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르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르리어는 우라르투어와 함께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을 형성하는 언어이다. 기원전 3천년기 말부터 텍스트가 나타났으며, 기원전 2천년기 초 우르키쉬 사자 명문이 최초의 완전한 텍스트로 알려져 있다. 후르리안은 아카드 제국 멸망 후 시리아에 정착했으며, 미탄니 서한이 후르리어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 후르리어는 13세기에 쇠퇴했지만, 1910년대 이후 연구가 재개되었다. 후르리어는 자음과 모음의 체계를 가지며, 명사, 동사, 대명사, 후치사, 수사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후르리어는 변형된 형태의 설형 문자로 표기되었으며, 하투샤, 우가리트 등지에서 문헌이 발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르리우라르투어족 - 쐐기 문자
    쐐기 문자는 기원전 4천년기 메소포타미아에서 수메르인이 사용한 쐐기 모양의 문자 체계로, 다양한 언어 기록에 사용되었으며 다른 문자 체계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도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후르리인 - 엔릴
    엔릴은 수메르 신화에서 바람, 폭풍, 영혼을 상징하며, 창조자, 아버지, 왕으로 숭배받았고, 니푸르의 수호신이자 삼위일체 중 북천구를 관장하는 신이다.
  • 후르리인 - 아나트
    아나트는 고대 근동, 특히 우가리트 신화에 등장하는 호전적인 성격의 전사 여신으로, 바알의 자매이자 연인으로 숭배받았으며, 이슈타르, 아스타르테, 아테나 등과 동일시되기도 하고 이집트에서도 숭배되었다.
  • 우라르투 - 아르메니아
    남캅카스 내륙국인 아르메니아는 우라르투 왕국을 계승한 오랜 역사, 세계 최초 기독교 국교 채택,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문화, 아르메니아어를 특징으로 하며, 지정학적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유럽 연합과의 관계 강화를 추구한다.
  • 우라르투 - 메디아
    메디아는 기원전 9세기부터 6세기까지 이란 북서부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이자 이란계 민족으로, 아시리아 지배를 벗어나 고대 근동의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페르시아에 멸망당했으며, 역사적 기록은 주로 고대 그리스 자료에 의존하고 그 실재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후르리어
기본 정보
이름후르리어
다른 이름Hurrian
사용 지역미탄니
사용 시대기원전 2300년 – 기원전 1000년
민족후르리족
기원전 2300년의 후르리족
기원전 2300년의 후르리족
후르리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텍스트가 새겨진 루브르 박물관의 사자상과 석판
언어 분류
어족후르리-우라르투어족
언어 코드
ISO 639-3xhu
Glottologhurr1240
문자
문자 체계히타이트 설형 문자

2. 분류

우라르투어와 함께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을 형성한다. 일부 학자들은 북동캅카스어족과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후르리어를 알라로디아어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주장되는 음운론적 대응은 다음과 같다.[1]


  • PEC *l- > 후르리어 t-
  • PEC *-dl- > 후르리어 -r-


(Diakonoff & Starostin)

인도유럽어족, 카르트벨어족, 시노-캅카스어족 등과의 관계에 대한 제안도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2]

3. 역사

기원전 3천년기 말, 이름과 장소 목록 등 초기 후르리어 텍스트 단편이 등장하기 시작했다.[3] 기원전 2천년기 초에는 우르케시 왕 티쉬-아탈의 통치 시기에 쓰여진 "우르키쉬 사자" 명문이 등장하는데, 이는 후르리안 재단 말뚝을 동반한 석판에서 발견되었다.[3]

후르리안 왕 아탈센(Urkish and Nawar의 왕)이 신 네르갈에게 바친 헌정 석판, 기원전 2000년경, 하부르 분지. (루브르 박물관 AO 5678.)


