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르리우라르투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은 후르리어와 우라르투어를 포함하는 언어족이다. 기원전 5천년기 후반부터 기원전 3천년기 후반까지 동부 아나톨리아, 카프카스, 이란 북서부, 레반트 북부 지역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은 셈어족이나 인도유럽어족과는 관련이 없으며, 북동카프카스어족과의 연관성이 제안되기도 한다.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은 대격 체계와 응집적인 형태론을 가지며, 명사와 동사의 형태소 순서가 유사하다는 특징이 있다. 우라르투어는 고대 아르메니아어와 수메르어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르리우라르투어족 - 쐐기 문자
쐐기 문자는 기원전 4천년기 메소포타미아에서 수메르인이 사용한 쐐기 모양의 문자 체계로, 다양한 언어 기록에 사용되었으며 다른 문자 체계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도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후르리우라르투어족 - 후르리어
후르리어는 우라르투어와 함께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을 형성하는 언어이며, 기원전 3천년기 말부터 텍스트가 나타나 13세기에 쇠퇴했으나 1910년대 이후 연구가 재개되었고,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변형된 설형 문자로 표기되었다. - 고대 언어 -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기원전 1200년경 인도유럽어족에서 분기되어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로, 도리아어, 아이올리아어, 이오니아어, 아티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그리스어의 기원이자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교육 및 학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대 언어 - 팔리어
팔리어는 상좌부 불교 경전 기록에 사용된 고대 인도 언어로, 마가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여러 인도 아리아어 방언의 혼합과 산스크리트화를 거쳤으며, 《팁피타카》 기록 이후 불교 전파 매개체로서 동남아시아 여러 언어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사어이지만 불교 연구 및 의례에 사용된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후르리우라르투어족 | |
|---|---|
| 개요 | |
| 어족 | 주요 어족 중 하나이거나 알라로디아 어족 (논쟁의 여지가 있음) |
| 사용 지역 | 아나톨리아, 레반트, 메소포타미아, 자그로스 산맥 |
| 분류 | 후르리어 우라르투어 ? 카시트어 |
| 원시 언어 | 원시 후르리-우라르투어 |
| 글롯토코드 | hurr1239 |
| 글롯토코드 명칭 | 후르리-우라르투어족 |
2. 분류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3. 기원
원시 후르리-우라르투어는 기원전 5천년기 후반부터 기원전 3천년기 후반까지 동부 아나톨리아, 카프카스, 이란 북서부, 레반트 북부에 존재했던 쿠라-아라크스 문화의 사람들이 사용했던 언어라고 종종 추정된다.[1][2][3][4]
4. 외부 분류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의 외부 유전적 관계에 대한 초기 제안으로는 카르트벨리어족, 엘람어 등 그 지역의 다른 비셈족 및 비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분류하는 것이 있었다. 증거가 부족한 카시트어는 셈어족이나 인도유럽어족이 아니었으며, 후르리-우라르투어족에 속했을 가능성이 있다.[22]
4. 1. 북동카프카스어족과의 관계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의 유전적 관계는 논란의 여지가 없지만, 다른 어족과의 광범위한 연관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5] 19세기와 20세기 초 후르리어와 우라르투어 비문과 문서의 해독 이후, 후르리어와 우라르투어는 셈어족이나 인도유럽어족과 관련이 없다는 것이 곧 인지되었고, 고립어인 수메르어, 엘람어, 하티어와도 관련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까지 가장 보수적인 견해는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이 다른 어족과 명백하게 관련이 없는 원시 어족이라는 것이다.[6][7][13]이고르 디아코노프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후르리-우라르투어족과 북동카프카스어족을 하나의 상위 어족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제안했는데, 이 분류는 디아코노프에 의해 알라로디아어족이라는 이름으로 임시적으로 명명되었다.[8][9][10] 여러 연구는 그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11][12] 다른 학자들은 이 어족들이 관련이 있다고 의심하거나,[13][14][15] 연결이 가능하다고 믿으면서도 증거가 결정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16][17][18] 우랄어학자이자 인도유럽어학자인 페트리 칼리오는 원시 북동 카프카스어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여 문제가 발생하지만, 알라로디아어족이 북동 카프카스어와의 관계에 대한 가장 유망한 제안이며, 북서카프카스어족이나 다른 어족과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경쟁적인 제안보다 더 크다고 주장한다.[19]
4. 2. 인도유럽어족과의 관계
이고르 디아코노프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후르리-우라르투어족과 북동카프카스어족을 하나의 상위 어족으로 묶을 수 있다고 제안했으며, 디아코노프는 이를 알라로디아어족이라고 임시로 명명했다.[8][9][10] 여러 연구에서 이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11][12]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어족 간의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거나,[13][14][15] 연결 가능성은 있지만 증거가 결정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16][17][18] 우랄어학자이자 인도유럽어학자인 페트리 칼리오는 원시 북동 카프카스어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여 문제가 발생하지만, 알라로디아어족이 북동 카프카스어와의 관계에 대한 가장 유망한 제안이며, 북서 카프카스어나 다른 어족과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경쟁적인 제안보다 더 크다고 주장한다.[19]아르노 푸르네와 앨런 R. 봄하르드는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이 인도유럽어족의 자매 어족이라고 주장한다.[20][21]
4. 3. 기타 언어와의 관계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의 유전적 관계는 논란의 여지가 없지만, 다른 어족과의 광범위한 연관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5] 19세기와 20세기 초 후르리어와 우라르투어 비문과 문서의 해독 이후, 후르리어와 우라르투어는 셈어족이나 인도유럽어족과 관련이 없다는 것이 곧 인지되었고, 고립어인 수메르어, 엘람어, 하티어와도 관련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까지 가장 보수적인 견해는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이 다른 어족과 명백하게 관련이 없는 원시 어족이라는 것이다.[6][7][13]후르리-우라르투어족의 외부 유전적 관계에 대한 초기 제안은 다양하게 카르트벨리어족, 엘람어, 그리고 그 지역의 다른 비셈족 및 비인도유럽어족 언어와 그들을 분류했다.
