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핵확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핵확산은 핵무기가 더 많은 국가로 확산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핵전쟁 위험 증가, 국제 안보 불안정, 군비 경쟁 심화 등의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 초기 핵확산 방지 노력은 기밀 유지, 우라늄 확보, 시설 공격 등을 포함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사회는 핵확산 금지를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주요 국제 조약으로는 핵확산금지조약(NPT)이 있으며,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핵물질 감시 및 안전 조치를 통해 핵확산 방지에 기여한다. NPT는 핵무기 보유국을 제한하고 있지만, 이스라엘, 파키스탄, 인도 등 비가입국의 핵 개발은 한계로 지적된다. 한국은 NPT 가입국으로서 핵확산 방지 노력에 동참하고 있으며, 북한의 핵 개발은 한반도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확산 - 넌-루가 협력적 위협 감소
    넌-루가 협력적 위협 감소 프로그램은 미국 주도로 구소련 지역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 및 해체를 지원하는 국제 협력 프로그램으로, 핵 물질 통제, 과학자 연구 전환, WMD 운반 시스템 제거를 목표로 파괴·해체, 안전·보안, 비무장화·국방 전환의 세 영역에서 추진되었으며, 핵 비확산에 기여했다.
  • 핵확산 - 라파엘 그로시
    라파엘 그로시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외교관이자 국제 공무원으로, 2019년부터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사무총장으로 활동하며 국제적인 핵 관련 문제에 관여하고 있다.
  • 핵무기 개발 계획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핵무기 개발 계획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 대량살상무기 - 핵무기
    핵무기는 핵분열 또는 핵융합 반응을 이용한 대량파괴 무기로, 냉전 시대 핵무기 경쟁을 거치며 위력이 급증하여 국제 안보 위협 및 윤리적 논란과 환경 피해를 야기하며 핵확산금지조약에도 불구하고 핵무기 폐기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대량살상무기 - 천연두
    천연두는 두창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천연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발열과 발진 증상을 보이며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 가능했으나 현재는 백신 접종이 중단되었다.
핵확산
지도 정보
개요
정의핵무기, 핵분열 물질, 핵무기 제조 기술의 확산을 의미하며, 국가 간, 국가 내부, 그리고 비국가 주체 간 확산을 포함
관련 문제핵무기 사용 가능 국가 증가, 불안정 국가의 핵무기 보유, 테러 집단의 핵무기 획득 우려
대처 노력핵확산금지조약(NPT) 등의 국제 조약, 핵무기 통제 및 감시 활동, 외교적 노력
주요 원인안보 위협 인식, 국제적 위신 추구, 지역적 경쟁 심화, 기술 발전, 경제적 이익 추구
역사
초기 핵확산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중국 등 냉전 시기 주요 강대국 중심으로 핵무기 개발 및 보유
냉전 이후인도, 파키스탄 등 제3세계 국가들의 핵무기 개발 시도, 북한의 핵무기 개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무기 포기 사례
핵확산 금지 체제
핵확산금지조약(NPT)핵무기 보유국(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의 핵무기 확산 금지, 비핵무기 보유국의 핵무기 개발 금지 의무를 규정
국제원자력기구(IAEA)핵물질 안전 조치 및 사찰 활동, 핵확산 방지 노력 지원
기타 노력미사일 기술 통제 체제(MTCR) 등 핵무기 운반 수단 확산 방지 노력, 핵물질 통제 및 보안 강화, 관련 연구 및 개발 제한
핵확산의 위험성
핵전쟁 가능성 증가핵무기 보유국 증가로 인해 핵무기 사용 가능성 증대, 오판, 오작동, 테러 등으로 인한 핵전쟁 발발 위험 증가
지역적 불안정 심화핵무기 보유국 간 긴장 고조, 핵무기 경쟁 심화, 지역적 불안정 확산
비국가 주체에 의한 핵무기 사용 가능성테러 집단 또는 범죄 조직의 핵무기 획득 및 사용 가능성 증가
핵물질 테러 위험핵물질 도난, 불법 거래, 방사능 무기 제조 등의 핵테러 발생 가능성
국제 안보 체제 약화핵무기 확산으로 인해 기존 국제 안보 체제 약화, 국제적 협력 및 갈등 해결 어려움 증가
핵무기 보유 국가 현황
핵무기 보유 인정 국가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핵확산금지조약(NPT)상 핵무기 보유국)
사실상 핵무기 보유 국가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미신고 핵무기 보유국)
핵무기 개발 의혹 국가북한 (핵실험 실시, 핵무기 개발 주장)
과거 핵무기 보유 국가남아프리카 공화국 (핵무기 개발 후 자진 폐기),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소련 붕괴 후 핵무기 폐기)
관련 단어
핵무기핵분열 또는 핵융합 반응을 이용한 폭탄
핵무기 경쟁서로 핵무기를 늘리거나 개발하려는 경쟁
핵무기 감축핵무기 수를 줄이려는 노력
핵억지력핵무기를 사용하여 적의 공격을 막으려는 전략
핵테러테러 집단이 핵무기나 핵물질을 사용하여 하는 테러
핵안보핵무기와 핵물질을 안전하게 관리하려는 노력
국제 협력 노력
핵확산금지조약(NPT)핵무기 확산을 막기 위한 가장 중요한 국제 조약
국제원자력기구(IAEA)핵물질 감시 및 사찰, 핵확산 방지 노력 지원
미사일 기술 통제 체제(MTCR)미사일과 같은 핵무기 운반 수단 확산 방지
핵안보정상회의핵안보 강화를 위한 국제 정상급 회의
지역별 비핵지대특정 지역 내에서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는 구역 설정
핵확산 관련 사건
인도 핵실험1974년 인도가 최초로 핵실험을 실시
파키스탄 핵실험1998년 파키스탄이 핵실험을 실시
북한 핵실험2006년부터 여러 차례 핵실험 실시
이란 핵 개발 프로그램이란의 핵 개발 시도 관련 논란
리비아 핵무기 포기리비아가 핵무기 개발 계획 포기 선언
핵무기 확산에 대한 윤리적 문제
핵무기 보유의 정당성핵무기 보유가 국가 안보를 위해 정당한가에 대한 윤리적 논쟁
핵무기 사용의 윤리성핵무기 사용이 가져올 대규모 인명 피해와 파괴에 대한 윤리적 문제
핵무기 확산의 책임핵무기 확산에 대한 국가와 개인의 책임에 대한 윤리적 논쟁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해리 S. 트루먼 행정부는 1946년 베르나르 바루흐의 이름을 딴 바루흐 계획[5]을 제안하면서 핵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이 시작되었다. 바루흐 계획은 모든 군사용 핵물질 및 활동을 소유하고 통제할 "국제 원자력 개발 기구"의 설립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조차도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는 자동 제재 시스템을 통해 핵무기나 핵분열성 물질 제조 능력을 얻으려는 국가들을 처벌하는 것을 제안했다.

