이, 해양 생태계에서는 조류가 주요 생산자이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측정 방법이 다르다. 전 지구적 일차 생산량은 육상과 해양에서 각각 연간 56.4 Pg C yr−1, 48.5 Pg C yr−1로 추정되며, 인간 활동은 NPP에 영향을 미친다. 과거의 일차 생산량은 생지화학적 모델과 지구화학적 프록시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 - 종자식물
종자식물은 씨앗으로 번식하는 관다발식물로서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나뉘며 약 3억 1900만 년 전에 출현하여 육상 생태계에서 번성했고 동물의 먹이가 되면서 공진화 관계를 맺어왔다. - 식물 - 상록식물
상록식물은 1년 내내 잎이 푸르게 유지되는 식물로, 침엽수와 일부 활엽수, 겉씨식물이 속하며, 조경, 방풍,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을 가진다. - 생태학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태학 - 먹이 그물
먹이 그물은 생태계 내 생물 간의 복잡한 먹이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망으로, 생태학자들은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에너지와 영양소 흐름을 추적하며, 먹이사슬과 영양 단계, 생태 피라미드 개념과 관련되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차생산량 | |
---|---|
개요 | |
정의 | 생태계에서 생산자가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 |
측정 단위 | g C m⁻² yr⁻¹ (탄소 기준, 단위 면적당 연간 탄소 고정량) kcal m⁻² yr⁻¹ (에너지 기준, 단위 면적당 연간 에너지 생산량) |
과정 | |
주요 과정 | 광합성 화학 합성 |
광합성 | 식물, 조류, 광합성 세균 등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 |
화학 합성 | 일부 세균이 화학 물질의 산화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 |
유형 | |
총 일차 생산량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 생산자가 광합성 또는 화학 합성을 통해 생산하는 총 유기물의 양 |
순 일차 생산량 (Net Primary Production, NPP) | 총 일차 생산량에서 생산자의 호흡량을 제외한 순수한 유기물 축적량 (NPP = GPP - 호흡량) |
영향 요인 | |
빛 | 광합성에 필수적인 에너지원 |
물 | 광합성의 반응물이며, 식물의 생존에 필수적 |
영양분 | 질소, 인 등은 식물의 성장과 광합성에 필요한 요소 |
온도 |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며, 최적 온도 범위 존재 |
이산화탄소 농도 | 광합성의 반응물 |
생태계별 일차 생산량 | |
육상 생태계 | 숲: 높은 일차 생산량 초원: 중간 정도의 일차 생산량 사막: 낮은 일차 생산량 |
해양 생태계 | 연안 해역: 높은 일차 생산량 대양: 낮은 일차 생산량 (영양분 부족) |
중요성 | |
먹이 사슬의 기반 | 모든 생물의 에너지원 제공 |
탄소 순환 |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 및 고정 |
생물 다양성 유지 | 다양한 서식지 제공 및 생물 종의 생존 기반 |
연구 방법 | |
육상 생태계 | 식생 조사 바이오매스 측정 이산화탄소 플럭스 측정 |
해양 생태계 | 엽록소 농도 측정 (인공위성, 선박) 방사성 탄소 이용 용존 산소 측정 |
응용 분야 | |
기후 변화 연구 | 탄소 순환 모델링 및 예측 |
농업 생산성 향상 | 작물 생육 환경 최적화 |
생태계 관리 | 생태계 건강성 평가 및 복원 |
2. 일차 생산의 정의 및 중요성
'''총 1차 생산'''(Gross Primary Production, GPP)은 생산자인 독립영양 생물이 동화시킨 유기물의 총량이다.[36] 육상 생태계나 해양의 투광대에서는 총 광합성량과 거의 같은 값이다.[36]
일차 생산은 살아있는 생물에 의해 유기 화합물 내의 화학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다. 에너지의 주된 원천은 햇빛이지만, 일부는 무기물 분자의 화학 에너지를 사용하는 화학합성생물에 의해 일어난다. 이 에너지는 이산화 탄소(CO2) 와 물(H2O)과 같은 단순한 무기 화합물로부터 복잡한 유기 분자를 합성하는 데 사용된다. 광합성과 화학 합성을 단순화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CO2 + H2O + ''빛'' → CH2O + O2
: CO2 + O2 + 4 H2S → CH2O + 4 S + 3 H2O
두 경우 모두, 최종 산물은 환원된 탄수화물의 고분자(CH2O)n이며, 전형적으로 포도당 또는 다른 당과 같은 분자이다. 이러한 비교적 단순한 분자는 이후에 단백질, 복합 탄수화물, 지질, 그리고 핵산을 포함한 더 복잡한 분자를 추가로 합성하거나, 세포 호흡을 통해 일을 수행하기 위해 호흡될 수 있다. 종속 영양 생물에 의한 일차 생산자의 소비는, 이러한 유기 분자 (및 그 안에 저장된 에너지)를 먹이 사슬 위로 전달하여, 지구의 모든 살아있는 시스템에 연료를 공급한다.