아카드 제국이 멸망한 후, 후르리안은 북부 시리아에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기원전 1725년경에는 얌하드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후르리안 인구가 많아지면서 후르리안 문화와 종교가 알레포로 유입되었으며, 이는 후르리안 이름을 가진 특정 종교 축제의 존재로 입증된다.

1890년 사이스(Sayce)와 젠센(Jensen)은 후르-우라르투 관계를 일찍이 인식하였다. 1887년 이집트 아마르나에서 발견된 미탄니 서한을 통해 후르리어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이 서한은 후르리안 왕 투쉬라타가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에게 보낸 것이다.

기원전 13세기히타이트의 서쪽 침략과 아시리아의 남쪽 침략으로 미탄니 제국이 멸망했고, 제국은 두 정복 세력에 의해 분할되었다. 그 다음 세기에는 해양 민족의 공격으로 후르리안 언어의 마지막 흔적도 빠르게 사라졌다.

1910년대 보가즈쾨이와 1930년대 우가리트에서 발견된 점토판 문서 덕분에 후르리어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생겨났다. Speiser는 1941년에 후르리어 문법을 출판했다. 1980년대에 실와-테슙에서 나온 누지 자료가 G. 윌헬름에 의해 편집되었다. 1980년대 후반, 후르리어-히타이트어 이중 언어 발견으로 후르리어 연구에 큰 진전이 있었다.

4. 방언

기원전 2000년경 후르리인들은 아카드어 설형문자를 채용하여 자신들의 언어에 적용하였다. 미탄니 서한의 후르리어는 하투샤 및 기타 히타이트 중심지에서 사용된 텍스트, 그리고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된 초기 후르리어 텍스트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미탄니 서한이 아닌 다른 형태의 후르리어는 일반적으로 "고대 후르리어"로 분류된다. 미탄니에서는 모음 쌍 "i"/"e"와 "u"/"o"가 구별되는 반면, 하투샤 방언에서는 각각 "i"와 "u"로 합쳐졌다.[1]

우가리트에서 나온 여러 텍스트에 또 다른 후르리어 방언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지만, 보존 상태가 좋지 않다. 또한, 미탄니 지방의 수도인 아라파에서 사용된 누지라는 후르리어-아카드어 혼성어도 있었다.[1]

5. 음운론

후르리어에는 유성음무성음의 구별이 없었다. 유성 자음이 무성 대응어를 가지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없었다. 그러나 설형 문자 증거에 따르면 /ts/를 제외한 자음의 유성 변이음이 특정 환경에서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두 유성 음소(공명음 또는 모음) 사이와 어말에서 나타났다.[5] /w/와 /j/를 제외한 모든 자음은 장음 또는 단음이 될 수 있는데, 장음(쌍자음) 자음은 모음 사이에서만 발생한다. 설형 문자에서는 해당 기호를 두 번 사용하여 ''...VC-CV..''와 같이 표기한다. 단자음은 ''...V-CV...''와 같이 표기하며, 예를 들어 ''mānnatta'' ("나는 ~이다")는 ''ma-a-a'''n-n'''a-a'''t-t'''a''로 표기한다.

/f/는 수메르 설형 문자에서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후르인은 /p/, /b/ 또는 /w/를 나타내는 기호를 사용했다. /f/는 텍스트마다 표기가 다른 단어에서 인식할 수 있다. ''a''를 포함하는 어말 음절에서 /f/는 이중 모음화되어 /u/가 되는데, 예를 들어 ''tānōšau'' (<*tān-ōš-af))는 "내가 했다"라는 뜻이다. /s/는 전통적으로 /š/로 표기되는데, 설형 문자가 이 음소를 나타내기 위해 /š/를 나타내는 기호를 채택했기 때문이다. /ts/는 일반적으로 ''z''로, /x/는 ''ḫ'' 또는 ''h''로 표기한다. 후르리어에서 /r/과 /l/은 단어의 시작 부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후르리어의 모음은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나뉜다. 자음과 마찬가지로 모음도 장단음의 구분이 있다. 설형 문자에서는 'CV'와 'VC' 음절 사이에 모음 기호를 하나 더 추가하여 이를 표시하며, 'CV-V-VC'와 같은 형식을 취한다. 단모음은 간단히 'CV-VC' 쌍으로 표시한다. 라틴 문자 표기에서는 장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장음 부호(마크론)를 사용하며, 'ā', 'ē', 'ī', 'ō', 'ū'와 같이 표기한다. 수메르 문자에 존재하지 않는 /o/의 경우, 'U' 기호를 사용하며, /u/는 'Ú'로 표기한다.

