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훅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훅턴은 차량의 우회전 또는 좌회전 방식 중 하나로, 특히 자전거 및 경차량에 적용된다. 훅턴은 원래 호주에서 일반적인 우회전 방식이었으나, 현재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다. 훅턴은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로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 효과적이며, 직진 차량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훅턴 대기 공간의 불명확성, 교통 지체 가능성, 자전거 운전자와 보행자 간의 충돌 위험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로 교통 - 도로교통법
    도로교통법은 도로교통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각국에서 제정된 법률로, 운전자의 준수 사항, 차량 안전 기준, 교통사고 처리 절차 등을 규정하며, 국제적 조화를 위한 노력과 함께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및 교통약자 보호 조항이 강화되는 추세이지만, 과도한 벌금 등 개선 과제도 남아있다.
  • 도로 교통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훅턴
개요
훅 턴 자전거
훅 턴 (좌측 통행) 시 자전거 그림
훅 턴 자동차
훅 턴 (좌측 통행) 시 자동차 그림 (어두운 선은 전차 선로를 나타냄)
정의훅 턴은 반대 방향의 차선을 가로지르는 도로 차량 기동이다.
설명자전거나 차량은 교차로에서 좌회전 (좌측 통행의 경우)을 하기 위해 먼저 우측 가장자리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선의 좌측)로 이동한다.
차량이 정지하면 교차로를 가로질러 주행하는 차량을 방해하지 않고 기다린다.
차량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되면 진행 방향으로 주행한다.
국가별 명칭
오스트레일리아훅 턴 (hook turn)
미국모론 턴 (moron turn)
이점
교통 흐름 개선훅 턴은 좌회전 차량이 직진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안전 증진훅 턴은 특히 자전거 이용자에게 안전한 좌회전 방식을 제공한다.
단점
혼란 야기훅 턴은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추가적인 단계 필요훅 턴은 일반적인 좌회전보다 더 많은 단계를 필요로 한다.
시행 국가
오스트레일리아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
미국캘리포니아주 데이비스
플로리다주 게인즈빌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
일본2단계 우회전 (二段階右折)이라는 유사한 방법이 존재한다.
참고
관련 용어2단계 우회전

2. 역사

훅턴은 원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일반적인 우회전 방식이었다. 여러 지역에서 서로 다른 시기에 훅턴을 폐지했다. 시드니와 뉴캐슬은 1939년에 중앙선 회전 방식으로 변경했다.[2]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는 1950년 11월 30일에 훅턴을 중단했다.[3] 빅토리아는 멜버른 중앙 업무 지구(CBD)의 일부 교차로를 제외하고, 1954년에 대부분의 우회전을 중앙선 회전 방식으로 변경했다. 하지만 멜버른 CBD에서는 도시의 트램 운행을 위해 도로 중앙 공간(클리어웨이)을 확보해야 했기 때문에 훅턴 방식이 유지되었다.[5] 차량이 도로 중앙이 아닌 가장 바깥 차선에서 회전하는 훅턴 방식 덕분에, 추가적인 교통 차선이나 신호 변경 없이도 차량과 트램 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었다.[5]

3. 방법

두 단계 회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전거 운전자는 녹색 신호가 주어지면 교차로에 진입해야 한다(자동차 교통과 동시에, 하지만 근거리 회전 교통은 적색 신호에서 대기할 수 있다). 원거리 회전 자전거 운전자는 보행자 횡단보도 앞에 있는 근거리 차선으로 진입해야 한다(가능하다면 표시된 대기 구역에). 측면 도로에 녹색 신호가 주어지면, 자전거 운전자는 직진하여 회전을 완료하여 먼저 진행해야 한다.[10]

4. 국가별 현황

훅턴은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덴마크, 독일, 일본, 네덜란드, 타이완, 미국을 포함한 여러 관할 구역에서 시행되고 있다.[6] 많은 지역에서는 자전거모페드와 같은 경량 차량의 경우, 표지판 유무와 관계없이 훅턴이 허용되거나 의무화되기도 한다.[7]