2. 1. 광합성과 화학 합성
2. 2. 독립영양생물과 종속영양생물
3. 총 일차 생산량(GPP)과 순 일차 생산량(NPP)
'''총 1차 생산'''(Gross Primary Production, GPP)은 독립영양 생물인 1차 생산자가 동화시킨 유기물의 총량이다. 육상 생태계나 해양의 투광대에서는 총 광합성량과 거의 같은 값일 것이다.[36] '''총 1차 생산량'''(GPP)은 1차 생산자가 주어진 시간 동안 생성하는 화학 에너지의 양으로, 일반적으로 생물량 탄소로 표현된다. 이 고정된 에너지의 일부는 1차 생산자가 세포 호흡과 기존 조직의 유지(예: "생장 호흡" 및 "유지 호흡")에 사용된다.[1][2]
'''순 1차 생산'''(Net Primary Production, NPP)은 총 1차 생산에서 독립영양생물의 호흡량을 뺀 값이다. 이는 실제로 생산자의 생체량으로 축적된 양을 나타낸다.[36] 남은 고정 에너지(즉, 광합성 산물의 질량)는 '''순 1차 생산량'''(NPP)이라고 한다.
::: NPP = GPP - [식물에 의한] 호흡
순 1차 생산량은 생태계의 모든 독립영양생물이 순 유용한 화학 에너지를 생산하는 속도이다. 순 1차 생산량은 1차 생산자의 생장과 번식에 사용될 수 있으며, 초식 동물이 소비할 수 있다.
총 1차 생산량과 순 1차 생산량은 모두 일반적으로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 간격당 질량 단위로 표현된다. 육상 생태계에서는 단위 면적당 연간 탄소 질량(g C m−2 yr−1)이 측정 단위로 가장 자주 사용된다. "생산"과 "생산성" 사이에는 때때로 구별이 이루어지는데, 전자는 생산된 물질의 양(g C m−2)이고, 후자는 생산 속도(g C m−2 yr−1)이지만, 이러한 용어는 일반적으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3. 1. NPP와 GPP의 관계
'''순 1차 생산'''(Net Primary Production, NPP)은 총 1차 생산(GPP)에서 독립영양생물의 호흡량을 뺀 값이다. 이는 실제로 생산자의 생체량으로 축적된 양을 나타낸다.[36]3. 2. NPP의 중요성
NPP(순 1차 생산)는 생태계에서 생산자가 생장과 번식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며, 초식동물에게 이용 가능한 에너지의 양을 결정한다.[36] 이는 총 1차 생산에서 독립영양생물의 호흡량을 뺀 값으로, 생산자의 생체량으로 축적된 양을 의미한다.[36]4. 육상 생태계의 일차 생산
육상에서는 거의 모든 1차 생산이 관다발 식물에 의해 수행되며, 소량은 조류와 선태식물과 같은 이끼 및 우산이끼류에서 나온다. 관다발 식물의 진화 이전에는 선태식물이 더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육상에서의 1차 생산은 많은 요인의 함수이지만, 주로 지역 수문 및 온도이다(후자는 빛, 특히 광합성 유효 방사선(PAR), 광합성의 에너지원과 어느 정도 공변한다). 식물은 지구 표면의 많은 부분을 덮고 있지만, 온도가 너무 극단적이거나 필요한 식물 자원(주로 물과 PAR)이 제한적인 곳, 예를 들어 사막이나 극지방에서는 심하게 억제된다.
