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진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만주어와 근연 관계에 있는 언어로, 만주어의 직계 조상으로 여겨진다. 1119년 여진 문자가 제정되어 금나라 시대에 사용되었으며, 흑수말갈 완안부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되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여러 방언으로 분화되었으며, 사역관과 회동관에서 편찬된 사전이 여진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금나라 승전 기념비 비문, 금사, 대금국지 등 다양한 자료에서 여진어 관련 정보를 찾을 수 있으며, 여진어는 중국어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영어 표기 시 중국어 표기 관례를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진어 - 여진 문자
    여진 문자는 1119년 금나라 태조 아골타의 명령으로 한자와 거란 문자를 참고하여 창제된 금나라의 공식 문자였으나, 금나라 멸망 후 만주 문자의 등장으로 잊혀졌고 현재는 명나라 시대 기록으로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 퉁구스어족 - 만주어
    만주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교착어로, 과거 여진어와 관련이 깊었으며 청나라 황실의 주요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한화로 인해 사용자가 감소하여 현재는 소수 지역에서만 사용되고 부흥 운동이 진행 중인 언어이다.
  • 퉁구스어족 - 윌타어
    윌타어는 러시아 사할린 섬의 윌타족이 사용하는 퉁구스어족 언어로, 나나이어와 관련이 깊고 포로나이스크와 발-노글리키 두 방언으로 나뉘며, 키릴 문자와 로마자로 표기되고 교착어적 특징과 SOV형 어순을 가지지만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 아시아의 사어 -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사용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 언어로, 비문 등을 통해 전해지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언어였고, 독자적인 설형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언어적 기원이다.
  • 아시아의 사어 - 베다 산스크리트어
    베다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1500년경 리그베다를 포함하는 베다 시대의 산스크리트어이며, 고전 산스크리트어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5개의 층위로 구분되며, 유성 역행 치경 접근음과 고저 억양 등의 특징을 갖는다.
여진어
개요
이름여진어
로마자 표기Yeojin-eo
중국어 표기女真語 (Nǚzhēn yǔ)
사용 지역과거의 만주 일대와 청나라
사용자여진족
시대17세기에 만주어로 발전
언어 분류
어족퉁구스어족
어파남부 퉁구스어파
어군여진어군
문자
문자여진 문자
"나라의 신뢰"를 의미하는 여진족 문구가 새겨진 은 패자
언어 코드
ISO 639-3juc
Glottologjurc1239

2. 계통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만주어의 직계 조상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19] 만주어와 근연어이다.[18]

여진 문자로 기록된 금대의 표준 여진어는 흑수말갈 아시하(按出虎水) 유역의 완안부 방언에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동북부 고지에 남은 여진인들에 의해 여진어의 다른 방언들이 계승되었다.

3. 음운

명대 여진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20]



구개수음 q, γ, x는 모음 a, o, u 앞에서만 나타나며 각각 k, g, h의 변이음이다.

3. 1. 모음

명대 여진어의 모음조화에 따른 모음 분류는 다음과 같다.[20]

후설 모음ao
전설 모음e
중립 모음iu


4. 표기 체계

여진 문자는 1119년에 완성되어 여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문자는 한자 계통의 문자이면서도 거란 문자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연해주 남부 및 중국의 만주 지역에서 발굴된 진흙 용기, 청동 거울 및 기타 물품들에서 여진어 기록을 찾을 수 있었다. 묘비나 돌 등에 새겨진 문자들도 잘 알려져 있다.[1]

1119년 완안희음(完顔希尹)에 의해 여진 문자가 개발되었다. 여러 책들이 여진어로 번역되었지만, 단편조차도 남아있지 않다. 현존하는 여진 문자의 예시는 매우 희귀하다.[1]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여진어 텍스트 중 하나는 "금나라 승전 기념비(金國得勝陀頌碑, Dà jīn déshèngtuó sòngbēi)" 뒷면에 새겨진 비문이다. 이 비문은 1185년, 세종의 통치 기간에 세워졌다. 이는 비석 앞면의 한자 텍스트를 축약하여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1]

