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시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재 시제는 언어에서 사건이 발생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다. 영어의 현재 시제는 3인칭 단수를 제외하고 동사 원형과 동일하며, 단순 현재, 현재 진행형, 현재 완료, 현재 완료 진행형 등의 형태가 있다. 현재 시제는 현재뿐 아니라 미래나 과거의 사건을 묘사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언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그리스어, 로망스어군(라틴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슬라브어군(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중국어족(오어) 등에서도 현재 시제가 존재한다. 소설에서는 과거 시제가 일반적이나, 현재 시제를 사용하여 서술하는 경우도 있으며, 폴 오스터의 『고스트』, 무라카미 하루키의 『애프터 다크』, 존 업다이크의 『달려라, 토끼』 등이 그 예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제 - 미래완료
미래완료는 미래 특정 시점까지 완료될 행위를 나타내는 시제로, 여러 언어에서 미래 시제 보조동사와 과거분사의 결합으로 표현되지만 미래 상황에 대한 추측이나 의문을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언어마다 사용법이 다르고 한국어에는 정확히 대응하는 시제가 없어 다양한 표현으로 번역된다. - 시제 - 과거완료
과거완료는 과거 특정 시점 이전에 시작되어 그 시점에 완료되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사건을 나타내는 시제로, 라틴어처럼 동사 활용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영어의 `had + 과거분사`나 한국어의 '-었었-' 어미처럼 조동사와 과거분사를 결합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언어에서는 존재하지 않거나 드물게 사용되기도 한다.
현재시제 |
---|
2. 영어의 현재 시제
대부분의 현대 영어 동사의 현재 시제는 3인칭 단수 형태를 제외하고는 원형과 동일하며, 3인칭 단수 형태는 어미 ''-[e]s''를 취한다. 동사 ''be''는 ''am'', ''is'', ''are''의 형태를 갖는다. 현재 시제와 함께 사용되는 단순 현재, 현재 진행형, 현재 완료, 현재 완료 진행형과 같은 여러 다중 단어 구문이 있다. 현재 시제의 사용이 항상 현재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현재 시제는 미래의 사건(''I am seeing James tomorrow''; ''My train leaves at 3 o'clock this afternoon'')을 언급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조건문 절(''If you see him,...'')과 다른 많은 부사절(''As soon as they arrive...'')에서 그렇다. 과거의 사건을 서술하기 위해 현재 시제를 사용하는 역사적 현재도 있다.
영어에서 현재 시제 구문의 사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영어 동사 형태의 용법을 참조한다.
2. 1. 단순 현재
대부분의 현대 영어 동사의 현재 시제는 3인칭 단수 형태를 제외하고는 원형과 동일하며, 3인칭 단수 형태는 어미 ''-[e]s''를 취한다. 동사 ''be''는 ''am'', ''is'', ''are''의 형태를 갖는다. 자세한 내용은 영어 동사를 참조한다. 현재 시제의 기본 형태는 단순 현재라고 불린다.2. 2. 현재 진행형
영어에서 현재 진행형은 'be' 동사 + 동사-ing 형태로, ''am writing''과 같이 표현되며 현재 진행 중인 동작을 나타낸다.2. 3. 현재 완료 및 현재 완료 진행형
현재 완료는 'have/has + 과거 분사' 형태를 가지며, 현재 완료 진행형은 'have/has been + 동사-ing' 형태를 가진다. 이들은 과거에 시작된 동작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계속 진행 중임을 나타낸다.[1]2. 4. 미래 표현
현재 시제가 항상 현재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현재 시제는 미래의 사건을 언급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I am seeing James tomorrow''; ''My train leaves at 3 o'clock this afternoon''). 이는 조건문 절과 다른 많은 부사절에서 특히 그렇다(''If you see him,...''; ''As soon as they arrive...'').2. 5. 역사적 현재
역사적 현재는 과거의 사건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기 위해 현재 시제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1]3. 그리스어의 현재 시제
현대 그리스어에서 현재 시제는 영어의 현재 시제와 비슷하게 쓰이며, 현재 진행형의 의미도 나타낼 수 있다. 그리스어의 다른 활용과 마찬가지로, 현재 시제의 일부 동사는 같은 사람에 대해 서로 다른 (하지만 동일한) 형태를 허용한다.