이고르 디아코노프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후르리-우라르투어족과 북동카프카스어족을 하나의 상위 어족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제안했는데, 이 분류는 디아코노프에 의해 알라로디아어족이라는 이름으로 임시적으로 명명되었다.[8][9][10] 여러 연구는 그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11][12] 다른 학자들은 이 어족들이 관련이 있다고 의심하거나,[13][14][15] 연결이 가능하다고 믿으면서도 증거가 결정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16][17][18] 우랄어학자이자 인도유럽어학자인 페트리 칼리오는 원시 북동 카프카스어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여 문제가 발생하지만, 알라로디아어족이 북동 카프카스어와의 관계에 대한 가장 유망한 제안이며, 북서 카프카스어나 다른 어족과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경쟁적인 제안보다 더 크다고 주장한다.[19]
아르노 푸르네와 앨런 R. 봄하르드는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이 인도유럽어족의 자매 어족이라고 주장한다.[20][21]
증거가 부족한 카시트어는 셈어족이나 인도유럽어족이 아니었으며, 후르리-우라르투어족에 속했을 가능성이 있다.[22]
5. 다른 언어와의 관계
후리어는 후리인의 언어로 기원전 3천년기 후반부터 기원전 2천년기 말까지 메소포타미아 북부, 시리아, 아나톨리아 남동부에서 사용되었다.[23] 미타니 왕국(기원전 1450년~기원전 1270년)이 대표적인 후리어를 사용하는 국가였다. 나이리와 만네[24] 도 후리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카시트어는 후리-우라르투어와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22] 마르하시 왕국과 고대 마르기아나는 동일 지역으로 추정되며, 마르하시트 인명은 후리어 또는 후리-우라르투어족의 다른 언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히타이트 문화는 후리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히타이트 정치 중심지에서 많은 후리어 텍스트가 발견되었다. 미타니 서한은 아마르나 문서에서 발견된 후리어 자료 중 하나이다. "구후리어" 방언은 초기 왕실 비문, 종교 및 문학 텍스트에서 확인된다.
우라르투어는 기원전 9세기 후반부터 기원전 7세기 후반까지 우라르투 국가의 공식 언어였으며, 반 호수 주변과 상류 자브 계곡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라르투어는 기원전 2천년기 초에 후리어에서 분리되었다.[26] 일부 학자들은 우라르투어가 소수 지배 계급만 사용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7]
5. 1. 고대 아르메니아어와의 관계
아시리아에 정복된 후 우라르투 제국이 붕괴하면서 후리-우라르투어는 점차 사라졌지만, 디아코노프와 그레핀은 후대에 등장한 인도유럽어족인 고대 아르메니아어에서 소수의 차용어 형태로 그 어휘의 흔적이 남아 있다고 제안했다.[28][29][12] 아르노 푸르네, 흐라치 마르티로시안, 아르멘 페트로시안 등의 최근 연구는 어휘, 문법, 품사, 고유명사 등 언어 간의 광범위한 접촉을 제안했는데, 예를 들어 최초의 우라르투어 텍스트에서 확인되는 우라르투어 "eue"("그리고")는 아르메니아어 "yev" (և, եվ)와 비교된다(궁극적으로 원인도유럽어 ''[https://en.wiktionary.org/wiki/Reconstruction:Proto-Indo-European/h%E2%82%81epi *h₁epi]''에서 유래).[30] 인명, 지명, 신들의 이름 또한 아르메니아어에서 우라르투어로 차용되었다.[31][32][33][34][35][36]5. 2. 수메르어와의 관계
후리어와 수메르어(고립어) 사이에는 어휘가 일치하는데, 이는 이들 사이에 초기 접촉이 있었음을 나타낸다.[37]6. 특징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은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 여러 면에서 공통된 특징을 보인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요약만 제시한다.