4. 1. 호주

오스트레일리아도로교통법 제34조와 35조를 통해 자동차를 포함한 차량의 훅턴과 자전거의 선택적인 훅턴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좌측통행에 맞춘 절차이다.[30]

오스트레일리아 도로 규칙은 오스트레일리아 및 좌측 통행을 하는 다른 지역에서 훅턴을 수행하는 절차를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7]

# 신호등이 녹색일 때, 회전 차량은 가능한 한 좌측에 가깝게 접근하여 교차로에 진입한다. 공간이 부족하면 다음 신호 주기를 기다려야 한다.

# 차량은 표시된 횡단보도를 피하면서 진입하려는 도로의 가장 왼쪽 차선에 최대한 가깝게 될 때까지 전진한다.

# 차량은 진입하려는 도로의 신호등이 녹색으로 바뀔 때까지 이 위치에 머무른다.

# 그런 다음 차량은 우회전하여 도로로 진입하여 직진한다.

오스트레일리아 도로교통법 제34조는 위 절차에 따라, 신호등과 훅턴 표지가 있는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운전자는 반드시 훅턴을 해야 하며, 위반 시 제재가 따름을 명시하고 있다.[30]

훅턴은 원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일반적인 우회전 방식이었으나, 여러 지역에서 다른 시기에 폐지되었다. 시드니와 뉴캐슬은 1939년에 중앙선 회전 방식으로 변경했고,[2]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는 1950년 11월 30일에 훅턴을 중단했다.[3] 빅토리아주는 1954년에 멜버른 중앙 비즈니스 지구(CBD)의 일부 교차로를 제외하고 중앙선 회전 방식으로 변경했다. 멜버른 CBD에서는 도시의 트램을 위한 도로 중앙 공간 확보 및 충돌 방지를 위해 훅턴이 유지되었다. 차량이 도로 중앙이 아닌 가장 바깥 차선에서 회전하게 함으로써 추가 교통 차선이나 신호 변경 없이 차량과 트램 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었다.[5]

멜버른의 훅턴 표지판


멜버른에서는 노면 전차(트램)가 중앙으로 다니는 도로에서 우회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위험 때문에[24], 중심 업무 지구(CBD) 내 특정 19개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모든 차량에게 훅턴을 의무화하고 있다. 해당 교차로에는 "RIGHT TURN FROM LEFT ONLY"라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25]

많은 지역에서 자전거모페드와 같은 경량 차량은 표지판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교차로에서 훅턴을 할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도로 규칙에 따르면, 자전거 운전자는 별도의 금지 표지가 없는 한 모든 교차로에서 합법적으로 훅턴을 수행할 수 있다.[7]

남호주 주 애들레이드에서는 일부 교차로에서 버스가 훅턴을 하는 것이 허용된다.
훅턴 과정 예시

4. 2. 일본

일본에서는 자전거를 포함한 경차량과 원동기부자전거에 대하여 훅턴을 의무화하고 있다.

  • 경차량 (일본 도로교통법에서 손수레 등을 포함): 모든 교차로에서 훅턴이 의무화되어 있다.
  • 원동기부자전거 (50cc 이하 이륜차):
  • 교통 정리가 이루어지는 교차로에 "원동기부자전거의 우회전 방법(2단계)" 도로 표지가 있을 경우 훅턴이 의무화된다.
  • 교통 정리가 이루어지는 교차로에서 우회전/좌회전 차선을 포함하여 도로 한쪽에 3개 이상의 차선이 있을 경우 훅턴이 의무화된다. 단, "원동기부자전거의 우회전 방법(소회전)" 도로 표지가 있는 경우는 제외된다.


일본에서는 1920년(다이쇼 9년) 시행된 도로 단속령 제7조 제2항에 따라 모든 차량에 2단계 우회전(훅턴)이 적용되었다. 해당 조항은 "소, 말, 여러 차량 등이 도로 교차 지점에서 우회전하려 할 때는 도로를 가로지른 후 오른쪽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그러나 1947년(쇼와 22년) 시행된 도로 교통 단속법에서는 "차마는 우회전하려 할 때는 교차점의 중심 바깥쪽을 돌아서 서행해야 한다"고 규정하여, 2단계 우회전 규정이 없어지고 모든 차량은 교차로 중심 바깥으로 도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960년(쇼와 35년) 시행된 도로 교통법 제34조 제3항에 따라 경차량 및 제1종 원동기부자전거는 모든 교차로에서 2단계 우회전이 다시 의무화되었다. 하지만 1964년(쇼와 39년) 도로 교통법 개정으로 제1종 원동기부자전거는 해당 조항에서 삭제되어 2단계 우회전 대상에서 제외되었고[13], 경차량만 모든 교차로에서 2단계 우회전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규정되었다.

