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 (백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수(백제)는 602년 신라와의 전쟁에서 백제군을 이끌었던 인물이다. 부여족 출신으로 백제 건국 초부터 중앙 정계에서 활약한 해씨 가문은 백제 건국 세력인 온조왕과는 다른 세력이었다.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해루는 부여에서 이주해 온 인물로, 십제에 통합되어 백제의 성장을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씨 (백제) - 해구 (백제)
해구는 백제 문주왕을 시해하고 삼근왕을 옹립하여 국정을 장악했으나,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당한 인물이다. - 해씨 (백제) - 해충 (백제)
아신왕 사후 전지왕 옹립에 기여한 해충은 해씨 가문 출신으로, 전지왕 즉위 후 달솔에 임명되어 조세를 하사받는 등 백제 초기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 백제의 장군 - 흑치상지
흑치상지는 백제 부흥 운동에 참여했다가 당나라에 투항하여 당나라 장군으로 활약하며 티베트, 돌궐과의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모함으로 옥사 후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백제의 장군 - 곤지
곤지는 백제 개로왕의 아들이자 문주왕의 동생으로, 일본에 파견되어 가와치 지역 개척에 기여했으며 귀국 후 내신좌평에 임명되었고 무령왕 탄생 설화와 관련되어 일본에서 숭배받는 인물이다. - 백제의 좌평 - 백가 (귀족)
백가는 백제 시대 웅진 토착 호족 출신 귀족으로, 위사좌평에 임명되어 숙위병을 관장하다 가림성 부임 문제로 동성왕을 시해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무령왕에 의해 진압 및 처형되었다. - 백제의 좌평 - 상좌평
상좌평은 백제 시대에 존재했던 관직으로, 군사와 정사를 담당했으며 부여신, 해수, 사택기루 등이 역임했다.
해수 (백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해수 |
한글 | 해수 |
한자 | 解讐 |
히라가나 | かい しゅう |
로마자 표기 | Hae Su |
귀족 정보 | |
작위 | 백제의 좌평 |
군주 | 백제 무왕 |
가문 | 해씨 |
군사 정보 | |
소속 | 백제군 |
주군 | 백제 무왕 |
지휘 | 백제 보기(步騎) |
참전 | 천산 전투 |
2. 기원 및 출자
대성팔족 중 하나인 해씨는 부여족 출신으로, 백제 건국 초부터 중앙 정계에서 활약하였다. 그러나 백제 건국자인 온조왕과는 다른 세력이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온조왕의 아버지 주몽은 부여에서 난을 피해 졸본으로 이동했다. 부여왕은 주몽을 비범하게 여겨 둘째 딸과 혼인시켰고, 이후 주몽이 부여왕의 뒤를 이었다. 주몽의 아들인 비류와 온조는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얻은 아들이 태자가 되자, 남쪽으로 이동하여 각각 미추홀과 위례성에 정착하였다.