5. 1. 자음

후르리어에는 유성음무성음의 구별이 없었다. 유성 자음이 무성 대응어를 가지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없었다. 그러나 설형 문자 증거에 따르면 /ts/를 제외한 자음의 유성 변이음이 특정 환경에서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두 유성 음소(공명음 또는 모음) 사이와 어말에서 나타났다.[5] /w/와 /j/를 제외한 모든 자음은 장음 또는 단음이 될 수 있는데, 장음(쌍자음) 자음은 모음 사이에서만 발생한다. 설형 문자에서는 해당 기호를 두 번 사용하여 ''...VC-CV..''와 같이 표기한다. 단자음은 ''...V-CV...''와 같이 표기하며, 예를 들어 ''mānnatta'' ("나는 ~이다")는 ''ma-a-a'''n-n'''a-a'''t-t'''a''로 표기한다.

/f/는 수메르 설형 문자에서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후르인은 /p/, /b/ 또는 /w/를 나타내는 기호를 사용했다. /f/는 텍스트마다 표기가 다른 단어에서 인식할 수 있다. ''a''를 포함하는 어말 음절에서 /f/는 이중 모음화되어 /u/가 되는데, 예를 들어 ''tānōšau'' (<*tān-ōš-af))는 "내가 했다"라는 뜻이다. /s/는 전통적으로 /š/로 표기되는데, 설형 문자가 이 음소를 나타내기 위해 /š/를 나타내는 기호를 채택했기 때문이다. /ts/는 일반적으로 ''z''로, /x/는 ''ḫ'' 또는 ''h''로 표기한다. 후르리어에서 /r/과 /l/은 단어의 시작 부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5. 2. 모음

후르리어의 모음은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나뉜다.



자음과 마찬가지로 모음도 장단음의 구분이 있다. 설형 문자에서는 'CV'와 'VC' 음절 사이에 모음 기호를 하나 더 추가하여 이를 표시하며, 'CV-V-VC'와 같은 형식을 취한다. 단모음은 간단히 'CV-VC' 쌍으로 표시한다. 라틴 문자 표기에서는 장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장음 부호(마크론)를 사용하며, 'ā', 'ē', 'ī', 'ō', 'ū'와 같이 표기한다. 수메르 문자에 존재하지 않는 /o/의 경우, 'U' 기호를 사용하며, /u/는 'Ú'로 표기한다.

6. 문법

후르리어는 교착어로, 접미사와 후치사를 사용하여 문법적 관계를 표현한다. 여러 개의 어기를 결합하여 새로운 어기를 형성할 수는 없었지만, 기존 어기에 많은 수의 접미사를 붙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있었다. 예를 들어, 'attardi' (조상)는 'attai' (아버지)에서, 'futki' (아들)는 'fut' (낳다)에서, 'aštohhe' (여성)는 'ašti' (여자)에서 파생되었다.