3. 1. 활용 예시
현대 그리스어에서 현재 시제는 영어의 현재 시제와 유사하게 사용되며, 현재 진행형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리스어의 다른 일부 활용과 마찬가지로, 현재 시제의 일부 동사는 동일한 사람에 대해 서로 다른 (하지만 동일한) 형태를 허용한다. 다음은 동사 '''βλέπω''' (보다), '''τρώω''' (먹다), '''αγαπώ''' (사랑하다)의 그리스어 현재 시제 활용 예시이다.βλέπω | τρώω, τρώγω | αγαπώ, αγαπάω | |
---|---|---|---|
εγώ (나) | βλέπω | τρώω, τρώγω | αγαπώ, αγαπάω |
εσύ (너) | βλέπεις | τρως, τρώεις | αγαπάς |
αυτός/αυτή/αυτό (그/그녀/그것) | βλέπει | τρώει, τρώγει | αγαπά(ει) |
εμείς (우리) | βλέπουμε | τρώμε, τρώγομε, τρώγουμε | αγαπάμε, αγαπούμε |
εσείς (너희 (복수)) | βλέπετε | τρώτε, τρώγετε | αγαπάτε |
αυτοί/αυτές/αυτά (그들) | βλέπουν(ε) | τρών(ε), τρώγουν(ε) | αγαπούν(ε), αγαπάν(ε) |
4. 로망스어군의 현재 시제
로망스어는 라틴어, 특히 서부 속라틴어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에 현재 시제의 용법과 형태가 유사하다.[1]
4. 1. 라틴어 현재 직설법
라틴어 현재 시제는 진행형 또는 단순 현재형으로 번역될 수 있다. 다음은 현재 직설법 라틴어 활용의 예이다.plicāre | debēre | dicere | cupere | scīre | |
---|---|---|---|---|---|
활용 | 1st | 2nd | 3rd | 3rd | 4th |
ego | plicō | debeō | dīcō | cupiō | sciō |
tu | plicās | debēs | dīcis | cupis | scīs |
is, ea, id | plicat | debet | dicit | cupit | scit |
nos | plicāmus | debēmus | dīcimus | cupimus | scīmus |
vos | plicātis | debētis | dīcitis | cupitis | scītis |
ei, eae, ea | plicant | debent | dīcunt | cupiunt | sciunt |
4. 2. 프랑스어 현재 직설법
프랑스어의 현재 시제는 영어의 현재 시제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다음은 프랑스어 현재 시제의 활용 예시이다.parler | perdre | finir | partir | |
---|---|---|---|---|
je | parle | perds | finis | pars |
tu | parles | perds | finis | pars |
il/elle/on | parle | perd | finit | part |
nous | parlons | perdons | finissons | partons |
vous | parlez | perdez | finissez | partez |
ils/elles | parlent | perdent | finissent | partent |
현재 직설법은 현재 진행형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Jean mange''는 "존은 먹는다", "존은 먹고 있다"로 번역될 수 있다. 현재 진행형을 강조하기 위해 "en train de"와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Jean est '''en train de''' manger''는 "존은 먹고 있다", "존은 먹는 '''중이다'''"로 번역될 수 있다. ''On est '''en train de''' chercher un nouvel appartement''는 "우리는 새 아파트를 찾고 있다", "우리는 새 아파트를 찾는 '''중이다'''"로 번역될 수 있다.
4. 3. 이탈리아어 현재 직설법
이탈리아어에서 현재 시제는 영어의 현재 시제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다음은 이탈리아어 동사의 현재 직설법 활용의 예시이다.parlare | vedere | sentire | |
---|---|---|---|
io | parlo | vedo | sento |
tu | parli | vedi | senti |
egli/ella | parla | vede | sente |
noi | parliamo | vediamo | sentiamo |
voi | parlate | vedete | sentite |
essi/esse | parlano | vedono | sentono |
4. 4.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 현재 직설법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의 현재 시제는 형태가 유사하며, 사용 방식도 비슷하다. 다음은 포르투갈어의 현재 직설법 활용 예시이다.주어 | falar (말하다) | comer (먹다) | insistir (주장하다) | ter (가지다) | ser (이다) |
---|---|---|---|---|---|
eu (나) | falo | como | insisto | tenho | sou |
tu (너) | falas | comes | insistes | tens | és |
ele/ela/você (그/그녀/당신) | fala | come | insiste | tem | é |
nós (우리) | falamos | comemos | insistimos | temos | somos |
vós (너희) | falais | comeis | insistis | tendes | sois |
eles/elas/vocês (그들/그녀들/당신들) | falam | comem | insistem | têm | são |
다음은 이에 상응하는 스페인어 활용 예시이다.