바루흐는 핵무기 파괴를 촉구하며, "우리는 세계 평화 또는 세계 파괴를 선택해야 합니다."[6]라는 말로 핵윤리 분야를 시작하는 데 기여했다. 바루흐 계획은 광범위한 국제적 지지를 받았지만, 소련이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계획이었기 때문에 유엔 원자력 위원회(UNAEC)에서 나오지 못했다.

1953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유엔 총회에서 "평화를 위한 원자력" 제안을 했고, 이는 1957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설립으로 이어졌다.[7] "평화를 위한 원자력" 프로그램에 따라 전 세계 수천 명의 과학자들이 핵과학 교육을 받았고,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이 자국에서 비밀 무기 프로그램을 추진했다.[7]

1960년대 초,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가 핵무기를 확보하면서 핵무기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국제 협정을 체결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7] 이러한 노력은 1964년 중국의 핵무기 실험 이후 다시 시작되었고, 1968년 18개국 군축위원회(ENDC)에서 핵확산금지조약(NPT) 협정문에 대한 협상을 마쳤다. 1968년 6월 유엔 총회는 NPT를 승인했고, 1970년 3월 NPT가 발효되었다.

1970년대 중반 이후 핵확산 방지 노력의 주요 초점은 핵무기 제조에 필요한 핵분열성 물질과 특수 기술에 대한 국제적 통제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것이었다. 핵무기 프로그램에서 가장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부분은 고농축 우라늄플루토늄의 생성과 유통을 통제하는 것이었다.

3. 핵확산금지조약(NPT)

핵확산금지조약(NPT,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은 핵무기 확산을 막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1968년 18개국 군축위원회(ENDC)에서 협상이 완료되어 워싱턴 D.C., 런던, 모스크바에서 서명을 위해 개방되었고, 1970년 3월에 발효되었다.

이 조약은 중화인민공화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을 포함한 189개국이 당사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NPT는 핵무기 보유국과 비핵무기 보유국을 구분하여, 비핵무기 보유국의 핵무기 개발을 금지하고 핵무기 보유국의 핵군축 노력을 의무화한다.[8]

NPT 체제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조치를 통해 핵물질의 평화적 이용을 보장하고 핵무기 전용을 방지한다. IAEA는 1957년 유엔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민간 원자력의 국제적 이용 증진과 함께 핵물질이 핵무기나 핵폭발 장치로 전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9] IAEA는 NPT 제3조에 따라 안전조치 체제를 운영하며, 우라늄과 플루토늄의 민간 재고 및 관련 시설과 기술이 평화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되도록 보장한다.[8]

IAEA 안전조치는 핵물질 회계, 물리적 보안, 봉인 및 감시 등의 방법을 통해 핵물질 전용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제공한다. 핵 시설 운영자는 모든 핵물질의 이동 및 거래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유지하고 신고해야 하며, IAEA는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이를 확인한다. 1990년대에는 신고되지 않은 핵 활동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IAEA는 안전조치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추가 의정서를 도입했다. 1997년 IAEA 이사회에서 합의된 모델 추가 의정서는 IAEA의 검사 권한을 확대하고, 국가들이 핵 및 핵 관련 활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구한다.

