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안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이안궁은 794년 일본의 수도 헤이안쿄의 북쪽 중심부에 건설된 궁궐이다. 당나라 장안을 본떠 설계되었으며, 천황의 거주 공간인 내리, 국가 의식을 거행하는 조당원, 연회를 여는 풍락원 등으로 구성되었다. 헤이안 시대 동안 정치, 의례의 중심지였으나, 잦은 화재와 권력 구조의 변화로 중요성이 점차 감소했다. 결국 1227년 화재로 인해 재건이 포기되었고, 현재는 유적과 헤이안 신궁을 통해 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국가지정사적 - 좌관석불
좌관석불은 고보 대사가 하룻밤 만에 조각했다는 전설이 있는 높이 2.78m의 선각 석불로, 조성 시기에 대한 다양한 설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264호로 지정되어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 일본의 황실 거주지 - 센토 어소
센토 고쇼는 퇴위한 일본 천황의 거처를 의미하며, 퇴위 후 센토 고쇼로 거처를 옮겨 원청이 설치되고 근위병이 배치되기도 하고, 현재 도쿄와 교토에 센토 고쇼가 존재하며 유지 관리에 예산이 투입되는 것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일본의 황실 거주지 - 교토 어소
교토 어소는 일본 천황의 거처로 사용되었으며, 즉위식이 거행되던 궁궐로, 현재는 무료로 일반에 공개되어 관람할 수 있다. - 교토시의 건축물 - 교토 대학
교토 대학은 1869년 설립된 샤미큐쿠를 기원으로 1897년 교토제국대학으로 발족하여 1947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자유로운 학풍을 중시하며 11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일본 교토부의 국립 대학이다. - 교토시의 건축물 - 도시샤 대학
도시샤 대학은 1875년 니이지마 조가 설립한 교토 소재의 명문 사립 대학으로, 기독교 정신에 기반한 자유주의, 국제주의, 양심 교육을 건학 이념으로 하는 간사이 4대 사학 간칸도리쓰의 일원이다.
| 헤이안궁 | |
|---|---|
| 위치 정보 | |
| 기본 정보 | |
| 명칭 | 헤이안 궁 |
| 원어 명칭 | 平安宮 (헤이안큐) |
| 다른 이름 | 다이다이리, 다이리 |
| 위치 | 헤이안쿄 (현재의 교토 중심부) |
| 시대 | 헤이안 시대 |
| 역사 | |
| 건립 시기 | 794년 |
| 소실 시기 | 1227년 |
| 주요 사건 | 덴나 화재 (1177년) 조간 화재 (1185년) 안테이 화재 (1227년) |
| 구조 | |
| 주요 건물 | 다이고쿠덴 (정전) 다이리 (천황의 거주 공간) 부쓰덴 (불전) 가엔 (정원) |
| 면적 | 약 120 헥타르 |
| 건축 양식 | 율령에 따른 건축 양식 |
| 정치 | |
| 기능 | 천황의 거주 및 의례 공간 다이조칸을 비롯한 국가 행정 기관 소재지 |
| 기타 | |
| 현재 상태 | 대부분 소실, 일부 유적만 남아있음. |
| 관련 유적 | 교토 교엔 국립정원 센토 고쇼 |
2. 위치
헤이안궁은 중국 당나라 수도인 장안의 모형을 따라 직사각형 도시인 헤이안쿄의 북쪽 중심부에 위치해 있었다. 이러한 모형은 이전 수도였던 헤이조 궁(현재의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과 단명한 임시 수도였던 나가오카쿄에도 채택되었다.
