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국 불교 사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국 불교 사상은 불교의 힘으로 국가를 보호하고 국민의 사상을 발전시키려는 사상으로, 신라 시대에 화랑도의 전통, 불교 교리, 특히 《인왕반야바라밀경》의 진호국가 사상이 융합되어 형성되었다. 이차돈의 순교, 진흥왕의 불교 행사 개최, 자장의 불국토 사상 제창, 황룡사 9층탑 건립 등이 호국 불교 사상 확립에 기여했다. 신라 이후 고려 시대의 《고려대장경》 판각, 조선 시대 임진왜란 당시 의승군의 활약, 3.1 운동 당시 승려들의 참여 등은 호국 불교 사상이 시대적으로 계승되었음을 보여준다.

2. 사상의 성립 (신라)

신라에서는 6세기경부터 화랑도 전통과 불교 교리가 융합되어 호국불교 사상이 형성되었다. 특히 《인왕반야바라밀경(仁王般若波羅密經)》에 근거한 진호국가(鎭護國家) 교리가 융합되어, 불력(佛力)으로 국가를 지키는 사상이 나타났다.[5]

2. 1. 호국불교 사상 확립 과정

신라에서는 6세기경부터 토착적인 화랑도의 전통과 외부로부터 새로이 도입된 종교인 불교의 교리, 그중에서도 특히 《인왕반야바라밀경(仁王般若波羅密經)》에 근거한 진호국가(鎭護國家)의 교리가 융합되어, 신라의 불교는 불력(佛力)으로 국가를 지키고 국민 사상을 계발시키는 구심점을 이루게 되었다.[5]

이러한 호국 불교의 사상이 확립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5]

  • 이차돈은 순교 직전에 자기가 죽는 것은 임금을 위한 신하의 길이요, 자기가 죽음으로써 불교가 공인되면 나라가 태평하고 임금이 편안할 것이라고 말하여 충성순교 정신을 연결시켰다.[5]
  • 진흥왕혜량(惠亮)이 백고강좌회(百高講座會)와 8관재회를 개설하니 국가를 위한 불교행사의 효시가 되었다.[5]
  • 진흥왕 33년에 전사한 사졸을 위하여 팔관연회를 7일간 열었다.[5]
  • 진흥왕 37년에 화랑도를 인재 등용기관으로 하였고 이들의 교육 지침으로 원광(圓光)이 세속오계를 지어 주었으며 35년에 황룡사에서 백고좌를 설하고 원광 등이 경을 설하였다.[5]
  • 자장(慈藏: 590-658)은 신라의 불교는 결코 새로운 종교가 아니며 과거세(過去世)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불교와 인연(因緣) 깊은 이상국(理想國)이라고 역설하는 불국토 사상을 제창했다.[4] 불국토 사상은 호국 불교 사상과 결부되어 불교의 유통과 일반 국민의 국가 사상을 고취시켰으며, 이러한 국민사상이 신라에 의한 삼국 통일의 밑거름이 되었다.[4]
  • 선덕여왕 14년에 자장(慈藏)의 건의로 황룡사 9층탑을 세우니 일본, 중국 등 9개의 적을 진압하기 위해서였다.[5]
  • 문무왕신혜 법사(信惠法師)가 중앙 관직에 임명되었고 명랑 법사(明朗法師)의 건의에 따라 당병(唐兵) 방어책으로 사천왕사(四天王寺)를 지으니 삼국 통일의 상징처럼 되었다.[5]

3. 사상의 계승

신라에서 확립된 호국 불교 사상은 신라 시대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고려 고종 23년(1236)에 착수한 《고려대장경》 판각 사업은 외적을 퇴치하기 위하여 국가와 국민이 단합하여 완성한 호국불사(護國佛事)이다.[1] 조선 시대 임진왜란 때 왜적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일어선 서산 '''·''' 사명을 위시한 의승군(義僧軍)의 활약 역시 호국 불교 사상의 발로였다.[1] 3·1 만세 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 백용성 '''·''' 한용운의 두 고승이 참여함으로써 한국 불교의 호국 불교 사상은 현대에까지 계승되어 왔다.[1]

참조

[1] 백과사전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사상 > 호국사상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2] 백과사전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의 불교〔서설〕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3] 백과사전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사상 > 한국불교의 사상〔개설〕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4] 백과사전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사상 > 자장의 사상 > 불국토사상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5] 백과사전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삼국시대의 사상 > 삼국시대의 불교사상 > 신라 불교의 진호국가 사상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