주어 | hablar (말하다) | comer (먹다) | insistir (주장하다) | tener (가지다) | ser (이다) |
---|---|---|---|---|---|
yo (나) | hablo | como | insisto | tengo | soy |
tú (너) | hablas | comes | insistes | tienes | eres |
él/ella/usted (그/그녀/당신) | habla | come | insiste | tiene | es |
nosotros (우리) | hablamos | comemos | insistimos | tenemos | somos |
vosotros (너희) | habláis | coméis | insistís | tenéis | sois |
ellos/ellas/ustedes (그들/그녀들/당신들) | hablan | comen | insisten | tienen | son |
5. 슬라브어파의 현재 시제
슬라브어파에서는 현재 시제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불가리아어와 마케도니아어의 현재 시제 활용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5. 1. 불가리아어 현재 직설법
불가리아어에서 비완료 동사의 현재 직설법 시제는 영어의 현재 직설법과 매우 유사하게 사용되며, 현재 진행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불가리아어의 현재 직설법 시제 활용 예시이다.писати* pisati|피사티bg | говорити* govoriti|고보리티bg | искати* iskati|이스카티bg | отваряти* otvarjati|오트바랴티bg | |
---|---|---|---|---|
аз az|아즈bg | пиша piša|피샤bg | говоря govorja|고보랴bg | искам iskam|이스캄bg | отварям otvarjam|오트바럄bg |
ти ti|티bg | пишеш pišeš|피셰시bg | говориш govoriš|고보리시bg | искаш iskaš|이스카시bg | отваряш otvarjaš|오트바랴시bg |
той, тя, то toj, tja, to|토이, 탸, 토bg | пише piše|피셰bg | говори govori|고보리bg | иска iska|이스카bg | отваря otvarja|오트바랴bg |
ние nie|니에bg | пишем pišem|피솀bg | говорим govorim|고보림bg | искаме iskame|이스카메bg | отваряме otvarjame|오트바랴메bg |
вие vie|비에bg | пишете pišete|피셰테bg | говорите govorite|고보리테bg | искате iskate|이스카테bg | отваряте otvarjate|오트바랴테bg |
те te|테bg | пишат pišat|피샤트bg | говорят govorjat|고보럇bg | искат iskat|이스카트bg | отварят otvarjat|오트바럇bg |
'''*''' 고어이며, 현대 불가리아어에서는 부정사가 없다.
5. 2. 마케도니아어 현재 시제
마케도니아어의 현재 시제는 불완료 동사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다음 표는 "쓰다"(пишува|pišuvamk), "말하다"(зборува|zboruvamk), "원하다"(сака|sakamk), "열다"(отвaра|otvaramk) 동사의 활용을 보여준다.пишува|pišuvamk (쓰다) | зборува|zboruvamk (말하다) | сака|sakamk (원하다) | отвaра|otvaramk (열다) | |
---|---|---|---|---|
јас|jasmk (1인칭 단수) | пишувам|pišuvammk | зборувам|zboruvammk | сакам|sakammk | отвaрам|otvarammk |
ти|timk (2인칭 단수) | пишуваш|pišuvašmk | зборуваш|zboruvašmk | сакаш|sakašmk | отвaраш|otvarašmk |
тој, таа, тоа|toj, taa, toamk (3인칭 단수: 남성, 여성, 중성) | пишува|pišuvamk | зборува|zboruvamk | сака|sakamk | отвaра|otvaramk |
ние|niemk (1인칭 복수) | пишуваме|pišuvamemk | зборуваме|zboruvamemk | сакаме|sakamemk | отвaраме|otvaramemk |
вие|viemk (2인칭 복수) | пишувате|pišuvatemk | зборувате|zboruvatemk | сакате|sakatemk | отвaрате|otvaratemk |
тие|tiemk (3인칭 복수) | пишуваат|pišuvaatmk | зборуваат|zboruvaatmk | сакаат|sakaatmk | отвaраат|otvaraatmk |
6. 중국어족의 현재 시제
오어는 다른 중국어 방언과 달리 현재 시제를 포함한 일부 시제를 표시할 수 있다.[3]
6. 1. 소주어와 옛 상하이 방언
오어에서는 다른 시니틱어군(중국어 방언)과 달리 현재 시제를 포함한 일부 시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쑤저우어와 옛 상하이 방언에서는 哉|짜이중국어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이 입자는 절의 끝에 위치하며, 시제가 언급될 때 어순은 SOV로 바뀐다.[3]"落雨了|뤄위러중국어"와 같은 문장에서, 표준 중국어에서는 완료상을 나타내지만, 현대 상하이 방언에서는 현재 시제로 분석될 수 있다. 여기서 哉|짜이중국어는 了|러중국어로 약화되었다.
7. 문학과 현재 시제
소설의 서술 시제는 과거형이 일반적이지만, 현재 시제를 사용하여 독자에게 현장감과 긴장감을 더하는 작품들이 있다. [1]
7. 1. 현재 시제를 사용한 작품 예시
폴 오스터의 『고스트』, 무라카미 하루키의 『애프터 다크』, 존 업다이크의 『달려라, 토끼』 등이 현재 시제를 사용한 소설로 유명하다.[1]참조
[1]
서적
Ten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grammar
Oxford Univ. Press
1998
[3]
서적
《從〈滬語便商〉所見的老上海話時態》 (Tenses and Aspects? Old Shanghainese as Found in the Book Huyu Bian Shang)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