무라카미 천황의 일기 (무라카미 천황 어기, 天暦御記|덴랴쿠 어기일본어)에 따르면, 헤이안궁은 원래 하타노 가와카쓰의 저택이 있던 곳이다. 다이리(大內裏)·내리(內裏)는 10세기 후반 이후 잦은 화재로 소실되었다. 최초의 소실은 무라카미 천황의 덴토쿠 4년(960년)으로, 무라카미 천황 어기에서는 "인대(人代) 이후" 3번째의 내리 소실(나니와노미야·후지와라 궁)에 이어, 헤이안 천도 170년에 맞이한 자신의 부덕을 한탄했다. 무라카미 천황은 레이제이인을 사토다이리로 삼았고, 이듬해 오와 원년(961년)에 다이리가 재건되자 환궁했다.[2] 그러나 재건된 다이리도 15년 후, 엔유 천황의 조겐 원년(978년)에 소실되고 만다.[3]
궁궐의 정문은 스자쿠몬으로, 도시 중심부를 관통하여 라쇼몬에서 뻗어 나온 거대한 스자쿠 대로의 북쪽 종착점을 이루었다. 따라서 궁궐은 남쪽을 향하고 있었으며, 헤이안쿄의 대칭적인 도시 계획을 주도했다. 스자쿠몬 외에도 궁궐에는 측벽을 따라 대칭적으로 13개의 다른 문이 있었다. 궁궐 북쪽 면을 따라 있는 세 개의 문을 제외하고, 각 문으로 주요 도로가 이어졌다.[1]
대내리의 동남쪽 모퉁이는 현재의 니조 성 중앙에 위치해 있었다.
3. 역사
이후, 내리의 재건과 소실은 빈번하게 일어났으며, 엔유 천황·이치조 천황 시대에는 각각 재건과 소실을 1~3년 간격으로 3번씩 반복했다. 산조 천황의 조와 4년(1015년)에는 9월 20일에 재건된 내리에 1년 만에 돌아갔음에도 불구하고, 불과 2개월 후인 11월 17일에 내리가 소실되었다.[4] 당초 1~2년 정도 걸렸던 재건도 간코 2년(1005년) 이치조 천황 때 발생한 소실 이후 6년이 걸리는 등 점차 길어져 천황의 사토다이리 생활이 상시화되었다.[5]
시라카와 천황의 에이호 2년(1082년) 내리 소실 후 고와 2년(1100년) 재건까지 19년이 걸렸다. 오토쿠 3년(1086년) 호리카와 천황은 호리카와인이라는 사토다이리에서 선조했다.[6] 호리카와 천황은 재위 기간 대부분을 사토다이리에서 보냈다.[7] 이후 인세이 시대 천황들도 도바 천황은 재위 15년 반 중 7개월, 스토쿠 천황은 다이리에 4번 방문했으나 내리에는 한 번도 가지 않았다.[8][9]
덴에이 3년(1112년) 도바 천황의 사토다이리 고요인 소실 당시, 내리가 사용 가능함에도 "다음 사토다이리"를 논의했다. 추우키에 따르면, 치텐노키미 시라카와 법황은 "내리가 너무 넓다"며 반대했고, 손자인 천황을 자신의 어소인 쇼로쿠조도노(小六条殿)에 동거시켜 천황을 보호·후견하는 인이라는 정치 체제를 구현했다.[10] 인세이를 펼치는 치텐노키미는 다이리 활용을 꺼렸고, 지엔의 구칸초에는 후지와라노 타다미치가 "버려진" 다이리 부흥을 제안했으나 도바인이 거절했다는 기록이 있다.[11] 고와 2년(1100년) 재건된 내리는 조큐 원년(1219년)까지 119년간 소실되지 않았는데, 이는 천황이 상주하며 불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12]
다이리 전체는 황폐해졌지만,[13] 다이고쿠덴 등 특정 건물은 의례 장소로 유지되며 즉위식 때만 복원되었다.[14][15] 호겐 2년(1157년) 고시라카와 천황 측근 신제이(후지와라노 미치노리) 주도로 다이리 재건이 시작되어 1년 만에 완료되었다.[16]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조도인(다이고쿠덴, 회랑, 가이쇼몬), 스자쿠몬 등 일부만 재건되었고,[17] 니조 천황 즉위식(1158년)을 위한 정비로 추정된다.[18]
안겐 3년(1177년) 안겐 대화재로 조도인(다이고쿠덴 포함)이 소실되는 등 다이리에 큰 피해가 발생했다.[19] 다이고쿠덴 재건 지연으로 안토쿠 천황은 시신덴에서 즉위했으나, 헤이케와 함께 사망하여 "흉례"로 간주되었고, 고토바 천황은 다이조칸초에서 즉위했다(고산조 천황의 전례).[20] 이후 무로마치 시대까지 천황은 다이조칸초에서 즉위하는 것이 정례였다.[21]