비류와 온조는 졸본를 떠나 이민 후 소국을 건국한 것으로 보아, 일정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강 유역에는 비류와 온조 집단 외에도 북방에서 온 이민 집단이 있었는데, 이들은 "십제"와는 다른 소국을 건국하였다. 삼국사기 온조왕 41년조에는 오부의 북부에 속하는 해루를 "우보"로 삼고, 해루는 본래 부여인이라는 기록이 있다.[3]
2. 1. 부여족 출신
대성팔족 중 하나인 해씨는 부여족 출신이다.[2] 해씨는 백제 건국 초부터 중앙 정계에서 크게 활약했지만, 백제의 건국자인 온조와는 다른 세력이었기 때문에, 해씨의 국정 참여는 백제의 국정에 참여하는 세력이 확대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2]삼국사기 온조왕 41년조에는, 오부의 북부에 속하는 해루를 "우보"로 삼고, 해루는 본래 부여인이라는 기록을 통해 "십제"의 북쪽에 부여에서 이주해 온 자들이 정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그러한 부여에서 이민해 온 세력이 "십제"에 통합되어 "백제"의 성장을 이끌었다는 내용이 있다.[3]
2. 2. 온조왕과의 관계
해씨는 부여족 출신으로 백제 건국 초기부터 중앙 정계에서 활약했지만, 온조왕과는 다른 세력이었다.[2] 따라서 해씨의 국정 참여는 백제 국정에 참여하는 세력이 확대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2]『삼국사기』 온조왕 41년조에는 오부의 북부에 속하는 해루를 우보로 삼았으며, 해루는 본래 부여인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십제의 북쪽에 부여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정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부여계 이민 세력은 십제에 통합되어 백제의 성장을 이끌었다.[3]
3. 역사적 배경
대성팔족 중 하나인 해씨는 부여계 출신으로, 백제 건국 초기부터 중앙 정계에서 크게 활약했다.[2] 해씨는 백제의 건국자인 온조와는 다른 세력이었기 때문에, 해씨의 국정 참여는 백제의 국정에 참여하는 세력이 확대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2]
3. 1. 백제 건국 초기
대성팔족 중 하나인 해씨는 부여계 출신으로, 백제 건국 초부터 중앙 정계에서 크게 활약했다.[2] 그러나 해씨는 백제의 건국자인 온조와는 다른 세력이었기 때문에, 해씨의 국정 참여는 백제의 국정에 참여하는 세력이 확대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2]주몽은 부여에서 난을 피해 졸본으로 이동했다. 졸본 부여 왕에게는 아들이 없었고 딸 셋이 있었는데, 주몽을 보고 비범한 인물임을 알고 둘째 딸을 아내로 삼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부여왕이 죽자 주몽이 왕위를 계승했다. 주몽은 두 아들을 낳았는데, 장자는 비류, 차자는 온조였다. 주몽이 부여에 있을 때 얻은 아들이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이 태자에게 용납되지 못할까 두려워 오간, 마려 등 열 명의 신하와 많은 백성들과 함께 남쪽으로 이동했다.
비류는 미추홀에 정착하려 했으나, 열 명의 신하들은 "이 하남 땅은 북쪽으로 한수를 끼고 동쪽으로 높은 산을 의지하며, 남쪽으로는 기름진 땅을 바라보고, 서쪽으로는 큰 바다를 막고 있으니, 천연의 요새와 지리적 이점을 얻기 어려운 곳입니다. 이곳에 도읍을 세우는 것이 옳지 않겠습니까?"라고 간언했다. 비류는 이 말을 듣지 않고 미추홀에 정착했다. 온조는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열 명의 신하를 보좌로 삼아 나라 이름을 십제라고 하니, 이는 전한 성제 홍가 3년(기원전 18년)의 일이었다.