3. 1. NPT의 한계와 비판

핵확산금지조약(NPT)은 1968년 이전에 핵실험을 한 국가만을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하고, 그 외 국가는 핵무기를 포기하는 조건으로만 조약에 가입할 수 있는 비핵무기국으로 취급하여 차별적이라는 비판이 있다.[108]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은 NPT에 가입하지 않았으며, 이들 국가는 핵무기를 개발하거나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NPT 체제의 한계를 보여준다. 특히 인도와 파키스탄은 각각 1974년과 1998년에 핵실험을 실시했다. 북한은 1985년 NPT에 가입했으나 2003년 탈퇴하고 2006년 첫 핵실험을 실시하여[107] NPT 체제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4. 국제원자력기구(IAEA)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1957년 유엔 산하 독립기구로 설립되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증진과 핵무기 전용 방지라는 두 가지 주요 목표를 추구한다. IAEA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이 1953년 유엔 총회에서 제안한 "평화를 위한 원자력" 구상에 따라 설립되었다.[7]

IAEA는 핵확산금지조약(NPT) 제3조에 따라 안전조치 체제를 운영한다. 이 체제는 우라늄플루토늄 등 핵물질과 관련 시설 및 기술이 평화적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핵무기 개발에 전용되지 않도록 감시한다. IAEA는 회원국들이 제출한 핵물질 관련 보고서를 검토하고, 정기적으로 핵 시설을 사찰하여 핵물질 재고를 확인하며, 핵물질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다.[8] 이러한 안전조치는 핵물질 전용을 조기에 탐지하여 핵확산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IAEA의 안전조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요소설명
물질 계량핵 시설의 모든 핵물질 입출고 및 흐름을 추적하고, 핵물질 샘플링 및 분석, 현장 검사, 운영 기록 검토 및 검증을 포함한다.
물리적 보안핵물질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다.
봉인 및 감시봉인, 자동 카메라 및 기타 장비를 사용하여 핵물질의 무단 이동이나 변조를 감지하고, 현장에서 표본 검사를 실시한다.



NPT 비핵무기국은 이러한 전면적 안전조치를 수용해야 하며, 핵무기 보유국과 NPT 비가입국(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은 시설별 안전조치를 적용받는다. IAEA는 NPT 조항을 강제할 권한은 없지만, 이라크북한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안전조치는 외교적, 정치적, 경제적 조치를 통해 뒷받침될 수 있다.[107]

1990년대 이라크와 북한의 핵 개발 의혹은 IAEA 안전조치 체제의 한계를 드러냈고, 이에 따라 안전조치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4. 1. IAEA 안전조치 강화

1990년대 이라크와 북한의 핵 개발 의혹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조치 체제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1] 이라크는 신고된 시설에서 안전 조치를 준수하면서도 비밀리에 우라늄 농축을 시도했고, 북한은 연구용 원자로와 핵 재처리 시설을 이용해 무기급 플루토늄 생산을 시도했다.[1] 이러한 사건들은 기존 안전조치의 한계를 드러냈고, 미신고 핵 활동에 대한 탐지 능력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1] 이에 IAEA는 안전조치 체제 강화를 추진했다. 특히, 국가의 공식적인 선언 외에 미신고 핵 활동을 탐지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1]

5. 각국의 핵확산

핵확산금지조약(NPT)은 핵무기 확산을 막기 위한 국제 조약으로, 1968년 체결되어 1970년 발효되었다. 이 조약은 1968년 이전에 핵무기 실험을 한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5개국을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한다.

NPT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 중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은 핵무기를 개발했거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은 1985년 NPT에 가입했으나 2003년 탈퇴 후 핵실험을 강행하여 국제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107]

다음은 각국의 핵확산 관련 현황이다.

국가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 여부핵무기 보유 여부비고
미국가입 (1970년)인정
러시아가입 (1970년)인정
영국가입 (1970년)인정
프랑스가입 (1992년)인정
중국가입 (1992년)인정
인도미가입보유 추정1974년, 1998년 핵실험
파키스탄미가입보유 추정1998년 핵실험
이스라엘미가입보유 추정의도적인 모호성 정책 유지
북한탈퇴 (2003년)보유2006년, 2009년, 2013년 핵실험[107]



이 외에도 이란은 핵무기 개발 의혹을 받고 있으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받고 있다. 일본은 핵무기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평화헌법에 따라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고 있다.

이중용도 기술은 민간 원자력 기술이 군사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을 의미한다.[10] 원자력 프로그램과 관련된 많은 기술과 재료는 핵무기용 핵물질로 전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중 용도 기능을 가진다. 이란의 핵 활동을 둘러싼 위기가 그 예이다.[10]

핵공급국그룹(Nuclear Suppliers Group)은 1978년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수출 규칙 지침을 전달하여 핵물질이나 장비 이전이 핵연료 사이클이나 핵폭발 활동에 전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1970년대 핵무기 개발을 시도했으나, 미국의 압력과 국제사회의 우려로 중단했다.[20] 1978년 9월 미국의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을 국산화한 백곰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지만,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사망 이후 핵무기 개발은 중단되었다.