6. 1. 동사

후르리어의 동사 형태는 매우 복잡하며, 접미사와 의존 형태소를 통해 다양한 의미를 표현한다. 타동사자동사는 형태론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된다. 동사는 다음과 같은 "형태소 체인"으로 구성된다.[6][7]

: 어근 + 파생 접미사 + 시제/상 + 비현재 자동사 + ''-imbu-'' + 가어 + 부정 + 능격 인칭 + 능격 수 + 절대격 대명사 의존 형태소 + 후치사 입자 및 접속사

이러한 요소들이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6. 1. 1. 직설법

현재 시제는 별도로 표시되지 않고, 과거 시제는 ''-ōš''로, 미래 시제는 ''ēt''로 나타낸다. 과거와 미래 시제 접미사에는 비자동사를 나타내는 ''-t'' 접미사가 포함되는데, 이는 반수동태가 아닌 진정한 비자동사 형태에만 나타난다. 현재 시제에서는 이 접미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타동 문장의 모든 시제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t'' 접미사는 3인칭 복수 주어를 나타낸다. 직설법에서는 이 접미사가 필수이지만, 다른 어법에서는 선택적이다. 이 두 접미사가 동일하여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unētta''는 "그들이 [무언가를] 가져올 것이다" 또는 "그/그녀/그것이 올 것이다"를 의미할 수 있다.[12]

이러한 어미 뒤에는 타동성을 나타내는 모음이 온다. 동사가 비자동사일 때는 ''-a'', 반수동태일 때는 ''-i'', 타동사일 때는 ''-o'' (미탄니 서한에서는 ''-i'')이다.[12] ''-o'' 접미사는 파생 접미사 바로 뒤에서는 탈락한다. 타동사에서는 ''-o''가 현재 시제에만 나타나고, 다른 시제에서는 ''-t'' 접미사의 유무로 타동성을 표시한다.

다음 위치에는 부정 접미사가 온다. 타동 문장에서는 ''-wa'', 비자동사 및 반수동태 문장에서는 ''-kkV''이다. 여기서 V는 부정 접미사 앞에 오는 모음을 반복하지만, 이가 /a/일 때는 두 모음 모두 /o/가 된다. 부정 접미사 바로 뒤에 후치사 대명사가 오면 (''=nna'' 제외), 앞에 어떤 모음이 오든 관계없이 모음은 /a/가 된다. 예를 들어, ''mann-o-kka=til=an'' (be-''intr''-''neg''-''1.pl.abs''-and)는 "그리고 우리는 ...가 아니다"와 같다.

다음 표는 시제, 타동성, 부정 표시기를 나타낸다.[12]

타동성 현재과거미래
비자동사긍정-a-ōšta-ētta
부정-okko-ōštokko-ēttokko
반수동태긍정-i-ōši-ēti
부정-ikki-ōšikki-ētikki
타동사
(파생 접미사 없음)
긍정마리/하투사 -o
미탄니 -i
마리/하투사 -ōšo
미탄니 -ōši
마리/하투사 -ēto
미탄니 -ēti
부정마리/하투사 -owa
미탄니 -iwa
마리/하투사 -ōšowa
미탄니 -ōšiwa
마리/하투사 -ētowa
미탄니 -ētiwa
타동사
(파생 접미사 있음)
긍정마리/하투사 -ōšo
미탄니 -ōši
마리/하투사 -ēto
미탄니 -ēti
부정-wa마리/하투사 -ōšowa
미탄니 -ōšiwa
마리/하투사 -ētowa
미탄니 -ētiwa


6. 1. 2. 기타 양태

소망법은 동사 어간에 '-i'를 붙여 표현한다. 목적("~하기 위해")을 나타내는 종결 형태에는 접미사 '-ae', '-ai', '-ilae' 및 '-ilai'가 사용된다. 가능성을 나타내는 잠재 형태는 자동사 어미 '-ilefa' 또는 'olefa'를 사용하고, 타동사 잠재 형태는 '-illet'과 '-allet'을 사용한다. 긴급한 요청을 나타내는 희망 형태는 3인칭 타동사에만 사용되며, 어미 '-ilanni'(단수), '-itanni'(복수)를 사용한다.[6][7]

6. 2. 대명사

문법적 양태를 표현하기 위해 직설법(비양태) 형태에서 파생된 몇 가지 특수한 동사 형태가 사용된다. 소망과 명령은 동사 어간에 직접 붙는 ''-i''를 가진 소망법 체계로 형성된다. 타동사와 자동사 형태는 구별되지 않으며, 문장의 주어와 일치한다. 시제 표시는 소망법에서 변하지 않는다.