물은 광합성 과정과 증산에 의해 식물에서 "소비"된다. 후자 과정(물 사용량의 약 90%를 차지)은 식물의 잎에서 물의 증발에 의해 발생한다. 증산은 식물이 물과 무기물 영양소를 토양에서 생장 지역으로 운반할 수 있게 해주며, 또한 식물을 냉각시킨다. 잎에서 수증기의 확산, 즉 증산을 유발하는 힘은 기공이라고 하는 구조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대기에서 잎으로 이산화탄소의 확산을 조절하여 물 손실을 줄이면(기공을 부분적으로 닫음으로써) 이산화탄소 획득도 감소시킨다. 특정 식물은 돌나물 대사 (CAM) 및 C4 탄소 고정이라고 하는 대체 형태의 광합성을 사용한다. 이들은 생리학적 및 해부학적 적응을 활용하여 물 사용 효율을 높이고, 일반적으로 C3 탄소 고정 식물(대부분의 식물 종)에 의해 탄소 고정이 제한되는 조건에서도 1차 생산이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
캐나다와 러시아의 북방림은 6월과 7월에 높은 생산성을 보이고 가을과 겨울을 거치면서 서서히 감소한다. 일년 내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의 열대 우림은 풍부한 햇빛, 따뜻함, 강우량으로 인해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그러나 열대 지역에서도 연중 생산성에 변동이 있다. 예를 들어, 아마존 분지는 대략 8월부터 10월까지, 즉 이 지역의 건기에 특히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나무는 우기에 축적되는 풍부한 지하수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가 그치고 더 많은 햇빛이 숲에 도달할 수 있을 때 더 잘 자란다.[3]
4. 1.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2. C3, C4, CAM 광합성
4. 3. 한국의 육상 생태계
5. 해양 생태계의 일차 생산
육상의 패턴과는 반대로, 바다에서는 거의 모든 광합성이 조류에 의해 수행되며, 관다발 식물과 다른 군에서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조류는 단일 부유 세포에서 부착된 해조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기체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다양한 그룹의 광합성 독립영양 생물이 포함된다. 세균은 해양 및 육상 생태계 모두에서 중요한 광합성 생물이지만, 일부 고균은 광영양생물이지만 산소 발생 광합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없다.[4] 진핵생물의 상당수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를 포함하여 해양 일차 생산에 중요한 기여를 하며, 다양한 단세포 그룹이 있다. 관다발 식물은 해초와 같은 그룹에 의해 바다에서도 나타난다.
육상 생태계와 달리, 바다의 일차 생산의 대부분은 미생물인 자유 생활 미생물인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해 수행된다. 해초 및 대형 조류(해조류)와 같은 더 큰 자가영양생물은 일반적으로 연안 지역 및 인접한 얕은 해역에 국한되어 있으며, 여기서 하부 기질에 부착될 수 있지만 여전히 광합성대 내에 있다. ''Sargassum''과 같은 예외가 있지만, 자유 부유 생산의 대부분은 미생물 내에서 발생한다.
바다의 일차 생산을 제한하는 요인 또한 육상의 요인과 매우 다르다. 분명히 물의 가용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하지만 염도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온도도 대사율에 영향을 미치지만(Q10 참조) 바다는 해수의 열용량이 온도 변화를 완충하고, 해빙의 형성이 낮은 온도에서 열을 보온하기 때문에 육상보다 덜 넓은 범위에 걸쳐 있다. 그러나 광합성의 에너지원인 빛의 가용성과 새로운 성장의 구성 요소인 미네랄 영양분은 바다의 일차 생산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5] 사용 가능한 지구 시스템 모델은 진행 중인 해양 생지화학적 변화가 배출 시나리오에 따라 현재 값의 3%에서 10% 사이의 해양 NPP 감소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6]
5. 1.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바다에서 햇빛이 비치는 구역은 유광층(또는 진광층)이라고 불리며, 이곳은 해수면 근처의 비교적 얇은 층(10~100m)으로, 광합성이 일어나기에 충분한 빛이 존재하는 곳이다. 실질적인 목적을 위해, 유광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빛이 표면 값의 1%에 도달하는 깊이로 정의된다. 빛은 물 자체의 흡수 또는 산란과 물 속에 용해되거나 입자상 물질(플랑크톤 포함)에 의해 수주 아래로 감쇠된다.수주에서의 순 광합성은 유광층과 혼합층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바다 표면에서의 풍력에 의한 난류 혼합은 난류가 소산될 때까지 수주를 수직으로 균질화한다(앞서 언급한 혼합층 생성). 혼합층이 깊을수록 혼합층 내의 플랑크톤이 흡수하는 평균 빛의 양은 더 적어진다. 혼합층은 유광층보다 얕거나 유광층보다 훨씬 깊을 수 있다. 혼합층이 유광층보다 훨씬 깊을 때는 플랑크톤이 순 성장이 일어나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을 어둠 속에서 보내게 된다. 순 성장이 일어날 수 있는 혼합층의 최대 깊이를 임계 깊이라고 한다. 충분한 영양분이 공급되는 한, 혼합층이 임계 깊이보다 얕을 때마다 순 1차 생산이 발생한다.
