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량 (오호 십육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량은 386년부터 403년까지 존속했던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국가이다. 저족 출신인 여광은 전진의 장군으로 서역 원정을 다녀온 후, 전진의 혼란을 틈타 양주를 장악하고 독립하여 후량을 건국했다. 여광은 국호를 대량으로 정하고 천왕을 자칭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서진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내부 반란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여광 사후 후량은 쇠퇴를 거듭하다가 403년 후진에 항복하며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후량 (오호 십육국)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명 (일반)후량
국명 (원어)주천 (387–389)
삼하 (389–396)
량 (396–403)
국호 (길게)후량(後涼)
존속 기간386년 – 403년 8월
정치 체제군주제
수도고장
위치 정보후량이 북서쪽에 위치함
역사
건국여광이 건국
주요 사건여광이 황제 칭호를 주장 (396년)
독립 세력 등장남량과 북량 독립 (397년)
멸망여륭 사망 (416년)
이전전진
이후남량
북량
후진
통치자
천왕여광 (386–400)
여소 (400)
여찬 (401–403)
여륭 (403–406)
언어 및 종교
공용어중국어
종교불교
기타
현재 국가중국
키르기스스탄

2. 역사

397년, 여광은 서진을 공격하여 금성을 점령하였으나, 독발부독발오고가 거병하여 금성을 점령하고, 단업·저거몽손 등이 반란을 일으켜 하서회랑 서쪽을 장악하였다. 수도 고장(姑臧, 지금의 감숙성 무위시)에서도 반란이 일어났다. 이 결과 독발오고는 남량을, 단업북량을 건국하여 양주는 분열되었다. 여광은 수도에서 일어난 반란은 진압하였으나, 남량과 북량을 정벌하지는 못하였다.

399년 여광이 병으로 태자 여소에게 선위한 후 곧 사망하자, 여소는 이복형 여찬에게 살해되었고 여찬이 천왕에 즉위하였다. 여찬은 남량과 북량을 적극적으로 공격하였으나, 서로 공조하는 체제로 인해 원정에 나서면 후방을 공격당하여 모두 실패하였다. 또한 주색에 빠진 여찬은 국정을 소홀히하여 후량의 국력은 크게 쇠퇴하였다. 401년, 여찬은 사촌동생 여초에게 살해되었고, 여초의 형 여륭이 황제로 옹립되었다.

여륭의 치세에서도 후량은 계속 쇠퇴하여 남량과 북량의 침입을 받았으며, 후진의 침입으로 결정적인 타격을 받았다. 여륭은 후진에 복속하여 건강(建康公)에 봉해졌다. 후진의 군대가 물러가자, 다시 남량과 북량의 침략이 이어졌고, 여륭은 견디다 못해 403년, 후진에 완전히 항복하여 나라를 넘겼다.

2. 1. 건국 배경

저족 출신으로 전진의 장군이었던 여광383년 부견의 명을 받아 서역 원정을 떠났다. 384년 7월, 구자국을 정벌하고 서역 대부분을 영향권 아래 두었으며, 저명한 승려 구마라습을 확보하였다. 당시 전진은 비수대전 패배 이후 혼란에 빠져 있었으나, 교통 두절로 여광은 이 소식을 알지 못했다. 385년, 여광은 본국으로 귀환을 시작, 양주에서 양주자사 양희(梁熙)를 격파하고 양주를 장악하여 사실상 독립 정권을 세웠다.

386년 9월, 여광은 부견의 사망 소식을 접하고 시호를 올린 뒤 연호를 고치고 주천을 자칭하였는데, 이 시기부터 후량이 건국된 것으로 본다. 387년 말, 여광은 하서회랑 일대를 장악한 장대예(張大豫)의 반란을 진압하였고, 389년에 삼하왕(三河王)을 자칭하였다. 양주 일대의 여러 세력들을 복속시킨 여광은 걸복부의 서진과 대립하였다. 396년에는 국호를 대량(大凉)으로 정하고 천왕을 자칭하였다.

2. 2. 여광의 통치

383년, 여광은 부견의 명을 받아 서역 원정을 떠나 384년 구자국을 정벌하고 서역 대부분을 영향권 아래 두었다. 이때 여광은 서역에 널리 이름이 알려진 승려 구마라습의 신병을 확보하였다. 당시 전진의 부견은 비수대전에서 패배하여 몰락하고 전진은 혼란에 빠져 있었는데, 혼란으로 인해 교통이 두절되어 여광은 이 소식을 알지 못하였다. 서역 평정 이후 부견의 명령이 오지 않자 불안을 느낀 여광은 휘하 장병 및 구마라습의 희망에 따라 정벌을 멈추고 385년 본국으로 귀환을 시작하였다. 양주에 도착한 여광은 전진의 양주자사 양희(梁熙)를 격파하고 양주를 장악하였으며 사실상의 독립 정권을 세웠다.

