훙둥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훙둥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린펀시에 위치한 현이다. 고대에는 양으로 불렸으며, 춘추 시대에 양씨현으로 설치된 후 양현, 홍동현으로 개칭되었다. 1303년 홍동 지진이 발생했고, 명나라 시기에는 대규모 이민의 출발지인 '큰 회화나무'가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9개의 진과 7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9년 기준 인구는 약 76만 명, GDP는 151억 5천만 위안이다. 주요 농산물과 산업 제품이 생산되며, 철도와 도로 교통이 발달했다. 특히 가톨릭 신자가 많은 지역으로, 훙둥 천주교당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린펀시의 행정 구역 - 이청현
이청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린펀시에 위치한 현으로, 주나라 시대 진나라의 수도였던 강의 자리이며, 6개의 진과 4개의 향으로 구성되고, 주요 산업은 농업과 공업이며, 훼이허 강 유역에 위치하고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 린펀시의 행정 구역 - 안쩌현
안쩌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린펀시 동북부에 위치한 현으로, 북위 시대에 설치되어 수나라 때 웨양현으로 개칭되었다가 1914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높은 해발고도와 넓은 산림 분포, 농업, 임업, 풍부한 천연 자원, 그리고 다양한 교통망을 특징으로 한다. - 산시성 (산서성)의 현 - 이청현
이청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린펀시에 위치한 현으로, 주나라 시대 진나라의 수도였던 강의 자리이며, 6개의 진과 4개의 향으로 구성되고, 주요 산업은 농업과 공업이며, 훼이허 강 유역에 위치하고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 산시성 (산서성)의 현 - 커란현
커란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신저우시에 위치한 현으로, 수나라 시대 커란진에서 당나라 란구현으로 설치된 후 커란주를 거쳐 1913년부터 현재의 커란현으로 개편되었으며, 신바오 고속도로, 국도 209선, 커란-타이위안 철도 노선이 주요 교통로이다.
훙둥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홍동현 |
원어명 | 洪洞县 |
로마자 표기 | Hóngtóng Xiàn |
기타 이름 | 훙퉁 |
행정 정보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산시 성 |
지급 행정구역 | 린펀 시 |
행정 구역 등급 | 현 |
지리 정보 | |
면적 | 1494 km² |
해발고도 (최대) | 알 수 없음 |
해발고도 (최소) | 알 수 없음 |
인구 정보 | |
인구 (2019년) | 766,579명 |
인구 (2020년) | 64만 명 |
행정 구역 코드 | |
행정 구역 코드 | 141024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우편 번호 | 041600 |
전화 지역 번호 | 0357 |
공식 웹사이트 | 홍동현 인민정부 |
역사 | |
건치 시기 | 춘추시대 |
개칭 시기 | 617년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고대에는 '양'으로 불렸으며, 춘추 시대 말에는 진나라 공족 양설힐(숙향)의 식읍이었다. 기원전 514년, 양설씨가 멸망하고 양씨현이 설치되었다.[6]
훙둥현은 린펀 분지의 북쪽 끝에 위치하며, 평균 해발고도는 430m이다. 현의 서쪽에는 훠산이 솟아 있으며, 최고봉은 해발 2347m이다.[1] 펀강이 현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한다.[1] 면적은 1494km2이다.[11] 산시성의 남북 교통 간선이 지나는 요충지로,[12] 과거에는 가도와 펀허 강의 수운이 중요했지만, 현재는 철도, 국도, 고속도로가 종단한다.