thumb의 연평균 해수면 질산염. 데이터 출처: 세계 대양 지도 [http://www.nodc.noaa.gov/OC5/WOA09/pr_woa09.html 2009].]]
혼합은 영양분에 의한 1차 생산량 제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질산염, 인산염, 규산과 같은 무기 영양분은 식물 플랑크톤이 세포와 세포 기구를 합성하는 데 필요하다. 중력에 의한 입자 물질(예: 플랑크톤, 죽은 물질 또는 배설물)의 침강으로 인해 영양분은 광합성대에서 지속적으로 손실되며, 더 깊은 물의 혼합 또는 용승에 의해서만 보충된다.
해양 일차 생산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비교적 최근에 발견된 또 다른 요인은 미량 영양소 철이다.[7] 이는 질산 환원 효소 및 질소 고정과 같은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보조 인자로 사용된다.[7] 바다로 유입되는 철의 주요 공급원은 지구의 사막에서 발생하여 바람에 의해 운반되는 풍진이다.[7]
사막에서 멀리 떨어진 해역이나 먼지를 운반하는 바람이 도달하지 않는 해역(예: 남극해 및 북태평양 해역)에서는 철의 부족으로 일차 생산량이 심각하게 제한될 수 있다.[7] 이러한 지역은 때때로 HNLC (고영양, 저엽록소) 지역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철의 부족이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고 다른 영양소의 과잉을 남기기 때문이다.[7]
5. 2. HNLC 해역
철분은 질산 환원 효소 및 질소 고정과 같은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보조 인자로 사용된다.[7] 철의 주요 공급원은 지구의 사막에서 발생하여 바람에 의해 운반되는 풍진이다. 사막에서 멀리 떨어진 해역이나 먼지를 운반하는 바람이 도달하지 않는 해역(예: 남극해 및 북태평양 해역)에서는 철분 부족으로 일차 생산량이 심각하게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은 때때로 HNLC (High Nutrient - Low Chlorophyll; 고영양, 저엽록소) 지역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철분 부족이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고 다른 영양소의 과잉을 남기기 때문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일차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를 격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러한 지역에 철 시비를 도입하는 것을 제안했다.[8]5. 3. 한국의 해양 생태계
6. 일차 생산량 측정 방법
일차 생산량 측정 방법은 총 생산량과 순 생산량 중 무엇을 측정하려는지, 그리고 육상 생태계와 수생(해양) 생태계 중 어디에 초점을 맞추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총 생산량은 호흡으로 인해 순 생산량보다 측정하기가 거의 항상 더 어렵다. 호흡은 일차 생산의 일부 산물(즉, 당분)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전에 소비하는 지속적이고 진행 중인 과정이기 때문이다. 또한 육상 생태계는 총 생산량의 상당 부분이 지하 기관 및 조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더 어렵다. 지하 기관 및 조직은 측정이 물류적으로 어렵다. 얕은 물의 수생 생태계도 이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규모 또한 측정 기술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식물 조직, 기관, 전체 식물 또는 플랑크톤 시료의 탄소 동화율은 생화학 기반 기술로 정량화할 수 있지만, 이러한 기술은 대규모 육상 현장 상황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순 일차 생산량이 거의 항상 원하는 변수이며, 추정 기술에는 시간에 따른 건조 중량 생물량 변화를 추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포함된다. 생물량 추정치는 종종 경험적으로 결정된 변환 계수에 의해 킬로칼로리와 같은 에너지 측정값으로 변환된다.
기초 생산량은 주로 세 가지 기법으로 측정된다.
- 산소 명암 병법: 병에 담은 해수 중 용존 산소량의 변화를 측정한다. (1927년부터 사용된 기법).