1986년(쇼와 61년) 시행된 도로 교통법 개정으로 원동기부자전거 보호를 위해, 원동기부자전거에 대해서도 다차선 도로 등 특정 조건에서 2단계 우회전이 다시 의무화되었다[14].

2단계 우회전 조건에 해당하는 교차로에서 원동기부자전거가 소회전 우회전(일반적인 우회전)을 하거나, 2단계 우회전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교차로에서 원동기부자전거가 2단계 우회전을 한 경우에는 "교차로 우좌회전 방법 위반"으로 도로 교통법상 반칙 행위가 된다. 경차량이 소회전 우회전을 한 경우에는 도로 교통법 제34조 제3항 위반이 된다[15].

교통 정리가 이루어지는 교차로에서 2단계 우회전을 할 때는 모든 차량이 교차로 좌측 구석에서 직각으로 우회전한 후, 전방 신호등이 녹색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행해야 한다. 교차로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 후 전방 신호등이 적색이라도 진행할 수 있다는 규칙은 2단계 우회전 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경차량의 훅턴 ===

자전거를 포함한 경차량은 교차로에서 우회전할 경우, 도로교통법 제34조 제3항에 따라 원칙적으로 2단계 우회전을 해야 한다.[16][17] 해당 법 조항은 "경차량은 우회전할 때 미리 그 앞에서 가능한 한 도로의 좌측 가장자리에 붙어 교차로의 측면에 따라 서행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단, 경찰관이 교통 정리를 하는 경우에는 도로교통법 제6조 2항에 따라 경찰관의 지시가 우선된다.

교통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교차로에서 2단계 우회전을 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우회전과 마찬가지로 해당 교차로에서 직진 또는 좌회전하는 다른 차량의 진행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특히 2단계 우회전은 꺾어서 진행하므로, 반대 방향에서 오는 차량뿐만 아니라, 우회전하기 전 후방에서 직진 또는 좌회전해 오는 차량의 진행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교통 정리가 이루어지는 교차로에서는 자전거 횡단대가 있으면 그곳을 이용하고, 없으면 교차로 측면을 따라 통행하며 전방 신호기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도로 밖으로 나가기 위해 우회전하는 경우에도 경차량은 도로와 직각으로 횡단하여 출입하게 된다.

=== 원동기부자전거의 훅턴 ===

원동기부자전거의 교차로 우회전은 도로교통법 제34조 제5항에 규정되어 있다. 이 조항에 따르면, 특정 조건 하의 교통 정리가 이루어지는 교차로에서 원동기부자전거는 2단계 우회전을 해야 한다.

----
그림 1:
원동기부자전거의
우회전 방법(2단계) 표지
그림 2:
원동기부자전거의
우회전 방법(소회전) 표지



2단계 우회전 대기 장소를 나타내는 법정 외 표시


교통 정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교차로에서는 2단계 우회전("미리 그 전부터 가능한 한 도로의 좌측 가장자리에 붙어, 교차로의 측면에 따라 서행")을 해야 한다.

  • 교통 정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교차로에 "원동기부자전거의 우회전 방법(2단계)" (도로 표지 번호 327의 8, 그림 1) 표지가 있는 경우
  • 교통 정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교차로에서, 우회전/좌회전 차선을 포함하여 도로의 한쪽(일방통행에서는 도로 전체)에 3개 이상의 통행 차선이 있는 경우 (다차선 도로). 단, "원동기부자전거의 우회전 방법(소회전)" (도로 표지 번호 327의 9, 그림 2) 표지가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우회전하기 전 신호기에 파란색 우회전 화살표가 표시되더라도, 2단계 우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직진 신호에 따라 교차로 측면을 따라 진행한 후, 우회전 후 마주하는 전방 신호기가 녹색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20]. 교차로에서 우회전 또는 좌회전 후 전방 신호등이 적색이라도 진행할 수 있다는 규칙은 2단계 우회전을 하는 원동기부자전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23].