다른 여러 여진어 비문들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1950년대에 봉래에서 발견된 여진어로 된 시 한 편은 아둔량비(奧屯良弼, Aotun Liangbi)라는 시인이 지은 것이다. 여진어로 쓰여졌지만, 이 시는 "칠언 율시"로 알려진 중국식 "규칙시" 형식을 사용하여 지어졌다. 여진 민요와는 다른 이러한 형식을 선택한 것은 중국 문학이 여진의 지식 계층에 미친 영향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된다.[1]

5. 방언

금나라가 멸망한 뒤 명대에는 다음 네 가지 방언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방언설명
동해여진어우수리강 주변 야인여진의 방언. 나중에 만주어 동음(東音)으로 발전한다.
흑룡강여진어헤이룽장강 일대 야인여진의 방언. 나중에 만주어 북음(北音)으로 발전한다.
해서여진어해서여진의 방언. 나중에 건주여진어와 합쳐진다.
건주여진어건주여진의 방언. 나중에 만주어 남음(南音)으로 발전하며 청대 표준 만주어의 원형이다.



여진문자로 쓰인 금나라 시대의 표준 여진어는 흑수말갈의 아시하](按出虎水)]

6. 연구 자료

명나라 시대에 편찬된 두 종류의 사전과 금나라 시대의 비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자료들이 여진어 연구에 도움이 된다.[11]


  • 금사』 부록 「금국어해」(金國語解)에 수록된 125개 여진어 단어 목록.[12] 알렉산더 와일리가 이 목록을 영어와 만주어로 번역하였다.[13][14]
  • 『금사』에 등장하는 여진어 이름과 단어.
  • 1234년 유문무조(裕文穆昭)가 편찬한 『대금국지』(大金國志)의 여진어 단어 부록.


『만주 기원 연구』 제18장에는 『금사』 제135장에서 발견된 음역된 여진어 단어들을 만주어로 수정한 목록이 있다.

금나라는 여진어를 "국어(國語)"라 불렀는데, 이는 청나라만주어, 원나라몽골어, 요나라거란어, 북위선비어처럼, 중국에서 한족 이외의 왕조들이 그들의 언어를 지칭할 때 사용하던 용어이다.

6. 1. 명나라 시대의 사전

오늘날 언어학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여진어에 대한 가장 방대한 자료 두 가지는 명나라 시대 중국 정부의 사역관(Siyi Guan)[2][3][4]과 회동관(Huìtóng Guǎn, 會同館)이 작성한 두 권의 사전이다. 두 사전 모두 해당 기관이 작성한 원고의 일부로 발견되었는데, 이 기관들의 임무는 각각 서면 또는 구두로 황실 정부가 외국 또는 소수 민족과 소통하도록 돕는 것이었다.[5]

사역관의 다국어 사전(Huá-Yí yìyǔ, 華夷譯語, Sino-Barbarian Dictionary)은 1789년부터 유럽인들에게 알려져 있었지만(Jean Joseph Marie Amiot 덕분에), 여진어 부분이 포함된 Huá-Yí yìyǔ 사본은 19세기 후반에 발견되어 1896년 Wilhelm Grube에 의해 연구 및 출판되었다. 이후 일본과 중국에서도 연구가 계속되었다. 이 사전 덕분에 여진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 사전에는 중국어 단어를 여진어로 번역한 내용이 담겨 있는데, 여진 문자로 표기되고 음운을 중국 한자로 표기(정확하지 않음, 중국 한자를 사용하여 표기되었기 때문)되어 있다.[6]

회동관이 편찬한 어휘 목록은 1910년 서양 학자들에게 처음 알려졌으며, 1912년 L. Aurousseau는 Yang Shoujing이 제공한 여진어 부분이 포함된 원고의 존재를 보고했다.[7] 이 사전은 사역관의 사전과 구조가 유사하지만 여진어 단어의 여진 문자 표기가 아닌 중국 한자를 이용한 "음운" 표기만 제공한다.[8] 이 사전의 편찬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여러 학자들은 1601년경(Mao Ruicheng에 의해)[9] 또는 1450년~1500년경에 편찬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9] Daniel Kane의 1989년 논문에 따르면, 중국어로 음역된 여진어 단어의 방식을 바탕으로 16세기 전반에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한다.[10]