지쇼·주에이의 난 이후 조정 재정난으로 분지 5년(1189년)에야 다이리 재건이 시작되었다.[22] 조큐 원년(1219년) 다이리 소실 후 재건 중 안테이 원년(1227년) 화재로 재건이 포기되었다.[23]
헤이안 후기 다이리는 오가키가 유지되었으나(정문 주작문 주변), 내리 등 일부 시설 외에는 공터(우치노)였다.[24] 고금 이야기집에는 헤이안 중기 다이리가 야간 통행 가능한 황무지("우치노 거리")였다는 기록이 있다.[25] "우치노 거리"는 사쿄(左京) 북부와 사가(嵯峨) 방면을 잇는 길이었다.[26]
가마쿠라 시대 우치노는 무사 마장으로 이용되었고,[27] 가마쿠라 막부는 덴푸쿠 원년(1233년) 금지령을 내렸다.[28] 겐코 3년(1333년)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로쿠하라 탄다이 공격, 메이토쿠 2년(1391년) 메이토쿠의 난 등 남북조 시대~센고쿠 시대에 전장으로 이용되었다.[29]
무로마치 시대 기타노텐만구는 우치노와 스자쿠오지를 점거, 농지 개발 후 무로마치 막부에 사령으로 인정받았다. 태정관청, 신기원, 신곤인(진언원) 등은 신센엔과 함께 존속했으나 오닌의 난으로 소실, 고카시와바라 천황 즉위식은 내리에서 거행되었다.[30]
덴쇼 15년(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우치노에 주라쿠다이를 건설했으나 도요토미 히데쓰구 실각 후 파각되었다. 근세 주라쿠무라(취락돌이)라는 농촌을 거쳐 현대 교토 시가지 일부(나카교구 "취락돌이" 관명 마을)가 되었다.
3. 1. 초기 역사
간무 천황은 잦은 홍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794년에 수도를 나가오카쿄에서 平安京|헤이안쿄일본어로 천도하였다.[2] 하타 씨는 헤이안쿄 천도에 재정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유력한 호족으로, 그들의 권력 기반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2] 헤이안 궁은 새로운 수도에 세워진 최초이자 가장 중요한 구조물이었지만, 이전 당시에는 완전히 완성되지 않았다. 大極殿|대극전일본어은 795년에 완공되었고, 건설을 담당하는 정부 부서는 805년에 해산되었지만[2] 궁궐 작업은 여전히 미완성이었다.
초기 헤이안궁의 가장 중요한 공식 구역은 웅장한 중국식 朝堂院|조당원일본어과 豊楽院|풍락원일본어이었으나, 비교적 일찍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는 정교한 중국식 律令|율령일본어 정부 절차와 관료제의 쇠퇴와 병행되었는데, 그중 많은 부분이 점차 폐지되거나 빈 형식으로 축소되었으며, ''사실상'' 의사 결정은 가장 강력한 가문(특히 후지와라 씨)과 蔵人所|쿠로도코로일본어 같은 새로운 비합법적 관청의 손으로 넘어갔다.[2] 이러한 발전의 결과로, 단지의 실제 행정 중심지는 점차 황제의 거주지인 내리, 즉 内裏|다이리일본어로 옮겨졌다.
3. 2. 쇠퇴기
잦은 화재는 목재로 지어진 헤이안궁의 고질적인 문제였다. 1063년 화재로 풍락원이 소실된 후 재건되지 않았다.[2] 대극전은 876년, 1068년, 1156년에 화재 이후 재건되었으나, 1177년 대화재 이후에는 다시 재건되지 않았다.[19]
960년부터 내리 역시 반복적인 화재 피해를 입었지만, 12세기 후반까지 황실의 공식 거처로 사용되었다.[2] 재건 기간 동안 천황들은 종종 별궁에 머물렀는데, 이 별궁들은 주로 후지와라 씨 가문이 제공했다. 헤이안 시대 후반, 후지와라 씨는 천황에게 비빈을 제공하며 사실상 정치를 통제했고, 천황의 외조부모 저택은 궁궐의 거주 역할을 대신하기 시작했다.
