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헬레니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레니카는 크세노폰이 저술한 고대 그리스의 역사서로,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가 미완으로 끝난 기원전 411년부터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7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종결과 스파르타의 패권, 테베의 부상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크세노폰이 스파르타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여 객관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지만,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그리스 역사를 연구하는 중요한 1차 사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세노폰의 작품 - 아나바시스 (크세노폰)
    《아나바시스》는 크세노폰이 키루스 2세의 왕위 찬탈 원정과 쿠낙사 전투 후 그리스 용병 만 명의 귀환 여정을 기록한 작품으로, 고대 그리스 군사와 소아시아에 대한 사료이며, 명료한 문체로 학습 교재 및 다양한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크세노폰의 작품 - 키루스의 교육
    《키루스의 교육》은 크세노폰이 이상적인 군주 키루스 2세를 묘사하여 정치적,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고자 쓴 작품으로, 초기 소설이자 군주론 장르에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4세기 역사책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 기원전 4세기 역사책 - 아나바시스 (크세노폰)
    《아나바시스》는 크세노폰이 키루스 2세의 왕위 찬탈 원정과 쿠낙사 전투 후 그리스 용병 만 명의 귀환 여정을 기록한 작품으로, 고대 그리스 군사와 소아시아에 대한 사료이며, 명료한 문체로 학습 교재 및 다양한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고대 그리스의 책 -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은 플라톤의 이상국가론을 비판하고, 다양한 정치 체제를 분석하여, 중산층을 강화한 혼합정을 이상적인 헌법으로 제시하며 국가 번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고대 그리스의 책 -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한 책으로, 시의 본질과 창작 원리를 탐구하며 미메시스, 카타르시스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비극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서구 문예 비평에 영향을 미쳤다.
헬레니카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제목 (원어)Ἑλληνικά (Hellenika)
저자크세노폰
작품 정보
주제고대 그리스 역사

2. 구성

헬레니카》는 총 7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27년간 계속된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전 기간을 설명해야 했지만, 기원전 411년까지의 설명에 그쳐 미완성으로 남았다. 크세노폰은 《헬레니카》를 저술하여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한 설명을 완결하고,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설명했다.[11]

《헬레니카》는 크세노폰이 스파르타에 우호적이어서 스파르타에 대한 설명이 호의적이고 객관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욱트라 전투〉의 기술은 승리의 주역 에파메이논다스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11]

2. 1.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종결 (1권 ~ 2권)

헬레니카》는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가 중단된 기원전 411년부터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끝나는 기원전 404년까지의 역사를 다룬다.[11] 이 시기 동안 아테네와 스파르타 간의 해상 전투, 알키비아데스의 아테네 복귀, 스파르타의 승리와 아테네의 항복, 삼십인 정체의 성립과 붕괴, 아테네 민주정의 회복 등의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크세노폰은 《헬레니카》를 통해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한 설명을 완결하고, 그 후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설명했다.[11]

2. 2. 스파르타의 패권과 테베의 부상 (3권 ~ 7권)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년 – 기원전 404년) 이후 스파르타의 패권 시기부터 테베가 부상하여 스파르타를 격파하고 패권을 차지하는 시기까지의 역사를 다룬다.[11] 페르시아 제국과의 관계, 코린토스 전쟁, 안탈키다스 평화, 보이오티아 전쟁, 레욱트라 전투, 만티네이아 전투 등의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11]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27년간 계속된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전 기간을 설명해야 했지만, 기원전 411년까지의 설명에 그쳐 미완성으로 남았다. 크세노폰은 《헬레니카》를 저술하여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한 설명을 완결하고,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설명했다.[11]

《헬레니카》는 크세노폰스파르타에 우호적이어서 스파르타에 대한 설명이 호의적이고 객관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욱트라 전투〉의 기술은 승리의 주역 에파메이논다스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11]

3. 상세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27년간 계속된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년 – 기원전 404년)의 전 기간을 설명해야 했다. 하지만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투키디데스의 기록은 기원전 411년까지의 설명에 그쳤기 때문 미완성으로 남았다.

크세노폰은 그 뒤를 이어 《헬레니카》(''Hellenica'')를 저술하여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한 설명을 완결하고, 그 다음에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설명했다.[11]

헬레니카는 크세노폰이 스파르타에 몸을 의지하고 있어서 그런지, 스파르타에 대한 설명이 호의적이고 객관성에 문제가 없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것은 스파르타의 적대자에 대한 무시, 경시로 이어졌다. 예를 들어 〈레욱트라 전투〉의 기술은 승리의 주역 에파메이논다스에 대한 언급이 아니라 에파메이논다스가 《헬레니카》에 등장하는 것은 그보다 더 이후이다.