전한 시대에 양현으로 개칭되었다.[6] 북조 동위 시대에 '훙둥수'라는 새로운 성이 축조되었다.[6] 수나라 말기인 617년(의녕 원년), 이연에 의해 훙둥현으로 개칭되었다.[6]
1954년 조성현과 합병하여 홍조현이 되었으나, 1958년 다시 훙둥현으로 개칭되었다.[6]
1303년 (대덕 7년) 9월 17일에는 M8.0으로 추정되는 홍동 지진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6] 원나라 말 명나라 초의 전란으로 국토가 황폐해지고 전국에서 인구가 격감했지만, 산시성에서는 경제 활동이 활발하여 인구가 증가했다. 홍무제 시대부터 영락제 시대에 걸쳐 화북 평원으로의 대규모 이민이 진행되었으며, 훙둥현의 큰 회화나무(대괴수)는 이민의 출발지로서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6][7][13]
2007년, 암흑 벽돌 공장(흑전요) 사건으로 노동자 학대 문제가 드러났다.[14] 2006년 12월 5일에는 탄광 폭발 사고로 105명이 희생되었다.[15]
3. 지리
3. 1. 기후
훙둥현은 연평균 기온이 12.7°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441.5mm이다. 연간 일조 시간은 2079.1시간이다.[1] 1981~2010년 평균 기후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17]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4.3°C | 8.6°C | 14.5°C | 21.8°C | 27°C | 31.7°C | 32.4°C | 30.5°C | 25.8°C | 19.9°C | 11.8°C | 5.3°C |
평균 최저 기온 (℃) | -7.5°C | -3.6°C | 1.7°C | 8°C | 13.2°C | 18.2°C | 21.5°C | 19.9°C | 14.6°C | 7.9°C | -0.1°C | -5.6°C |
역대 최고 기온 (℃) | 15.4°C | 21.8°C | 29°C | 35.4°C | 37°C | 41.6°C | 40.5°C | 38.6°C | 38.5°C | 31.5°C | 25.6°C | 15.5°C |
역대 최저 기온 (℃) | -17.4°C | -17.5°C | -11.5°C | -4.1°C | 2.3°C | 6.8°C | 14.7°C | 11.8°C | 1.6°C | -5.4°C | -17.1°C | -18.9°C |
평균 강수량 (mm) | 3.5mm | 4.7mm | 14.3mm | 22.7mm | 40.3mm | 54.8mm | 100.1mm | 85.5mm | 63.6mm | 34.3mm | 13.9mm | 3.9mm |
평균 상대 습도 (%) | 56 | 54 | 54 | 55 | 61 | 59 | 69 | 74 | 74 | 70 | 65 | 60 |
4. 행정 구역
종류 | 이름 | 한자 | 한국어 발음 |
---|---|---|---|
진(鎭) | 대괴수진 | 大槐樹鎭 | 대괴수진 |
진(鎭) | 감정진 | 甘亭鎮 | 감정진 |
진(鎭) | 곡정진 | 曲亭鎮 | 곡정진 |
진(鎭) | 소보진 | 蘇堡鎮 | 소보진 |
진(鎭) | 광승사진 | 廣勝寺鎮 | 광승사진 |
진(鎭) | 명강진 | 明姜鎮 | 명강진 |
진(鎭) | 조성진 | 趙城鎮 | 조성진 |
진(鎭) | 만안진 | 万安鎮 | 만안진 |
진(鎭) | 유가원진 | 劉家垣鎮 | 유가원진 |
향(鄕) | 엄저향 | 淹底郷 | 엄저향 |
향(鄕) | 흥당사향 | 興唐寺郷 | 흥당사향 |
향(鄕) | 제촌향 | 堤村郷 | 제촌향 |
향(鄕) | 신촌향 | 辛村郷 | 신촌향 |
향(鄕) | 용마향 | 竜馬郷 | 용마향 |
향(鄕) | 산두향 | 山頭乡 | 산두향 |
향(鄕) | 좌목향 | 左木乡 | 좌목향 |
5. 인구
2019년 기준 훙둥현의 인구는 766,579명이며, 이 중 45.7%가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나머지 54.3%는 농촌 지역에 거주했다.[2]
6. 경제
2019년 훙둥현의 GDP는 151.5억위안이다.[2] 1차 산업은 6.6%, 2차 산업은 45.8%, 3차 산업은 47.6%를 차지했다.[2] 2019년 소매 판매액은 총 70.3억위안이었다.[2] 훙둥 현 주민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19545CNY이었으며, 도시 주민은 30848CNY, 농촌 주민은 13025CNY이었다.[2]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 밀, 수수, 콩, 참마, 사과, 대추, 식용 견과류 등이다.[2] 주요 산업 제품은 석탄, 코크스, 벤젠, 정제된 메탄올, 주철, 천연 가스, 시멘트, 화학 비료, 플라스틱 제품 등이다.[2]