1086년부터 원정 제도가 시작되면서, 퇴위한 천황들이 궁궐 밖 저택에서 권력을 행사하며 궁궐의 중요성은 더욱 감소하였다.[6] 시라카와 천황과 같은 치텐노키미는 대내리의 수리와 활용을 꺼렸고, 후지와라 타다미치가 "버려진" 다이리의 부흥을 제안했지만 도바 천황이 거절했다는 기록이 구간초에 남아있다.[11]
지쇼·주에이의 난 이후 조정은 재정난에 빠졌고, 1177년 대화재로 소실된 다이리의 재건은 지지부진했다.[22] 1219년 내리를 포함한 다이리가 소실되었고, 재건 도중인 1227년 다시 화재로 전소되면서 다이리 재건은 포기되었다.[23]
헤이안 후기, 다이리 주변의 오가키는 유지되었지만, 오가키 안쪽은 내리 등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는 공터(우치노)가 되었다.[24] 고금 이야기집에는 헤이안 시대 중기에 이미 다이리가 야간 통행이 가능한 황무지가 되었고, "우치노 거리"라는 도로가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25]
가마쿠라 시대에 우치노는 무사들의 마장으로 이용되었고,[27] 남북조 시대부터 전국 시대에는 종종 전장으로 이용되었다.[29] 무로마치 시대에는 우치노 북쪽의 기타노텐만구가 우치노와 스자쿠오지를 점거하여 농지를 개발했다. 오닌의 난으로 태정관청, 신기관, 진언원 (헤이안 궁) 등의 시설이 소실되어 재건되지 못했다.[30]
덴쇼 15년(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우치노에 주라쿠다이를 건설했지만, 이후 파괴되었다. 근세에는 주라쿠무라(취락돌이)라는 농촌이 되었고, 현대에는 교토 시가지의 일부가 되었다.
3. 3. 그 이후
1177년 대화재 이후, 원래의 궁궐 단지는 버려졌고 천황은 도시 안팎의 작은 궁궐과 별장에 거주했다.[19] 1227년 화재로 의 잔해가 파괴되면서, 옛 대궐은 사실상 완전히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3] 1334년 고다이고 천황은 대궐을 재건하라는 칙령을 내렸지만, 이를 지원할 자원이 없어 이 프로젝트는 완료되지 못했다.[23]
헤이안쿄는 1868년까지 수도로 남아 있었고, 11세기부터는 ''교토''(뜻: 수도)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현재의 교토 고쇼는 도시의 북동쪽 모퉁이에 있는 가문의 저택 부지 바로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곳은 임시 황실 거처의 기능을 점점 더 수행하다가 결국 새로운 영구적인 궁궐로 발전했다.[2]
4. 주요 시설
헤이안궁은 크게 천황의 거주 공간인 내리(內裏), 국가 의식을 거행하는 조당원(朝堂院), 연회를 여는 풍락원(豊楽院) 등으로 구성되었다.
헤이안궁은 중국 당나라 수도인 장안의 모형을 따라 직사각형 도시인 헤이안쿄의 북쪽 중심부에 위치해 있었다. 궁궐의 정문은 스자쿠몬으로, 스자쿠 대로의 북쪽 종착점을 이루었다.