3. 1. 1권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27년간 계속된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년 – 기원전 404년)의 전 기간을 설명해야 했지만, 투키디데스의 기록은 기원전 411년까지의 설명에 그쳐 미완성으로 남았다.[11]

크세노폰은 《헬레니카》(Hellenica)를 저술하여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한 설명을 완결하고, 그 다음에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설명했다.[11] 1권은 기원전 411년부터 기원전 406년까지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데켈레이아 전쟁" 시대를 다루며, 스파르타와 아테네 해군이 헬레스폰토스 지역에서 전투를 벌인 내용과 처음에 아테네 해군이 몇몇 주요 해전에서 승리한 내용, 알키비아데스가 아테네 군에 복귀하고 기원전 407년에 아테네로 돌아온 것을 서술한다.

헬레니카는 크세노폰이 스파르타에 우호적이어서 스파르타에 대한 설명이 호의적이고 객관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11] 이것은 스파르타의 적대자에 대한 무시, 경시로 이어졌는데, 예를 들어 레욱트라 전투의 기술은 승리의 주역 에파메이논다스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11]

3. 2. 2권

크세노폰은 《헬레니카》를 저술하여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서 미완성으로 남은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년 – 기원전 404년)에 대한 설명을 완결하였다.[11] 2권은 기원전 406년부터 기원전 402년까지 그리고 기원전 404년 아테네의 항복으로 끝나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끝을 서술한다. 스파르타의 사령관 리산드로스는 아테네의 장벽을 허물라고 명령했고, 아테네는 공식적으로 스파르타 패권에 가입했다. 스파르타인들은 또한 새로운 정부를 설치했다. 2권은 주로 전쟁 후 아테네의 내부 정치에 초점을 맞추며, 삼십인 정체로 알려진 스파르타가 세운 과두 정권이 전복되고 아테네에서 민주주의가 재개된 과정을 다룬다.

3. 3. 3권

펠로폰네소스 전쟁사》가 기원전 411년까지의 설명에 그친 이후, 크세노폰은 《헬레니카》를 저술하여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부터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다루었다.[11] 3권은 페르시아 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에 맞선 만 명의 원정에 대한 간략한 설명으로 시작되며, 소아시아에서 페르시아에 대항하여 아게실라오스 왕이 이끄는 스파르타 원정을 서술한다. 이오니아의 총독 파르나바주스와 티사페르네스는 《헬레니카》 전체에서 변하는 충성심을 가진 중요한 인물이다.

《헬레니카》는 크세노폰이 스파르타에 우호적인 입장이었기 때문에, 스파르타에 대한 설명이 호의적이고 객관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11] 예를 들어 레욱트라 전투에서 승리의 주역이었던 에파메이논다스에 대한 언급은 전투에 대한 기술보다 더 이후에 등장한다.[11]

3. 4. 4권

펠로폰네소스 전쟁사》가 기원전 411년까지의 설명에 그친 이후, 크세노폰은 《헬레니카》를 저술하여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완결하고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설명했다.[11] 4권은 기원전 396년부터 기원전 395년까지 페르시아에 대항한 아게실라오스 왕의 이오니아 원정을 다룬다. 이 기간 동안 파르나바주스 총독은 그리스 국가들에게 스파르타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도록 뇌물을 주었고, 이는 아테네, 코린토스, 아르고스, 테베가 스파르타에 대항하여 연합하는 코린토스 전쟁으로 이어졌다.

기원전 394년, 아게실라오스와 그의 군대는 페르시아 원정에서 소환되었다. 같은 해, 페르시아 제국은 스파르타에 대항하여 아테네 편에 섰고, 페르시아 총독 파르나바주스는 추방된 아테네 장군 코논이 크니도스 해전을 포함한 여러 전투에서 페르시아 해군을 이끌도록 했다. 이후 코논은 파르나바주스를 설득하여 아테네가 페르시아 함대를 유지하고 아테네의 장벽을 재건하는 자금을 지원하도록 했다.

3. 5. 5권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27년간 계속된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년 – 기원전 404년)의 전 기간을 설명해야 했지만, 기원전 411년까지의 설명에 그쳤기 때문에 미완성으로 남았다.[11]

크세노폰은 그 뒤를 이어 《헬레니카》를 저술하여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한 설명을 완결하고, 그 다음에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설명했다.[11] 5권은 기원전 388년부터 기원전 374년까지를 다루며, 기원전 387년 코린토스 전쟁이 끝날 무렵 "왕의 평화"라는 조약이 체결된 평화 회담이 열렸다. 테베의 아크로폴리스는 스파르타의 배신자로 여겨지는 포이비다스에 의해 점령되어 스파르타가 기원전 378년 테베인들이 스파르타인들을 축출하고 도시를 되찾을 때까지 도시를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나중에 기원전 378년부터 기원전 372년까지 보이오티아 전쟁으로 이어졌다.