인칭부정어미의미
1인칭단수긍정-ile ( /l/ 또는 /r/ 뒤), -le-re"나는 ~하고 싶다..."
부정-ifalli"나는 ~하고 싶지 않다..."
복수미확인
2인칭단수긍정-i, -e"너는 ~할 것이다 (명령법)"
부정-ifa, -efa"너는 ~하지 않을 것이다..."
복수긍정-i(š), -e(š)"너희는 ~할 것이다..."
부정-ifa(š), -efa(š)"너희는 ~하지 않을 것이다..."
3인칭단수긍정-ien1"그/그녀/그것은 ~할 수 있다..."
부정-ifaen1"그/그녀/그것은 ~할 수 없다..."
복수긍정-iten1"그들이 ~하게 하소서..."
부정-itfaen1"그들이 ~하지 않게 하소서..."

1 3인칭 소망법 형태에서 뒤따르는 단어가 자음으로 시작하면 마리/하투샤 방언에 /n/ 어미가 존재한다.

목적("~하기 위해")을 나타내는 종결 형태는 어미가 다르다. 단수는 접미사 ''-ae'', ''-ai'', ''-ilae'', ''-ilai''가 있고, /l/과 /r/ 뒤에서는 ''-lae''/''-lai'', ''-rae''/''rai''가 된다. 복수는 같은 어미를 쓰지만, 복수 접미사 ''-ša''가 나타나기도 한다.

가능성은 잠재 형태를 써야 한다. 자동사는 어미가 ''-ilefa'' 또는 ''olefa'' ( /l,r/ 뒤에서는 ''-lefa'', ''-refa'')이며, 주어와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타동사 잠재 형태는 ''-illet''과 ''-allet''으로 만들어지며, 타동사 직설법 어미에 붙는다. 이 형태는 미탄니에서만 확인되었고, 3인칭에서만 나타난다. 잠재 형태는 소망을 나타낼 때도 쓰인다.

희망 형태는 긴급한 요청을 나타낸다. 3인칭에서만 보이며, 타동사에만 쓰인다. 3인칭 단수 어미는 ''-ilanni'', 복수는 ''-itanni''이다.

6. 2. 1. 인칭 대명사

후르리어는 후치사 및 독립 인칭 대명사를 모두 사용한다. 독립 인칭 대명사는 모든 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반면, 후치사는 절대격만을 나타낸다. 문장 내에서 후치사가 어떤 단어에 붙는지 여부는 문장의 의미와 관련이 없으므로, 종종 첫 번째 구 또는 동사에 붙는다. 다음 표는 결정할 수 없는 형태를 제외한 인칭 대명사의 증명된 형태를 보여준다.

1인칭 단수
(나)
2인칭 단수
(너)
3인칭 단수
(그/그녀/그것)
1인칭 복수
(우리)
2인칭 복수
(너희)
3인칭 복수
(그들)
절대격
(독립)
ištefemane, mannišattil, šattitil(la)fellamanella
절대격
(후치)
-t(ta)-m(ma)-n(na), -me, -ma-til(la)-f(fa)-l(la), -lle
능격išašfešmanuššiešfešušmanšoš
소유격šofefefefeše
여격šofafefašaša (?)fešamanša
처격feša (?)
향격šutašašuta (?)
탈격manutan
동격šuramanuramanšura, manšora
동격 IIšonnamanunna