대내리의 동남쪽 모퉁이는 현재의 니조 성 중앙에 위치해 있었다. 내리 외의 공간에는 태정관(太政官) 건물들이 조당원 바로 동쪽에 위치해 있었고, 진언원(真言院)은 내리 바로 옆에 지어져 진언종의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동서 약 1.2km, 남북 약 1.4km의 구역에는 행정 시설, 국가 의식 및 연중 행사를 수행하는 전각, 천황이 거주하는 내리가 설치되어 있었다. 대내리의 주변은 흙담(築地塀)으로 둘러쳐져 있었다.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시설 | 설명 |
|---|---|
| 조당원 | 다이리(大内裏)의 정청. 정무와 의식 때 관리가 착석하는 곳. |
| 대극전 | 조당원의 정전. 천황이 정무와 국가적 의식을 거행하는 곳. |
| 풍락원 | 조당원의 서쪽에 있으며, 절회(節會)의 연회나 외국 사절 환대 등이 행해졌다. |
| 좌근위부·우근위부 | |
| 엔노 마츠바라 | 내리의 서쪽에 위치한 빈터로, 원래는 내리 재건축 부지였다고 한다. |
| 태정관부 | |
| 신기관부 | |
| 팔성청 | 나카츠카사, 시키부, 지부, 민부, 효부, 교부, 오쿠라, 구나이의 각 성. |
| 령외관부 |
4. 1. 내리 (Dairi)
내리(內裏)는 천황의 거주 공간으로, 자신전(紫宸殿), 세이료덴(清涼殿), 후궁(後宮) 등 여러 건물로 구성되었다. 자신전은 내리의 정전으로, 헤이안 시대 중기 이후에는 대극전을 대신하여 의식, 공무, 알현의 장소로 사용되었다.[2] 세이료덴은 천황의 거소이자 회의 장소로 사용되었다.[3] 후궁에는 황후와 비빈들이 거주하는 조네이덴(常寧殿), 고키덴(弘徽殿) 등의 건물이 있었다. 일본 삼종신기 중 하나인 신성한 거울(야타노카가미) 복제품은 내리의 온명전(温明殿)에 보관되었다.960년 화재 이후 다이리(Dairi)가 재건되면서, 황제의 정규 거처는 세이료덴(Seiryōden)으로 옮겨졌다.[4] 시신덴(Shishinden) 북서쪽에 위치한 동쪽을 향한 건물이었다. 점차 세이료덴(Seiryōden)은 회의에 더 많이 사용되었고, 황제들은 궁궐의 이 부분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5] 건물에서 가장 분주한 곳은 전상간(Tenjōnoma)으로, 고위 귀족들이 황제 앞에서 만나는 장소였다.[6]
시신덴(Shishinden) 북쪽에는 황제의 거처로 사용될 목적으로 건설된, 크기가 다소 작은 지주덴(Jijūden)이 있었다. 9세기부터 황제들은 종종 다이리(Dairi)의 다른 건물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세 번째로 작은 건물인 쇼쿄덴(Shōkyōden)은 다이리(Dairi)의 주요 축을 따라 북쪽에 위치해 있었다. 북쪽 정원을 마주보고 있었으며, 10세기에 황후의 거처가 되기 전에는 꽃구경과 다른 연회에 사용되었다. 또한 최초의 황실 와카 시 모음집인 고킨와카슈 편집팀이 이곳에 있었다.[7]
4. 2. 조당원 (Chōdō-in)
조당원(朝堂院)은 다이리(大內裏)의 정청으로, 정무와 국가 의식을 거행하는 공간이었다. 조당원의 정전인 대극전은 천황이 정무를 보고 국가적인 의식을 거행하는 곳이었다.[16][17][18][19][20][21]4. 3. 풍락원 (Buraku-in)
풍락원은 조당원 서쪽에 위치했으며, 절회(節會) 연회나 외국 사절 환대 등이 행해졌다. 1063년 화재로 소실된 후 재건되지 않았다.[1]4. 4. 기타 시설
대내리에는 태정관부, 신기관부, 나카츠카사, 시키부, 지부, 민부, 효부, 교부, 오쿠라, 구나이 등의 팔성청을 비롯한 행정 기관 관련 건물들이 있었다. 내리 서쪽에는 엔노 마쓰바라(宴の松原)라는 넓은 빈터가 있었는데, 원래는 내리 재건축 부지였다고 한다.[24]5. 문(門)
헤이안궁의 가장 바깥쪽에는 궁성문(宮城門)이 있었으며, 내리 외곽의 문을 궁문(宮門), 내곽의 문을 합문(閤門)이라고 불렀다.
궁성 12문은 양명문(陽明門)을 시작으로 시계 방향으로 대현문(待賢門), 욱방문(郁芳門), 미복문(美福門), 주작문(朱雀門), 황가문(皇嘉門), 담천문(談天門), 조벽문(藻壁門), 은부문(殷富門), 안가문(安嘉門), 위감문(偉鑒門), 달지문(達智門)이 있었다. 각 문은 담당하는 씨족이 있었으며, 통칭으로도 불렸다.