두 사전 모두 매우 유사한 언어 형태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후기 여진어 또는 초기 만주어로 간주될 수 있다.[9]

현대 연구자들에 따르면, 두 사전 모두 여진어에 그다지 능숙하지 않은 두 기관 직원에 의해 편찬되었다. 두 사전의 편찬자들은 여진어 문법에 그다지 익숙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Daniel Kane의 말에 따르면, 이 언어는 "오랑캐"와의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절대적으로 불가피하거나 조정에 조공을 바칠 때" 사용되었다.[9]

6. 2. 금나라 시대의 비문

여진 문자는 1119년 완안희음(完顔希尹)에 의해 개발되었다. 여러 책들이 여진어로 번역되었지만, 단편조차도 남아있지 않다. 현존하는 여진 문자의 예시는 매우 희귀하다.

가장 중요한 현존 여진어 텍스트 중 하나는 "금나라 승전 기념비(金國得勝陀頌碑, Dà jīn déshèngtuó sòngbēi)" 뒷면에 새겨진 비문이다. 이 비문은 1185년, 세종의 통치 기간에 세워졌다. 이는 비석 앞면의 한자 텍스트를 축약하여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1]

다른 여러 여진어 비문들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1950년대에 봉래에서 여진어로 된 시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 이 시는 아둔량비(奧屯良弼, Aotun Liangbi)라는 시인이 지은 것이다. 여진어로 쓰여졌지만, 이 시는 "칠언 율시"로 알려진 중국식 "규칙시" 형식을 사용하여 지어졌다. 여진 민요와는 다른 이러한 형식을 선택한 것은 중국 문학이 여진의 지식 계층에 미친 영향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된다.[1]

6. 3. 기타 자료

여진 문자는 1119년 완안희음(完顔希尹)에 의해 만들어졌다. 여러 책들이 여진어로 번역되었지만, 단편조차도 남아있지 않다. 현존하는 여진 문자의 예시는 매우 희귀하다.[1]

가장 중요한 현존 여진어 텍스트 중 하나는 "금나라 승전 기념비(金國得勝陀頌碑, Dà jīn déshèngtuó sòngbēi)" 뒷면에 새겨진 비문이다. 이 비문은 1185년, 세종의 통치 기간에 세워졌다. 이는 비석 앞면의 한자 텍스트를 축약하여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1]

다른 여러 여진어 비문들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1950년대에 봉래에서 여진어로 된 시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 이 시는 아둔량비(奧屯良弼, Aotun Liangbi)라는 시인이 지은 것이다. 여진어로 쓰여졌지만, 이 시는 "칠언 율시"로 알려진 중국식 "규칙시" 형식을 사용하여 지어졌다. 여진 민요와는 다른 이러한 형식을 선택한 것은 중국 문학이 여진의 지식 계층에 미친 영향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된다.[1]

여진 문자로 쓰인 비문과 한두 개의 기존 사본 외에도, 중국 문서에 한자를 사용하여 음역된 여진어 단어들이 여진어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1]

  • 금사』 부록인 「금국어해」(金國語解, )에 수록된 125개의 여진어 단어 목록.[12] 알렉산더 와일리가 이 목록을 영어와 만주어로 번역하였다.[13][14]
  • 『금사』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여진어 이름과 단어.
  • 1234년 유문무조(裕文穆昭)가 편찬한 『대금국지』(大金國志)에 수록된 여진어 단어 부록.