3인칭 절대격 대명사의 변형 형태인 ''-me'', ''-ma'', ''-lle''는 ''ai'' (때), ''inna'' (때), ''inu'', ''unu'' (누구), ''panu'' (하지만) 등의 특정 접속사와 관계 대명사 ''iya'' 및 ''iye'' 앞에서만 나타난다. 후치 인칭 대명사가 명사에 붙으면 광범위한 음운 변화 체계가 최종 형태를 결정한다. 3인칭 단수 후치사 ''-nna''는 다른 대명사와 다르게 동작하는데, 능격 접미사가 앞에 오면 다른 대명사와 달리 접미사와 결합하여 ''šša''를 형성하는 반면, 다른 모든 대명사에서는 능격의 ''š''가 탈락한다. 또한, ''-nna''를 제외한 후치사가 붙으면 어말 모음 /i/가 /e/ 또는 /a/로 바뀐다.

6. 2. 2. 소유 대명사

(나의)2인칭 단수
(너의)3인칭 단수
(그의/그녀의/그것의)1인칭 복수
(우리의)2인칭 복수
(너희의)3인칭 복수
(그들의)단어 종결-iffe-f-i-iffaš-šše-yaš자음 앞( /f,w/ 제외)-iffu-fu-i-iffaš-šu-yaš모음 및 /f,w/ 앞-iff-f-i-iffaš해당 없음-yaš



명사 어간의 마지막 모음은 소유 대명사가 붙기 전에 떨어진다. 예를 들어, ''šeniffe'' (šeniffehur, "나의 형제", šenahur, "형제"에서 유래)와 같다. 그러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대명사가 붙는 경우에는 유지된다. 예를들어 ''attaif'' (attaifhur, "너의 아버지", attaihur, "아버지"에서 유래)와 같다.

6. 2. 3. 기타 대명사

지시 대명사로는 ''anni'' (이것), ''anti/ani'' (저것), ''akki...aki'' (하나...다른 하나)가 있다. 이 대명사들의 마지막 모음 /i/는 절대격에서만 유지되고, 다른 모든 격에서는 /u/가 된다. 예를 들어, ''akkuš'' "그 하나" (능격), ''antufa'' ("그것[하나]에게")와 같다. 또한 관계 대명사 ''iya''와 ''iye''가 있는데, 두 형태는 서로 자유롭게 교환 가능하다. 이 대명사는 관계절에서 절대격의 기능을 하며, 따라서 자동사의 주어 또는 타동사의 목적어를 나타낸다. 의문 대명사 (누구/무엇)는 능격 단수(''afeš'')에서만 증명되고, 절대격 단수 (''au'')에서 한 번 나타난다.

6. 3. 후치사

후르리어는 공간적 및 추상적 관계를 나타내는 많은 표현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표현들은 대부분 조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사들은 거의 전적으로 후치사인데, 전치사는 ''āpi'' + 여격, "for" 하나만이 하투샤의 텍스트에서 증명되었다. 모든 조사는 일반적으로 지향격, 드물게는 여격 또는 "e-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N-fa āyita'' 또는 ''N-fenē āyē'' (…의 면전에; ''āyi'' "얼굴"에서 유래), ''N-fa etīta'' 또는 ''N-fa etīfa'' (…때문에; ''eti'' "몸, 사람"에서 유래), ''N-fenē etiyē'' (…에 관하여), ''N-fa furīta'' (…의 시야에; ''furi'' "시야, 모습"에서 유래), 그리고 하투샤에서만 사용되는 ''N-fa āpita'' (…앞에; ''āpi'' "앞"에서 유래). 이 외에도, 복수 소유 대명사와 장소를 나타내는 격과 함께 "…사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ištani''가 있는데, 예를 들어 "우리/너희/그들 사이에"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ištaniffaša''가 있다.

6. 4. 접속사 및 부사

접속사로는 ''ai''(때), ''anammi''(그러므로), ''alaše''(만약), ''inna''(때), ''inu''(처럼), ''panu''(그럼에도 불구하고)가 있다. 부사로는 ''henni''(지금), ''kuru''(다시), ''unto''(그때), ''atī''(그렇게, 그래서), ''tiššan''(매우) 등이 있다.