| 그림 | 위치 | 홍인식(弘仁式) | 정관식(貞観式) | 연희식(延喜式) | 읽는 법의 변화 | 조진 씨족 | 통칭 | ||
|---|---|---|---|---|---|---|---|---|---|
| 정관식 | 연희식 | ||||||||
![]() | 동면 | 북 | 현견양문 | 산문 | 양명문(陽明門) | 야마 | 야우메이 | 산씨 | 병위어문 |
| 중 | 산문 | 건부문 | 대현문(待賢門) | 타케루베 | 타이켄 | 건부씨(建部氏) | 중어문 | ||
| 남 | 달부문 | 적문 | 욱방문(郁芳門) | 이쿠하 | 이쿠하우 | 적씨 | 대취어문 | ||
| 남면 | 동 | 임생문 | 임생문 | 미복문(美福門) | 미부 | 비후쿠 | 임생씨 | 임생어문 | |
| 중 | 대반문 | 대반문 | 주작문(朱雀門) | 오오토모 | 스자쿠 | 대반씨(大伴氏) | 대반문 | ||
| 서 | 약견양문 | 약견양문 | 황가문(皇嘉門) | 와카이누카이 | 쿠와우카 | 약견감씨 | 아악료문 | ||
| 서면 | 남 | 옥수문 | 옥수문 | 담천문(談天門) | 타마테 | 단텐 | 옥수씨 | 마료의 문 | |
| 중 | 사백문 | 사백문 | 조벽문(藻壁門) | 사에키 | 사우헤키 | 사백씨(佐伯氏) | 서중어문 | ||
| 북 | 이복부문 | 이복부문 | 은부문(殷富門) | 이후쿠베 | 인푸 | 이복부씨 | 서근위문 | ||
| 북면 | 서 | 해견양문 | 해견양문 | 안가문(安嘉門) | 아마이누카이 | 안카 | 해견감씨 | 효고료어문 | |
| 중 | 저사문 | 저사문 | 위감문(偉鑒門) | 이카이 | 이칸 | 저양씨 | 불개(열리지 않는) 문 | ||
| 동 | 단치비문 | 단비문 | 달지문(達智門) | 타지히 | 탓치 | 다지비씨(多治比氏) | 다천정문 |
궁성문에는 이상의 12문 외에 동면에는 양명문(陽明門)의 북쪽에 상동문(上東門), 서면에는 은부문(殷富門)의 북쪽에 상서문(上西門)이 있었다. 상동문과 상서문은 대장 통용문으로서 "지붕을 설치하지 않고, 흙담을 열어 둔" 문이었기 때문에 "흙의 문" = "토어문(土御門)"이라고 불렸다. 이 문을 나온 거리가 "토어대로(土御門大路)"이며, 성씨의 토어문가(土御門家)나 후지와라씨(藤原氏) 저택 토어문전(土御門殿)는 이 지명에서 유래한다. 상동문과 상서문을 제외한 12문이 "궁성 12문"으로 통칭된다.
6. 현대의 헤이안궁
헤이안궁은 완전히 파괴되었지만, 동시대 및 그 직후 시대의 자료들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무라사키 시키부의 겐지 이야기, 세이 쇼나곤의 베개책, 연대기 에이가 모노가타리와 오카가미 등 헤이안 시대의 여러 문학 작품들은 궁궐, 궁정 의식, 궁궐 사람들의 일상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24] 에마키모노 그림 두루마리, 부분적으로 손상된 궁궐 지도, 현대 고고학적 연구 등을 통해서도 헤이안궁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25]
헤이안 시대 후기에 다이리(大内裏)는 오가키(大垣)가 유지되어 위용을 유지했지만, 오가키 안쪽은 내리(内裏) 등의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는 공터였다.[26] 이 폐허가 된 부분은 '''우치노'''(内野)라고 불렸으며, 고금물어집에는 이미 다이리가 야간 통행이 가능한 황무지가 되어 "우치노 거리"라는 도로가 만들어졌음을 보여주는 이야기가 실려있다.[27]
우치노는 가마쿠라 시대에는 무사들의 마장(馬場)으로 이용되었고,[28] 남북조 시대부터 전국 시대에는 종종 전장으로 이용되었다.[29] 무로마치 시대에는 우치노 북쪽에 위치한 북야천만궁이 우치노와 주작대로를 점거하여 농지를 개발하기도 했다. 응인의 난으로 태정관청, 신기원, 진언원 등의 시설들이 소실되어 재건되지 못했다.[30]
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우치노에 취락제를 건설했지만, 이후 파각되었다. 근세에는 주라쿠무라(취락돌이)라는 농촌이 되었고, 현대에는 교토 시가지의 일부가 되었다.