7. 교육
훙둥 현에는 352개의 학교가 있으며, 유치원 145개, 초등학교 162개, 중학교 33개, 일반 고등학교 9개, 중등 직업학교 3개가 있다.[2]
8. 문화
훙둥 대괴수는 중국 조상 숭배의 중요한 장소이며, 매년 청명절에 대규모 행사가 열린다.[6][10] 매년 약 20만 명의 관광객이 이곳을 방문하여 조상에게 경의를 표한다.[6] 명나라 홍무제 시대부터 영락제 시대에 걸쳐 화북 평원으로 이주한 많은 사람들이 훙둥현의 큰 회화나무에 모였고,[6][7] 이 때문에 "산시 훙둥 대괴수에서 일족의 선조가 왔다"라는 전승이 남아있다.[13] 청명절에는 해외 거주 화교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대괴수 족근 제조원에 모여 조상을 모시는 "홍동 대괴수 족근 제조 대전"이 열린다.[13]
9. 교통
2019년 말 기준으로 훙둥현에는 택시 417대, 버스 223대가 16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2]
108번 국도, 309번 국도, G5 베이징-쿤밍 고속도로, G22 칭다오-란저우 고속도로가 훙둥현을 통과한다.[1]
다퉁-시안 여객 철도와 다퉁-푸저우 철도가 모두 훙둥현을 통과한다.[1] 펀허강 동쪽을 따라 동포선이 훙둥현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현 내에는 자오청역, 훙둥역, 간팅역 3개 역이 있다. 훙둥역은 3등역으로[16] 매일 10편 이상의 중장거리 열차가 정차한다. 졐화창 철로 전선은 자오청진에서 분기하여 밍장진을 거쳐 광성사진의 졐화창에 이른다. 2014년에는 고속철도인 다시 여객 전용선이 개통하여 훙둥현에 훙둥시역이 개업했다. 도로로는 남북으로 다윈 고속공로와 108번 국도가 지나가며, 동서 방향으로는 309번 국도, 훙구로, 자오커 공로가 지나간다.[11]
10. 종교
훙둥현은 중국 내에서도 가톨릭 신자가 집중된 지역으로, 훙둥 교구에는 3만 명 이상의 신자와 30곳 이상의 성당이 있으며, 현성 중심부에는 주교좌 성당인 훙둥 천주교당이 세워져 있다.
1932년에는 루안 교구에서 훙둥 대목구가 분리되었고, 1950년에는 훙둥 교구가 되어 한팅필이 초대 주교가 되었다.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무신론화를 실험하는 현으로 훙둥현과 저장성 핑양현 두 곳을 선택했고, 같은 해 훙둥 천주교당은 해체되어, 그 지역의 가톨릭 공동체는 소멸 위기에 놓였다. 현재의 고딕 건축 양식의 천주교당은 2002년에 재건된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hongtong.[...]
2020-02-10
[2]
웹사이트
http://www.hongtong.[...]
2020-04-16
[3]
웹사이트
http://xzqh.org/html[...]
2016-10-18
[4]
웹사이트
http://www.hongtong.[...]
2020-02-10
[5]
웹사이트
http://www.hongtong.[...]
2020-04-16
[6]
웹사이트
A Textual Research on the Immigrants from the Great Pagoda Tree in Hongdong
http://www.sxskw.org[...]
2009-02-19
[7]
서적
A Century of Change in a Chinese Village: The Crisis of the Countrysid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8-05-04
[8]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9]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26
[10]
웹사이트
Great Pagoda Tree
http://www.sx.xinhua[...]
Xinhua
2021-09-10
[11]
웹사이트
洪洞党建網站,洪洞県基本情況簡介
http://www.htdj.gov.[...]
[12]
뉴스
問我祖先在何處 山西洪洞大槐樹,太原日報
http://www.tynews.co[...]
[13]
뉴스
国内外の子孫1万人余り、古槐先祖を祝う
http://www.hellonavi[...]
[14]
웹사이트
https://pekin-media.[...]
[15]
뉴스
觸目驚心 令人髮指——山西洪洞"12•5"礦難追蹤,新華網
http://news.xinhuane[...]
[16]
웹사이트
太原鉄路局,車站簡介
http://www.tytlj.com[...]
[17]
웹인용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