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르만 에빙하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만 에빙하우스는 독일의 심리학자로, 인간 기억에 대한 최초의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인지심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무의미 음절을 활용한 실험을 통해 망각 곡선과 학습 곡선을 제시했으며, 과잉 학습과 절약 효과를 발견했다. 그의 연구는 심리학을 과학적인 학문으로 자리 잡게 하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기억과 학습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 에빙하우스는 또한 에빙하우스 착시를 발견했고, 문장 완성 테스트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교육학자 - 에른스트 모이만
    에른스트 모이만은 독일의 교육학자이자 심리학자로, 헤르만 에빙하우스의 기억 연구를 교육학에 적용하여 학습 방법 개선을 강조하고 망각 곡선과 간격 효과를 활용한 반복 학습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 독일의 교육학자 - 에른스트 크리크
    에른스트 크리크는 독일의 교육학자이자 철학자로서, 나치즘에 협력하여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학장과 교육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인격과 교육》 등의 저서를 출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임되어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 인지심리학자 - 시모어 페퍼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수학자이자 MIT 교수인 시모어 페퍼트는 구성주의를 발전시키고 로고(LOG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및 레고 마인드스톰 개발에 기여하는 등 교육 기술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인지심리학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심리학자 - 프란츠 브렌타노
    프란츠 브렌타노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를 바탕으로 심적 현상의 의도성 개념을 도입하고 현상학, 분석철학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드문트 후설, 지그문트 프로이트 등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 독일의 심리학자 - 에른스트 하인리히 베버
    에른스트 하인리히 베버는 독일의 해부학자이자 생리학자로, 촉각 연구를 통해 감각적 차이의 지각이 자극의 상대적 변화에 비례한다는 '베버의 법칙'을 정립하고 베버 기관 발견 및 감각 측정 기법 개발 등 실험 심리학과 정신물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헤르만 에빙하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빙하우스
1909년의 에빙하우스
인물 정보
이름헤르만 에빙하우스
원어 이름Hermann Ebbinghaus
본명Hermann Ebbinghaus
출생일1850년 1월 24일
출생지프로이센 왕국 라인주 바르멘
사망일1909년 2월 26일
사망지할레 (잘레)
국적독일
학력 정보
모교본 대학교
경력 정보
분야심리학
소속 기관베를린 대학교
브로츠와프 대학교
할레 대학교
주요 업적서열 위치 효과
영향 정보
영향을 준 인물구스타프 페히너
영향을 받은 인물레프 비고츠키
샬로테 뷜러
루이스 터먼
빌헬름 슈테른
기타 정보
주요 저서망각곡선
에빙하우스 착시
『기억에 관하여』

2. 생애

에빙하우스는 프로이센 왕국 라인 주의 바르멘에서 태어나, 본 대학교에서 역사와 언어학을 공부하다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보불전쟁 참전으로 학업이 중단되기도 했지만, 1873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이후 영국과 프랑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구스타프 페히너의 ''심리물리학의 요소''를 접하고 기억 실험을 시작하게 되었다.[2] 베를린 대학교에서 연구를 시작하여 독일에서 세 번째 심리 검사 연구소를 설립하고, 1885년 ''기억에 관하여. 실험 심리학 연구''를 출판하여 교수가 되었다.[3]

1894년 베를린 대학교 철학과장 승진에서 탈락한 후, 브로츠와프 대학교로 옮겨 학생들의 정신 능력 감소를 연구하는 위원회에 참여했으며, 이는 훗날 지능 검사의 토대를 마련했다.[4] 1902년 ''심리학의 기본 원리''를 출판하고, 1904년 할레 대학교로 옮겨 1908년 ''심리학 개요''를 출판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4] 1909년 폐렴으로 사망했다.[2]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에빙하우스는 프로이센 왕국 라인 주 바르멘에서 부유한 상인 카를 에빙하우스의 아들로 태어났다.[25] 김나지움에서 학업을 마친 후, 1867년에 본 대학에서 역사언어학을 공부했으며, 철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1870년 보불전쟁에 참전하면서 학업이 잠시 중단되었으나 복학 후 1873년 8월 16일 23세의 나이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5] 구스타프 페흐너의 저서 "정신물리학의 요소"(Elementer Psychophysik)를 읽고 큰 자극을 받아 베를린 대학에서 심리학을 공부하였다.