6. 5. 후치 입자

후치사는 문장의 모든 단어에 붙을 수 있지만, 대개 문장의 첫 구절이나 동사에 붙는다. 후치사는 고대 후르리어보다 미탄니 서한에서 훨씬 다양하고 빈번하게 나타난다. 흔한 후치사로는 =ān(그리고), =mān(그러나), =mmaman(확실히), =nīn(정말로!)이 있다.[1]

6. 6. 수사

šuki증명되지 않음2šinišinzi3kikekiški4tumnitumnušše5nariyanarišše6šeše증명되지 않음7šintišintišše8kiri,
kira
증명되지 않음9tamri증명되지 않음10ēmaniēmanze13 또는 30kikmani증명되지 않음17 또는 70šintimani증명되지 않음18 또는 80kirmanikirmanze10000nupi증명되지 않음30000kike nupi증명되지 않음



분배 수사는 접미사 ''-ate''를 사용한다. (예: ''kikate'' (셋씩), ''tumnate'' (넷씩)). 접미사 ''-āmha''는 곱셈을 나타낸다. (예: ''šināmha'' (두 번), ''ēmanāmha'' (세 번)). 모든 기수는 모음으로 끝나며, 부가사가 붙으면 모음이 떨어진다.

7. 통사론

기본 어순은 논쟁의 대상이다. 스파이저(Speiser)는 1941년 자신의 문법에서, 후르리어 문장의 일반적인 어순은 기본적으로 목적어-주어-동사 (OSV)라고 보았다. 그러나 후르리어는 능격-절대격 언어이므로 후르리어 구문의 통사적 역할은 영어와 같은 지배-피지배 언어의 "주어"와 "목적어"에 정확히 해당하지 않는다. 스파이저는 후르리어의 어순을 "목표-행위자-행위"로 설명하는 것이 더 정확하며, 절대격은 "문법적 주어" (즉, 지정어)에 해당한다고 설명한다.[16]

šeniff išaš tatau|šen-iff-Ø iša-š tat-au|형제-나의-ABS 나-ERG.SG 사랑하다-1.SG|"나는 나의 형제를 사랑한다"hur

제프리 K. 풀럼(Geoffrey K. Pullum)은 1977년 스파이저의 분석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후르리어 텍스트의 사용 가능한 코퍼스가 어순을 결정하기에 충분히 크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동사 종결형(즉, OSV 또는 SOV)으로만 식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풀럼은 SOV 어순을 가진 후르리어 문장의 다음 예를 제시한다.[17]

Immuriyaššan zalamši tanoša|Immuriya-šš-an zalamši-Ø tan-oš-a|Immuriya-ERG.SG-와 조각상-ABS 만들다-PRET-3|"그리고 이무리야가 조각상을 만들었다"hur

마리아 폴린스키(Maria Polinsky)는 1995년 후르리어의 이중타동사 구문의 구조가 목적어-주어 (OSV)가 아닌 주어-목적어 (SOV)임을 지적한다. 구체적으로 어순은 주어-간접 목적어-직접 목적어-동사이다. 그러나 그녀는 여전히 후르리어를 OSV 언어의 예로 언급한다.[18]

명사구 내에서 명사는 규칙적으로 끝에 온다. 형용사, 숫자 및 소유 수식어는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 그러나 관계절은 명사를 둘러싸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관계절이 수정하는 명사가 관계절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르리어는 관계절을 구성하기 위해 여러 패러다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관계 대명사 ''이야''와 ''이에''를 사용하거나 동사에 붙는 명사화 접미사 ''-šš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Suffixaufnahme를 거친다. 세 번째 가능성은 이 두 마커가 모두 발생하는 것이다. 관계절로 표현되는 명사는 어떤 격도 취할 수 있지만 관계절 내에서는 절대격의 기능만 가질 수 있다. 즉, 자동사 관계절의 주어 또는 타동사 관계절의 목적어만 될 수 있다.