- 14C (또는 13C) 첨가법[35]: 중탄산 나트륨 분자 중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탄소 12가 동위 원소 탄소 14 (13)로 바뀌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1952년에 발표된 Steeman-Nielsen법).
- 광학 측정: 생체 내의 형광 물질 측정한다. 가시 방사계에 의한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 인공위성에 의한 파장 분석 등, 보다 최신의 기법으로 현재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기법은 14C (또는 13C) 법으로, 다른 여러 배양기 (자연광 또는 인공광 하에서), 다른 여러 시간 단위 (수 시간에서 하루)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배양 시간에 따라, 총 기초 생산량과 순 기초 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다. 총 생산량은 호흡에 의한 손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순수하게 광합성으로 합성된 유기물의 탄소량을 추정할 때는, 총 생산량에서 호흡량을 뺀 순 생산량을 구한다. 순 기초 생산량은 짧은 배양 시간 (1시간)으로 추정된다. 배양 중, 흡수된 14C는, 호흡과 유기물의 배출 시에 감소하지만, 단시간의 경우 그 감소량은 제한되기 때문이다. 한편, 배양 시간을 길게 하면 그 배출 과정은 커지고, 흡수된 탄소 동위 원소가 그 후 호흡에 의해 소실되는 비율은 10-60%로, 환경 조건과 종의 차이에 따라 변화한다.
기초 생산은 복잡한 과정이며, 자연의 탄소 플럭스를 해양 시스템 내에서 추정할 때는 엄밀한 주의가 필요하다.
6. 1. 육상 생태계 측정 방법
육상 생태계에서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순 일차 생산량(NPP)을 측정한다. NPP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현장 측정은 조사자와 생물군계에 따라 다르다. 현장 추정치는 지하 생산성, 초식, 전환, 낙엽, 휘발성 유기 화합물, 뿌리 삼출액 및 공생 미생물에 대한 할당을 거의 고려하지 않아 NPP를 과소 평가할 수 있다.[9][10] 그러나 많은 현장 측정은 NPP와 잘 상관 관계가 있으며, NPP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현장 방법에 대한 많은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졌다.[9][10][11] 가스 플럭스 측정으로 생태계 호흡, 즉 생태계에서 생성되는 총 이산화탄소의 추정치도 가능하다.주요 미고려 풀은 지하 생산성, 특히 뿌리의 생산 및 전환이다. 지하 NPP (BNPP)는 직접 측정보다는 지상 NPP와 지하 NPP의 비율(ANPP:BNPP)을 기준으로 추정되는 경우가 많다.
총 1차 생산량은 에디 공분산 기술로 측정한 이산화탄소의 순 생태계 교환(NEE) 측정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야간에 측정된 생태계 호흡의 모든 구성 요소는 주간 값으로 조정되어 NEE에서 추가로 빼진다.[12]

가장 흔하게, 최고 현존 생물량은 순 1차 생산량(NPP)을 측정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잔존하는 낙엽이 있는 시스템에서는 살아있는 생물량이 흔히 보고된다. 최고 생물량의 측정은 해당 시스템이 주로 1년생 식물일 경우 더 신뢰할 수 있지만, 강한 계절적 기후에 의해 동기화된 현상학이 있다면 다년생 측정 역시 신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초원에서 연간 순 1차 생산량(ANPP)을 2배(온대)에서 4배(열대)까지 과소평가할 수 있다.[10] 살아있는 생물량과 죽은 생물량의 반복적인 측정은 모든 초원, 특히 큰 회전율, 빠른 분해, 최고 생물량 시기의 종간 변동이 있는 초원에 대해 보다 정확한 추정치를 제공한다. 습지 생산성(습지와 늪)도 유사하게 측정되며, 유럽에서는 매년 풀을 베는 작업으로 습지의 연간 생물량 증가가 명확해진다.

숲 생산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초원보다 더 다양하다. 임분 특정 계측생장에 기반한 바이오매스 증가와 낙엽은 지상 순 1차 생산량(ANPP)을 적절하지만 불완전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간주된다.[9] ANPP의 대용으로 사용되는 현장 측정에는 연간 낙엽, 직경 또는 바닥 면적 증가(DBH 또는 BAI) 및 부피 증가가 포함된다.