2. 2. 연구 활동과 학문적 업적

1879년부터 에빙하우스기억 실험을 시작하여[26] 그 결과로 망각 곡선 가설과 간격 효과 등을 발견하고, 이를 1885년에 "기억에 관하여"(Über das Gedächtnis. Untersuchungen zur experimentellen Psychologiede)라는 책으로 출판했다.[3] 같은 해, 베를린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27] 심리학 실험실 두 곳을 설립하고 아르투어 쾨니히와 함께 학술지 ''감각 기관의 생리학 및 심리학 저널''(Zeitschrift für Physiologie und Psychologie der Sinnesorgane)을 창간했다.

1894년, 베를린 대학교 철학과장 승진에서 탈락한 후, 브로츠와프 대학교(현재 폴란드 브로츠와프)로 옮겨 학생들의 정신 능력 감소를 연구하는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이 연구는 훗날 지능 검사의 토대를 마련했다.[4] 브로츠와프에서도 심리 검사 연구소를 설립했다.

1902년, 에빙하우스는 ''심리학의 기본 원리''(Die Grundzüge der Psychologie)를 출판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04년에는 할레 대학교로 옮겨 연구를 계속했고, 1908년에는 ''심리학 개요''(Abriss der Psychologie)를 출판하여 역시 성공을 거두었다.[4] 1909년 2월 26일,[2] 59세의 나이로 폐렴으로 사망했다.

3. 망각 연구

에빙하우스는 당시 널리 퍼져 있던 통념과는 달리, 고차원적인 정신 과정도 실험을 통해 연구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했다. 그는 혼동 변수를 제어하기 위해 간단한 음향 부호화와 유지 연습을 사용했으며, 이를 위해 단어 목록 대신 무의미 음절(CVC 삼중자)을 사용했다. 무의미 음절은 자음-모음-자음 조합으로, 자음이 반복되지 않고 음절이 사전적 의미를 갖지 않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BOL"이나 "DOT"는 제외되었고, "DAX", "BOK", "YAT" 등은 허용되었다.[3] 그는 의미 있는 음절을 제거하여 2,300개의 무의미 음절을 만들었다.[3]

에빙하우스의 ''Über das Gedächtnis''의 그림 2. 에빙하우스는 일련의 92개의 테스트를 수행했다. 각 테스트에서 그는 피험자에게 13개의 무작위 음절로 이루어진 8개의 블록을 제공했으며, 피험자가 해당 블록을 암기하는 데 걸린 평균 시간을 그래프로 나타냈다.


''Über das Gedächtnis''의 그림 4. 12개의 음절로 이루어진 9개의 블록으로 동일한 테스트를 수행했다. 이는 진동 패턴을 보여준다.


''Über das Gedächtnis''의 그림 6. 에빙하우스는 단 한 번 읽은 후 6-8개의 무작위 음절을 정확하게 암송할 수 있었지만, 8개 이상은 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그는 피험자가 더 많은 음절을 암기하는 데 필요한 반복적인 읽기 횟수를 연구했다. 이것이 그래프에 표시되어 있다. x축은 음절 수이고, y축은 암기에 필요한 반복적인 읽기 횟수이다.


에빙하우스는 음절 컬렉션을 만든 후, 상자에서 무작위 음절을 꺼내 공책에 적었다. 그런 다음, 메트로놈의 규칙적인 소리에 맞춰, 동일한 목소리 억양으로 음절을 읽고, 절차의 끝에서 이를 회상하려 했다. 단일 연구에만 15,000번의 암송이 필요했다.[3] 이후 연구를 통해 인간이 무의미 음절에도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PED"는 "KOJ"보다 덜 무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에빙하우스는 이를 인지하고, 음절이 특정 의미를 가질 가능성이 적고, 더 쉽게 회상하기 위해 음절과 연관시키려는 시도를 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에서만 음절의 문자열을 "무의미한" 것으로 언급했다.[3]

1885년, 에빙하우스는 학습망각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직접 수행한 실험을 기술한 획기적인 저서 ''Über das Gedächtnis'' ("기억에 관하여", 나중에 영어로 ''Memory. A Contribution to Experimental Psychology''로 번역)를 출판했다. 그는 이 책에서 망각 곡선, 학습 곡선, 연속 위치 효과 등 기억에 관한 여러 가지 중요한 발견을 제시했다.