- 음운론: 후르리어와 우라르투어는 파열음 구별 방식과 모음 축약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형태론: 두 언어 모두 응집어적 특징을 가지며, 접미사를 사용하여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명사와 동사의 형태소 배열 순서는 거의 동일하지만, 복수 표시, 시제 표시, 부정 표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 통사론: 두 언어 모두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지만, 우라르투어에서는 어순 변화가 더 자유롭다. 또한, 후르리어에는 자유롭게 이동하는 대명사와 접속사가 풍부하지만, 우라르투어에서는 그 예가 드물다.
6. 1. 음운론
기록된 후르리어는 대조적인 음성 차이 없이 단일 계열의 음소적 파열음만 구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음성의 변화는 문자에 나타나지만, 동위음이었다. 반대로, 기록된 우라르투어는 최대 세 가지 계열(유성, 무성, "강세", 아마도 성문화)을 구별한다. 우라르투어는 어말 모음이 슈와로 축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우라르투어 ''ulə'' 대 후르리어 ''oli'' ("다른"), 우라르투어 ''eurišə'' 대 후르리어 ''evrišše'' ("영주"), 후르리어 3인칭 복수 접속 인칭대명사 ''-lla'' 대 우라르투어 ''-lə''이다.[38] 마지막 두 예에서 보여주듯이, 후르리어의 이중모음은 우라르투어에 없다.6. 2. 형태론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은 상당히 일관된 대격 체계와 일반적으로 응집적인 형태론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후르리어와 우라르투어는 모두 파생 및 활용 형태론에서 접미사를 사용하며, 여기에는 10~15개의 격과 구문론에서의 후치사가 포함된다.[38] 두 언어 모두 기본 어순이 주어-목적어-동사로 여겨지지만, 특히 우라르투어에서는 상당한 변화가 있다.[38]두 언어 모두 명사는 정관사와 비슷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은 "연결어 접미사"를 받을 수 있다.[38] 명사 수식어는 머리 명사의 격 접미사를 "복사"하는 ''접미사 흡수''로 표시된다.[38] 동사의 경우, 원가의 유형(자동사 대 타동사)은 "종류 표지"라고 하는 특수 접미사로 표시된다.[38]
명사와 동사의 복잡한 형태소 "연쇄"는 두 언어 모두에서 거의 동일한 형태소 순서를 따른다. 명사의 경우, 두 언어 모두에서 순서는 어근 – 관사 – 소유 접미사 – 복수 접미사 – 격 접미사 – 일치 (''접미사 흡수'') 접미사이다. 동사의 경우, 두 언어가 공유하는 구조의 부분은 어근 – 원가 표지 – 인칭 접미사이다. 대부분의 형태소는 두 언어에서 상당히 유사한 음운 형태를 갖는다.[38]
이러한 구조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 형태론에서 후르리어는 특수 접미사 ''-až-''을 통해 명사의 복수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우라르투어에서 일부 격 어미에 융합된 화석화된 형태로만 남아 있다.[38] 후르리어는 특수 접미사를 통해 시제나 상을 명확하게 표시하며, 표시되지 않은 형태는 현재 시제이다. 우라르투어는 증명된 텍스트에서 그렇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표시되지 않은 형태는 과거 시제로 기능한다.[38] 후르리어는 동사를 부정하고 작용 격 인칭 일치 접미사 앞에 배치되는 특수 부정 동사 접미사를 갖는다. 우라르투어에는 그러한 것이 없으며, 대신 동사 앞에 부정어를 사용한다.[38]
후르리어에서는 작용 격 주어의 인칭만이 동사 형태에서 접미사를 통해 의무적으로 표시된다. 절대격 주어 또는 목적어는 선택적으로 대명사 접속어로 표시될 수 있는데, 동사에 붙일 필요가 없으며 절의 다른 어떤 단어에도 붙일 수 있다. 우라르투어에서는 작용 격 접미사와 절대격 접속어가 단일 집합의 의무적 접미사로 합쳐져서 작용 격과 절대격 참여자의 인칭을 표현하고 동사의 필수적인 부분이 된다. 일반적으로, 특히 미타니 서한의 후르리어를 특징짓는 자유롭게 이동하는 대명사와 접속사 접속어의 풍부함은 우라르투어에서 거의 유사한 예가 없다.[38]
우라르투어는 주로 히타이트 문서에서 증명된 소위 구후르리어 변종에 미타니 서한의 후르리어보다 더 가깝다. 예를 들어, 두 언어 모두 타동사 원가 표지로 ''-o-/-u-''( ''-i-''가 아닌)를 사용하고, 작용 격 주어의 수를 나타내고 원가 표지 앞에 위치하는 복수 접미사 ''-it-''을 보여준다.[38][39][40][41]
7. 동족어
카시안(2010)이 제시한 후리어와 우라르투어의 어휘적 동족어는 다음과 같다.[42]
| 의미 | 후리어 | 우라르투어 |
|---|---|---|
| 모두 | šua=lla | šui=ni- |
| 태우다(타동) | am- | am- |
| 오다 | un- | nun=a- |
| 주다 | ar- | ar- |
| 손 | šu=ni | šu- |
| 듣다 | haš- | haš- |
| 심장 | tiša | tiš=ni |
| 나 | iš-/šu- | iš-/šu- |
| 산 | pab=ni | baba=ni |
| 이름 | tiye | ti=ni |
| 새로운 | šuhe | šuhi |
| 아니다 | =u | u=i, =u=ri |
| 하나 | šu=kki | šu=sini |
| 길 | hari | hari |
| 가다 | ušš- | uš- |
| 해 | šawali | šali |
참조
[1]
논문
Some Effects of the Hurro-Urartian People and Their Languages upon the Earliest Armenians
https://www.jstor.or[...]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Hittites
https://books.google[...]