iyallānīn šēniffuš tiwēna tānōšāššena|iyanīn šēn-iffu-š tiwē-na-Ø tān-ōš-ā-šše-na-Ø|REL.PRO3.PL.ABS진실로 형제-나의-ERG.SG 물건-ART.PL-ABS 보내다-PRET-3.SG.SUBJ-NOM-ART.PL-ABS|"나의 형제가 보낸 것들"}}

후르리어 타동사는 일반적으로 능격의 주어와 절대격의 목적어를 취한다(반수동 구문 제외). 그러나 이중타동사 동사의 간접 목적어는 여격, 위치격, 향격 또는 일부 동사의 경우 절대격일 수도 있다.

olaffa katulle|ola-Ø2.PL.ABS 말하다-OPT.1.SG|"나는 너에게abs 다른 것을abs 말해주고 싶다"}}

8. 어휘

확인된 후르리어 어휘는 매우 동질적이며, 소수의 차용어만 존재한다. 예를 들어 ''tuppi''('점토판'), ''Mizri''('이집트'; 아람어/히브리어 ''Mizraim''과 유사)와 같은 단어들이 있다.[1] 상대 대명사 ''iya''와 ''iye''는 이 지역에 거주했던 미탄니족의 인도아리아어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산스크리트어의 ''ya''와 비교해 볼 수 있다. 반대로, 후르어는 인접한 아카드어 방언에 많은 차용어를 제공했는데, 예를 들어 후르어 ''hāpiri''('유목민')에서 유래한 ''hāpiru''('유목민')가 있다.[2] 코카서스 언어에도 후르어 차용어가 있을 수 있지만, 후르족 시대의 코카서스 언어 기록이 없어 이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유사한 발음의 단어의 출처 언어는 확인할 수 없다.

9. 문자 체계

기원전 2000년경 후르리인들은 아카드어 설형 문자를 채용하여 자신들의 언어에 적용하였다. 후르리어는 변형된 형태의 설형 문자로 표기되었는데, 표어 문자의 사용을 제한하고 음절 표기를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표어 문자에 크게 의존하는 수메르-아카드 설형 문자와 구별된다.[19]

특히, 미탄니 서한의 음절 문자에는 aXsux, eXsux, iXsux, uXsux로 구성된 전형적인 설형 문자의 모음 목록 외에도 oXsux 모음이 포함되어 있다. 미탄니 서한의 필사자는 또한 "플레네 철자법"을 통해 불확실한 CV 기호의 판독의 모호성을 제거하기 위해 독립적인 모음 기호를 자주 사용했다. 예를 들어, 기호 ()는 또는 로 읽을 수 있는데, 필요한 경우 음절 는 ()로, 음절 는 ()로 명확하게 표기할 수 있었다. 플레네 철자법이 모음 길이 표시에도 사용되었는지는 불확실하다.[19]

10. 후르리어 문학

하투사, 우가리트(라스 샴라), 사피누와에서 후르리어 문헌이 발굴되었다.[20] 이 중 아마르나 서한 하나는 후르리어로 되어 있는데, 미탄니 왕 투슈라타가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에게 보낸 것이다. 1983년 하투사에서 후르리어-히타이트어 번역본을 포함한 후르리어 점토판 수집품이 발견되기 전까지, 이것이 유일하게 알려진 장문의 후르리어 문서였다.[20]

1990년대 오르타쾨이(사피누와)에서 여러 이중 언어 텍스트가 발견되었다.[20] 기원전 1천 년기에는 (우라르투어를 후기 후르 방언으로 간주하지 않는 한) 후르리어 텍스트가 발견되지 않는다.[20]

참조

[1] 서적
[2] 서적
[3] 웹사이트 A Hurrian foundation deposit known as the "Urkish Lion" https://web.archive.[...] Musée du Louvre 2012-12-02
[4] 웹사이트 Royal inscriptions http://urkesh.org/pa[...]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