대한민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국으로서 핵확산 방지 노력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조치는 핵물질이 핵무기 확산에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은 추가 의정서 발효를 통해 핵 투명성을 높이고 국제 핵확산 방지 체제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핵무기 개발에 반대하며, 한반도 비핵화와 국제 핵확산 방지 체제 강화를 지지한다.

5.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흔히 북한으로 알려짐)은 1985년 NPT에 가입했으나, 2003년 탈퇴를 선언했다.[16] 북한은 영변 원자로에서 추출한 플루토늄을 핵무기에 사용하려 한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1993년 북한의 NPT 탈퇴 위협은 1994년 제네바 합의로 이어졌고, 이 합의는 북한의 플루토늄 프로그램 동결을 조건으로 하였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 A.Q. 칸은 북한을 13번 방문했고, A. Q. 칸 연구소 주도로 북한과의 미사일 협력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2002년 미국 정보 당국은 파키스탄이 북한에 핵무기 개발 장비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2005년 핵무기 보유를 선언하고, 2006년, 2009년, 2013년에 걸쳐 핵실험을 강행했다. 특히 2013년 핵실험은 6kt~7kt의 추정 수율을 기록했다. 이러한 북한의 핵 개발은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를 초래했으며,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5. 3. 일본

일본은 1970년 미국 핵미사일을 나이키 J 미사일로 라이선스 생산했는데, 당시 이 수준의 미사일은 정확도와 비용 문제 때문에 핵탄두만이 유용했다. 2002년 5월 아베 신조 총리는 "원자폭탄을 갖는 일이 일본 헌법상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1]

5. 4.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핵무기 보유 여부에 대해 공식적으로 확인도 부인도 하지 않는 "의도적인 모호성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47] 이스라엘은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 중 하나이다.[12]

이스라엘은 최대 수백 개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46] 네게브 핵 연구 센터에 핵시설을 두고 있다. 이 시설은 디모나 남쪽 약 10km 지점에 위치하며, 1958년 프랑스의 지원으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스라엘과 프랑스 정부는 공식적으로 네게브 사막을 "녹화"하기 위한 "담수화 플랜트" 가동용 원자로 건설이 목적이라고 밝혔지만, 대부분의 국방 전문가들은 디모나 원전의 목적이 핵무기 제조라고 결론 내렸다.

1960년대 초, 미국 정보 기관이 디모나 원전의 목적을 발견하고 국제 검사를 요구하자, 이스라엘은 IAEA가 아닌 미국 검사관을 사용하고 모든 검사에 대한 사전 통보를 받는 조건으로 동의했다. 그러나 검사관들은 이스라엘의 시설 검사 제한으로 인해 검사가 무의미하다고 미국 정부에 알렸고, 1969년 미국은 검사를 중단했다.

1986년, 디모나 원전의 전 기술자였던 모르데카이 바누누는 이스라엘 핵 프로그램에 대한 증거를 언론에 공개했다. 이스라엘 모사드 요원들은 그를 이탈리아에서 체포하여 이스라엘로 압송했고, 이스라엘 법원은 반역죄간첩죄로 비밀리에 재판하여 18년 징역형을 선고했다.[49] 프랭크 바나비는 바누누를 심문하고 이스라엘이 약 150개의 무기에 충분한 플루토늄을 보유하고 있다고 추산했다.[50]

미 공군 확산방지센터에 제출된 보고서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프랑스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유사한 수준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스라엘 과학자들은 프랑스의 핵 개발 노력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었다.[51] 1986년 프랑시스 페랭은 1949년 이스라엘 과학자들이 사클레 핵 연구 시설에 초청되었고, 이 협력을 통해 프랑스와 이스라엘 과학자들, 특히 맨해튼 프로젝트의 지식을 가진 과학자들 사이의 지식 공유를 포함한 공동 노력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52][53][54]

5. 5. 이란

이란은 핵확산금지조약(NPT) 서명국으로서, 핵 기술 관련 작업은 조약에 따라 허용되는 민간 용도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101]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란이 비밀리에 우라늄 농축을 수행함으로써 조약의 안전조치 의무를 위반했다고 밝혔다.[102]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015년 7월까지 모든 우라늄 농축을 중단할 것을 이란에 명령했다.[103]

2003년 IAEA는 이란이 안전조치협정 조항 준수 의무를 위반했다고 보고했다.[58] 2005년 IAEA 이사회는 이란의 NPT 안전조치협정 위반 사항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보고했다.[59][60]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 프로그램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61][62][63][64][65] 이란은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이 평화적인 목적이며,[67][68] 원자력 발전소 연료와 일치하는 "5% 미만"으로 우라늄을 농축했고, 이는 무기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90% 수준보다 훨씬 낮다고 주장한다.[69][70] 2009년 IAEA 사무총장 아마노 유키야는 IAEA 공식 문서에서 이란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71]

이란의 전 대통령 마무드 아마디네자드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이 실시해 온 “핵 아파르트헤이트” 개념을 비판했다. 그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핵 아파르트헤이트, 즉 일부 국가만이 핵무기를 소유하고, 핵연료를 사용하며, 다른 나라에 10배의 가격으로 판매할 권리가 있다는 것에 반대한다."라고 말했다.[101]

