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의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의군은 조선 세종의 서자이자 단종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유배된 왕족이다. 1425년에 태어나 1433년 화의군에 봉해졌으며, 성균관에 입학하고 박중손의 딸과 혼인했다. 임영대군과 함께 여인을 궁궐에 들이려다 발각되는 등 품행이 문란했으나,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했다가 세조에게 탄핵받아 유배되었다. 재산 몰수 및 자녀의 천민 강등 등의 처벌을 받았고, 성종 때 석방, 정종 때 복권되었다. 1460년 사약을 받고 사망했으며, 1791년 정조에 의해 단종의 충신으로 인정받아 불천위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후작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 조선의 후작 - 이천우 (조선)
    이천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인 이원계의 둘째 아들로, 조선 건국에 참여한 공신으로서 왜구 토벌에 공을 세웠고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지지하여 공신에 책록, 완산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사후 태종 묘정에 배향, 시호는 양도이다.
  • 육종영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 육종영 - 금성대군
    금성대군은 조선 세종의 여섯째 아들로, 단종 복위를 꾀하다 실패하여 세조에 의해 처형되었으며, 사후 신원되고 관작이 복구되었다.
  • 1425년 출생 - 정현옹주
    세종의 서녀인 정현옹주는 1436년 윤사로와 혼인하여 영천군부인이 되었고, 윤반과 윤린을 낳았다.
  • 1425년 출생 - 광평대군
    광평대군 이여는 조선 세종의 다섯째 아들로, 경서와 문장에 능하여 총애를 받았으나 요절하였고, 무안대군 이방번의 봉사손으로서 제사를 받들며 왕실의 역할을 수행하고 경제소 운영에 참여했으나, 사치와 인사 청탁 논란 속에 34세로 사망하여 세종의 슬픔을 자아낸 인물로, 시호는 장의이다.
화의군
기본 정보
작위조선 세종의 왕자
이영(李瓔)
시호충경(忠景)
출생일1425년 10월 25일 (양력)
사망일1460년 3월 13일 (양력) (음력 2월 21일)
배우자밀양 박씨
부친세종
모친영빈 강씨
자녀7남
능묘화의군 이영 묘역
능묘 위치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46길 43
관직 정보
칭호화의군 (화의군)
인물 정보
이름이영(李瓔)
출생일1425년 9월 5일
사망일1460년 (35세)
사망 장소조선
매장 장소서울특별시 은평구
배우자밀양 박씨
자녀일곱 아들
가문전주 이씨
아버지세종
어머니영빈 강씨
종교신유학
기타
한국어 이름화의군(화의군)
한자和義君
로마자 표기Hwaui-gun

2. 생애

이영(李𤣥)은 1425년 세종의 측실인 영빈 강씨에게서 여섯째 아들, 서장자로 태어났다.[3] 1433년 화의군(華懿君)에 봉해졌고, 1438년 성균관에 입학하였다.[4] 같은 해 박중손의 딸과 혼인하였다.[4]

1441년 이복형 임영대군과 함께 여인을 남장시켜 궁궐에 들이려는 음모를 꾸몄다.[5]

세조 (수양대군)에 대항하여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한 죄로 여러 차례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6] 이후 노비와 토지 등 모든 재산을 몰수당했고 자녀들은 천민으로 강등되었다.[7] 가족은 약 30년간 유배 생활을 하였으며, 성종 때 석방되었으나 중종 때에야 복권되었다.[8]

2. 1. 출생과 왕자 시절

1425년(세종 7년) 9월 5일, 세종영빈 강씨(당시 궁인) 사이에서 태어났다.[9] 세종의 여섯째 아들이자 서장자였다.[3]

1433년(세종 15년) 1월 '''화의군'''(和義君)에 봉해졌고, 1436년(세종 18년) 성균관에 입학하였다.[10] 같은 해 10월 8일 사헌부 감찰 박중손의 딸과 혼인하였다.[11]

1441년(세종 23년) 8월, 이복형 임영대군과 함께 민간 여인을 남장시켜 궁궐 안으로 들이려다 수문장에게 발각되어 직첩과 과전을 몰수당하였다.[12]

1447년(세종 29년) 7월 복권되었으나, 부인의 큰아버지 박대손(朴大孫)의 노비 출신 첩을 빼앗고 1449년(세종 31년) 조관의 기첩을 빼앗아 다시 직첩이 몰수되었다.[18] 이듬해 문종 즉위 후 복권되었다.