미추홀의 땅이 습하고 물이 짜서 살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은 비류는 위례성으로 돌아왔다. 위례성의 도읍이 안정되고 백성이 편안한 것을 본 비류는 부끄러워 자결했고, 미추홀의 백성들은 모두 위례성으로 이동했다. 이후 온 백성이 기뻐하며 따르자 국호를 백제로 고쳤다.[3]
"십제"와 "미추홀"의 건국자로 기록된 비류와 온조는 개인적인 정치 세력이 아니었다. 졸본 부여를 떠나 이민 후 소국을 건국한 것으로 보아, 일정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었던 것은 틀림없다.[3] 비류와 온조는 열 명의 가신과 많은 사람들을 거느리고 있었다.[3] 그러나 "십제"의 건국지였던 한강 유역에는 비류와 온조 집단 외에도 북방에서 온 이민 집단이 있었다.[3]
3. 1. 1. 십제와 백제
해씨는 부여족 출신으로 대성팔족 중 하나이다.[2] 해씨는 백제 건국 초부터 중앙 정계에서 크게 활약했지만, 백제의 건국자인 온조와는 다른 세력이었다.[2] 따라서 해씨의 국정 참여는 백제의 국정에 참여하는 세력이 확대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2]『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온조의 아버지는 주몽이며, 주몽은 북부여에서 도망쳐 부여에 이르러 부여왕의 둘째 딸과 혼인하여 두 아들을 낳았다. 장자는 비류, 차자는 온조이다.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얻은 아들이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오간, 마려 등 열 명의 신하와 많은 백성들과 함께 남쪽으로 이동했다. 비류는 미추홀에 정착하고, 온조는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십제라 칭했다. 이후 미추홀의 백성들이 위례성으로 귀속되면서 국호를 백제로 고쳤다.[3]
비류와 온조는 부여를 떠나 이민 후 소국을 건국한 것으로 보아, 일정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었다.[3] 그러나 한강 유역에는 비류와 온조 집단 외에도 북방에서 온 이민 집단이 있었으며, "십제" 주변에는 "십제"와는 다른 이민이 건국한 소국이 있었다.[3] 『삼국사기』 온조왕 41년조에는 해루가 "우보"로 임명되었고, 해루는 본래 부여인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십제"의 북쪽에 부여에서 이주해 온 자들이 정착했으며, 이들이 "십제"에 통합되어 "백제"의 성장을 이끌었음을 알 수 있다.[3]
3. 2. 삼국사기의 기록
대성팔족 중 하나인 해씨는 부여 출신이다.[2] 해씨는 백제 건국 초기부터 중앙 정계에서 크게 활약했지만, 온조와는 다른 세력이었다. 해씨의 국정 참여는 백제의 국정에 참여하는 세력이 확대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2]『삼국사기』 온조왕 41년조에는 오부의 북부에 속하는 해루를 "우보"로 삼았으며, 해루는 본래 부여인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십제"의 북쪽에 부여에서 이주해 온 자들이 정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한 부여에서 이민해 온 세력이 "십제"에 통합되어 "백제"의 성장을 이끌었다.[3]
4. 주요 인물
602년, 신라의 침공에 맞서 백제군을 이끌었으나 패배한 해수[1], 대성팔족 중 하나인 해씨 출신으로 백제 건국 초기부터 중앙 정계에서 활약한 해루[2]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삼국사기』에는 온조왕 41년에 해루를 "우보"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3]
4. 1. 해수
602년, 신라가 국경 서쪽에 소타, 외석, 천산, 옹잠의 네 성을 축조한 후, 백제를 침공했다. 해수는 백제군을 이끌고 네 성을 공격했지만, 신라의 장군 건품과 무은이 반격하여 퇴각하고 복병했다[1]。 해수는 추격해 온 무은을 급습했지만, 무은의 아들 귀산과 "소장" 추항이 항전했다. 결국 전쟁은 백제군의 패배로 끝나고, 해수는 간신히 목숨을 건져 단기로 백제로 귀국했다[1]。4. 2. 해루
대성팔족 중 하나인 해씨는 부여계 출신이다.[2] 해씨는 백제 건국 초부터 중앙 정계에서 크게 활약했지만, 백제의 건국자인 온조와는 다른 세력이었다.[2] 해씨의 국정 참여는 백제의 국정에 참여하는 세력이 확대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2] 『삼국사기』 온조왕 41년조에는 오부의 북부에 속하는 해루를 "우보"로 삼았으며, 해루는 본래 부여인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십제"의 북쪽에 부여에서 이주해 온 자들이 정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그러한 부여계 이민 세력이 "십제"에 통합되어 "백제"의 성장을 이끌었다.[3]참조
[1]
뉴스
해수(解讎)
http://encykorea.aks[...]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2]
뉴스
41년 1월 북부의 해루를 우보에 임명하다(0023년 01월 (음))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3]
서적
百濟 初期國家로서 十濟의 形成
国史編纂委員会
199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