1895년 헤이안 신궁이 건립되어 내부에 다이코쿠덴과 오텐몬 등 다이리(大内裏) 조당원의 시설이 축소 복원되었다.
6. 1. 문화재
헤이안궁 유적은 일본의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발굴 조사를 통해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32] 헤이안궁 풍락전(豊楽殿) 터에서 출토된 유물은 일본의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데,[31] 그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종류 | 수량 |
|---|---|
| 녹유·삼채 기와 | 422점 |
| 기와 전류 | 237점 |
| 백색 토기 | 3점 |
| 금속 제품 | 3점 |
| 유리 구슬 | 1점 |
| 기단 석재 | 8점 |
위 유물들은 교토시(京都市) 소유로, 교토시 매장 문화재 조사 센터에서 보관하고 있다.[31]
헤이안궁 유적은 다음과 같이 사적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32][33]
- 1979년(쇼와 54년) 12월 22일: "헤이안궁 내리 내곽 회랑 유적" 지정.
- 1990년(헤이세이 2년) 2월 22일: "헤이안궁 호락전 유적" 지정.
- 2008년(헤이세이 20년) 7월 28일: "헤이안궁 내리 내곽 회랑 유적"과 "헤이안궁 호락전 유적"을 통합하고, 청서당 유적 일부 및 호락전・청서당 사이의 복도 유적을 추가 지정하여, "헤이안궁 유적 내리 유적・호락원 유적"으로 명칭 변경.
- 2017년(헤이세이 29년) 2월 9일: 조정원 대극전 회랑 유적 일부(내야 공원)・호락원 유적 일부를 추가 지정하여, "헤이안궁 유적 내리 유적・조정원 유적・호락원 유적"으로 명칭 변경.
- 2021년(레이와 3년) 3월 26일: 사적 범위 추가 지정.
7. 평가 및 영향
헤이안궁은 중국 당나라의 수도였던 장안을 본떠 만들어졌지만, 일본 고유의 건축 양식과 문화를 반영하여 독특한 공간으로 발전하였다. 이전 수도였던 헤이조 궁(현재의 나라현 나라에 위치)과 임시 수도였던 나가오카쿄에도 이러한 모형이 채택되었다.
헤이안궁은 일본 역사에서 헤이안 시대의 정치, 문화, 사회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궁궐의 정문은 스자쿠몬으로, 도시 중심부를 관통하여 라쇼몬에서 뻗어 나온 거대한 스자쿠 대로의 북쪽 끝이었다. 따라서 궁궐은 남쪽을 향하고 있었으며, 헤이안쿄의 대칭적인 도시 계획을 주도했다. 스자쿠몬 외에도 궁궐에는 측벽을 따라 대칭적으로 13개의 다른 문이 있었다. 궁궐 북쪽 면을 따라 있는 세 개의 문을 제외하고, 각 문으로 주요 도로가 이어졌다.[1]
헤이안궁의 건축 양식과 배치는 이후 일본 건축과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宮城十二門諸史料異同一覧
吉川弘文館
[2]
서적
2016
[3]
서적
2016
[4]
서적
2016
[5]
서적
2016
[6]
서적
2016
[7]
서적
2016
[8]
서적
2016
[9]
서적
2016
[10]
서적
2016
[11]
서적
2016
[12]
서적
2016
[13]
서적
2016
[14]
서적
2016
[15]
서적
2016
[16]
서적
2016
[17]
서적
2016
[18]
서적
2016
[19]
서적
2016
[20]
서적
2016
[21]
서적
2016
[22]
서적
2016
[23]
서적
2016
[24]
서적
2016
[25]
서적
2016
[26]
서적
2016
[27]
서적
2016
[28]
서적
2016
[29]
서적
2016
[30]
논문
室町期の内野における存続官衛 -神祇官・太政官庁・真言院・神泉苑考-
2017
[31]
웹사이트
平安宮豊楽殿跡出土品
[32]
웹사이트
平安宮跡
[33]
간행물
令和3年3月26日文部科学省告示第49号
2021-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