망각 곡선의 전형적인 표현


망각 곡선은 사람이 학습한 정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잊혀지는지를 보여주는 곡선이다. 에빙하우스의 연구에 따르면, 망각은 학습 직후 가장 급격하게 일어나며,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완만해진다.[7] 학습 곡선은 사람이 정보를 얼마나 빨리 배우는지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망각 곡선과 마찬가지로 지수적인 형태를 띤다. 연속 위치 효과는 항목의 위치가 회상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목록의 처음과 끝에 있는 항목이 더 잘 기억되는 경향을 말한다.

에빙하우스는 또한 절약 효과와 자발적 기억, 비자발적 기억의 차이 등 기억에 관한 다양한 현상을 설명했다. 그의 연구는 기억 연구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1890년대 미국에서 기억 연구를 촉진시켰다.

3. 1. 연구 과정과 방법론

에빙하우스는 기억된 정보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그리고 망각을 일으키는 요인이 무엇인지 연구했다. 그는 시간 경과에 따른 망각의 정도, 즉 망각률을 측정하는 데 집중했다. 당시 적합한 피험자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에 에빙하우스는 스스로 피험자가 되어 실험을 진행했다.[28]

그는 의미의 영향을 받지 않는 순수한 기억 흔적을 연구하기 위해 "WID", "ZOF"와 같이 자음 2개와 모음 1개로 이루어진 의미 없는 철자 2,300개를 만들었다. 이를 이용하여 목록을 만들고 기계적인 암기 학습을 실시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록을 순서대로 기억하는 양을 측정했다.[28]

에빙하우스는 추가적인 암기 학습 없이 암기 테스트를 실시하여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냈고, 이를 '보유 곡선'(retention curve)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현대에는 '망각 곡선'(forgetting curve)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28]

에빙하우스는 당시 널리 퍼져 있던 생각과는 달리, 고차 정신 과정을 실험을 통해 연구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했다. 혼동 변수를 제어하기 위해, 그는 간단한 음향 부호화와 유지 연습을 사용했고, 이를 위해 단어 목록 대신 무의미 음절(CVC 삼중자)을 사용했다. 무의미 음절은 자음-모음-자음 조합으로, 자음이 반복되지 않고 음절이 사전적 의미를 갖지 않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BOL"이나 "DOT"는 제외되었고, "DAX", "BOK", "YAT" 등은 허용되었다.[3] 그는 의미 있는 음절을 제거하여 2,300개의 무의미 음절을 만들었다.[3]

음절 컬렉션을 만든 후, 에빙하우스는 상자에서 무작위 음절을 꺼내 공책에 적었다. 그런 다음, 메트로놈의 규칙적인 소리에 맞춰, 동일한 목소리 억양으로 음절을 읽고, 절차의 끝에서 이를 회상하려 했다. 단일 연구에만 15,000번의 암송이 필요했다.[3]

이후 연구를 통해 인간이 무의미 음절에도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PED"는 "KOJ"보다 덜 무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에빙하우스는 이를 인지하고, 음절이 특정 의미를 가질 가능성이 적고, 더 쉽게 회상하기 위해 음절과 연관시키려는 시도를 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에서만 음절의 문자열을 "무의미한" 것으로 언급했다.[3]

3. 2. 연구 결과: 망각 곡선과 학습 곡선

에빙하우스는 '망각 곡선 가설'을 통해 망각이 학습 후 10분 후부터 시작되어 20분 내에 가장 급격하게 발생하며(42% 망각), 1시간 후에는 56%, 하루 후에는 67%, 한 달 후에는 79%가 망각된다고 주장했다.[29]

망각 곡선 연구에서 에빙하우스는 과잉 학습, 즉 어떤 요소를 기억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학습하는 것의 효과를 발견했다. 반복 학습은 정보 손실을 방지하고 망각 곡선을 안정화시켰다. 그는 망각 속도가 개인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연상 기호 표현 능력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보았다.