6. 핵확산 방지 노력

1970년 3월에 발효된 핵확산금지조약(NPT)은 핵무기 확산을 막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이 조약은 핵무기 보유국이 비핵무기 보유국에 핵무기나 관련 기술을 이전하는 것을 금지하고, 비핵무기 보유국은 핵무기를 개발하거나 획득하는 것을 금지한다.[107] NPT는 1968년 유엔 총회 결의 2373(XXII)로 승인되었으며, 워싱턴 D.C., 런던, 모스크바에서 서명을 위해 개방되었다.[114]

NPT 체제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1990년대에는 신고되지 않은 핵 활동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이라크북한의 사례에서 보듯이, 일부 국가들은 NPT 안전조치 협정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비밀리에 핵무기 개발을 시도했다.[107] 이라크는 신고된 시설 외에 다른 곳에서 우라늄 농축 시설을 설치했고, 북한은 핵 재처리 시설을 이용해 무기급 플루토늄 생산을 시도했다.[107]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NPT 제3조에 따라 안전조치 체제를 운영하며, 핵물질 및 관련 시설과 기술이 평화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되도록 감시한다.[114] IAEA는 정기적으로 민간 원자력 시설을 검사하여 핵물질의 전용을 억제하고, 조기 발견의 위험을 증가시킨다.[114] 이러한 안전조치는 핵 공급국 그룹과 같은 자발적인 기구를 통한 민감한 기술 수출 통제로 보완된다.[114]

IAEA의 안전조치는 다음 세 가지 주요 요소에 의존한다.

요소설명
물질 회계모든 핵물질의 이동 및 거래를 추적하고, 핵물질 샘플링 및 분석, 현장 검사, 운영 기록 검토 및 검증을 포함한다.
물리적 보안핵물질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다.
봉인 및 감시밀봉, 자동 카메라 및 기타 기기를 사용하여 보고되지 않은 핵물질 이동이나 변조를 감지하고, 현장에서 표본 검사를 실시한다.



이중용도 기술은 민간 원자력 기술의 군사적 이용 가능성을 의미하며, 핵연료 사이클의 여러 단계에서 핵무기용 핵물질을 전용할 수 있다.[10] 이란의 핵 활동을 둘러싼 위기가 그 예이다.[10]

핵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은 NPT, IAEA 안전조치, 그리고 핵물질 및 기술 수출 통제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7. 핵확산의 위험성

핵무기 확산은 핵전쟁 발발 가능성을 높이고, 국제 및 지역 안보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핵무기가 테러 집단 등 비국가 행위자의 손에 들어갈 경우, 예측 불가능한 위협이 발생할 수 있다.[96] 핵확산은 국가 간 불신을 심화시키고 군비 경쟁을 촉발할 수 있다.

미어샤이머는 유럽이 냉전 이전의 빈번한 전쟁과 불신의 환경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하며, 동쪽의 독일우크라이나에 핵무기를 장착하여 서쪽의 프랑스/영국과의 세력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지 않으면 유럽 대륙에서 전쟁이 발발할 것이라고 예측했다.[97] 2022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

핵무기 확산에 대한 반론으로 핵 테러 가능성이 제기된다. 일부 국가들은 핵물질 이전이나 폭탄이 정부와 관련 없는 단체의 손에 들어갈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자멸에 대한 억제가 없는 테러 단체는 핵 의제를 추진하거나, 불안정한 정부의 공격 계획을 수행하는 그림자 전선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 확산과 전면적 확산 모두에 대한 반대 주장은 많으며, 일반적으로 이를 지지하는 측의 신현실주의적 가정(예: 국가 의제에서 군사 안보의 우위, 국제기구의 약함, 국가 전략에 대한 경제 통합 및 세계화의 장기적 비중)을 표적으로 한다. 유럽의 경우, 유럽 연합의 발전을 통한 유럽의 경제 통합이 유럽 대륙 대부분에서 전쟁을 경제적으로 너무나 파괴적인 것으로 만들어 효과적인 억제력으로 작용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8. 한국의 관점과 과제

대한민국은 핵확산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핵확산 방지 노력을 적극 지지해야 한다. 북한의 핵 개발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통일에 심각한 장애물이므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한반도 비핵화와 국제 핵확산 방지 체제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면서도, 핵확산 방지 의무를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북한은 1985년 NPT에 가입하고 이후 IAEA와 안전조치 약정을 체결했다. 그러나 북한이 영변의 원자로 연료에서 추출한 플루토늄을 핵무기에 사용하기 위해 전용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45] 이후 사찰 문제와 의심되는 위반 사항에 대한 IAEA와의 대립은 1993년 북한이 NPT 탈퇴를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는 결국 미국과의 협상으로 이어져 1994년 제네바 합의가 체결되었고, 이 합의는 IAEA의 안전조치가 북한의 원자로 및 사용후핵연료에 적용되는 것을 규정했다. 이 사용후핵연료는 북한이 플루토늄을 추출하지 못하도록 미국이 용기에 밀봉했다. 따라서 북한은 플루토늄 프로그램을 동결해야 했다.[45]