《헬레니카》는 크세노폰이 스파르타에 우호적이어서 스파르타에 대한 설명이 호의적이고 객관성에 문제가 있다.[11] 예를 들어 〈레욱트라 전투〉의 기술은 승리의 주역 에파메이논다스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11]

3. 6. 6권

펠로폰네소스 전쟁사》가 기원전 411년까지의 설명에 그쳤기 때문에, 크세노폰은 《헬레니카》를 저술하여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한 설명을 완결하고, 그 다음에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설명했다.[11]

《헬레니카》는 크세노폰이 스파르타에 우호적이어서 스파르타에 대한 설명이 호의적이고 객관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11] 예를 들어 〈레욱트라 전투〉의 기술은 승리의 주역 에파메이논다스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11]

3. 7. 7권

헬레니카》는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 이어 기원전 411년 이후부터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다룬다.[11] 이 기간 동안 테베는 그리스에서 우세한 세력이었다. 새로운 세력이 등장함에 따라 옛 권력 구조는 변동했으며, 아테네스파르타테베에 대항하여 잠시 동맹을 맺기도 했다.

스파르타는 내부 반란과 외부 저항으로 인해 점점 더 많은 괴롭힘을 받았으며, 스파르타 본토는 수 세기 만에 처음으로 침략을 받았다. 그러나 레욱트라 전투에서 테베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에파메이논다스에 대한 언급은 전투에 대한 기술에는 나타나지 않고, 그보다 더 이후에 등장한다.[11] 테베의 패권은 기원전 362년 만티네아 전투에서 끝났다.

4. 역사적 의의

《헬레니카》는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가 미완으로 끝난 기원전 411년 이후의 역사를 다루며,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년 – 기원전 404년)을 완결짓고,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까지의 역사를 설명한다.[11] 크세노폰스파르타에 우호적인 입장이었기 때문에, 스파르타에 대한 설명은 호의적인 반면 스파르타의 적대자에 대해서는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레욱트라 전투〉의 승리 주역인 에파메이논다스에 대한 언급은 전투에 대한 기술에는 없고, 그보다 더 이후에 등장한다.[11] 이러한 점 때문에 《헬레니카》는 객관성에 문제가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펠로폰네소스 전쟁 직후부터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이전까지의 그리스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1차 사료이며, 당대 주요 정치, 군사 지도자들과 교류했던 크세노폰의 개인적인 경험과 관점을 엿볼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5. 비판

크세노폰이 스파르타에 우호적이었기 때문에, 《헬레니카》에는 스파르타에 대한 긍정적 서술이 두드러진다.[11] 스파르타의 정적이었던 아테네테베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서술을 기대하기 힘들다. 예를 들어 〈레욱트라 전투〉 기술에서 승리의 주역인 에파메이논다스에 대한 언급은 전투 이후에나 등장한다.[11] 이처럼 주요 사건에 대한 크세노폰의 관점과 해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6. 다른 헬레니카

크세노폰의 《헬레니카》 외에도, 같은 제목을 가진 다른 역사서들이 존재했다.[4] 키메의 에포로스와 키오스의 테오폼푸스가 쓴 두 작품이 두드러지는데,[4] 에포로스는 보편사를 시도했으며, 신화와 역사를 구분하려고 했지만, 헤라클레스의 아들들의 귀환이라는 전설적인 이야기로 작품을 시작했다.[5] 람프사쿠스의 아낙시메네스가 헬레니카를 저술했다는 증거가 있다.[7]

옥시린쿠스의 파피루스에서 발견된 또 다른 단편적인 헬레니카는 헬레니카 옥시린키아로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411년부터 기원전 395년/기원전 394년 크니도스 해전까지의 사건을 다루고 있다.[8]

7. 한국어 번역

크세노폰의 《헬레니카》는 대한민국에서 1998년부터 1999년까지 2권으로 번역, 출간되었다.[11] 번역본은 교토대학학술출판회에서 출판되었으며, 역자는 네모토 히데요/根本英世일본어이다. 2권의 ISBN은 각각 ISBN 978-4876981106, ISBN 978-4876981144이다.

참조

[1] 문서 A History of My Times
[2] 서적 Xenophontis opera omnia, vol. 1 Clarendon Press 1900
[3] 서적 Hellenica - A History of My Times by Xenophon - Books I-VII Complete EPN Press 2009
[4] 서적 Greek Historians 1988
[5] 문서 Heracleidae
[6] 참고자료 Murray1988
[7] 서적 Aristotle: Problems, Volume II: Books 20-38. Rhetoric to Alexande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8]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9] 문서 断筆以降も彼は生き続けたので、理由を死と直結させるのは根拠が低い。
[10] 문서 A History of My Times
[11] 서적 Xenophontis opera omnia, vol. 1 Clarendon Press 19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