6. 2. 해양 생태계 측정 방법
해양 생태계에서 일차 생산량은 일반적으로 다음 6가지 주요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된다.[13]- 산소 명암 병법: 1927년 Gaarder와 Gran이 개발한 방법으로, 밀폐된 용기 내 산소 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총 일차 생산량을 추론한다. 투명 용기에 시료수를 채우고 마개로 막은 후, 빛 아래와 어두운 곳에서 배양하여 산소 농도를 비교한다. 어두운 용기에서는 생태계 호흡이, 빛이 있는 용기에서는 순 광합성이 일어나므로, 이 둘을 통해 총 일차 생산량을 계산한다.[13]
- 방사성 동위원소(¹⁴C, ¹³C) 추적법: ¹⁴C (또는 ¹³C)를 유기물에 혼입시켜 일차 생산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4][15] ¹⁴C는 방사성 붕괴를 통해 베타 붕괴를 일으키므로, 섬광 계수기를 이용하여 유기 물질 내 혼입을 비교적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배양 시간에 따라 순 또는 총 일차 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다.
- 산소 안정 동위원소(¹⁶O, ¹⁸O, ¹⁷O) 측정법: 산소의 안정 동위원소(¹⁶O, ¹⁸O, ¹⁷O)를 이용하는 방법이다.[16][17]
- 형광 동역학 측정법: 현재 연구 중인 기술이다.
- 탄소 안정 동위원소(¹²C, ¹³C) 측정법: 탄소의 안정 동위원소(¹²C, ¹³C)를 이용하는 방법이다.[18]
- 산소/아르곤 비율 측정법: 산소/아르곤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으로,[19] 평형 장치 유입 질량 분석법(EIMS)[20] 또는 막 유입 질량 분석법(MIMS)을 사용하여 해상에서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21]
이 외에 기초 생산량은 주로 산소 명암 병법, 14C (또는 13C) 첨가법, 광학 측정법으로 측정된다.
7. 전 지구적 일차 생산량
인공위성에서 얻은 정규식생지수(NDVI)를 육상 서식지에 적용하고, 해양에서는 해수 엽록소를 사용하여 전 지구적 규모의 일차 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다.[22] 지구 전체의 (광합성 독립영양) 일차 생산량은 연간 104.9 페타그램(Pg C yr−1; 비-SI 단위인 Gt C yr−1과 동일)으로 추정되었다.[22] 이 중 56.4 Pg C yr−1 (53.8%)은 육상 생물의 생산량이었으며, 나머지 48.5 Pg C yr−1은 해양 생산량이었다.[22]
면적 기준으로 육상 생산량은 약 426 g C m−2 yr−1(영구적인 얼음이 덮인 지역 제외), 해양 생산량은 140 g C m−2 yr−1으로 추정되었다.[22] 한편, 해양 독립영양 생물은 전체 생산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지만, 전체 생물량의 약 0.2%만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육상과 큰 차이를 보인다.[22]
8. 인간의 영향과 일차 생산량 전용(HANPP)
인간 사회는 지구의 순 일차 생산량(NPP) 순환의 일부이지만, 이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30] 1996년, 조셉 가리(Josep Garí)는 인간의 NPP 전용 추정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개발의 새로운 지표를 설계했다. 그는 이를 "HANPP"(Human Appropriation of Net Primary Production, 인간 순 일차 생산량 전용)라고 명명하고 유럽 생태 경제학회 창립 회의에서 소개했다.[31]
인간이 지구 자원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은 주로 토지 이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실제 NPP'' (NPPact)에 다양한 수준의 영향을 미친다. 나일강 계곡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관개로 인해 1차 생산량이 상당량 증가했지만,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9.6%의 ''토지 변화로 인한 NPP 감소'' (ΔNPPLC)가 나타나는 뚜렷한 추세가 있다.[32] 인간의 최종 소비는 전체 HANPP [30]를 ''잠재 식생'' (NPP0)의 23.8%까지 증가시킨다.[32] 2000년에는 지구의 얼음이 없는 육지 면적의 34% (12%는 경작지, 22%는 목초지)가 인간의 농업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33] 이러한 불균형적인 양은 다른 종에게 이용 가능한 에너지를 감소시켜 생물 다양성, 탄소, 물, 에너지의 흐름, 그리고 생태계 서비스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32]
9. 과거의 일차 생산량 추정
오늘날의 일차 생산량은 선상 측정, 위성 및 육상 관측소를 포함한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과거 추정치는 생지화학 모델과 지구화학적 프록시에 의존해 왔다. 한 예로 바륨을 사용하는 것이 있는데, 해양 퇴적물 내 중정석 농도는 표면의 탄소 수출 생산량과 일치하여 증가한다.[24][25][26] 또 다른 예는 황산염의 삼중 산소 동위 원소를 사용하는 것이다.[27][28][29] 이러한 기록들은 지구의 과거 전체에서 일차 생산량의 큰 변화를 보여주며, 지구의 대산소화 사건 (약 24억~20억 년 전)과 신원생대 (약 10억~5억 4천만 년 전)와 관련된 주목할 만한 증가를 나타낸다.[29]
참조
[1]
논문
Terrestrial Higher Plant Respiration and Net Primary Production
Academic Press
[2]
학술지
The Biological Productivity of the Ocean
http://www.mathis-ha[...]