에빙하우스는 최적의 반복 학습 시기로 10분 후, 1일 후, 1주일 후, 1개월 후, 6개월 후를 제시했다.[30] 그는 또한 정보 기억을 위해서는 처음 기억을 만들 때 가능한 오랜 시간 동안 관심을 갖고 이해를 통해 저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31]

그의 실험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
1망각은 처음 9시간 내에 가장 빠르게 일어난다.
2잊어버린 항목은 처음 배운 새로운 항목보다 더 빨리 다시 배울 수 있다.
3의미 있는 것들은 무작위적인 무의미한 것들보다 약 10배 더 오래 기억된다.
4더 오랜 시간 간격으로 반복 학습된 것은 더 오래 기억된다.
5하나의 배열에서 시작이나 끝으로 향한 항목들이 가장 쉽게 기억된다.
6오랜 시간을 사용해 암기한 자료는 더 오래 기억된다.[32]



학습 곡선은 사람이 정보를 얼마나 빨리 배우는지를 나타내는데, 첫 번째 시도 후에 가장 급격한 성장이 일어나고 반복 학습이 진행될수록 학습 속도는 점차 감소한다. 망각 곡선과 마찬가지로 학습 곡선도 지수적이다.

3. 3. 망각 곡선에 대한 비판과 한계

에빙하우스가 연구 결과로 제시한 망각 곡선은 과학성과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무의미한 철자였고, 피험자는 에빙하우스 자신뿐이었으며,[34][35][36] 기계적 학습만을 실시한 실험이라는 한계가 있었다.[39]

의미 있는 기억 자료를 사용하거나, 피험자의 능력 차이, 암기 기교, 의미 부여, 시간적/공간적 조건, 학습자의 생리/심리/사회적 조건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했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 있다.[37][38]

또한,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은 예외적인 현상에도 적용되지 않는다. 한 번 배운 자전거 타는 법을 평생 기억하는 절차 기억,[40] 9·11 테러와 같이 감정이 개입된 사건 기억,[40] 학습 직후보다 시간이 지난 후에 기억이 더 잘 되는 과회상(reminiscence) 현상[41][42] 등에는 망각 곡선이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은 보편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4. 심리학에 미친 영향

헤르만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심리학이 철학에서 분리되어 과학적인 학문으로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27] 19세기 후반까지 심리학은 철학의 한 분야로 여겨졌는데, 마음은 물질이 아니므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없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44] 그러나 에빙하우스는 빌헬름 분트의 심리 실험,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연구와 함께 심리학을 과학의 영역으로 이끌었다.[45]

에빙하우스는 기억 연구를 통해 심리학이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는 실험을 통해 고차 정신 과정을 연구할 수 있음을 증명하려 했다. 1885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Über das Gedächtnis'' ("기억에 관하여")는 학습과 망각 과정을 실험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담고 있으며, 망각 곡선, 학습 곡선, 연속 위치 효과 등 기억에 관한 중요한 발견들을 제시했다.[7]

그는 혼동 변수를 제어하기 위해 간단한 음향 부호화와 유지 연습을 사용하려 했고, 이를 위해 단어 목록 대신 "무의미 음절" (또는 CVC 삼중자)을 사용했다.[3] 무의미 음절은 자음-모음-자음 조합으로, 자음이 반복되지 않고 음절이 사전적 의미를 갖지 않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무의미 음절 2,300개를 만들어 실험에 사용했다.[3]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당시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에빙하우스의 연구를 "영웅적"이라고 칭하며 "심리학 역사상 가장 훌륭한 연구"라고 평가했다.[8] 에드워드 B. 티치너 역시 에빙하우스의 연구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기억 연구에 있어 가장 위대한 업적이라고 언급했다.