이 기간 동안 파키스탄과 북한 간의 미사일 기술 이전 협력이 구축되었다.[45] 1992년 8월~9월 파키스탄 군부 고위급 대표단이 북한을 방문하여 파키스탄에 미사일 기술을 공급하는 문제를 논의했고, 1993년 베나지르 부토 총리는 중국을 여러 차례 방문하고 북한에 국빈 방문을 했다. 이러한 방문들은 파키스탄이 가우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술을 획득하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45] 1992년~1994년 기간 동안 A.Q. 칸은 북한을 13번 방문했고,[45] 북한과의 미사일 협력 프로그램은 A. Q. 칸 연구소 주도로 진행되었다. 당시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파키스탄에 동풍 미사일 시리즈를 공급하지 않도록 압력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묵인 하에 파키스탄이 미사일 이전을 위해 북한에 접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한다. 북한은 로켓 모터, 관성항법장치, 제어 및 시험 장비 등을 포함한 미사일 하위 시스템을 5000만달러에 공급할 의향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45]

북한이 이에 대한 대가로 무엇을 받았는지는 불분명하다. 2002년 11월 27일 ''제인스 디펜스 위클리''에서 조셉 S. 버뮤데즈 주니어는 서방 분석가들이 북한의 미사일 제공 대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많은 이들이 핵 기술을 의심한다고 보도했다. KRL은 우라늄 프로그램과 북한과의 미사일 프로그램 모두를 담당했기에, 이 시기에 파키스탄과 북한 간 핵 기술 협력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서방 정보기관은 KRL과 북한 제2경제위원회(무기 생산 담당) 간 인력, 기술, 부품 교환을 감지하기 시작했다.[45]

2002년 10월 18일 ''뉴욕 타임스''는 미국 정보 당국자들을 인용, 파키스탄이 북한에 핵심 장비를 제공하는 주요 공급국이라고 보도했다. 이 보고서는 가스 원심분리기와 같은 장비가 북한의 미사일 제공에 대한 "물물교환 거래"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워싱턴 타임스''(2002년 11월 22일)의 별도 보고서는 미국 정보 당국이 1999년 초 북한의 핵무기 개발 지속 징후를 포착했다고 밝혔다. 다른 보고서들은 북한이 최소 5년간 핵무기 농축 능력을 은밀히 개발해 왔으며, 파키스탄에서 획득한 기술을 사용했다고 지적했다(''워싱턴 타임스'', 2002년 10월 18일).[45]