386년 9월, 여광은 부견의 사망 소식을 전해 듣고 부견에게 시호를 올리고 연호를 고쳤다. 뒤이어 주천을 자칭하였으니, 일반적으로 이때부터 후량이 건국된 것으로 본다. 당시 양주에서는 전량 왕실의 후예인 장대예(張大豫)가 반란을 일으켜 하서회랑 일대를 장악하였는데, 이 반란으로 여광은 서역과 교통이 단절되어 큰 곤란을 겪었다. 여광은 387년 말에 반란을 진압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389년에 삼하왕(三河王)을 자칭하였다. 양주 일대의 여러 세력들을 복속시킨 여광은 걸복부의 서진과 대립하였다. 396년에는 국호를 대량(大凉)으로 정하고 천왕을 자칭하였다.

397년, 여광은 서진을 대대적으로 공격하여 금성점령하였다. 그러나 독발부독발오고가 거병하여 금성을 점령하였고, 뒤이어 단업, 저거몽손 등이 반란을 일으켜 하서회랑 서쪽을 장악하였으며, 수도 고장(姑臧, 지금의 감숙성 무위시)에서도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의 결과 독발오고는 남량을 건국하였고, 단업은 북량을 건국하여 양주는 분열되었다. 여광은 수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데 성공하였으나, 남량과 북량을 정벌하지는 못하였다.

399년에 여광은 병으로 태자 여소에게 선위한 후 곧 사망하였다.

2. 3. 쇠퇴와 멸망

397년, 여광은 서진을 공격하여 금성을 점령하였으나, 독발오고가 거병하여 금성을 점령하고, 단업·저거몽손 등이 반란을 일으켜 하서회랑 서쪽을 장악하였다. 수도 고장(姑臧, 지금의 감숙성 무위시)에서도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의 결과 독발오고는 남량을, 단업은 북량을 건국하여 양주는 분열되었다. 여광은 수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였으나, 남량과 북량을 정벌하지는 못하였다.

399년 여광은 병으로 태자 여소에게 선위한 후 곧 사망하였다. 여소는 곧 이복형 여찬에게 살해되었고 여찬이 천왕에 즉위하였다. 여찬은 남량과 북량을 적극적으로 공격하였으나, 남량과 북량의 공조 체제로 인해 원정에 나서면 후방을 공격당하여 모두 실패하였다. 또한 주색에 빠진 여찬은 국정을 소홀히하여 후량의 국력은 크게 쇠퇴하였다. 401년, 여찬은 사촌동생 여초에게 살해되었고, 여초의 형 여륭이 황제로 옹립되었다.

여륭의 치세에서도 후량은 계속 쇠퇴하여 남량과 북량의 침입을 받았으며, 후진의 침입으로 결정적인 타격을 받았다. 여륭은 후진에 복속하여 건강(建康公)에 봉해졌다. 후진의 군대가 물러가자, 다시 남량과 북량의 침략이 이어졌고, 여륭은 견디다 못해 403년, 후진에 완전히 항복하여 나라를 넘겼다.

3. 역대 황제

묘호시호재위 기간연호
태조의무여광386년 ~ 400년태안(太安) 386년 ~ 389년
린가(麟嘉) 389년 ~ 396년
용비(龍飛) 396년 ~ 400년
여소400년
여찬400년 ~ 401년함녕(咸寧) 400년 ~ 401년
여륭401년 ~ 403년신정(神鼎) 401년 ~ 403년


  • 태조 의무제(여광, 재위 386년 - 399년): 여파루의 아들이다.
  • 은왕(여소, 재위 399년): 여광의 적자이다.
  • 영제(여찬, 재위 399년 - 401년): 여소의 형이자 여광의 서장자이다.
  • 후주(여륭, 재위 401년 - 403년): 여광의 동생 여보의 아들이다.


여광은 385년 9월부터 386년 10월까지 양주자사(涼州刺史)·호강교위(護羌校尉)를 자칭했으며, 386년 10월부터 389년 2월까지는 주천공(酒泉公), 389년 2월부터 396년 6월까지는 삼하왕(三河王)을 칭했다. 396년 6월부터 천왕(天王)을 칭했으며, 이후 역대 왕들도 모두 천왕을 칭했다. 399년 12월에는 퇴위하여 태상황(太上皇帝)이 되었다.

4. 국가 체제

여광은 저족을 비롯한 오호(五胡)를 중심으로 한 체제를 구축하여, 요직에는 모두 오호가 임명되고 한족은 태수 정도에 그치는 등 냉담한 대우를 받았다. 이는 애초에 여광이 전진의 장군으로서 서정(西征)을 했고, 이를 하서(河西)의 선비들이 보좌했다는 세력 기반에 반하는 것이었으며, 후량 국내에서는 주천군이나 서평군 태수 등 한족이 끊임없이 반란을 일으켰고, 후량의 세력 기반은 불안정했다.

5. 연호

연호사용 기간비고
태안386년 ~ 389년대안이라고도 함
린가389년 ~ 396년
용비396년 ~ 398년
승강불명
함녕399년 ~ 401년
신정401년 ~ 403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