4. 1. 과학적 심리학의 발전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심리학이 철학에서 분리되어 과학적인 학문으로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27] 19세기 후반까지 심리학은 철학의 한 분야로 여겨졌는데, 마음(정신)은 물질이 아니므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없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44] 그러나 에빙하우스는 빌헬름 분트의 심리 실험,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연구와 함께 심리학을 과학의 영역으로 이끌었다.[45]

에빙하우스는 기억 연구를 통해 심리학이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1885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Über das Gedächtnis'' ("기억에 관하여")는 학습과 망각 과정을 실험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담고 있다. 그는 이 책에서 망각 곡선, 학습 곡선, 연속 위치 효과 등 기억에 관한 중요한 발견들을 제시했다.[7]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당시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에빙하우스의 연구를 "영웅적"이라 칭송하며 "심리학 역사상 가장 훌륭한 연구"라고 평가했다.[8] 에드워드 B. 티치너 역시 에빙하우스의 연구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기억 연구에 있어 가장 위대한 업적이라고 언급했다.

에빙하우스는 실험 심리학의 선구자일 뿐만 아니라, 이 새로운 과학의 방향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그는 베를린 대학교 동료였던 빌헬름 딜타이와의 논쟁을 통해 심리학이 과학적 연구 방법론을 따라야 함을 주장했다. 딜타이는 실험 심리학을 비판하고 기술 심리학을 옹호했지만, 에빙하우스는 심리학에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딜타이가 비판하는 것은 과거의 심리학이라고 반박했다.

4. 2. 인지심리학의 토대 마련

에빙하우스의 기억 연구는 훗날 기억과 학습 연구의 기초가 되었으며,[23] 심리학이 철학에서 독립하여 과학적인 학문으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다.[27] 19세기 후반까지 심리학은 철학의 한 분야로 여겨졌는데, 마음은 물질이 아니므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44] 에빙하우스는 이러한 생각과 달리, 실험을 통해 고차 정신 과정을 연구할 수 있음을 증명하려 했다.

그는 혼동 변수를 제어하기 위해 간단한 음향 부호화와 유지 연습을 사용하려 했고, 이를 위해 단어 목록 대신 "무의미 음절" (또는 CVC 삼중자)을 사용했다.[3] 무의미 음절은 자음-모음-자음 조합으로, 자음이 반복되지 않고 음절이 사전적 의미를 갖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어, BOL ("볼"처럼 들림)과 DOT (이미 단어임)는 허용되지 않았다. 그는 이러한 무의미 음절 2,300개를 만들어 실험에 사용했다.[3]

에빙하우스는 이 실험을 통해 망각 곡선, 학습 곡선, 연속 위치 효과, 절약 효과 등 기억과 학습에 관한 여러 가지 중요한 발견을 했다.

망각 곡선은 학습한 정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 감쇠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보여준다.[7] 학습 곡선은 반복 학습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속도가 점차 둔화되는 것을 나타낸다. 연속 위치 효과는 목록에서 항목의 위치에 따라 회상률이 달라지는 현상으로, 최근성 효과와 초두 효과로 설명된다. 절약 효과는 이전에 학습한 정보가 완전히 잊혀진 후에도 잠재의식 속에 남아있어 재학습 속도를 높이는 현상을 말한다.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당시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이 연구를 "영웅적"이라고 칭하며 "심리학 역사상 가장 훌륭한 연구"라고 평가했다.[19] 에드워드 B. 티치너 또한 이 연구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기억이라는 주제에 대한 가장 위대한 업적이라고 언급했다.

5. 연구 경력 및 기타 업적

에빙하우스는 인간의 기억에 대한 최초의 엄격한 실험적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의미의 영향을 배제하고 순수한 기억 흔적을 연구하기 위해 2,000개 이상의 무의미 철자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학습-검사-재학습의 원리를 파악하고, 절약 점수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절약 점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3]

: 절약 점수 = (학습에 소요된 시간 - 재 학습에 소요된 시간) / 학습에 소요된 시간 * 100

또한 에빙하우스는 과잉 학습의 효과를 설명했으며, 1897년에는 최초의 문장 완성 검사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이 검사는 지능 검사 등에 활용되었다.