참조

[1] 뉴스 Strong sign of North Korean nuclear test as regime calls 6 May party congress https://www.theguard[...] 2016-04-27
[2] 논문 Justice and Fairness in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https://pdfs.semanti[...] 2013-00-00
[3] 서적 The American People, Concise Edition Creating a Nation and a Society, Combined Volume (6th Edition) Longman 2007-00-00
[4] 서적 The Law of Arms Control and the International Non-Proliferation Regime Brill Nijhoff
[5] 웹사이트 The Baruch Plan | Arms Control, Deterrence and Nuclear Proliferation | Historical Documents | atomicarchive.com https://www.atomicar[...]
[6] 웹사이트 The Baruch Plan http://www.atomicarc[...]
[7] 웹사이트 How you helped build Pakistan's bomb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8] 간행물 Beliefs, Cultures, Proliferation and Use of Nuclear Weapons 2000-03-00
[9] 간행물 Proliferation and/or Alliance?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1998-00-00
[10] 논문 Nuclear power without nuclear proliferation? 2009-00-00
[11] 웹사이트 Cheaper, safer alternatives than nuclear fission http://www.thebullet[...] 2011-08-19
[12] 웹사이트 Status of the Additional Protocol https://www.iaea.org[...] 2015-06-11
[13] 웹사이트 NTI Egypt Profile http://www.nti.org/e[...]
[14] 뉴스 When nuclear sheriffs quarrel http://www.economist[...] 2008-10-30
[15] 웹사이트 Technical Difficulties https://2001-2009.st[...]
[16] 웹사이트 International Fuel Services and Commercial Engagement https://www.energy.g[...]
[17] 웹사이트 Iran issues anti-nuke fatwa | World War 4 Report http://www.ww4report[...] Ww4report.com 2005-08-12
[18] 뉴스 IAEA chief: Iran deal possible http://www.cnn.com/2[...] CNN 2006-03-06
[19] 논문 Does the U.S. science-based stockpile stewardship program pose a proliferation threat? http://scienceandglo[...] 1998-00-00
[20] 웹사이트 A fast reactor at any cost: The perverse pursuit of breeder reactors in India https://thebulletin.[...] 2016-11-03
[21] 웹사이트 Indian government takes steps to get nuclear back on track - World Nuclear News http://www.world-nuc[...]
[22] 웹사이트 The Beginning: 1944–1960 http://nuclearweapon[...] Nuclear Weapon Archive
[23] 웹사이트 U.S. – India: Civil Nuclear Cooperation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Archive
[24] 웹사이트 Nuclear Power Development in Pakistan https://docs.google.[...] Pakistan Atomic Energy Commission report to IAEA
[25] 뉴스 Civil nuclear technology: Pakistan wants end to 'discrimination' http://paktribune.co[...] 2012-03-27
[26] 웹사이트 Current Picture of Electrical Energy in Pakistan https://docs.google.[...] Pakistan Atomic Energy Commission Directorate-General for Nuclear Power Generation 2012-07-31
[27] 뉴스 N-deterrent vital to security, says PM Benazir Bhutto http://www.lib.virgi[...] 1995-04-20
[28] 뉴스 India, Pakistan can build hydrogen bomb: Scientist http://www.lib.virgi[...] 2000-03-25
[29] 뉴스 Who Has the Bomb http://www.time.com/[...] 1985-06-03
[30] 서적 Eating Grass: The Making of the Pakistani Bomb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2-11-22
[31] 뉴스 AQ Khan network was 'imports-exports enterprise' http://www.dailytime[...] 2007-08-22
[32] 뉴스 Mush helped proliferate N-technology : AQ Khan http://articles.econ[...] 2008-07-06
[33] 웹사이트 A.Q. Khan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34] 서적 America and the Islamic Bomb: The Deadly Compromise Steerforth Press, 2007
[35] 뉴스 Eye To Eye: An Islamic Bomb http://www.cbsnews.c[...] CBS News
[36] 뉴스 Lankan Muslims in Dubai supplied N-materials to Pak: A Q Khan http://www.expressin[...] 2009-09-09
[37] 뉴스 On the trail of the black market bombs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2-12
[38] 뉴스 Bhutto Warns India Against Testing Nuclear Device Daily Telegraph 1996-01-06
[39] 웹사이트 6 January 1996 http://www.nti.org/e[...] NTI; Pakistan Television (PTV)
[40] 웹사이트 Nuclear Chronology http://www.nti.org/e[...]
[41] 뉴스 Roots of Pakistan Atomic Scandal Traced to Europe The New York Times 2004-02-19
[42] 뉴스 The Man Who Sold the Bomb http://www.time.com/[...] 2005-02-14
[43] 웹사이트 The Khan Network http://iis-db.stanfo[...]
[44] 간행물 Nuclear Black Markets: Pakistan, A.Q. Khan and the Rise of Proliferation Networks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45] 웹사이트 What AQ Khan’s diaries tell about Pakistan’s drive for a nuclear bomb https://thehill.com/[...] 2021-10-11
[46]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Who Has What at a Glance | Arms Control Association http://www.armscontr[...] Armscontrol.org
[47] 웹사이트 Study on a Possible Israeli Strike on Iran's Nuclear Development Facilities http://csis.org/fil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2009-03-14
[48] 뉴스 How Britain helped Israel get the bomb http://news.bbc.co.u[...] 2005-08-03
[49] 뉴스 ISRAEL : Vanunu's Treason Appeal Is Rejected Los Angeles Times 1990-05-28
[50] 웹사이트 Expert opinion of Frank Charles Barnaby in the matter of Mordechai Vanunu https://fas.org/nuke[...] 2004-06-14
[51] 웹사이트 Israel's Nuclear Weapons http://www.au.af.mil[...]
[52] 웹사이트 Israel's Nuclear Weapons https://nuke.fas.org[...]
[53] 웹사이트 Israel's Nuclear Weapon Capability: An Overview http://www.wisconsin[...]
[54] 웹사이트 Mohammed Omer Wins Norwegian PEN Prize – Telling the truth for more than 30 years http://www.wrmea.org[...]
[55] 웹사이트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Safeguards Statement for 2008 and Background to the Safeguards Statement http://www.iaea.org/[...]
[56] 웹사이트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Safeguards Annual Report (2008) http://www.iaea.org/[...]
[57] 뉴스 High-enriched uranium traces found in Egypt: IAEA https://www.reuters.[...] 2017-05-06
[58]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NPT Safeguards Agreement in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Report by the Director General http://www.iaea.org/[...] 2003-11-10
[59] 웹사이트 | https://www.iaea.org[...]
[60] 웹사이트 | https://www.iaea.org[...]
[61] 뉴스 Security Council demands Iran suspend uranium enrichment by 31 August, or face possible economic, diplomatic sanctions UN News Centre 2006-07-31