도로 밖으로 나가기 위해 우회전하는 경우, 원동기부자전거는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도로 표지나 차선 수에 관계없이 미리 도로 중앙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붙어 소회전 우회전을 한다.

그림 3의 경우, 진행 방향 도로에 3개 이상의 차선이 있는 다차선 도로이고 소회전 지시 표지(그림 2)가 없으므로, 그림의 붉은 선처럼 미리 도로 좌측 가장자리에 붙어 우측 방향 지시등을 켜고 교차로 측면을 따라 직진한다. 이때, 도로교통법 제35조 제1항의 진행 방향별 통행 구분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18][19]. 교차로 좌측 모퉁이에서 직각으로 우회전한 후, 전방 신호등이 녹색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행해야 한다[21][22].

반면, 그림 4의 경우에는 소회전 지시 표지(그림 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다차선 도로라도 2단계 우회전이 아닌 소회전 우회전을 해야 한다.

교통 정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교차로에서는 차선 수에 관계없이 소회전 우회전을 한다.

4. 3. 캐나다

캐나다토론토몬트리올에는 자전거 이용자가 훅턴 방식(캐나다에서는 '주변을 도는 방식'으로 알려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시설이 갖춰져 있다.

4. 4. 덴마크

덴마크에서는 자전거 이용자에게 훅턴이 의무적으로 적용된다. 덴마크는 우측통행을 하며, 좌회전을 원하는 자전거 이용자는 먼저 교차로를 지나 직진한 후, 교차로 건너편에서 신호를 기다렸다가 원래 가려던 좌회전 방향으로 진행해야 한다.[8] 또한, 우회전하는 차량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좌회전을 하려는 자전거 이용자는 차량 차선이 "우회전 전용"으로 명확히 표시된 경우 해당 차선의 왼쪽에 위치할 수 있다.[8]

4. 5. 영국

2단계 회전 방식은 자전거 이용자가 차도의 중앙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우회전(반대 차선 횡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2단계 회전은 잉글랜드북아일랜드의 자전거 인프라 디자인 가이드인 LTN 1/20[9]스코틀랜드의 사이클링 바이 디자인(Cycling by Design) 가이드에서 허용된다.[10]

파란색 정보 표지판은 자전거 이용자에게 2단계 회전이 가능함을 알리기 위해 설치될 수 있으며, 접근 차선 앞쪽에 적절한 표시를 할 수도 있다. 또한, 각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 신호등에서 2단계로 완료하지 않는 한 자전거의 우회전을 금지하는 표지판을 추가할 수도 있다.[9]

4. 6. 대만

2단계 좌회전을 위해 대기 중인 이륜차들


대만에서는 이륜차(250cc 이하) 및 비동력차가 표지판에 의해 지정된 경우, 우회전 또는 좌회전을 할 때 2단계 방식(機慢車兩段左轉중국어)으로 해야 한다.[26]

내측 차선이 이륜차 통행 금지이거나 표지판에 의해 2단계 좌회전이 지정된 경우에는 2단계 좌회전을 해야 한다. 또한, 일방통행 도로가 3차선 이상일 경우, 가장 오른쪽 차선, 가장 왼쪽 차선 또는 바깥쪽 차선(慢車道)을 통행하고 있다면 2단계 좌회전 또는 2단계 우회전을 해야 한다.[27]

5. 장점


  • 좌회전 또는 우회전 전용 차로를 만들기 어려운 교차로에서 효과적이다.
  • 호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도로 중앙 공간 활용으로 인한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려는 차량이 회전하기 전에 미리 도로의 반대편 가장자리로 이동함으로써 직진하는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교통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 교통량이 많거나, 차로 수가 많은 도로, 또는 차선 변경이 위험한 상황에서 특히 유용하다.