『만주 기원 연구』 제18장([https://web.archive.org/web/20161008012145/https://zh.wikisource.org/wiki/%E6%BB%BF%E6%B4%B2%E6%BA%90%E6%B5%81%E8%80%83/%E5%8D%B718 ])에는 제135장([https://zh.wikisource.org/wiki/金史/卷135 ])에서 발견된 음역된 여진어 단어들을 만주어를 사용하여 수정한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

금나라는 여진어를 "국어(國語)"라고 불렀는데, 이 용어는 중국에서 한족 이외의 다른 왕조들도 그들의 언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던 용어이다. 예를 들어, 청나라 시대의 만주어, 원나라 시대의 몽골어, 요나라 시대의 거란어, 그리고 북위 시대의 선비어 등이 있다.

  • Herbert Franke, Denis Twitchett,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ISBN 0-521-24331-9. Google Books 일부분
  • Wilhelm Grube, ''Die Sprache und Schrift der Jučen''. Leipzig: Otto Harrassowitz, 1896.
  • Daniel Kane, ''The Sino-Jurchen Vocabulary of the Bureau of Interpreters''. (Uralic and Altaic Series, Vol. 153). Indian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Inner Asian Studies. Bloomington, Indiana, 1989. ISBN 0-933070-23-3.
  • Gisaburo N. Kiyose(清瀬義三郎則府), ''A Study of the Jurchen Language and Script: Reconstruction and Decipherment''. Kyoto: Horitsubunka-sha, 1977. ISBN 4-589-00794-0.

7. 여진어 명칭과 표기

1119년에 완성된 여진 문자가 여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한자계의 문자이면서도 거란 문자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연해주 남부 및 중국 만주 지역에서의 발굴 시에 진흙 용기, 청동 거울 및 기타 물품들에서 여진어를 찾을 수 있었다. 묘비 및 돌 등에 새겨진 문자들은 잘 알려져 있다.

여진어로 된 기록이 부족하여 현대 학자들이 접할 수 있는 여진족에 대한 주요 자료의 대부분은 중국어로 되어 있다.[15] 따라서 여진족의 이름이나 여진어 용어를 영어로 표기할 때는 중국어 단어와 같은 표기 관례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 즉, 영어 철자는 여진족 이름이나 단어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 한자의 발음을 로마자 표기(병음 또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한 것이다. 이러한 표준 표기는 해당 단어의 원래 여진어 발음이나 심지어 12세기 중국어 발음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다.[16] 예를 들어, 첫 번째 금 황제의 여진어 이름은 중국어로 로 쓰여 있으며, 영어 학계에서는 '완안 아고다'(병음 사용) 또는 'Wan-yen A-ku-ta'(웨이드-자일스 표기법 사용)로 표기된다.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만주어와 근연어이다.[18]

여진문자로 쓰인 금나라 시대의 표준 여진어는 흑수말갈의 아시하](按出虎水)]

참조

[1] 서적 China Under Jurchen Rule: Essays on Chin Intellectual and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 서적 Translation (by A. Wylie)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by Woo Kĭh Show-ping, revised and ed. by Ching Ming-yuen Pei-ho) with intr. notes on Manch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3] 서적 Translation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with introductory notes on Manchu Literature: (translated by A. Wylie.) https://books.google[...] Mission Press
[4] 서적 Chinese Researches https://archive.org/[...]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Chinese Lexicography :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8-08-14
[13] 서적 Translation (by A. Wylie)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by Woo Kĭh Show-ping, revised and ed. by Ching Ming-yuen Pei-ho) with intr. notes on Manchu literature https://books.google[...]
[14] 서적 Translation of the Ts'ing wan k'e mung, a Chinese Grammar of the Manchu Tartar Language; with introductory notes on Manchu Literature: (translated by A. Wylie.) https://books.google[...] Mission Press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Database query to Chinese characters http://starling.rine[...] 2009-07-22
[17] 서적
[18] 저널 清代における言語接触 http://id.nii.ac.jp/[...] 岩手大学人文社会科学部 2019-03
[19] 저널 清代における言語接触 https://iwate-u.repo[...] 岩手大学人文社会科学部 2019-03-15
[20] 서적 A study of the Jurchen language and script. http://worldcat.org/[...]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