[62] 뉴스 Security Council imposes sanctions on Iran for failure to halt uranium enrichment, unanimously adopting Resolution 1737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06-12-23
[63]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TOUGHENS SANCTIONS AGAINST IRAN, ADDS ARMS EMBARGO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07-03-24
[64] 뉴스 SECURITY COUNCIL TIGHTENS RESTRICTIONS ON IRAN’S PROLIFERATION-SENSITIVE NUCLEAR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UN Security Council
[65]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REAFFIRMS EARLIER RESOLUTIONS ON IRAN'S URANIUM ENRICHMENT, CALLS ON COUNTRY TO COMPLY WITH OBLIGATIONS 'FULLY AND WITHOUT DELAY'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http://un.org/News/P[...]
[66]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Imposes Sanctions on Iran for failure to halt Uranium Enrichment, Unanimously adopting Resolution 1737 (2006) https://www.un.org/N[...] 2006-12-23
[67] 웹사이트 AFP:Six powers to meet soon over Iran's nuclear program http://afp.google.co[...]
[68] 웹사이트 Iran wants new nuclear fuel talks http://www.tehrantim[...] 2009-11-02
[69] 웹사이트 Iran's Nuclear Program http://www.cfr.org/p[...]
[70] 웹사이트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The gas centrifuge and nuclear weapons proliferation http://scitation.aip[...]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71] 뉴스 No sign Iran seeks nuclear arms: new IAEA head https://www.reuters.[...] 2009-07-03
[72] 웹사이트 Documents Indicate A.Q. Khan Offered Nuclear Weapon Designs to Iraq in 1990: Did He Approach Other Countries? https://isis-online.[...] 2023-07-01
[73] 서적 Nuclear black markets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IISS)
[74] 웹사이트 Chronology of Libya's Disarmament and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http://www.armscontr[...] Arms Control Association 2013-05-13
[75] 웹사이트 News Update on IAEA & Libya https://iaea.org/New[...]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12-03-28
[76] 웹사이트 Libya: Nuclear Programme Overview http://www.nti.org/c[...]
[77] 간행물 GOV/2004/12 http://iaea.org/Publ[...]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04-02-20
[78]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NPT Safeguards Agreement of the Socialist People's Libyan Arab Jamahiriya: Resolution adopted by the Board on 10 March 2004 http://www.iaea.org/[...]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04-03-10
[79] 뉴스 Reasons for digging tunnels in Burma Searchina 2009-08-11
[80] 뉴스 Myanmar building nuke reactor, says media report https://web.archive.[...] The Times of India 2009-08-02
[81] 뉴스 Goodbye clenched fist, hello sweaty palm https://www.economis[...] 2012-11-17
[82] 서적 Comrade J: The Untold Secrets of Russia's Master Spy in America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Penguin Books
[83] 서적 The Bomb –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me Litera
[84]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85] 웹사이트 6 September 2007 Air strike http://www.globalsec[...] 2007-09-06
[86] 뉴스 Syria rejects U.S. allegations on existence of nuclear activities http://news.xinhuane[...] News.xinhuanet.com 2008-04-25
[87] 뉴스 IAEA slams U.S. for withholding data on alleged Syrian nuclear reactor http://www.haaretz.c[...] Haaretz.com
[88] 서적 Taiwan: A Political History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89] 웹사이트 National Security Archive Electronic Briefing Book No. 20 https://nsarchive2.g[...]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90] 뉴스 How the US stopped Taiwan's bomb http://www.taipeitim[...] 1999-10-14
[91] 웹사이트 Has Iran Achieved a Nuclear Weapons Breakout Capability? Not Yet, But Soon http://npsglobal.org[...] Nonproliferation for Global Security Foundation 2008-12
[92] 뉴스 The Realist Prism: Iran Nuclear Standoff Obscures Broader Proliferation Challenges http://www.worldpoli[...] Worlds Politics Review 2012-01-27
[93] 잡지 Why Iran Should Get the Bomb http://www.foreignaf[...]
[94] 뉴스 'Breakout time': Report details how Iran could achieve undetectable nuclear capability http://www.worldtrib[...] World Tribune
[95] 논문 Conversation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view with John J. Mearsheimer (Part I) http://johnmearsheim[...]
[96] 서적 Nuclear Weapons and Coercive Diplomac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97] 서적
[98] TV방송 Doomsday: On The Brink The Learning Channel
[99] 서적
[100] 논문 Determinants of Nuclear Weapons Proliferation
[101] 뉴스 CNN.com - Iranian president: No 'nuclear apartheid' - Sep 17, 2005 http://edition.cnn.c[...] CNN
[102] 웹사이트 Adherence to and Compliance With Arms Control, Nonproliferation, and Disarmament Agreements and Commitments https://2001-2009.st[...] Bureau of Verification and Compliance, U.S. Department of State 2005-08-30
[103] 웹사이트 Resolution 1737 https://www.undocs.o[...] 2006-12-27
[104] 웹사이트 Sorry for the inconvenience. http://www.indianemb[...]
[105] 논문 Options
[106] 논문 The Correlates of Nuclear Proliferation: A Quantitative Test 2004
[107] 뉴스 Strong sign of North Korean nuclear test as regime calls 6 May party congress https://www.theguard[...] 2016-04-27
[108] 논문 Justice and Fairness in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https://pdfs.semanti[...] 2013
[109] 서적 The American People, Concise Edition Creating a Nation and a Society, Combined Volume Longman
[110] 서적 The Law of Arms Control and the International Non-Proliferation Regime Brill Nijhoff
[111] 웹사이트 The Baruch Plan Arms Control, Deterrence and Nuclear Proliferation Historical Documents atomicarchive.com https://www.atomicar[...] 2023-07-07
[112] 웹사이트 The Baruch Plan Arms Control, Deterrence and Nuclear Proliferation Historical Documents atomicarchive.com https://www.atomicar[...] 2023-07-07
[113] 웹사이트 How you helped build Pakistan's bomb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7-11-30
[114] 논문 Beliefs, Cultures, Proliferation and Use of Nuclear Weapons 2000-03
[115] 간행물 Proliferation and/or Alliance?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