1451년(문종 1년) 2월, 세종 소상 후 종친들을 학당에 보내라는 문종의 명으로 학당에 보내졌다. 1454년(단종 2년), 효령대군, 수양대군, 임영대군, 계양군 등과 함께 단종 비 송씨(정순왕후) 간택에 참여하였다.

1455년(단종 3년) 금성대군 집에 모여 활쏘기 시합을 한 일이 훈신들의 눈에 띄면서, 이복동생 평원대군의 첩 초요갱과 몰래 간통한 사실이 발각되어 다시 고신을 몰수당하고 경기도에 부처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초요경은 계양군과도 사통하였다 하여 계양군은 세조에게 추궁받았다.

2. 2. 단종 복위 운동과 유배

세종의 여섯째 아들이자 서장자로, 계유정난 당시 수양대군(세조)에 맞선 육종영 중 한 사람이다. 금성대군, 혜빈 양씨 등과 함께 훈신들의 공격을 받고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수차례 탄핵되어 유배되었다.[6]

세조 즉위 후, 계양군과 영천위 윤사로 등의 탄핵을 받았고, 금성대군, 혜빈 양씨 등과 결탁해 국가 기틀을 어지럽혔다는 탄핵을 받아 외방에 부처되었다.

사육신 사건이 발각되자 세조는 화의군을 시험하고자 불러 사육신의 처리 문제를 물었다. “성삼문을 파직 처리함이 옳지 않으냐.”는 세조의 질문에 화의군은 묵묵부답했고, 전라도 금산에 어머니 강씨와 함께 유배되었다.

1456년(세조 2년) 사면되었으나, 그해 상왕(단종) 복위사건에 가담하여 가산을 적몰당하고 고신을 회수당한 뒤 전라도 금산에 안치되었다.[13] 1457년(세조 3년) 세조는 금산부사에게 화의군 감시를 허술하게 하면 죄를 묻고 감사(監司)도 죄를 면하기 어려울 것이니 금방을 엄하게 더하라고 유시하였다.[14]

양녕대군 등이 세조에게 화의군 처형을 여러 차례 청했으나 세조는 따르지 않았다.[15][16]

순흥에 유배되었던 금성대군이 순흥부사 이보흠 등과 단종복위운동을 도모하다 관노의 밀고로 사사되고, 영월에 방출된 단종이 교살되자 이에 연루되어 익산에 유배되었다. 이후 노비와 토지 등 모든 재산을 몰수당했고 자녀들은 천민으로 강등되었다.[7]

2. 3. 죽음과 복권

세종의 여섯째 아들이자 서장자로, 계유정난 당시 수양대군(세조)에 맞선 육종영 중 한 사람이다. 금성대군, 혜빈 양씨 등과 함께 훈신들의 공격을 받고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수차례 탄핵되어 유배되었다.[6]

이후 노비와 전답을 비롯해 모든 재산을 몰수당하고[7] 어머니 영빈(令嬪) 등과 익산에 유배되었으며, 음력 1460년 2월 21일 사약을 받아 고장(시체를 짚이나 거적에 싸서 장사를 지냄. 또는 그 장사)되었다고 왕실 족보인 선원속보에 기록되어 있다. 이후 종친으로서의 모든 지위를 박탈당하고 자녀들도 천민으로 강등되었는데,[7] 자녀들은 성종 때 면천되었고 종친의 지위는 중종 때 복권되었다.[8]

'1489년(성종 20년) 화의군이 자신의 서자를 종적에 편입시켜줄 것을 호소하였다.'라는 성종실록의 내용을 근거로 사망 시기를 1489년 이후로 추정하는 이도 있으나, 이 부분은 화의군 아들의 상소를 성종에게 전하는 과정에서 그 주체가 화의군으로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왕실 족보인 선원록(선원속보)에는 갑진(1460년) 2월 21일 수 고명(사약을 받다) 고장 익산(익산에 장사 지냈다)이라 기록되어 있어, 후손들은 이날 서울시 기념물 화의군 이영 묘역에서 매년 제사를 모시고 있다.