[3]
논문
Andirons at Urkesh: New Evidence for the Hurrian Identity of the Early Trans-Caucasian Culture
http://urkesh.org/EL[...]
[4]
논문
Lexical Matches between Sumerian and Hurro-Urartian: Possible Historical Scenarios
https://cdli.ucla.ed[...]
[5]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Introduction to Hurrian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7]
서적
Glossaire de la langue Hourrite
Éditions Klincksieck
[8]
서적
The Pre-History of the Armenian People
Delmar
[9]
서적
Hurro-Urartian as an Eastern Caucasian Language
R. Kitzinger
[10]
논문
Long-Range Linguistic Relations: Cultural Transmission or Consanguinity?
https://archive.org/[...]
[11]
논문
Comparative Notes on Hurro-Urartian, Northern Caucasian and Indo-European
http://www.pies.ucla[...]
2016-08-18
[12]
논문
The Urartian substratum in Armenian
http://science.org.g[...]
[13]
논문
On Hurro-Urartian as an Eastern Caucasian language
https://glottolog.or[...]
[14]
논문
About the vocalic system of Armenian words of substratic origins
https://www.academia[...]
[15]
서적
Current Trends in Caucasian, East European, and Inner Asian Linguistics: Papers in Honor of Howard I. Aronson
John Benjamins Publishing
[1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ncient Anatolia: (10,000-323 BCE)
Oxford University Press
[17]
백과사전
Caucas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18]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19]
서적
Handbook of Comparative and Historical Indo-European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20]
웹사이트
The Indo-European Elements in Hurrian
https://www.academia[...]
[21]
웹사이트
PIE Roots in Hurrian
https://www.academia[...]
[22]
논문
Kassitisch und Hurro-Urartäisch. Ein Diskussionsbeitrag zu möglichen lexikalischen Isoglossen
[23]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24]
서적
RlA VII
[25]
논문
Marhaši et la civilisation de l'Oxus
https://scribd.com/d[...]
[26]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27]
논문
Urartian Material Culture As State Assemblage: An Anomaly in the Archaeology of Empire
[28]
논문
Hurro-Urartian Borrowings in Old Armenian
[29]
논문
Some Effects of the Hurro-Urartian People and Their Languages upon the Earliest Armenians
[30]
논문
The Armenian Elements in the Language and Onomastics of Urartu
https://www.academia[...]
[31]
논문
About the vocalic system of Armenian words of substratic origin
https://www.academia[...]
[32]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rmenian Inherited Lexicon
Brill
[33]
논문
Origi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rmenian language
https://ling.hse.ru/[...]
[34]
논문
The place of Armenian in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the relationship with Greek and Indo-Iranian*
https://www.jolr.ru/[...]
Leiden University
[35]
논문
Towards the Origins of the Armenian People. The Problem of Identification of the Proto-Armenians: A Critical Review
https://www.academia[...]
[36]
서적
Urartian State Mythology
https://www.research[...]
Yerevan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graphy Press
[37]
논문
Lexical Matches between Sumerian and Hurro-Urartian: Possible Historical Scenarios
https://cdli.ucla.ed[...]
[38]
서적
Hurrian
[39]
서적
Urartian
[40]
서적
Einführung in die hurritische Sprache
[41]
서적
Языки древней Передней Азии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Москва
[42]
서적
Hurro-Urartian from the lexicostatistical viewpoint
Ugarit
[43]
서적
The Pre-History of the Armenian Peop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