베를린 대학교에서 연구를 시작한 후, 에빙하우스는 독일에서 세 번째 심리 검사 연구소를 설립했다(빌헬름 분트와 게오르크 엘리아스 뮐러에 이어).[2] 1885년에는 그의 기념비적인 저서 ''기억에 관하여. 실험 심리학 연구''(Über das Gedächtnis. Untersuchungen zur experimentellen Psychologie)가 출판되었고, 이후 영어로 ''기억: 실험 심리학에 대한 기여''(Memory: A Contribution to Experimental Psychology)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3] 이 책의 출판으로 에빙하우스는 베를린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894년, 에빙하우스는 브로츠와프 대학교(현재 폴란드 브로츠와프)로 옮겨, 학생들의 정신 능력이 수업 중에 어떻게 감소하는지를 연구하는 위원회에서 일했다.[2] 이 연구는 미래의 지능 검사의 토대를 마련했다.[4]

1902년에는 ''심리학의 기본 원리''(Die Grundzüge der Psychologie)를, 1908년에는 ''심리학 개요''(Abriss der Psychologie)를 출판하여 지속적인 성공을 거두었다.[4]

에빙하우스는 고차 정신 과정을 실험을 통해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 했다. 이를 위해 그는 "무의미 음절" (또는 CVC 삼중자라고도 함)을 사용했다. 이는 자음-모음-자음 조합으로, 자음이 반복되지 않고 음절이 사전적 의미를 갖지 않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DAX, BOK, YAT과 같은 음절이 사용되었다.[3]

에빙하우스는 망각 곡선을 발견했는데, 이는 사람이 학습한 정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 감쇠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보여준다.[7] 또한 학습 곡선은 사람이 정보를 얼마나 빨리 배우는지를 나타내며, 이 역시 지수적이다. 에빙하우스는 연속 위치 효과도 문서화했는데, 이는 항목의 위치가 회상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연속 위치 효과의 두 가지 주요 개념은 최근성 효과와 초두 효과이다. 최근성 효과는 가장 최근의 정보가 단기 기억에 남아있어 회상이 증가하는 것이고, 초두 효과는 연습의 증가와 장기 기억으로 인해 목록의 첫 번째 항목에 대한 기억력이 좋아지는 것이다.

그는 또한 절약 효과를 발견했는데, 이는 이전에 학습한 정보가 잠재 의식에 남아있어 재학습 시 더 빨리 학습할 수 있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에빙하우스는 자발적 기억과 비자발적 기억의 차이도 설명했다.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당시 심리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제임스는 이 연구를 "영웅적"이라고 칭했으며, 에드워드 B. 티치너는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기억이라는 주제에 대한 가장 위대한 업적이라고 평가했다.

에빙하우스는 초등학생의 능력을 연구하면서 문장 완성 연습을 개발했고, 이는 알프레드 비네에 의해 비네-시몽 지능 척도에 통합되었다. 문장 완성은 암묵적 기억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에빙하우스 착시. 주황색 원은 크기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다르게 보인다.


그는 에빙하우스 착시를 발견했는데, 이는 상대적 크기 지각에 기반한 광학 착시 현상이다. 이 착시는 현재 인지 심리학 연구에서 인간의 뇌지각 경로를 매핑하는 데 사용된다.

에빙하우스는 최초의 표준 연구 보고서를 작성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기억에 관한 논문을 서론, 방법, 결과 및 논의의 네 부분으로 구성했다.

6. 현대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헤르만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개인의 기억뿐만 아니라 현대 한국 사회의 다양한 측면에 적용될 수 있다.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사회적 기억과 역사 교육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 문제, 5.18 민주화운동 등 과거사 문제, 역사 왜곡 문제와 같은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고 건강한 역사 인식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망각 곡선과 간격 효과를 고려한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 망각 곡선은 학습한 정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소실됨을 보여준다.[18] 더불어민주당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올바른 기억과 교육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미래 세대가 역사의 교훈을 잊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정보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기억하며, 잊어가는지를 보여준다. 망각 곡선은 학습한 정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하게 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며,[18]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가 많은 시대에, 에빙하우스가 발견한 초두 효과와 최신 효과는 정보의 제시 순서가 우리의 기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보의 출처와 내용을 꼼꼼히 따져보고, 자신의 기억과 판단을 끊임없이 의심하고 확인하는 비판적 사고 능력이 필요하다.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건강한 시민 의식을 갖추는 데에도 기여한다.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합리적으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능력은 민주 사회의 기본 원리이기 때문이다.