컴퓨터 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훅턴은 대부분의 상황, 특히 전체 교통 흐름이 많을 때 지연과 혼잡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 또한, 평균적으로 트램은 훅턴을 사용하는 교차로를 통과할 때 11초에서 16초 정도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11]

6. 단점


  • 대한민국의 경우, 대기 공간의 크기와 위치가 명확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 좌회전 또는 우회전 차량의 교통량이 많을 경우 교통 지체가 발생할 수 있다.
  • 두 단계 회전 방식은 자전거 운전자의 안전 측면에서 보호된 교차로보다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자전거 운전자와 보행자 간의 충돌이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10]

참조

[1] 웹사이트 The "Copenhagen Left" and merging of cyclists with cars turning right: Dangerous and inconvenient junction design in Denmark. http://www.aviewfrom[...] 2021-12-28
[2] 뉴스 RIGHT-HAND TURN To Be Made from Centre of Road NEW TRAFFIC REGULATION http://nla.gov.au/nl[...] 2017-03-03
[3] 뉴스 Follow-The-Leader in New Right Turn http://nla.gov.au/nl[...] 2021-11-17
[4] 뉴스 Road Turns Change http://nla.gov.au/nl[...] 2016-01-14
[5] 논문 Comparison of hook-turn scheme with U-turn scheme based on actuated traffic control algorithm 2015-03-16
[6] 논문 Hook Turns as a Solution to the Right-Turning Traffic Problem 2013-08-14
[7] 웹사이트 Australian Road Rules, s 35 http://www5.austlii.[...] 2016-01-13
[8] 웹사이트 Færdselsloven § 49 stk. 3 [Danish traffic code, section 49 clause 3] https://www.retsinfo[...]
[9] 웹사이트 Cycle infrastructure design (LTN 1/20) https://www.gov.uk/g[...] 2021-12-28
[10] 웹사이트 Cycling by Design https://www.transpor[...] www.transport.gov.scot 2021-12-28
[11] 논문 Managing Trams and Traffic at Intersections with Hook Turns: Safety and Operational Impacts http://journals.sage[...] 2011-01-01
[12] 문서 注:軽車両は図の様な交差点でも二段階右折が必要だが、原動機付自転車の場合は条件がある。
[13] 웹사이트 道路交通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昭和39年法律第91号、 参考) https://www.shugiin.[...]
[14] 웹사이트 昭和61年 警察白書(3.道路交通法令の改正) http://www.npa.go.jp[...] 警察庁 2014-05-11
[15] 웹사이트 自転車に係る主な交通ルール http://www.npa.go.jp[...] 警察庁 2014-07-22
[16] 웹사이트 自転車の交通ルール https://web.archive.[...] 警視庁 2014-11-02
[17] 문서 道路交通法第34条第3項の規定による
[18] 서적 運転免許学科教本 平尾出版 2012-08-01
[19] 문서 道路交通法第35条第1項の規定による
[20] 문서 道路交通法施行令第二条の「青色の灯火の矢印」の規定による
[21] 웹사이트 原付講習の運用について(平成24年1月20日付警察庁丙運発第20号) http://www.npa.go.jp[...] 警察庁 2014-05-11
[22] 서적 運転免許学科教本 平尾出版 2012-08-01
[23] 문서 道路交通法施行令第二条の「赤色の灯火」の規定による
[24] 웹사이트 Hondaの交通安全 http://www.honda.co.[...] Honda 2014-11-02
[25] 웹사이트 オーストラリアの交通事情 http://www.melbourne[...] 在メルボルン日本国総領事館 2014-11-02
[26] 문서 道路交通標誌標線號誌設置規則(台湾)
[27] 웹사이트 台湾の交通ルールについて http://www.roc-taiwa[...] 台北駐日経済文化代表処 2014-07-31
[28] 웹인용 ROAD TURNS CHANGED - The Mercury (Hobart, Tas. : 1860 - 1954) - 23 Aug 1954 http://nla.gov.au/nl[...] 2017-03-26
[29] 서적 자전거교통 FAQ 2016 2016
[30] 서적 Australian Road Rules http://www.ntc.gov.a[...] 2012
[31] 저널 신호교차로의 자전거 좌회전 운영방안 평가에 관한 연구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