3. 평가

화의군은 《선원록》에서 이름이 삭제되었다가 1518년(중종 13년) 손자 윤(綸)의 요청으로 관작이 추복되고 자손도 종친록에 추록되었다. 품행은 문란했지만 절의가 있었고, 초서와 예서에 능했다.[1]

1791년(정조 15년) 장릉 배식단 구축 시 단종조 충절이 인정되어 정단(正壇)에 배식되었고, 정조는 어제문을 내려 화의군의 신주(神主)를 불천위(不遷位)로 하여 후손들이 제사 모시도록 하였다. 이후 순조는 묘소 앞에 정려문(홍살문)을 내렸다.[2]

3. 1. 긍정적 평가

1518년(중종 13년) 손자 윤(綸)의 요청으로 관작이 추복되고 자손도 종친록에 추록되었다. 품행은 문란했지만 절의가 있었고, 초서와 예서에 능하였다.[1]

1791년(정조 15년) 장릉에 배식단을 구축하면서 단종조의 충절이 인정되어 정단(正壇)에 배식되었으며, 이때 정조는 어제문을 내려 화의군의 신주(神主)를 불천위(不遷位)로 하여 후손들이 제사 모시도록 하였다. 이후 순조는 화의군의 충절을 본받도록 묘소 앞에 정려문(홍살문)을 내렸다.[2]

3. 2. 부정적 평가

화의군은 품행이 문란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절의가 있었고 초서와 예서에 능했다는 평가도 있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세종조선 제4대 왕
어머니영빈 강씨
부인군부인 밀양 박씨참판, 증찬성 박중손의 딸
아들여흥군 이원장남, 며느리는 보성 노씨(노문손의 딸)와 금산 이씨(참봉 이득형의 딸)
여성군 이번차남, 며느리는 개성 송씨(판관 송세련의 딸)
금란수 이식3남, 며느리는 개성 고씨(고민의 딸)
첩과 서자
아난
서자이건리동며느리는 금산의 관비 출신 명가
내은금
서자이수달며느리는 봉상시 여종 제석
감지금산의 관비 출신
서자이팽수
이름 미상[17] [18]
서자이름 미상



1489년(성종 20년) 5월, 성종의 특명으로 화의군이 여자 노비 3명과의 사이에서 낳은 서자 이건리동, 이수달, 이팽수와 서손들은 노비 신분에서 면천되었다.

5. 묘소

화의군 이영 묘역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4호이다.

참조

[1] 서적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2] 서적 불륜의 왕실사: 베개 밑에서 발견한 뜻밖의 역사 https://books.google[...] 타오름 2009-06-10
[3] 서적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4] 서적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5] 서적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6] 서적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7] 서적 조선왕조실록 3 세종 문종 단종: 백성을 사랑한 사대부의 임금 https://books.google[...] 다산초당
[8] 서적 조선왕 시크릿 파일: 우리가 몰랐던 조선 왕들의 인성과 사생활 이야기 https://books.google[...] 옥당북스 2019-03-31
[9] 서적 세종실록 1425-09-05
[10] 서적 세종실록 1436-04-17
[11] 서적 세종실록 1436-10-08
[12] 서적 세종실록 1441-08-12
[13] 서적 세조실록 1455-08-15
[14] 서적 세조실록 1457-06-28
[15] 서적 세조실록 1457-10-30
[16] 서적 세조실록 1457-11-02
[17] 기타 아내 박씨의 큰아버지 박대손(朴大孫)의 노비 출신 첩
[18] 서적 세종실록 1449-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