6. 1. 교육 및 학습 방법 개선

에빙하우스는 분산 학습과 벼락치기를 비교한 최초의 인물이며, 벼락치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다.[9][10] 1885년 출간된 『기억에 대하여: 실험 심리학에의 공헌』에서 그는 학습과 망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실험들을 기술했다.

에빙하우스의 가장 유명한 발견인 망각 곡선은 학습한 정보가 지수 함수적으로 소실됨을 보여준다.[18] 가장 급격한 기억 감소는 처음 20분 안에 일어나며, 첫 1시간 동안의 감쇠도 현저하다. 이 곡선은 약 1일 후에 완만해진다. 학습 곡선은 정보를 얼마나 빨리 배우는지에 대한 것으로, 첫 학습 후에 가장 급격한 기억 증가가 일어나고, 그 후에는 점차 증가한다. 망각 곡선과 마찬가지로 학습 곡선도 지수 함수적이다. 에빙하우스는 연속 위치 효과도 기록했는데, 이는 항목의 위치가 회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나타낸다. 연속 위치 효과의 주요 두 가지 개념은 최신 효과(친근 효과)와 초두 효과이다. 최신 효과는 직전에 들어온 정보일수록 단기 기억에 남아있기 때문에 더 잘 떠올릴 수 있다는 것이고, 초두 효과는 반복 학습이 증가하면 목록의 처음에 있는 항목이 더 잘 기억되어 장기 기억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또 다른 중요한 발견은 기억의 저축으로, 이는 정보가 의식적으로 접근되지 않더라도 잠재 의식에서 유지되는 정보량을 의미한다. 실험에서 에빙하우스는 항목 목록을 완벽하게 회상할 때까지 외운 후, 더 이상 회상할 수 없을 때까지 보지 않았다. 그 후 목록을 재학습하고 이전 학습 곡선과 비교했는데, 재학습이 더 빨리 기억되었으며, 이 차이가 이전의 "저축"에 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1890년대 미국의 기억 연구에 박차를 가했고, 1894년에만 32편의 논문이 출판되었다. 이 연구는 기계화된 기억술 측정기(mnemometers)의 개발과 함께 발전했다. 당시의 반응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며, 저명한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이 연구를 "영웅적"이라고 칭했다.[19]

6. 2. 사회적 기억과 역사 교육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개인의 기억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억과 역사 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과거사 문제, 역사 왜곡 문제 등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고 건강한 역사 인식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망각 곡선과 간격 효과를 고려한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 망각 곡선은 학습한 정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소실됨을 보여주는데, 가장 급격한 기억 감소는 처음 20분 안에 일어나며, 첫 1시간 동안의 감쇠도 현저하다.[18]

더불어민주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5.18 민주화운동 등 역사적 사건에 대한 올바른 기억과 교육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미래 세대가 역사의 교훈을 잊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6. 3.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 의사 결정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정보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기억하며, 잊어가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망각 곡선은 학습한 정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하게 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우리가 정보를 얼마나 신중하게 선택하고 반복 학습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18]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가 많은 시대에,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더욱 중요하다. 정보의 출처와 내용을 꼼꼼히 따져보고, 자신의 기억과 판단을 끊임없이 의심하고 확인하는 비판적 사고 능력이 필요하다. 에빙하우스가 발견한 초두 효과와 최신 효과는 정보의 제시 순서가 우리의 기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우리는 정보의 순서에 현혹되지 않고, 정보의 진실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건강한 시민 의식을 갖추는 데에도 기여한다.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합리적으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능력은 민주 사회의 기본 원리이기 때문이다.