2015-06-01
[3]
웹사이트
Net Primary Productivity : Global Maps
http://earthobservat[...]
2018-03-26
[4]
학술지
Bioenergetics of the Archaea
1999-09-01
[5]
학술지
The Biological Productivity of the Ocean
https://earth-system[...]
2015-06-01
[6]
학술지
Biotic and Human Vulnerability to Projected Changes in Ocean Biogeochemistry over the 21st Century
[7]
학술지
Iron-deficiency limits phytoplankton growth in the Northeast Pacific Subarctic
[8]
학술지
Large decrease in ocean—surface CO2 fugacity in response to ''in situ'' iron fertilization
[9]
학술지
Measuring net primary production in forests: Concepts and field methods
[10]
학술지
Estimating net primary productivity from grassland biomass dynamics measurements
https://zenodo.org/r[...]
[11]
서적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phere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12]
학술지
On the separation of net ecosystem exchange into assimilation and ecosystem respiration: review and improved algorithm
[13]
논문
Blackwell, Oxford, UK
[14]
학술지
Measurement of production of organic matter in sea by means of carbon-14
[15]
학술지
The use of radioactive carbon (C14) for measuring organic production in the sea
[16]
학술지
A Comparison of 4 Methods for Determining Planktonic Community Production
[17]
학술지
Assessment of oceanic productivity with the triple-isotope composition of dissolved oxygen
[18]
학술지
Measurement of planktonic CO2 respiration in the light
[19]
학술지
Oxygen supersaturations in the ocean: biological vs. physical contributions
[20]
학술지
Continuous high-frequency dissolved O2/Ar measurements by equilibrator inlet mass spectrometry
[21]
학술지
Marine productivity estimates from continuous O-2/Ar ratio measurements by membrane inlet mass spectrometry
[22]
학술지
Primary production of the Biosphere: Integrating Terrestrial and Oceanic Components
http://www.escholars[...]
[23]
학술지
Terrestrial Gross Carbon Dioxide Uptake: Global Distribution and Covariation with Climate
https://hal-cea.arch[...]
[24]
학술지
Barium as a productivity proxy in continental margin sediments: a study from the eastern Arabian Sea
[25]
논문
Chemistry of pelagic sediments
[26]
학술지
Barium in Deep-Sea Sediment: A Geochemical Proxy for Paleoproductivity
http://oceanrep.geom[...]
[27]
학술지
Triple oxygen isotope evidence for limited mid-Proterozoic primary productivity
https://www.nature.c[...]
2018-07
[28]
학술지
Claypool continued: Extending the isotopic record of sedimentary sulfate
https://www.scienced[...]
2019-05-20
[29]
학술지
The geologic history of primary productivity
https://doi.org/10.1[...]
2023-11
[30]
학술지
Human appropriation of the products of photosynthesis
http://www.biology.d[...]
[31]
학술지
HANPP calculated from land cover as indicator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32]
학술지
Quantifying and mapping the human appropriation of net primary production in Earth's terrestrial ecosystems
[33]
학술지
Farming the planet: 1. Geographic distribution of global agricultural lands in the year 2000
[34]
학술지
Our share of the planetary pie
[35]
학술지
海洋における植物プランクトンの生理生態と物質循環における役割に関する研究
[36]
서적
현대생태학
교문사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