참조

[1] 서적 Classics in Psychology, 1855-1915 Historical Essays W http://psychclassics[...] Thoemmes Press
[2] 간행물 Hermann Ebbinghaus http://www.encyclop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1968
[3] 서적 Memory: A contribution to experimental psychology Teachers College 1913
[4] 서적 Connections in the history and systems of psychology Houghton Mifflin
[5] 논문 The association value of non-sense syllables 1928
[6] 서적 Hermann Ebbinghaus in Connections in the History and Systems of Psychology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05
[7] 웹사이트 Psychology: A Student Friendly Approach. Unit 7: Memory http://www.saylor.or[...] 2008
[8] 웹사이트 Ghost in the Shell - Collection of Old Scientific Instruments of Laboratory for Experimental Psychology, or devices that aided in the recording and study of memory, Oliver Tosković, October 2018 https://www.research[...]
[9] 서적 The psychology of effective studying: how to succeed in your degree Routledge 2020
[10] 서적 The psychology of effective studying: how to succeed in your degree Routledge 2020
[11] 서적 Classics in Psychology http://psychclassics[...] Thoemmes Press
[12] 웹사이트 フェヒナー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13] 간행물 Hermann Ebbinghaus http://www.encyclop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1968
[14] 서적 記憶について : 実験心理学への貢献 https://ci.nii.ac.jp[...] 誠信書房 1978-06
[15] 서적 Connections in the history and systems of psychology Houghton Mifflin 2001
[16] 문서 1913
[17] 논문 The association value of non-sense syllables 1928
[18] 웹사이트 Psychology: A Student Friendly Approach. Unit 7: Memory. https://www.saylor.o[...] 2008
[19] 서적 Memory: A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7-30
[20] 웹사이트 動因とは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1] 웹사이트 '[다음백과] 헤르만 에빙하우스 Hermann Ebbinghaus' https://100.daum.net[...]
[22]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에빙하우스 곡선 [Ebbinghaus curve, -曲線]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https://terms.naver.[...]
[23]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헤르만 에빙하우스 [Hermann Ebbinghaus]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24] 저널 The roles of inducer size and distance in the Ebbinghaus illusion (Titchener circles)
[25] 서적 Classics in Psychology, 1855-1915 Historical Essays W http://psychclassics[...] Thoemmes Press
[26] 간행물 Hermann Ebbinghaus http://www.encyclop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1968
[27] 서적 심리의 책 지식갤러리
[28]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망각 [forgetting]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https://terms.naver.[...]
[29] 뉴스 '[동양일보] 풍향계/ 아름다운 소멸, 망각의 의미' http://www.dynews.co[...] 동양일보
[30] 서적 영포자 문과장은 어떻게 영어 달인이 됐을까 넥서스BOOKS
[31] 서적 EBS 다큐프라임 기억력의 비밀 북폴리오
[32] 서적 심리의 책 지식갤러리
[33]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헤르만 에빙하우스 [Hermann Ebbinghaus]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34]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망각 [forgetting]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https://terms.naver.[...]
[35] 서적 재능을 만드는 뇌신경 연결의 비밀 더메이커
[36] 서적 Classics in Psychology, 1855-1915 Historical Essays W http://psychclassics[...] Thoemmes Press 1999
[37]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망각 [forgetting, 忘却]' https://terms.naver.[...]
[38]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망각 [forgetting, 忘却]' https://terms.naver.[...] 2016-01-15
[39]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에빙하우스 곡선 [Ebbinghaus curve, -曲線]' https://terms.naver.[...] 2016-01-15
[40]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망각곡선 [忘却曲線, forgetting curve]' https://terms.nav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5-06-29
[41] 웹인용 Reminiscence, Motivation, and Personality - A Case Study in Hans Eysenck Springer https://www.springer[...] 2016-04-24
[42]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레미니선스 [reminiscence]' https://terms.naver.[...]
[43]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과회상 [reminiscence, 過回想]' https://terms.naver.[...]
[44] 웹사이트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 [Ivan Petrovich Pavlov] - 조건반사 개념을 발견한 생리학자 https://terms.naver.[...]
[45] 서적 심리의 책 지식갤러리 2012
[46] 논문 The Sentence Completion Method The Ronald Press 195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